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334A -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334A
KR20140011334A KR1020137024090A KR20137024090A KR20140011334A KR 20140011334 A KR20140011334 A KR 20140011334A KR 1020137024090 A KR1020137024090 A KR 1020137024090A KR 20137024090 A KR20137024090 A KR 20137024090A KR 20140011334 A KR20140011334 A KR 2014001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signal
frequency
amplifi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시 이마이
다카유키 가이다
사토루 가와카미
히토시 마수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1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회로 규모를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면서 수신 특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1 고주파 처리부(320s, 320t)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제2 고주파 처리부(320t, 320s)가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320)가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RECEIVER DEVICE AND RECEIVER METHOD}
본 발명은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및 그 수신 장치에 의한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 디지털 TV 방송이나 위성 방송 등 방송 방식(규격)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방송 방식에서 취급되는 방송의 종류(채널수)도 증가해 오고 있고, 방송파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광역화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여러가지 방송 방식 혹은 종류의 방송을 하나의 수신 장치로 수신하고자 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위성 방송과 지상 디지털 TV 방송에서는, 방송파의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크게 상이하다. 이로 인해, 이렇게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각각의 방송에 대해서는 각각 개별적으로 튜너를 설치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각의 방송파의 수신에 적합한 설정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튜너를 복수 설치한 경우에는, 제조 비용의 증대나, 회로의 실장 면적 증대에 의한 장치의 대형화, 소비 전력의 증대와 같은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와 BS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방송 수신용 튜너부를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하여 회로의 공통화를 도모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5668호 공보
그런데, 각각의 방송 수신용 각각의 튜너부(특히, 소위 RF 프론트 엔드(front end)라고 불리는 고주파 처리부)를 하나의 모듈 상에 단순히 통합한 경우에는, 수신 회로의 규모가 커져 모듈이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한, 발진 주파수가 상이한 국부 발진기가 동일한 모듈 상에 탑재됨으로써, 각각의 국부 발진기로부터 발생하는 스퓨리어스(spurious)가 서로 영향을 미쳐 수신 특성이 열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회로 규모를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면서 수신 특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제2 고주파 처리부와,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각각의 기능 및 처리를 이하와 같이 한다. 제1 고주파 처리부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한다. 제2 고주파 처리부는,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한다.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는,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은 다음의 순서로 행한다. 우선, 제1 고주파 처리부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한다. 계속해서, 제2 고주파 처리부가,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가,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과 같이 수신 장치를 구성하여 처리를 행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고주파 처리부를 복수 설치한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로부터 발진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사용하여 방송파를 검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따르면,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국부 발진기는 적어도 하나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의 회로 규모를 가능한 한 작게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의 수신 신호를 그 수신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다이렉트 컨버전(direct conversion)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슈퍼헤테로다인(super heterodyne)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는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 장치에 요구되는 요구 사양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PLL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고주파 처리부에서의 기저 대역 변환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호스트 CPU에 의한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호스트 CPU가 행하는 설정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기술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제1 실시 형태예(방송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단일한 검파 방식으로 수신하는 구성의 예)
1-1. 전제가 되는 기술의 설명
1-2.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구성예(복조기를 1대로 구성한 예)
1-3. 각종 변형예
2. 제2 실시 형태예(방송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취급하는 복수의 고주파 처리부에서, 하나의 국부 발진기를 공용하는 구성의 예)
[1. 제1 실시 형태예]
<1-1. 본 실시 형태의 전제가 되는 기술>
현재, 위성 방송의 방송파의 검파(복조)는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이라고 칭해지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서는 수신한 방송파로부터 직접 기저 대역 신호가 추출된다. 지상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TV 방송의 검파는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이라고 칭해지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다.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서는 수신 전파의 주파수가 특정한 중간 주파수(IF)로 변환되고 나서 검파된다.
도 1에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으로 검파를 행하는 경우의 수신 장치(5)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수신 장치(5)는 파라볼라 안테나(10)와 고주파 처리부(500)와 ISDB-S(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Satellite) 복조기(520)를 구비한다. 고주파 처리부(500)는, 저잡음 증폭기로서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증폭기(501)와, I/Q 믹서(502) 및 I/Q 믹서(503)와, 국부 발진기로서의 PLL부(510)와, 이상기(phase shifter)(504)와, 가변 LPF(Low Pass Filter)(505) 및 가변 LPF(506)와, 기저 대역 증폭기(507) 및 기저 대역 증폭기(508)를 구비한다.
파라볼라 안테나(10)는, 수신한 위성 방송의 방송파를 위성 IF 신호로 변환하고, 얻어진 위성 IF 신호를 신호선 Li10을 통하여 고주파 처리부(500) 내의 AGC 증폭기(501)에 입력한다. AGC 증폭기(501)는, ISDB-S 복조기(520)로부터 제어 라인 La10을 통하여 피드백으로서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 Li10으로부터 입력된 위성 IF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AGC 증폭기(501)로 게인이 조정된 위성 IF 신호는 I/Q 믹서(502)와 I/Q 믹서(503)에 입력된다. I/Q 믹서(502)는, AGC 증폭기(501)로부터 입력된 위성 IF 신호와, PLL부(510)로부터 출력된 로컬 신호를 혼합하여 I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한다. I/Q 믹서(503)는, AGC 증폭기(501)로부터 입력된 위성 IF 신호와, PLL부(510)로부터 출력되어 이상기(504)로 그 위상이 90°시프트된 로컬 신호를 혼합하여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한다.
PLL부(510)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전압 제어 발진기)(511)와 분주기(frequency divider)(512)를 포함한다. VCO(511)는, 도시하지 않은 루프 필터를 통하여 인가되는 제어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진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VCO(511)가 2200MHz 내지 4400MHz의 범위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것으로 한다. 분주기(512)는, VCO(511)에서 발진한 주파수를 2 내지 4 분주하여 도시하지 않은 위상 비교기에 입력한다. 위상 비교기에서는, 입력 기준 신호와 VCO(511)로부터의 발진 신호의 위상차에 따른 오차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그 오차 신호가 루프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직류의 제어 전압이 되어 VCO(511)에 인가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PLL부(510)에서 550MHz 내지 2200MHz의 범위의 발진 신호(로컬 신호)가 생성된다. 즉, 위성 방송의 방송파의 주파수(950MHz 내지 2150MHz: BS/CS 방송의 경우)와 동일한 주파수의 로컬 신호가 PLL부(510)로부터 출력된다.
PLL부(510)로부터 출력된 로컬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I/Q 믹서(502)와 I/Q 믹서(503)에 의해 위성 IF 신호와 혼합되어 I상과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I상과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는 가변 LPF(505 및 506)에 입력된다. 가변 LPF(505)는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여 출력하고, 가변 LPF(506)는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여 출력한다. 가변 LPF(505 및 506)의 차단(컷오프) 주파수는 5MHz 내지 36MHz의 범위에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예시한 차단 주파수의 설정값은 일례이며, 실제는 수신 장치(5)에 입력되는 방송파의 점유 대역 폭에 따라 바뀌는 것이다.
가변 LPF(505) 및 가변 LPF(506)에서 대역 제한된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와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는, 각각 기저 대역 증폭기(507) 및 기저 대역 증폭기(508)에 출력된다. 기저 대역 증폭기(507) 및 기저 대역 증폭기(508)는, I상/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신호 레벨이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입력된 I상/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신호선 Lo10, 신호선 Lo11 경유로 ISDB-S 복조기(520)에 출력한다. I상/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레벨의 조정은, ISDB-S 복조기(520)로부터 제어 라인 La10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ISDB-S 복조기(520)는, 위성 방송의 방송 규격인 ISDB-S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 방식으로 입력된 기저 대역 신호를 복조한다. ISDB-S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나 8PSK(8 phase shift keying) 등의 방식이 있다. 또한, ISDB-S 복조기(520)는 AGC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AGC 제어 신호를 제어 라인 La10을 통하여 AGC 증폭기(501)와 기저 대역 증폭기(507) 및 기저 대역 증폭기(508)에 공급한다.
도 2는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으로 지상 디지털 방송의 검파를 행하는 수신 장치(6)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 장치(6)는 UHF 안테나(20)와 고주파 처리부(600)와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복조기(620)를 구비한다. 고주파 처리부(600)는, AGC 증폭기(601)와, 믹서(602)와, 국부 발진부(610)와, 스위치(603)와, BPF(Band Pass Filter)(604)와, IF 증폭기(605)를 구비한다.
UHF 안테나(20)로 수신된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이하, 「지상파 RF 신호」라고 칭함)는, 신호선 Li20을 거쳐 고주파 처리부(600) 내의 AGC 증폭기(601)에 입력된다. AGC 증폭기(601)는, ISDB-T 복조기(620)로부터 신호선 La20을 통하여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 Li20으로부터 입력된 지상파 RF 신호(radio frequency: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AGC 증폭기(601)로 증폭된 지상파 RF 신호는 믹서(602)에 입력된다. 믹서(602)는, AGC 증폭기(601)로부터 입력된 지상파 RF 신호를, 국부 발진부(610)로부터 출력된 발진 신호를 사용하여 중간 주파(IF) 신호로 변환한다. 국부 발진부(610)는 VCO(611), VCO(612), VCO(613)로 이루어진다. VCO(611), VCO(612), VCO(613)는 각각이 300MHz 정도의 대역폭의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며, 서로 발진하는 주파수의 범위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VCO(611), VCO(612), VCO(613)에 의해 80MHz 내지 910MHz의 범위의 발진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603)는 VCO(611), VCO(612), VCO(613)로부터 출력된 발진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믹서(602)에 공급한다. 믹서(602)에서 얻어진 IF 신호는 BPF(604)에 입력된다. BPF(604)는 고정 BPF 혹은 가변 BPF로서 구성된다. 고정 BPF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과 주파수를 6MHz, 7MHz, 8MHz로 설정한 3개의 상이한 BPF로서 구성되며, 가변 BPF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과 주파수를 6MHz 내지 8MHz의 범위에서 전환할 수 있는 BPF로서 구성된다. BPF(604)에서 6MHz 내지 8MHz 중 어느 하나의 대역으로 대역 제한된 IF 신호는, IF 증폭기(605)에 입력된다. IF 증폭기(605)는, ISDB-T 복조기(620)로부터 신호선 La20을 통하여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IF 신호의 레벨을 일정한 레벨로 조정하고, 레벨 조정 후의 IF 신호를 ISDB-T 복조기(620)에 출력한다.
ISDB-T 복조기(620)는,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 규격인 ISDB-T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 방식으로 고주파 처리부(600)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를 복조한다. ISDB-T 방식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나 8VSB(8-level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OFDM의 서브 캐리어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QPSK(Quadriphase PSK)나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등의 방식이 있다. 또한, ISDB-T 복조기(620)는 AGC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AGC 제어 신호를 신호선 La20을 통하여 AGC 증폭기(601)와 IF 증폭기(605)에 공급한다.
이어서, 위성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5)와,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6)의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되는 배경에 대하여, 도 3의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표는 각각의 수신 장치에 요구되는 요구 사양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요구 사양으로서 「수신 장치로의 입력 주파수」, 「변조파의 점유 대역 폭」, 「입력 신호 레벨」, 「VCO(PLL) 최소 스텝 주파수」, 「VCO(PLL) 위상 잡음」, 「분주비(frequency division ratio)」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위성 방송 수신용과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으로 비교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TV 방송의 수신 장치에 요구되는 사양도 지상 디지털 방송에 요구되는 것과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지상 디지털 방송과 케이블 TV 방송의 2가지 방송 방식을 동일한 카테고리로서 통합하고 있다.
수신 장치로의 입력 주파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5)에 있어서는 950MHz 내지 2150MHz이고,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수신 장치(6)에 있어서는 44MHz 내지 870MHz이다. 즉,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방송파의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대보다도, 위성 방송의 방송파의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대 쪽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변조파의 점유 대역 폭은, 위성 방송에서는 20MHz 내지 40MHz이고,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에서는 6MHz, 7MHz, 8MHz이다(단, 일본의 케이블 TV 방송에서는 6MHz만을 사용). 즉, 위성 방송의 변조파의 점유 대역 폭은 넓고,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에서의 변조파의 점유 대역 폭은 매우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VCO(PLL)의 최소 스텝 주파수는, 위성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5)에 있어서는 500kHz 내지 1MHz로 어느 정도 넓어도 된다. 이에 반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TV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6)에서는 125MHz 내지 166.7MHz와 같은 작은 스텝 폭으로 VCO의 출력 주파수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VCO(PLL)의 위상 잡음 특성은, 위성 방송에 있어서는 10kHz 오프셋(중심 주파수로부터 10kHz 이격) 이상의 성능만이 중요하며,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에 있어서는 1kHz 오프셋 이하의 성능도 중요하게 된다.
분주기의 분주비는, VCO의 발진 주파수를 2200MHz 내지 4400MHz로 한 경우에는, 위성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5)에서는 2 내지 4 분주 정도로 작아도 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5)로의 입력 주파수 중 가장 낮은 주파수는 950MHz인데, 950MHz의 로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VCO(511)(도 1 참조)의 출력 주파수를 1900MHz로 하여 이것을 분주기(512)로 2 분주하거나, 3800MHz로 하여 분주기(512)로 4 분주하면 된다.
이에 반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TV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6)에서는, VCO(611) 내지 VCO(613)의 발진 주파수를 위성 방송 수신용과 동일한 2200MHz 내지 4400MHz로 설정하면, 분주비를 4 내지 64까지의 넓은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6)로의 입력 주파수 중 가장 낮은 주파수는 44MHz인데, 44MHz의 로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VCO(611)(도 2 참조)의 출력 주파수를 2816MHz로 하여 이것을 도시하지 않은 분주기로 64 분주할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각각의 요구 사양 중, 특히 VCO(PLL) 위상 잡음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VCO의 발진 주파수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효하다. 따라서, 특히 1kHz 오프셋 이하의 위상 잡음 성능도 중요시되는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수신 장치(6)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VCO를 복수 설치하여 하나하나의 VCO에서의 발진 주파수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위성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5)에 있어서는,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동작이 가능한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 수신용 수신 장치(6)에서는, 위상 잡음 성능을 내기 쉬운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수신 장치는, 각각 전용 튜너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삭감을 목적으로 하여 이들 튜너의 회로를 단순하게 공통화시킨 경우에는, 튜너의 수신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2. 제1 실시 형태예에 의한 수신 장치의 구성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예에 관한 수신 장치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예에 관한 수신 장치(1)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 장치(1)는, 위성 방송 수신용 파라볼라 안테나(10)와,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케이블 TV 방송 수신용 UHF 안테나(20)와, 고주파 처리부(30)와, 복조기(40)를 구비한다.
고주파 처리부(30)는, AGC 증폭기(301) 및 AGC 증폭기(302)와, AGC 증폭기(301)와 AGC 증폭기(302)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스위치(303)와, 제1 믹서로서의 I/Q 믹서(304)와, 제2 믹서로서의 I/Q 믹서(305)를 구비한다. 또한, 국부 발진기로서의 PLL부(320)와, 이상기(306)와, 제1 필터로서의 가변 LPF(307)와, 제2 필터로서의 가변 LPF(308)와, 기저 대역 증폭기(309) 및 기저 대역 증폭기(310)를 구비한다.
파라볼라 안테나(10)로 수신된 위성 IF 신호는, 신호선 Li1을 거쳐 고주파 처리부(30) 내의 AGC 증폭기(301)에 입력된다. AGC 증폭기(301)는, 복조기(40)로부터 신호선 La를 통하여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 Li1로부터 입력된 위성 I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UHF 안테나(20)로 수신된 지상파 RF 신호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RF 신호(이하, 간단히 「RF 신호」라고도 칭함)는, 신호선 Li2를 거쳐 고주파 처리부(30) 내의 AGC 증폭기(302)에 입력된다. AGC 증폭기(302)는, 복조기(40)로부터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선 Li2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위성 방송의 IF 신호용과,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RF 신호용에서 개별적으로 AGC 증폭기를 설치함으로써, 고주파 처리부(30)에 입력되는 양쪽 신호의 레벨 차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이득 가변 범위가 넓은 AGC 증폭기를 사용함으로써, AGC 증폭기(301)와 AGC 증폭기(302)를 하나의 증폭기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AGC 증폭기(301)로 증폭된 위성 IF 신호와, AGC 증폭기(302)로 증폭된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RF 신호는 스위치(303)의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스위치(303)의 접속처가 선택적으로 전환됨으로써, 위성 IF 신호와,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RF 신호 중 어느 하나가 I/Q 믹서(304)와 I/Q 믹서(305)에 입력된다. I/Q 믹서(304)는, 스위치(303)에 의해 선택된 위성 IF 신호와 RF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와, PLL부(320)로부터 출력된 발진 신호(로컬 신호)를 혼합하여 I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한다. I/Q 믹서(305)는, 스위치(303)에 의해 선택된 위성 IF 신호와 RF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와, PLL부(320)로부터 출력되어 이상기(306)로 그 위상이 90°시프트된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한다.
PLL부(320)는, 국부 발진기로서, 파라볼라 안테나(10) 또는 UHF 안테나(20)로 수신시키고자 하는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로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로컬 신호를 I/Q 믹서(304)와 이상기(306)에 공급한다. 이상기(306)는, PLL부(320)로부터 입력된 발진 신호의 위상을 90°시프트시켜 I/Q 믹서(305)에 입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서는, PLL부(320)로서 분수 분주(fractional frequency division)를 행할 수 있는 프랙셔널 N형의 PLL 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도 5에 프랙셔널 N형의 PLL 회로로 구성한 PLL부(320)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분수 분주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주한 주파수에 소수점을 포함하는 분주를 말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LL부(320)는, 기준 신호를 발진하는 수정 발진기(321)와, 분주기(322)와, 위상 비교기(323)와, 루프 필터(324)와, VCO(325)로 구성된다. 분주기(322)는 R 카운터(322r)와 N 카운터(322n)를 포함한다. 우선, 수정 발진기(321)로 발진된 기준 신호는 R 카운터(322r)에 입력되어, R 카운터(322r)에 의해 R 분주, 즉 1/R배로 된다. R 카운터(322r)로 R 분주된 주파수는, 비교 주파수로서 위상 비교기(323)에 입력된다.
위상 비교기(323)는, R 카운터(322r)로부터 입력된 비교 주파수의 위상과, VCO(325)에서 발진되어 N 카운터(322n)로 분주된 발진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차에 따른 신호(오차 신호)를 루프 필터(324)에 입력한다. 루프 필터(324)는, 위상 비교기(323)로부터 입력된 오차 신호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VCO(325)에 인가한다. VCO(325)는, 루프 필터(324)로부터 인가된 직류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진시키는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발진한 발진 신호를 N 카운터(322n)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I/Q 신호를 사용한 복조를 행할 때에는, 90°의 위상차 신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유로부터, VCO의 발진 주파수는 수신 주파수의 2배 이상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서는, 높은 주파수대(950MHz 내지 2150MHz)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위성 방송의 방송파도 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VCO(325)의 출력 주파수의 범위를 2200MHz 내지 4400MHz로 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에서의 발진에도 대응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VCO(325)의 동조부(同調部)에 사용하는 LC 공진 회로를 IC(Integrated Circuit: 집적 회로) 내부에 코일(동조용 인덕턴스)을 만들어 넣어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상에 코일을 베어 칩(bare chip)의 상태로 실장하고, 와이어 본딩을 하지 않고 수지 몰드로 덮는 구성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본딩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발진기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LC 공진 회로를 예를 들어 BGA(Ball Grid Array)로 구성한 경우 등과 비교하여, 기생 인덕턴스의 값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신 장치(1)는 위성 방송의 전파도 수신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VCO(325)의 발진 주파수는 매우 높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공진 회로의 Q값을 높게 하기 위하여 동조용 인덕턴스 L의 값은 작은 값인 것이 요구된다. 발진 주파수를 수GHz대로 하는 경우에는, 동조용 인덕턴스 L의 값은, 예를 들어 10nH 정도의 작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L의 값을 이렇게 작게 한 발진 회로에 있어서는, 기생 인덕턴스가 공진 주파수에 미치는 영향도 커져 버린다. 즉, 기생 인덕턴스가 커질수록 공진 주파수의 어긋남이나 기생 발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 형태의 수신 장치(1)에서는 VCO(325)의 LC 공진 회로 부분을 IC 내부에 코일을 만들어 넣어 구성하기 때문에, 기생 인덕턴스를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공진 주파수의 어긋남이나 기생 발진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VCO(325)의 발진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IC 내부에 코일을 만들어 넣어 구성함으로써, 회로의 부품 개수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을 IC 내부에 내장하는 구성으로서, 실리콘 칩 상의 도전부의 패턴을 배설하여 스파이럴(spiral) 코일을 구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기생 인덕턴스를 보다 낮은 값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진용 코일을 IC에 내장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Q값은, 예를 들어 공진 회로의 동조용 인덕턴스 L로서 공심 코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낮아진다. 그러나, 비교 주파수를 높게 함으로써, 루프 대역 내의 위상 잡음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PLL부(320)를 프랙셔널 N형의 PLL 회로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소 스텝 주파수를 작게 유지한 채로 비교 주파수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위성 방송의 수신시에 요구되는 튜너의 요구 특성뿐만 아니라, 지상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TV 방송 수신시에 요구되는 요구 특성도 만족할 수 있다.
도 5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N 카운터(322n)는 도시하지 않은 가변 분주기와 어큐뮬레이터로 구성된다. 가변 분주기는, VCO(325)로부터 입력된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N 분주하는 N 분주기와, N+1 분주하는 N+1 분주기로 이루어진다. 어큐뮬레이터는, 가변 분주기로부터의 출력 펄스(카운트값)의 F회 중 K회는 N+1 분주기를 선택하고, F-K회는 N 분주기를 선택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평균 분주수로서 등가적으로 (N+K/F)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N을 900MHz, F를 5, K를 1로 한 경우를 생각해 본다. F가 1 내지 4인 동안에는 N 분주기가 선택되기 때문에, N 카운터(322n)로부터의 출력 주파수는 900MHz가 된다. 그리고, F가 5가 된 경우에는 N+1 카운터가 선택되고, N 카운터(322n)로부터의 출력 주파수는 901MHz(=900MHz+100kHz)가 된다. 즉, (N+K/F)=(900+1/5)=900.2MHz의 스텝 폭(분수 분주비)에서 PLL부(320)의 출력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PLL부(320)의 최소 스텝 주파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N, F, K로 설정한 값은 일례이며,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R 카운터(322r)와 N 카운터(322n)로 이루어지는 분주기(322)의 분주비를 2 내지 64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PLL부(320)에서 발진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34.375MHz(2200MHz/64 분주) 내지 2200MHz(4400MHz/2 분주)라고 하는 넓은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PLL부(320)로부터 위성 IF 신호의 주파수대뿐만 아니라,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주파수대인 VHF대와 UHF대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4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PLL부(320)로부터 출력된 발진 신호(로컬 신호)는, I/Q 믹서(304)와 I/Q 믹서(305)에 의해 위성 IF 신호 또는 RF 신호와 혼합되어 I상과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I상과 Q상의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는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에 입력된다. 가변 LPF(307)는,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여 기저 대역 증폭기(309)에 출력한다. 또한, 가변 LPF(308)는,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여 기저 대역 증폭기(310)에 출력한다.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는 프로그래머블 가변 LPF로서 구성된다. 즉, 그 차단 주파수는 도시하지 않은 레지스터에 설정값으로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설정 범위를 3MHz 내지 20MHz로 하고 있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점유 대역 폭이 6MHz 내지 8MHz인 지상 디지털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방송파도, 점유 대역 폭이 20MHz 내지 40MHz인 위성 방송의 방송파도 모두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를 통과시킴으로써 얻어지게 된다.
가변 LPF(307)를 통과한 I상의 기저 대역 신호는, 기저 대역 증폭기(309)에 의해 그 게인이 조정된 후에, 신호선 Lo2를 통하여 복조기(40)에 입력된다. 또한, 가변 LPF(308)를 통과한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는, 기저 대역 증폭기(310)에 의해 그 게인이 조정된 후에, 신호선 Lo1을 통하여 복조기(40)에 입력된다. 기저 대역 증폭기(309)와 기저 대역 증폭기(310)의 게인은, 신호선 La를 통하여 복조기(40)로부터 입력되는 AGC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도 6은 I/Q 믹서(304와 305)에 의한 기저 대역 신호의 추출(기저 대역 변환)과,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에 의한 대역 제한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횡축은 주파수(MHz)를 나타내고, 종축은 신호 레벨을 나타낸다. 도 6에는 UHF 안테나(20)가 수신한 RF 신호 중 수신 주파수로서 설정된 557MHz의 신호를 검파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PLL부(320)(도 1 참조)에서는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즉 557MHz의 로컬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I/Q 믹서(304)와 I/Q 믹서(305)에 의해, 이 로컬 신호와, AGC 증폭기(302)(도 1 참조)로 증폭된 RF 신호가 승산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 fc가 로컬 신호의 주파수(로컬 주파수)와 동일한 557MHz이고, 대역 폭 Bw1이 6MHz인 신호가 추출되어 기저 대역이 변환된다. 즉, UHF 안테나(20)로 수신되어 AGC 증폭기(302)로 증폭된 RF 신호가, 중심 주파수 fc가 0MHz인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추출된 기저 대역 신호가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를 통과함으로써, 그 대역 폭 Bw2가 1/2로 대역 제한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서는,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고 있다.
다시, 도 4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복조기(40)는, 입력된 I상/Q상의 각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으로 복조하여 TS(Transport Stream) 신호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조기(40)를 지상 디지털 방송, 케이블 TV 방송, 위성 방송의 각각의 방송 규격에 대응한 복조 방식으로 복조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 형식인 ISDB-T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과, 케이블 TV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과, 위성 방송의 방송 형식인 ISDB-S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대응한 복조 방식으로 신호의 복조를 행한다. 복조기(40)로 복조된 TS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로 복호되어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추출된다.
또한, 수신 장치(1)는, 선국부(50)와, 기억부(60)와, 제어부로서의 호스트 CPU(70)를 구비한다. 선국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며,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정보를 선국 데이터로서 호스트 CPU(Central Processing Unit)(70)에 송신한다. 기억부(60)는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선국 데이터와 그것에 대응하는 설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선국 데이터의 생성은,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구성된 선국부(50)를 통하여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프로그램표(EPG)를 통하여 특정한 프로그램이 선택된 경우나, 녹화 예약으로서 특정한 프로그램이 선택된 경우에도 선국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으로 한다.
호스트 CPU(70)는 수신 장치(1)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특히, 선국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채널의 방송 수신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를 기억부(60)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1)의 각각의 부를 설정한다.
도 7에 호스트 CPU(70)에 의한 제어의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다. 호스트 CPU(70)는, 우선, 선국부(50)로부터 송신된 선국 데이터, 또는 EPG나 녹화 예약을 통하여 행해진 선국에 기초하여 생성된 선국 데이터를 읽어들인다(스텝 S1). 그리고, 선국된 채널이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인 경우에는, 수신 장치(1)의 각각의 부에 대하여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의 설정을 행하고(스텝 S3), 스텝 S1로 복귀한다. 스텝 S2에서, 선국된 채널이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어서, 선국된 채널이 케이블 TV 방송의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 케이블 TV 방송의 채널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 장치(1)의 각각의 부에 대하여 케이블 TV 방송 수신용의 설정을 행하고(스텝 S5), 스텝 S1로 복귀한다.
스텝 S4에서, 선국된 채널이 케이블 TV 방송의 채널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어서, 선국된 채널이 위성 방송의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위성 방송의 채널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 장치(1)의 각각의 부에 대하여 위성 방송 수신용의 설정을 행하고(스텝 S7), 스텝 S1로 복귀한다. 또한, 선국된 채널이 상술한 어느 방송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텝 S1로 복귀한다.
도 8은 호스트 CPU(70)가 행하는 설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정 항목으로서는 「스위치의 접속처」, 「VCO의 출력 주파수」, 「분주기의 분주비」, 「가변 LPF의 차단 주파수」, 「복조기의 방송 규격(복조 방식)」이 있다. 우선은,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선국된 경우에 호스트 CPU(70)가 행하는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선국된 경우에는, 스위치(303)(도 4 참조)의 접속처는 AGC 증폭기(302)측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303)를 통하여 UHF 안테나(20)가 수신하여 AGC 증폭기(302)로 증폭된 RF 신호가 I/Q 믹서(304) 및 I/Q 믹서(305)에 입력되게 된다.
PLL부(320)의 VCO(325)의 출력 주파수는 2200MHz 내지 4400MHz의 범위 내의 적절한 주파수로 설정된다. 즉, 선국된 채널에 의해 정해지는 수신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가 2200MHz 내지 4400MHz의 범위 중에서 출력 주파수로서 발진된다. 분주기(322)의 분주비는 4 내지 64의 사이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VCO(325)의 출력 주파수와 분주기(322)의 분주비가 이렇게 설정됨으로써, PLL부(320)로부터 44MHz 내지 870MHz의 로컬 주파수가 발진되게 된다. 즉,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발진되게 된다.
또한,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의 차단 주파수는 3MHz 내지 4MHz의 사이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에 의해, 지상 디지털 방송의 1 채널분의 대역 폭인 6MHz 내지 8MHz의 주파수만이 통과된다. 복조기의 대응 방송 방식은 ISDB-T 방식으로 전환되고, 복조 방식으로서는 OFDM 방식이나 8VSB 방식이 설정된다.
케이블 방송의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도,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이 선택된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의 설정이 행해진다. 상이한 것은 복조기(40)에서의 복조 방식이다. 케이블 방송 수신시에는, 케이블 TV 방송 전송용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 방식, 즉 64QAM, 128QAM, 256QAM 등의 복조 방식이 선택된다.
위성 방송의 채널이 선국된 경우에는, 스위치(303)(도 4 참조)의 접속처는 호스트 CPU(70)에 의해 AGC 증폭기(301)측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303)를 통하여 파라볼라 안테나(10)가 수신하여 AGC 증폭기(301)로 증폭된 위성 IF 신호가 I/Q 믹서(304) 및 I/Q 믹서(305)에 입력되게 된다.
PLL부(320)의 VCO(325)의 출력 주파수는 2200MHz 내지 4400MHz의 범위 내의 적절한 주파수로 설정된다. 즉, 선국된 채널에 의해 정해지는 수신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가 2200MHz 내지 4400MHz의 범위 중에서 출력 주파수로서 발진된다. 분주기(322)의 분주비는 2 내지 4의 사이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VCO(325)의 출력 주파수와 분주기(322)의 분주비가 이렇게 설정됨으로써, PLL부(320)로부터 950MHz 내지 2150MHz의 로컬 주파수가 발진된다. 즉, 위성 방송의 방송파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가 발진되게 된다.
또한,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의 차단 주파수는 10MHz 내지 20MHz의 사이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가변 LPF(307) 및 가변 LPF(308)에 의해, 위성 방송의 1 채널분의 대역 폭인 20MHz 내지 40MHz의 주파수만이 통과된다. 복조기의 대응 방송 방식은 ISDB-S 방식으로 전환되고, 복조 방식으로서는 QPSK 방식이나 8PSK 방식이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 따르면, 고주파 처리부(30)(도 4 참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의 설정 및 복조기(40)의 설정이, 호스트 CPU(70)의 제어에 의해 선국 데이터에 따른 것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하나의 고주파 처리부(30)와 복조기(40)에 의해, 지상 디지털 방송과 위성 방송 등의 방송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처리부(30)와 복조기(40)를 구성하는 회로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기 때문에, 회로의 실장 면적도 작아진다. 따라서, 수신 장치(1)의 소형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 따르면,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나 케이블 TV 방송의 방송파도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해 복조된다. 즉,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서의 검파시와 같이 수신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로 구성의 간소화 및 회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서는 PLL부(320)를 프랙셔널 N형 PLL 회로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PLL부(320)(분주기(322))의 최소 스텝 주파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미세한 스텝 폭으로 로컬 신호의 주파수를 전환할 수 있게 되므로, 지상 디지털 방송의 수신이나 케이블 TV 방송의 수신시에 요구되는 125kHz 내지 166.7kHz라고 하는 미세한 최소 스텝 주파수도 설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PLL부(320)를 프랙셔널 N형 PLL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N+K/F)의 분주수를 설정 가능하게 되므로, 비교 주파수를 통상의 PLL의 F배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5로 한 경우에는 비교 주파수를 5배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비교 주파수를 높게 함으로써, VCO(325)의 중심 주파수 근방의, 예를 들어 1kHz 오프셋 포인트에서의 루프 게인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루프 대역 내의 위상 잡음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TV 방송용 수신 장치에 요구되는 1kHz 이하의 위상 잡음의 성능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서는, I/Q 믹서(304 및 305)에서 생성된 I상 또는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에 대역 제한을 거는 LPF를 가변 LPF로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동일한 채널의 방송파가, 설치 지역이 상이한 전파탑으로부터 상이한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복수 전송되는 지역에 있어서도, 원하는 채널의 방송파를 틀림없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디지털 방송의 수신용에 사용되고 있는 MPEG 디코더는, TS 신호의 처리 계통이 2가지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금후에는 4 계통, 혹은 8 계통으로 늘어 갈 것이 예상된다. 디지털 방송의 변복조에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변복조 기술은, 데이터 상호간의 간섭에 강하다고 하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처리 계통의 증가에도 이론상 대응 가능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에서는, TS 신호의 처리 계통의 수와 동일한 수만큼 고주파 처리부(30)(튜너부)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진다. 따라서, 실제의 회로 설계에 있어서, 회로의 배치 공간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종류의 방송파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안테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고주파 처리부(튜너부) 내에서 적정한 배분으로 분배하는 것도 중요하게 된다. 그리고, 적정한 배분에서의 분배의 실현에는, 상이한 방송파를 다루는 고주파 처리부끼리를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하는 것이나, 각각의 고주파 처리부의 배치를 안테나에 의해 얻어진 위성 IF 신호 또는 RF 신호가 입력되는 점을 중점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신 장치(1)에 따르면, 고주파 처리부의 수 자체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회로 구성도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코더에서의 TS 신호의 처리계 등의 증가에도 대응하기 쉬워진다.
<1-3. 각종 변형예>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복조기(40)가 ISDB-T나 ISDB-S 등의 상이한 방송 규격에서의 각종 복조 방식에 따른 복조를 행하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하는 방송파의 종류에 따라 복조기를 복수대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9는 위성 방송의 방송파를 복조하는 ISDB-S 복조기(40s)(제1 복조기)와,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복조하는 ISDB-T 복조기(40t)(제2 복조기)를 개별적으로 설치한 경우의 수신 장치(1α)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4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수신 장치(1α)에서는 ISDB-S 복조기(40s)와 ISDB-T 복조기(40t)는 각각 입력 단자를 2개 갖고 있다. 또한, 기저 대역 증폭기(309) 및 기저 대역 증폭기(310)의 출력처를 전환하는 스위치(311) 및 스위치(3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AGC 제어 신호의 출력처를 전환하는 스위치(313)도 설치되어 있다. 호스트 CPU(70)에 의한 제어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의 제어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위성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CPU(70)의 제어에 기초하여, 스위치(311) 및 스위치(312)의 접속처가 ISDB-S 복조기(40s)측으로 전환된다. 즉, ISDB-S 복조기(40s)와 접속된 신호선 Lo1 및 신호선 Lo2측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위성 IF 신호로부터 추출된 I상 및 Q상의 기저 대역 신호가 ISDB-S 복조기(40s)에 입력되어 복조된다. 또한, 스위치(313)의 접속처도 ISDB-S 복조기(40s)측으로 전환된다. 즉, ISDB-S 복조기(40s)와 접속된 제어 라인 La1측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ISDB-S 복조기(40s)에서 생성된 위성 방송 수신용 AGC 제어 신호가, 제어 라인 La1을 통하여, AGC 증폭기(301) 및 AGC 증폭기(302)와, 기저 대역 증폭기(309) 및 기저 대역 증폭기(310)에 입력된다.
지상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CPU(70)의 제어에 기초하여, 스위치(311) 및 스위치(312)의 접속처가 ISDB-T 복조기(40t)측으로 전환된다. 즉, ISDB-T 복조기(40t)와 접속된 신호선 Lo3 및 신호선 Lo4측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RF 신호로부터 추출된 I상 및 Q상의 기저 대역 신호가 ISDB-T 복조기(40t)에 입력되어 복조된다. 또한, 스위치(313)의 접속처도 ISDB-T 복조기(40t)측으로 전환된다. 즉, ISDB-T 복조기(40t)와 접속된 제어 라인 La2측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ISDB-T 복조기(40t)에서 생성된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 AGC 제어 신호가, 제어 라인 La2를 통하여, AGC 증폭기(301) 및 AGC 증폭기(302)와, 기저 대역 증폭기(309) 및 기저 대역 증폭기(310)에 입력된다.
이렇게 구성하여도,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ISDB-S 복조기나 ISDB-T 복조기를 그대로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으로도 연결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위성 방송과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성 방송과 케이블 TV 방송이나, 위성 및 위성, 지상파 및 지상파 등 여러가지 조합으로 방송파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복수의 고주파 처리부(튜너부)를 구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방송을 실제로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고주파 처리부의 일부는 통전시켜 두어 언제라도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파의 종류나 조합의 종류에 비례시켜 고주파 처리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로 소비되는 대기시 소비 전력도 커져 버린다. 그러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1α)를 구성함으로써, 1대의 고주파 처리부(30α)에서 복수 종류의 방송파를 여러가지 조합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즉, 대기시 소비 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예]
<2-1. 수신 장치의 구성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β)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10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도 1, 도 2, 도 4, 도 9와 대응하는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β)는,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해 위성 IF 신호를 검파하는 고주파 처리부(30s)와,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 의해 지상파 RF 신호를 검파하는 고주파 처리부(30t)를 구비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시에는, 그 중 어느 하나가 제1 전환부로서의 전환부(200)에 의해 택일적으로 선택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환부(200)는 스위치(201)와 스위치(202)를 포함한다. 스위치(201)는, 위성 방송 수신측의 고주파 처리부(30s)의 AGC 증폭기(301)와, 후단의 제1 믹서(304) 및 제2 믹서(305)와의 접속을 온 또는 오프한다. 스위치(202)는,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측의 고주파 처리부(30t)의 AGC 증폭기(601)와 후단의 믹서(602)의 접속을 온 또는 오프한다.
전환부(200)에 의한 스위치(201과 202)의 전환 동작은, 제어부로서의 호스트 CPU(70)(도 4, 도 9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호스트 CPU(70)는, 선국부(50)로부터 새로운 선국 데이터가 공급된 타이밍 등에서 전환부(200)에 대하여 전환 동작을 지시한다. 또한, 호스트 CPU(70)는, 방송파가 수신되지 않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30)를 전원 오프 모드로 하는 제어도 행한다.
전원 오프 모드란, 고주파 처리부(30)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 중, 후단에 접속되는 A/D(Analog/Digital) 컨버터(도시 생략)에 대하여 신호의 출력을 행하는 블록(출력 증폭기)에 대해서는 전류의 공급을 행하고, 그 이외의 블록으로의 전류의 공급은 정지하는 모드이다. 후단의 ADC에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으로서는, 도 10에 있어서는, 고주파 처리부(30s) 내의 기저 대역 증폭기(309 및 310)와, 고주파 처리부(30t) 내의 IF 증폭기(605)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처리부(30s)의 기저 대역 증폭기(309와 310), 고주파 처리부(30t)의 IF 증폭기(605)에 대하여, 항상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 두고,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 그 바이어스 전압이 DC 전압으로서 나오도록 해 둔다. 이 바이어스 전압을, 이들 출력 증폭기의 출력 전압이 중점 전위가 되는 값으로 설정해 둠으로써, 후단에 A/D 컨버터가 직류적으로 직접 접속되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도 A/D 컨버터의 입력 단자가 부정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수신 장치(1β)에서는 국부 발진기로서의 PLL부(320)를 고주파 처리부(30s)와 고주파 처리부(30t)에서 공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PLL부(320)는, 제1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프랙셔널 N형 PLL 회로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LL부(320)의 분주기(322)로부터 출력되는 국부 발진 신호를 버퍼하는 출력 버퍼 증폭기를 그 출력처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국부 발진 신호의 출력처는, 고주파 처리부(30s)의 믹서(304 및 305)와, 고주파 처리부(30t)의 믹서(602)의 2가지이다. 이로 인해, 고주파 처리부(30s)의 믹서(304 및 305)에 입력되는 국부 발진 신호를 버퍼하는 출력 버퍼 증폭기(701)와, 고주파 처리부(30t)의 믹서(602)에 입력되는 신호를 버퍼하는 출력 버퍼 증폭기(70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분주기(322)와 믹서(304 및 305)의 접속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801)와, 분주기(322)와 믹서(602)의 접속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802)도 갖는다.
스위치(801 및 802)로 이루어지는 전환부(제2 전환부)(800)의 접속처는, 호스트 CPU(70)(도 4 등 참조)에 의해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호스트 CPU(70)는 전원 오프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측, 즉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30)의 믹서에 접속되는 스위치를 온으로 하고, 전원 오프 모드가 설정된 측의 고주파 처리부(30)의 믹서에 접속되는 스위치는 오프로 한다. 예를 들어, 위성 방송의 수신을 행할 때에는, 고주파 처리부(30s)의 믹서(304와 405)에 접속되는 스위치(801)를 온으로 하고, 고주파 처리부(30t)의 믹서(602)에 접속되는 스위치(802)는 오프로 한다.
또한, 호스트 CPU(70)는, 스위치가 온되어 믹서와 접속된 측의 출력 버퍼 증폭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1.5V 등의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오프된 측의 출력 버퍼 증폭기에 있어서는, 그 임피던스를 소정의 높은 값으로 하는 제어도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분주기(322)로부터 버퍼측을 본 경우의 종합적인 부하는 항상 1.5V가 된다. 따라서, 전원 오프 모드로 되어, 어느 한쪽의 고주파 처리부(30)가 국부 발진 신호의 출력처의 믹서의 전원이 꺼지게 된 경우에도, 분주기(322)와 믹서의 사이에서의 임피던스 부정합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2-2.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의 예>
이어서,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수신 장치(1β)의 수신 처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호스트 CPU(70)가 선국 데이터를 읽어들이고(스텝 S11), 선국된 채널이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 지상 디지털 방송의 채널인 경우에는, 제1 입력 전환부로서의 전환부(200)의 접속처를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측의 고주파 처리부(30t)로 전환한다(스텝 S13). 그리고, 위성 방송 수신측의 고주파 처리부(30s)를 전원 오프 모드의 설정으로 하고(스텝 S14),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PLL부(320)의 VCO 출력 주파수와 분주기(322)의 분주비를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하고(스텝 S15), 방송 신호, 여기에서는 지상파 RF 신호를 검파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6).
스텝 S12에서, 선국된 채널이 위성 방송의 채널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호스트 CPU(70)에 의해, 전환부(200)의 접속처를 위성 방송 수신측의 고주파 처리부(30s)로 전환할 수 있다(스텝 S17). 그리고,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측의 고주파 처리부(30t)를 전원 오프 모드의 설정으로 하는 제어가 행해진다(스텝 S18). 계속해서, PLL부(320)의 VCO 출력 주파수와 분주기(322)의 분주비를 위성 방송 수신용에 적합한 값으로 설정하고(스텝 S19), 방송 신호, 여기에서는 위성 IF 신호를 검파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6). 여기까지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는 스텝 S11로 복귀하여 처리가 계속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상파 디지털 방송부터 위성 방송까지의 넓은 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프랙셔널 N형으로서 구성한 하나의 국부 발진기만을 사용하여 검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IC에서의 고주파 처리부(30)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30)는 전원 오프 모드로 되어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억제되게 된다. 이때, 출력 증폭기로서의 기저 대역 증폭기(309 및 310)와, IF 증폭기(605)에 대해서는 전류가 공급되어, 출력 전압이 소정의 DC 전압(중점 전위)이 되는 제어가 되기 때문에, 후단의 A/D 컨버터의 입력 단자가 부정 상태로 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주기(322)의 출력이 그 출력처에 대응하여 분배되고, 그 접속처가, 제2 전환부로서의 전환부(800)에 의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30)로 전환된다. 이때, 스위치가 접속된 측의 출력 버퍼 증폭기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스위치가 오프가 된 측의 출력 버퍼 증폭기는 하이 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국부 발진 신호의 출력처가 전환된 경우에도 출력처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정합이 취해지기 때문에, 국부 발진 신호가 믹서에 정확하게 전송되게 된다.
즉, 방송 신호의 수신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또한 국부 발진기의 수를 1개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규모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 고주파 처리부(30t)와, 위성 방송 수신용 고주파 처리부(30s)를 전환하여 방송 신호의 검파를 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용의,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는 기존의 고주파 처리부(30t)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구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구성에, 위성 방송 수신용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는 고주파 처리부(30s)를 추가하는 등의 처리를 비교적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고주파 처리부(30s)와 고주파 처리부(30t)의 세트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방송이라고 하는 조합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조합으로 방송파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위성 방송 및 위성 방송, 지상파 디지털 방송 및 지상파 디지털 방송 등의 조합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시청 또는 녹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주파수 대역 또는 방송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고주파 처리부(30)가 하나의 국부 발진기(PLL부(320))를 공유하는 예를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고주파 처리부(30)에 대응시켜 국부 발진기를 복수 형성하여도 되며, 이 경우에는 방송 신호를 수신 중인 고주파 처리부에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하는 국부 발진기 이외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 장치(1)에서의 소비 전력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국부 발진기로 수신 주파수의 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신 주파수의 대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밴드에 대응하여 국부 발진기를 복수 설치하는 구성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를 구비한 수신 장치.
(2)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는 프랙셔널 N형 PLL 회로로 구성되는,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를 전환하는 제1 전환부와,
상기 제1 전환부의 접속처를, 방송파를 수신하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는,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 중, 상기 제1 전환부에 의해 선택된 쪽의 고주파 처리부에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환부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쪽의 고주파 처리부를 전원 오프 모드로 하는,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국부 발진기에서 생성된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1 출력 증폭기와,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2 출력 증폭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는,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 중, 상기 전원 오프 모드로 설정된 쪽의 고주파 처리부에서의 각각의 처리부 중의,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또는 상기 제2 출력 증폭기 이외의 처리부에 대해서는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4)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증폭기와 상기 제2 출력 증폭기에 일정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는, 상기 제1 출력 증폭기와 상기 제2 출력 증폭기 중, 상기 전원 오프 모드로 설정된 쪽의 출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으로서, 상기 출력 증폭기로의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시키는, (4) 또는 (5)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분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1 출력 버퍼 증폭기와, 상기 분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2 출력 버퍼 증폭기와, 상기 제1 출력 버퍼 증폭기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증폭기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후단의 회로에 접속하는 제2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는, 상기 제2 전환부의 접속처를, 상기 방송파를 수신하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에 접속되는 출력 버퍼 증폭기측으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전원 오프 모드로 설정된 쪽의 고주파 처리부에 접속되는 측의 출력 버퍼 증폭기의 임피던스를 소정의 높은 값으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한쪽은 위성 방송의 주파수 대역인,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 및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 중 적어도 한쪽의 고주파 처리부는,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며,
상기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는 고주파 처리부는, 제1 고주파 신호와 상기 제2 고주파 신호 중 어느 한쪽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상기 제1 고주파 신호와 상기 제2 고주파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각각의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된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또는 상기 제2 고주파 신호와, 상기 로컬 신호를 혼합하여 I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하는 제1 믹서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된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또는 상기 제2 고주파 신호와, 상기 로컬 신호의 위상을 90°시프트한 신호를 혼합하여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하는 제2 믹서와,
상기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는 제1 필터와,
상기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는 제2 필터와,
상기 제1 필터로 그 주파수가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된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필터로 그 주파수가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된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
유저에 의해 설정된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상기 국부 발진기 내의 분주기의 분주비와, 상기 제1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의 차단 주파수와, 상기 복조기의 복조 방식의 설정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상기 제1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는, 임의의 차단 주파수를 설정 가능한 가변 저역 통과 필터로서 구성되며, 상기 차단 주파수의 설정 하한값은, 상기 제1 방송파와 상기 제2 방송파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이 낮은 쪽의 방송파의 반송파의 점유 대역 폭의 넓이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차단 주파수의 설정 상한값은, 상기 제1 방송파와 상기 제2 방송파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이 낮은 쪽의 방송파의 반송파의 점유 대역 폭의 넓이에 따라 정해지는, (9)에 기재된 수신 장치.
(11) 상기 국부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와, 상기 분주기와, 위상 비교기와, 루프 필터와, 전압 제어 발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주기의 분주비의 설정 하한값은, 상기 제1 방송파와 상기 제2 방송파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이 높은 쪽의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상한의 주파수의 값에 따라 정해지는, (9) 또는 (10)에 기재된 수신 장치.
(12) 상기 국부 발진기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LC 공진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LC 공진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집적 회로에 내장되는, (11)에 기재된 수신 장치.
(13) 상기 복조기는, 제1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를 행하는 제1 복조기와, 제2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를 행하는 제2 복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출력처를 상기 제1 복조기측과 상기 제2 복조기측으로 전환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출력처를 상기 제1 복조기측과 상기 제2 복조기측으로 전환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설정된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의 접속처를 전환하는,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4) 제1 고주파 처리부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것과,
제2 고주파 처리부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가,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 5, 6: 수신 장치
10: 파라볼라 안테나
20: UHF 안테나
30: 고주파 처리부
40: 복조기
40s: ISDB-S 복조기
40t: ISDB-T 복조기
50: 선국부
60: 기억부
70: 호스트 CPU
100: 수신 장치
101: 파라볼라 안테나
102: UHF 안테나
110, 120: 튜너
130: 복조기
200: 제1 전환부
301, 302: AGC 증폭기
303: 스위치
304, 305: I/Q 믹서
306: 이상기
307, 308: 가변 LPF
309, 310: 기저 대역 증폭기
311 내지 313: 스위치
320: PLL부
321: 수정 발진기
322: 분주기
322n: N 카운터
322r: R 카운터
323: 위상 비교기
324: 루프 필터
325: VCO
500: 고주파 처리부
501: AGC 증폭기
502, 503: I/Q 믹서
504: 이상기
505, 506: 가변 LPF
507: 기저 대역 증폭기
510: PLL부
511: VCO
512: 분주기
520: ISDB-S 복조기
600: 고주파 처리부
601: AGC 증폭기
602: 믹서
603: 스위치
604: BPF
605: IF 증폭기
610: 국부 발진부
611 내지 613: VCO
620: ISDB-T 복조기
701, 702: 출력 버퍼 증폭기
800: 제2 전환부
801, 802: 스위치
901 내지 906: 분배기
3201, 3202, 3203: PLL부
B1 내지 B3: 검파 블록
Bw1, Bw2: 대역 폭
La1, La10, La2, La20: 제어 라인
Li1, Li10, Li2, Li20, Lo1, Lo2: 신호선

Claims (14)

  1. 수신 장치로서,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를 구비한,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는 프랙셔널 N형 PLL 회로로 구성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를 전환하는 제1 전환부와,
    상기 제1 전환부의 접속처를, 방송파를 수신하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는,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 중, 상기 제1 전환부에 의해 선택된 쪽의 고주파 처리부에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하는,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환부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쪽의 고주파 처리부를 전원 오프 모드로 하는, 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에서 생성된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1 출력 증폭기와,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2 출력 증폭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는,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 중, 상기 전원 오프 모드로 설정된 쪽의 고주파 처리부에서의 각각의 처리부 중의, 상기 제1 출력 증폭기 또는 상기 제2 출력 증폭기 이외의 처리부에 대해서는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증폭기와 상기 제2 출력 증폭기에 일정한 소정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는, 상기 제1 출력 증폭기와 상기 제2 출력 증폭기 중, 상기 전원 오프 모드로 설정된 쪽의 출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전압으로서, 상기 출력 증폭기로의 바이어스 전압을 출력시키는,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 내의 분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1 출력 버퍼 증폭기와, 상기 분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 출력하는 제2 출력 버퍼 증폭기와, 상기 제1 출력 버퍼 증폭기와 상기 제2 출력 버퍼 증폭기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후단의 회로에 접속하는 제2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모드 설정시에는, 상기 제2 전환부의 접속처를, 상기 방송파를 수신하는 측의 고주파 처리부에 접속되는 출력 버퍼 증폭기측으로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전원 오프 모드로 설정된 쪽의 고주파 처리부에 접속되는 측의 출력 버퍼 증폭기의 임피던스를 소정의 높은 값으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수신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한쪽은 위성 방송의 주파수 대역인, 수신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 및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 중 적어도 한쪽의 고주파 처리부는, 다이렉트 컨버전(direct conversion)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며,
    상기 다이렉트 컨버전 방식에 의한 검파를 행하는 고주파 처리부는, 상기 제1 고주파 신호와 상기 제2 고주파 신호 중 어느 한쪽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상기 제1 고주파 신호와 상기 제2 고주파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각각의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된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또는 상기 제2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를 혼합하여 I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하는 제1 믹서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된 상기 제1 고주파 신호 또는 상기 제2 고주파 신호와, 상기 로컬 신호의 위상을 90°시프트한 신호를 혼합하여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추출하는 제2 믹서와,
    상기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는 제1 필터와,
    상기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주파수를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하는 제2 필터와,
    상기 제1 필터로 그 주파수가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된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와, 상기 제2 필터로 그 주파수가 소정의 대역으로 제한된 Q상의 기저 대역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와,
    유저에 의해 설정된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국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상기 국부 발진기 내의 분주기의 분주비와, 상기 제1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의 차단 주파수와, 상기 복조기의 복조 방식의 설정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는, 임의의 차단 주파수를 설정 가능한 가변 저역 통과 필터로서 구성되며, 상기 차단 주파수의 설정 하한값은, 상기 제1 방송파와 상기 제2 방송파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이 낮은 쪽의 방송파의 반송파의 점유 대역 폭의 넓이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차단 주파수의 설정 상한값은, 상기 제1 방송파와 상기 제2 방송파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이 낮은 쪽의 방송파의 반송파의 점유 대역 폭의 넓이에 따라 정해지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와, 상기 분주기와, 위상 비교기와, 루프 필터와, 전압 제어 발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주기의 분주비의 설정 하한값은, 상기 제1 방송파와 상기 제2 방송파 중, 상기 주파수 대역이 높은 쪽의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상한의 주파수의 값에 따라 정해지는, 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LC 공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LC 공진 회로에 사용되는 코일은 집적 회로에 내장되는, 수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기는, 제1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를 행하는 제1 복조기와, 제2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에 따른 복조를 행하는 제2 복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I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출력처를 상기 제1 복조기측과 상기 제2 복조기측으로 전환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Q상의 기저 대역 신호의 출력처를 상기 제1 복조기측과 상기 제2 복조기측으로 전환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설정된 선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의 접속처를 전환하는, 수신 장치.
  14. 수신 방법으로서,
    제1 고주파 처리부가, 제1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1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1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것과,
    제2 고주파 처리부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제2 방송파를 검파하여 제2 고주파 신호를 추출하는 것과,
    적어도 하나의 국부 발진기가, 상기 제1 고주파 처리부와 상기 제2 고주파 처리부에서 사용하는 국부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KR1020137024090A 2011-03-31 2012-03-23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20140011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1017 2011-03-31
JPJP-P-2011-081017 2011-03-31
JPJP-P-2011-136397 2011-06-20
JP2011136397 2011-06-20
JPJP-P-2012-045657 2012-03-01
JP2012045657A JP5845974B2 (ja) 2011-03-31 2012-03-01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PCT/JP2012/057423 WO2012133133A1 (ja) 2011-03-31 2012-03-23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334A true KR20140011334A (ko) 2014-01-28

Family

ID=4693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090A KR20140011334A (ko) 2011-03-31 2012-03-23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37945B2 (ko)
EP (1) EP2693743A4 (ko)
JP (1) JP5845974B2 (ko)
KR (1) KR20140011334A (ko)
CN (1) CN103444168B (ko)
BR (1) BR112013024412A2 (ko)
RU (1) RU2013143167A (ko)
WO (1) WO2012133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4455B2 (ja) * 2013-03-18 2017-09-27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6146345B2 (ja) * 2014-03-04 2017-06-1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チューナーおよび回路
CN106416161B (zh) * 2014-06-13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0116289B2 (en) * 2014-12-09 2018-10-30 Mediatek Inc.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mitigating pulling effect and associated method
CN113785498A (zh) 2019-05-09 2021-12-10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半导体芯片和接收设备
CN114223138A (zh) 2019-08-19 2022-03-22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调谐器ic
TWI739595B (zh) * 2020-09-15 2021-09-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收發電路以及自校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8125A (ja) * 1987-12-23 1989-07-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H07221668A (ja) * 1994-02-04 1995-08-18 Casio Comput Co Ltd デジタル無線端末装置
JPH11220665A (ja) * 1998-01-30 1999-08-10 Sony Corp 通信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JP3610257B2 (ja) * 1999-04-02 2005-01-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チューナー
JP2001326864A (ja) * 2000-05-17 2001-11-22 Sony Corp チューナ装置
JP2002118795A (ja) * 2000-10-05 2002-04-19 Alps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チューナー
JP2002135668A (ja) * 2000-10-18 2002-05-10 Toshiba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GB0026213D0 (en) * 2000-10-25 2000-12-13 Mitel Semiconductor Ltd Modem tuner
JP2004023137A (ja) 2002-06-12 2004-01-22 Pioneer Electronic Corp 受信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通信システム
MXPA05005989A (es) * 2002-12-06 2005-08-18 Thomson Licensing Sa Reduccion de disipacion de energia del sintonizador en un modo de espera.
JP2005064764A (ja) * 2003-08-08 2005-03-10 Alps Electric Co Ltd ダイレクトコンバージョンチューナ
KR100546388B1 (ko) * 2003-10-17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중-대역 송수신기
JP2005136687A (ja) *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復調装置
JP2005295317A (ja) * 2004-04-01 2005-10-20 Sony Corp 受信回路および受信装置
EP2088681B1 (en) * 2004-10-12 2018-08-08 Maxlinear, Inc. A receiver architecture with digitally generated intermediate frequency
KR100737944B1 (ko) 2004-11-11 2007-07-13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직접 변환 수신기
JP4246224B2 (ja) * 2006-09-01 2009-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KR100856263B1 (ko) 2007-05-30 2008-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방송 수신장치
WO2009101811A1 (ja) 2008-02-14 2009-08-20 Panasonic Corporation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8345798B2 (en) * 2008-05-21 2013-01-01 Entropic Communications, Inc. Channel sta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WO2010121261A1 (en) 2009-04-17 2010-10-21 Maxlinear, Inc. Wideband tuner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3133A1 (ja) 2012-10-04
JP5845974B2 (ja) 2016-01-20
BR112013024412A2 (pt) 2016-12-20
EP2693743A4 (en) 2014-10-29
RU2013143167A (ru) 2015-03-27
CN103444168A (zh) 2013-12-11
US20140024326A1 (en) 2014-01-23
CN103444168B (zh) 2017-08-25
US9337945B2 (en) 2016-05-10
JP2013031149A (ja) 2013-02-07
EP2693743A1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5974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8732788B2 (en) Integrated set-top box
US8644427B2 (en) Radio frequency receiver with dual band reception and dual ADC
US7831198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8578434B2 (en) Integrated cable modem
CN105122825B (zh) 接收装置
US201000975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two modes of broadcasts using one tuner in set-top-box
US201200264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ble Multi-standard Receiver
US20010016480A1 (en) Reception IC and receiv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4449382B2 (ja) 受信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テレビジョン装置
CN101420215B (zh) 数字卫星广播接收调谐器及具有该调谐器的卫星广播接收机
US6788747B1 (e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alog broadcast and digital broadcast and IC for the same
US8634026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101616282B1 (ko) 하이브리드 tv 튜너
KR101331663B1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위성파 겸용 튜너
US20040037375A1 (en) Radio frequency tuner
JP3288251B2 (ja) Catv受信装置
US20100306814A1 (en) Integrated Set-Top Box with Daisy-Chaining
KR20090027358A (ko) 디지털 지상파 및 케이블 복합튜너
JP200213566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CN113785498A (zh) 半导体芯片和接收设备
JP3583760B2 (ja) Catv受信装置
JP2000224556A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イスモジュールおよび受信用チューナ
JP2009094622A (ja) チュ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