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370A - 좌변기용 비데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370A
KR20100116370A KR1020090035040A KR20090035040A KR20100116370A KR 20100116370 A KR20100116370 A KR 20100116370A KR 1020090035040 A KR1020090035040 A KR 1020090035040A KR 20090035040 A KR20090035040 A KR 20090035040A KR 20100116370 A KR20100116370 A KR 2010011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gas
gas flow
bide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진
박춘호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370A/ko
Publication of KR2010011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기능을 구비한 좌변기용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가스 유로;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탈취필터; 및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가스 흐름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의 가스를 정화하도록 선택적으로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좌변기용 비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 내부 및 좌변기 외부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흡입하고, 흡입된 가스를 탈취필터를 통과시켜 좌변기의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흡입구, 배출구, 가스 유로, 탈취필터

Description

좌변기용 비데{Bidet for Toilet Stool}
본 발명은 탈취기능을 구비한 좌변기용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기기이다. 상기 좌변기에는 화장실을 쾌적하게 하고 위생을 위하여 비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비데에는 용변 후 신체의 일부에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노즐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전진된 후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서 노즐이 전진한 후 신체의 일부에 세정수를 분사한다. 그리고, 세정이 완료되면, 상기 노즐은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노즐 위치는 조절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노즐을 전/후로 이동시켜 세정위치를 조정한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청결함을 제공해주는 비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배변을 본 후에 실내에 남아 있는 배변 냄새 등에 의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내에 환풍기를 설치하거나 화장실의 환기구조를 개선하는 방안이 채용되었으나, 여전히 사용자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배변 냄새로 인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가스 유로의 내부에 탈취필터를 구비하고,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의 가스를 정화하도록 상기 흡입구를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하여, 흡입된 가스를 탈취필터를 통과시켜 좌변기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좌변기용 비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는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가스 유로;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탈취필터; 및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가스 흐름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의 가스를 정화하도록 선택적으로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의 흡입구 측은 상기 좌변기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좌변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도록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는 회동가능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변기에 안착되는 비데 본체에는 착좌 또는 냄새를 감지하거거 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좌변기에 안착되는 비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좌변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판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는 좌변기 내부 및 좌변기 외부의 가스를 정화하도록 흡입구를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설치하고, 흡입된 가스는 탈취필터를 통과시켜 좌변기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사용자의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는 흡입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유로(40), 상기 가스 유로(40)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부재(50), 상기 가스 유 로(40)의 내부의 가스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유로(40)는 좌변기의 상측에 설치되고, 세정노즐(21) 또는 비데노즐(23)이 왕복가능하게 수용된 비데 본체(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유로(40)는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구(41,42)와, 상기 가스 유로(40) 내에 구비된 필터부재(50)를 거쳐 정화된 가스를 좌변기(10)의 외부, 즉 실내로 배출하는 배출구(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41,42)는 좌변기(10) 내부 및 좌변기(10)의 외부, 즉 실내의 가스를 정화하도록 좌변기(10)의 내부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유로(40)의 흡입구(41,42) 측은 상기 좌변기(10) 내부 및 좌변기(1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분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 유로(40)의 흡입구(41,42) 측은 상기 좌변기(10)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좌변기(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도록 분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유로(40) 내부에는 회동가능하게 플레이트(45)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흡입구(41,42)는 상기 플레이트(45)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변기(10)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스 유로(40)의 분기점에서 상기 플레이트(45)가 회동하여 상기 흡입구(41,42)를 상기 좌변기(10)의 내부와 연통되게 또는 상기 좌변기(10)의 외부와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 유로(40)의 내부에는 회동가능한 플레이트(45)가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구(43)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45)는 상기 흡입구(41,42)를 상기 좌변기(10) 내/외부, 즉 제1 유로 및 제2유로와 모두 연통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45)는 분기되게 형성된 상기 가스 유로(40)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좌변기(10) 내/외부와 연통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내부에는 밸브 등 공지된 차단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변기(10)에 안착되는 비데 본체(20)에는 착좌 또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배변을 볼 경우 또는 냄새농도가 소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팬(60)을 구동시켜 가스를 흡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도 작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60)을 구동시키고, 상기 흡입구(41,42)를 상기 좌변기(10)의 내부 및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플레이트(45)를 회동시켜 가스를 흡입하고 정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선택 또는 사용자의 용변 전후를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45)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구(41,42)를 좌변기(10)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하여 좌변기 (10) 내부 및/또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좌변기(10) 내/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흡입하고 상기 필터부재(50)를 통하여 정화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43)는 좌변기(10)의 일측에 실내로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구(43)는 상기 흡입구(41,42)를 통하여 정화 된 공기를 좌변기(10)의 후방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한편, 도 1에서 상기 좌변기(10)의 외부와 연통되는 상기 흡입구(41,42)의 위치는 조작부(80)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흡입구(41,42)는 실내의 냄새 가스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50)는 상기 가스 유로(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41,42)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정화하도록 탈취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취필터(50)는 배면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카본 필터나 광촉매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탈취필터(50)의 하류측에 안정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형성된 필터를 배치하여, 탈취필터(50)를 통과한 가스가 안정화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의해 항균 및 추가의 냄새 제거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겔 형태이므로, 다수의 구멍이 뚫린 지지체에 겔 형태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도포함으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형성된 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탈취 필터와 함께 방향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가스 유로(40)에는 방향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방향제를 사용하는 경우, 배출구(43)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방향제에 의한 냄새가 부가되고, 이 방향제 냄새가 부가된 가스가 다시 가스 유로(40)로 유입되면 탈취 필터(50)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 유로(40) 내부의 가스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스 유로(40)의 내부에는 팬(60)과 모터(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팬(60)은 모터(70) 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팬(60)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좌변기(10) 내/외부의 냄새 가스가 상기 흡입구(41,42)를 통해 흡입된다. 흡입되는 냄새 가스는 상기 가스 유로(4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스 유로(40)의 내부에 설치된 탈취필터(50)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팬(60)은 상기 가스 유로(40)의 내부에서 상기 탈취필터(50)와 나란히 배치하되, 상기 탈취필터(50)를 팬(60)보다 상기 가스 유로(40)의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취필터(50)를 상기 팬(60) 보다 상류측에 배치하면, 상기 탈취필터(5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상기 팬(60)을 통과하므로 상기 팬(6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선택 또는 착좌 및 냄새감지에 의해 제어부에 의해 탈취기능을 실행하게 되면,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팬(60)이 회전하고, 상기 팬(60)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여, 좌변기(10) 내/외부의 냄새 가스가 가스 유로(40)의 흡입구(41,42)를 통해 흡입된다.
흡입된 냄새 가스는 상기 가스 유로(4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스 유로(40)에 설치된 탈취필터(50)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43)를 통해 좌변기(10) 외부, 즉 실내로 배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용변을 볼 경우에는 좌변기(10) 내부와 연통되게 플레이트(45)를 회전시켜 흡입구(41,42)를 개구하여 냄새 가스를 흡입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는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동작에 의하거 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레이트(45)를 회전시켜 좌변기 외부 즉, 화장실 실내 의 공기를 흡입한다. 가스 흡입은 좌변기(10) 내/외부의 공기를 동시에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된 냄새 가스는 탈취필터(50)를 거쳐 냄새가 제거된 후에 실내로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좌변기(10) 내부 및 외부의 냄새가스를 흡입하고 탈취시켜 악취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1은 좌변기(10)에 가스 유로(40)가 설치되도록 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비데 본체(20)의 전방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판(30)의 내부에 가스 유로(40')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좌판(30) 내에 냄새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가스 유로(40')를 마련하여 탈취 기능을 갖는 다기능 비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흡입구(41',42'), 배출구(43'), 플레이트(45')를 구비한 가스 유로(40'), 탈취필터(50'), 팬(60'), 모터(70'), 조작부(80') 등에 관한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좌변기 20: 비데 본체
30: 좌판 40, 40': 가스 유로
41, 42, 41', 42': 흡입구 43, 43': 배출구
45, 45': 플레이트 50, 50': 탈취필터
60, 60': 팬 70, 70': 모터
80, 80': 조작부

Claims (6)

  1.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가스 유로;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탈취필터; 및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가스 흐름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의 가스를 정화하도록 선택적으로 좌변기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로의 흡입구 측은 상기 좌변기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1유로와, 상기 좌변기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유로를 구비하도록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로의 내부에는 회동가능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에 안착되는 비데 본체에는 착좌 또는 냄새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좌변기에 안착되는 비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로는 상기 좌변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판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KR1020090035040A 2009-04-22 2009-04-22 좌변기용 비데 KR20100116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40A KR20100116370A (ko) 2009-04-22 2009-04-22 좌변기용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040A KR20100116370A (ko) 2009-04-22 2009-04-22 좌변기용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370A true KR20100116370A (ko) 2010-11-01

Family

ID=4340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040A KR20100116370A (ko) 2009-04-22 2009-04-22 좌변기용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3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233A (ko) * 2014-08-19 2016-02-2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KR102258492B1 (ko) * 2020-08-31 2021-05-31 조정모 변기 오물 유출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233A (ko) * 2014-08-19 2016-02-29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KR102258492B1 (ko) * 2020-08-31 2021-05-31 조정모 변기 오물 유출 방지 장치
WO2022045455A1 (ko) * 2020-08-31 2022-03-03 조정모 변기 오물 유출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683B1 (ko) 악취 제거 기능이 구비된 위생 변기
JP3403723B1 (ja) 空気調節装置
KR20160142214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KR101916890B1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20100116370A (ko) 좌변기용 비데
JP2018028233A (ja) 便座装置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100107642A (ko) 탈취 기능을 구비한 변기
KR200427889Y1 (ko) 바람막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 변기시트
KR101760677B1 (ko) 악취 제거 기능이 구비된 위생 변기
JP7069928B2 (ja) 衛生洗浄装置
JP7135368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7048555A (ja) 便器の脱臭装置
CN212689112U (zh) 排便系统和排便设备
KR101987796B1 (ko) 비데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140085843A (ko) 비데
JPH04126982U (ja) 脱臭便器
JP6900827B2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KR20040020232A (ko)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120117449A (ko) 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CN111519724A (zh) 排便系统和排便设备
JP6823280B2 (ja) 衛生洗浄装置
KR20220070622A (ko)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악취 배출장치를 가진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