KR20140012420A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420A
KR20140012420A KR1020120079270A KR20120079270A KR20140012420A KR 20140012420 A KR20140012420 A KR 20140012420A KR 1020120079270 A KR1020120079270 A KR 1020120079270A KR 20120079270 A KR20120079270 A KR 20120079270A KR 20140012420 A KR20140012420 A KR 2014001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idet
toilet
toilet seat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혁
서영진
조경제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2420A/ko
Publication of KR2014001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흡입하여 좌변기 내부에 존재하는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비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좌변기(T)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비데노즐(210)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비데본체(200); 상기 비데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보도록 구성된 변좌(300); 및 용변시 상기 좌변기(T)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좌변기(T)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변좌(300)의 중앙부 뒤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좌변기 내부의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고,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BID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좌변기에 설치되며 용변을 본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를 세척하도록 구성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흡입하여 좌변기 내부에 존재하는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비데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된다. 그리고, 용변을 본 사용자는 비데를 사용하여 자신의 항문이나 국부를 세척한다.
이를 위해서,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본체, 비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는 변좌, 비데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비데노즐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먼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변좌를 좌변기 측으로 내린다. 그리고, 사용자는 변좌에 앉아서 용변을 본다. 용변을 다 본 사용자는 비데본체에 구비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비데노즐이 자신의 항문이나 국부에 인접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비데노즐로부터 자신의 항문이나 국부로 물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항문이나 국부가 세척된다. 항문이나 국부의 세척이 끝나면, 사용자는 조작부를 조작하여 비데노즐로부터의 물의 분사를 중지시킨다. 그리고, 조작부를 조작하여 비데노즐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사용자의 용변 등에 의해서 좌변기 내부에는 악취를 유발하는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서 공기와 함께 좌변기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전술한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고,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에 세균이나 바퀴벌레 등이 번식하여 위생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좌변기 내부의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비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좌변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비데노즐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비데본체; 비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보도록 구성된 변좌; 및 용변시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좌변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공기흡입부는 변좌의 중앙부 뒤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흡입부는 변좌의 전체 길이의 3/4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변좌의 중앙부 뒤쪽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는 변좌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에서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는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팬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여과필터가 구비된 흡입덕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좌변기 내부로 다시 보내어 순환되도록 하는 공기순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는 공기흡입부에 포함된 공기흡입구에 연결되도록 변좌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순환구는 공기흡입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부는 공기흡입부에 포함되는 흡입덕트와 공기순환구를 연결하는 순환덕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변기 내부의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일실시예가 좌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공기흡입부에서의 공기 흡입속도가 1m/s 이하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다른 실시예예가 좌변기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의 (a)는 변좌의 전체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구성을 가지는 비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의 (b)는 변좌의 중앙부 뒤, 예컨대 변좌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비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흡입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100)는 비데본체(200), 변좌(300) 및 공기흡입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데본체(2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좌변기(T)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데본체(200)에는 하나 이상의 비데노즐(210)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비데노즐(210)에 의해서 용변을 본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의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비데노즐(2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비데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용변을 본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의 세척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비데본체(200)에는 비데노즐(210) 이외에 비데노즐(210)에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도시되지 않음)나 물펌프(도시되지 않음) 또는 세척용 물을 가열하는 히터(도시되지 않음) 등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비데본체(200)에는 조작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부(220)를 조작하여 비데노즐(210)이 사용자의 항문이나 국부에 인접하게 이동하도록 하거나, 비데노즐(210)로부터 세척용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사용자는 조작부(220)를 조작하여 공기흡입부(400)를 작동하거나, 예컨대 변좌(300)에 구비되는 히터(도시되지 않음) 등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변좌(3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비데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변좌(30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변좌(3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고 사용자의 용변이 좌변기(T)로 보내지도록 링과 유사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먼저 좌변기(T)에 내려지도록 변좌(30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변좌(300)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된다. 변좌(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날씨가 추운 겨울에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때, 사용자의 엉덩이와 허벅지 등 변좌(300)에 닿는 부분을 따뜻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변좌(300)에는 사용자가 앉았음을 감지하는 착좌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착좌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변좌(300)에 앉았음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데노즐(210)이 사용자의 항문이나 국부에 인접하게 이동한 후 세척용 물을 사용자의 항문이나 국부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착좌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변좌(300)에 앉았음이 감지되면, 공기흡입부(400)가 작동될 수도 있다.
공기흡입부(400)는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시 좌변기(T) 내부의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좌변기(T)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변시 사용자의 용변 등에 의해서 좌변기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유발하는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고,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에 세균 등이 번식하여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부(400)는 변좌(300)의 중앙부 뒤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부(400)는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부(400)에서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 일 수 있다.
공기흡입부(400)가 변좌(300)의 중앙부 앞쪽, 예컨대 변좌(300) 전체 길이의 3/4 이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사용자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흡입된 공기가 좌변기(T) 뒤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서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더 길어지고 이에 비례하여 손실도 커지기 때문에, 좌변기(T) 내부에 존재하는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좌변기(T)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공기를 흡입하려면, 변좌(300)의 중앙부 뒤, 예컨대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보다 공기의 흡입속도를 보다 크게 해야만 한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에 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
그러므로, 변좌(300)의 중앙부 뒤, 예컨대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와 같은 공기 흡입속도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분리되어 좌변기(T)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이 발생할 수 있거나, 분리되지는 않더라도 좌변기(T) 내부의 공기에 충분한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변좌(300)의 중앙부 앞, 예컨대 변좌(300) 전체 길이의 3/4 이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면, 변좌(300)의 중앙부 뒤, 예컨대 변좌(300) 전체 길이의 3/4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는 것보다 사용자가 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변좌(300) 전체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흡입된 공기가 좌변기(T) 뒤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변좌(300)의 중앙부 앞, 예컨대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전의 부분에서는 공기의 유동거리가 길어지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이유로 충분한 흡입력이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즉, 변좌(300) 전체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변좌(300)의 중앙부 뒤, 예컨대 변좌(300)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공기의 흡입면에서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오히려, 변좌(300) 전체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면, 구성이 복잡해지고 변좌(300)의 중앙부 앞, 예컨대 변좌(300) 전체 길이의 3/4 이전에서도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아래의 표1과 표2는 도7의 (a)와 같이 변좌(300) 전체의 10개소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비데와 도7의 (b)와 같이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 부분의 4개소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데를 비교하여 실험한 것을 나타낸다.
실험은 온도 25℃ 내지 30℃와 상대습도 35% 내지 50% 에서,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300) 전체 10개소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비데가 설치된 좌변기(T)와,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 부분의 개소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데가 설치된 좌변기(T)에 각각 암모니아 가스를 40ml/min 유량으로 주입하였고 공기를 흡입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를 모사하기 위해서, 표1과 표2에 첨부된 사진과 같이, 종이를 이용하여, 예컨대 어른이 사용하는 경우를 모사하기 위해서 좌변기(T)의 상부가 6% 개방된 경우와, 아이들이 사용하는 경우를 모사하기 위해서 좌변기(T)의 상부가 16% 개방된 경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변좌(300)의 일부 개방된 앞부분과 변좌(300)의 일부 개방된 뒷부분에서의 암모니아 농도를 아래와 같이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부 6% 개방 변좌 전체 10개소에서 흡입하도록 구성 변좌 3/4이후 4개소에서 흡입하도록 구성
Figure pat00001
시간(min) 농도(ppm) 농도(ppm)
변좌앞부분 변좌뒷부분 변좌앞부분 변좌뒷부분
0 0 0 0 0
1 0.2 0.5 0.2 0.7
3 0.5 1.4 0.5 1.5
5 0.5 1.9 0.5 2
7 0.5 2.2 0.5 2.2
10 0.5 2.4 0.8 2.5
13 0.5 2.5 0.5 2.5
15 0.5 2.5 0.5 2.5
상부 16% 개방 변좌 전체 10개소에서 흡입하도록 구성 변좌 3/4이후 4개소에서 흡입하도록 구성
Figure pat00002
시간(min) 농도(ppm) 농도(ppm)
변좌앞부분 변좌뒷부분 변좌앞부분 변좌뒷부분
0 0 0 0 0
1 0 0.7 0.1 0.8
3 0.2 1.0 0.2 1.1
5 0.2 1.3 0.3 1.4
7 0.5 1.5 0.6 1.6
10 0.8 1.8 0.9 1.9
13 0.8 1.8 1.0 2
15 0.8 1.8 1.0 2
이에서, 변좌 전체 10개소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비데와,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 부분의 4개소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데(100)에서 측정된 암모니아의 농도는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굳이 변좌(300)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지 않고, 변좌(300)의 중앙부 뒤, 예컨대 변좌(300)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하여도, 같은 효과, 좌변기(T)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볼 때, 공기흡입부(400)의 공기흡입 위치는 좌변기(T)의 중앙부 뒤, 예컨대 좌변기(T)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흡입부(400)에서의 공기 흡입속도가 1m/s 미만이면, 흡입력이 약하기 때문에, 좌변기(T) 내부의 공기 전체가 공기흡입부(400)에 의해서 흡입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일부의 공기는 변좌(300)와 좌변기(T)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변 등에 의한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T)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부(400)에서의 공기 흡입속도가 8m/s 을 초과하면, 공기흡입부(400)에서의 공기의 흡입에 의해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것이 방해받을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공기흡입부(400)에 포함되는 공기여과필터(422)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좌변기(T) 내부의 모든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흡입되면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것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으며 공기여과필터(422)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공기흡입부(400)에서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 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공기흡입부(400)는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흡입구(4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변좌(300)의 중앙부 뒤쪽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410)는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이후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구(410)에서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일 수 있다.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흡입구(410)는 관 등의 별도의 부재로 되어 변좌(3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흡입구(410)는 이외에 관 등의 별도의 부재로 되어 변좌(3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흡입구(410)는 변좌(300)에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기흡입부(400)는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흡입덕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덕트(4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비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구(4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흡입구(410)는 연결관 등의 연결유로(430)에 의해서 흡입덕트(4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흡입덕트(4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팬(4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팬(421)의 구동에 의해서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T) 내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410)에 흡입될 수 있다.
흡입팬(421)은 비데본체(200)에 구비되는 조작부(220)나 변좌(300)에 구비되는 착좌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220)를 조작하거나 착좌센서에 의해서 사용자가 변좌(300)에 앉았음이 감지되면, 흡입팬(421)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흡입덕트(420)에는 도1과 도2 및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여과필터(4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팬(421)의 구동에 의해서 공기흡입구(410)에 흡입되고 연결유로(430)를 유동하여 흡입덕트(420)에 유입된 공기는 공기여과필터(422)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여과된 공기는 도3과 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좌변기(T)가 설치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 등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흡입덕트(420)에는 전술한 공기여과필터(422) 이외에도 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유닛(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자외선 살균유닛이 구비될 수도 있거나 공기에 향기를 주는 발향유닛(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100)는 공기순환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순환부(5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부(400)에서 흡입된 공기를 좌변기(T) 내부로 다시 보내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기순환부(500)는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구(5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순환구(5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흡입부(400)의 공기흡입구(410)에 연결되도록 변좌(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순환구(5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흡입구(41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순환구(510)를 통해 좌변기(T) 내부에 분사된 공기가 바로 공기흡입구(410)에 흡입되지 않고 좌변기(T) 내부를 유동하여 공기흡입구(410)에 흡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좌변기(T) 내부의 공기가 공기흡입부(400)의 공기여과필터(422)에 의해서 계속 여과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순환부(500)는 순환덕트(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덕트(520)는 공기흡입부(400)의 흡입덕트(420)와 공기순환구(510)를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순환덕트(520)는 연결관 등의 연결유로(530)에 의해서 공기순환구(5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흡입덕트(420)를 통과하면서 공기여과필터(420)에 의해서 여과된 공기는 순환덕트(52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덕트(520)를 유동한 공기는 연결유로(530)를 지나 공기순환구(510)를 통해 좌변기(T)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변기(T) 내부로 분사된 여과된 공기는 좌변기(T) 내부의 공기와 함께 공기흡입부(400)에 의해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부(400)에 포함되는 공기여과필터(422)에 의해서 재여과될 수 있다. 즉, 좌변기(T) 내부의 공기가 순환여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변기(T) 내부 공기의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순환덕트(520)에도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흡입덕트(420)에서와 같이 흡입팬(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를 사용하면, 좌변기 내부의 공기가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좌변기 내부의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이 공기와 함께 좌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고, 좌변기가 구비되는 화장실 등의 공간이 냄새물질이나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비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비데 200 : 비데본체
210 : 비데노즐 220 : 조작부
300 : 변좌 310 : 변좌커버
400 : 공기흡입부 410 : 공기흡입구
420 : 흡입덕트 421 : 흡입팬
422 : 공기여과필터 430,530 : 연결관
500 : 공기순환부 510 : 공기순환구
520 : 순환덕트 T : 좌변기

Claims (11)

  1. 좌변기(T)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비데노즐(210)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비데본체(200);
    상기 비데본체(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보도록 구성된 변좌(300); 및
    용변시 상기 좌변기(T)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좌변기(T)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변좌(300)의 중앙부 뒤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이후의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변좌(300)의 중앙부 뒤쪽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410)는 상기 변좌(300)의 전체 길이의 3/4 이후의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410)에서의 공기 흡입속도는 1m/s 내지 8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공기흡입구(41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팬(42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여과필터(422)가 구비된 흡입덕트(4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400)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좌변기(T) 내부로 다시 보내어 순환되도록 하는 공기순환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500)는 상기 공기흡입부(400)에 포함된 공기흡입구(410)에 연결되도록 상기 변좌(30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순환구(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구(510)는 상기 공기흡입구(410)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500)는 상기 공기흡입부(400)에 포함되는 흡입덕트(420)와 상기 공기순환구(510)를 연결하는 연결되는 순환덕트(5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KR1020120079270A 2012-07-20 2012-07-20 비데 KR20140012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70A KR20140012420A (ko) 2012-07-20 2012-07-20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70A KR20140012420A (ko) 2012-07-20 2012-07-20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420A true KR20140012420A (ko) 2014-02-03

Family

ID=5026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270A KR20140012420A (ko) 2012-07-20 2012-07-20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2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2461B (zh) 仰卧位置所使用卫生单元的探测系统
JP6699382B2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CN101530265A (zh) 一种清洁臭气的座椅
JP2010000253A (ja) 送風装置及び送風装置が組込まれた座席
JP3119811U (ja) 消臭機能付き便器装置
KR20160142214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JP6769168B2 (ja) 便座装置
KR20140012420A (ko) 비데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101987796B1 (ko) 비데
JPH03140105A (ja) 人工竜巻式局所排気装置を備えた椅子
KR20100116370A (ko) 좌변기용 비데
CN107143016A (zh) 除臭便器
KR20140085843A (ko) 비데
CN207047983U (zh) 除臭便器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2407222B1 (ko)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
KR102000496B1 (ko) 좌변기용 비데
JP3236909U (ja) 飛沫防止装置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JP6900827B2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KR20110003720A (ko) 음식점의 클리닝 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