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018A -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018A
KR20140011018A KR20120060326A KR20120060326A KR20140011018A KR 20140011018 A KR20140011018 A KR 20140011018A KR 20120060326 A KR20120060326 A KR 20120060326A KR 20120060326 A KR20120060326 A KR 20120060326A KR 20140011018 A KR20140011018 A KR 2014001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industrial
plate member
scaffold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도
Original Assignee
김복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도 filed Critical 김복도
Priority to KR2012006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018A/ko
Publication of KR2014001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1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밑판부재와, 상기 밑판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양단돌출부재와, 상기 양단돌출부재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재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막음판부재와, 상기 밑판부재에 결합되며, 첨예한 끝단을 가지며, 중심부가 천공되어 두 개로 분할되는 분할선을 가지는 모재의 상기 분할선에 상기 첨예한 끝단이 위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재를 두 개로 분할하는 분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산업현장용 발판재를 이루는 부품의 직각도를 보장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보수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Manufacture device of industrial scaffold}
본 발명은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용 발판재를 이루는 부품의 직각도를 보장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를 시추하는 산업현장이나 철구조물로 여러 층을 가지는 현장에서는 인체를 지탱하고 인체의 왕래를 허용하기 위하여 발판재를 사용한다.
상기 발판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이 천공되어 분할선(2)을 가지는 모재(1)를 두 부분으로 양분하고, 이 양분된 모재(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모재(1)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재(1)가 양분되어 인발되는 공정에서 상기 모재(1)가 휘어져서 산업형장용 발판재로 사용할 수 없어 불량이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모재(1)가 휘어지는 불량품의 모습을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하였다.
즉, 상기 모재(1)는 도 3의 (a)처럼 양분되는 좌측 부분이 휘어지거나, 도 3의 (b)처럼 양분되는 우측이 휘어지거나, 도 3의 (c)처럼 양분되는 양측이 모두 휘어지는 형태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산업현장용 발판재를 이루는 부품의 직각도를 보장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는,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밑판부재와, 상기 밑판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양단돌출부재와, 상기 양단돌출부재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재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막음판부재와, 상기 밑판부재에 결합되며, 첨예한 끝단을 가지며, 중심부가 천공되어 두 개로 분할되는 분할선을 가지는 모재의 상기 분할선에 상기 첨예한 끝단이 위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재를 두 개로 분할하는 분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의 상기 분할부재는 이등변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의 상기 분할부재는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에 의하면, 산업현장용 발판재를 이루는 부품의 직각도를 보장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산업현장용 발판재의 모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산업현장용 발판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산업현장용 발판재의 모재가 휘어져서 불량이 발생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100)는 밑판부재(10)와, 양단돌출부재(20)와, 막음판부재(30)와, 분할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밑판부재(10)는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양단돌출부재(20)는 상기 밑판부재(10)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부재(30)는 상기 양단돌출부재(20)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재(10)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분할부재(50)는 상기 밑판부재(10)에 결합되며, 첨예한 끝단을 가지며, 중심부가 천공되어 두 개로 분할되는 분할선(2)을 가지는 모재(1)의 상기 분할선(2)에 상기 첨예한 끝단이 위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재(1)를 두 개로 분할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할부재(50)는 이등변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거나, 혹은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분할되는 모재(1)의 좌측이 휘어지는 불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기 분할부재(50)를 사용하되, 좌측으로 상기 분할부재(50)의 경사면이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재(1)가 상기 분할부재(50)의 경사면과 상기 양단돌출부재(20) 사이를 빠져나오면서 상기 양단돌출부재(20)와의 밀착으로 인하여 휘어짐이 개선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분할되는 모재(1)의 우측이 휘어지는 불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기 분할부재(50)를 사용하되, 우측으로 상기 분할부재(50)의 경사면이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재(1)가 상기 분할부재(50)의 경사면과 상기 양단돌출부재(20) 사이를 빠져나오면서 상기 양단돌출부재(20)와의 밀착으로 인하여 휘어짐이 개선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분할되는 모재(1)의 양측이 휘어지는 불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등변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기 분할부재(50)를 사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재(1)가 상기 분할부재(50)의 경사면과 상기 양단돌출부재(20) 사이를 빠져나오면서 상기 양단돌출부재(20)와의 밀착으로 인하여 휘어짐이 개선되는 것이다.
10. 밑판부재 20. 양단돌출부재
30. 막음판부재 50. 분할부재

Claims (3)

  1.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밑판부재(10);
    상기 밑판부재(10)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양단돌출부재(20);
    상기 양단돌출부재(20)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밑판부재(10)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막음판부재(30);
    상기 밑판부재(10)에 결합되며, 첨예한 끝단을 가지며, 중심부가 천공되어 두 개로 분할되는 분할선(2)을 가지는 모재(1)의 상기 분할선(2)에 상기 첨예한 끝단이 위치되어, 이동되는 상기 모재(1)를 두 개로 분할하는 분할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재(50)는 이등변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재(50)는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KR20120060326A 2012-06-05 2012-06-05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KR20140011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0326A KR20140011018A (ko) 2012-06-05 2012-06-05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0326A KR20140011018A (ko) 2012-06-05 2012-06-05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18A true KR20140011018A (ko) 2014-01-28

Family

ID=5014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0326A KR20140011018A (ko) 2012-06-05 2012-06-05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28B1 (ko) 2018-05-24 2019-07-17 (주)샘스트로닉 무침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28B1 (ko) 2018-05-24 2019-07-17 (주)샘스트로닉 무침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8002057A2 (pt) esteira de formação para não tecido formatado
CN103328832B (zh) 锁定装置以及用于将部件固定至管的方法
JP5667465B2 (ja) タイル表面の平面構成用補助具
US8763599B2 (en) Masonry block multi-split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11018A (ko) 산업현장용 발판재 제조장치
CN204038843U (zh) 一种翻身吊运架
TW201701342A (zh) 分斷裝置及分斷方法
CN204747773U (zh) 激光切割固定装置
JP2014055489A (ja) 枕木用固定具および安全帯支持装置
TWM519032U (zh) 鎖螺絲治具
AT517059A3 (de) Flächiger Leuchtmittelträger,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ine vorbestimmte Biegung aufweisenden flächigen Leuchtmittelträgers sowie Beleuchtungsvorrichtung
JP6724432B2 (ja) 切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イ切断方法
JP6735182B2 (ja) テーパー管の端部プレス曲げ装置
KR101774524B1 (ko)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JP6113462B2 (ja) ラウンド状のコーナーを形成する方法(methodformingaroundedcorner)
KR101426389B1 (ko)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KR101505452B1 (ko) 인쇄회로기판 절단 장치
CN206484160U (zh) 激光设备夹具
CN204819144U (zh) 工件砂光的放置架
CN104907708A (zh) 激光切割固定装置
CN205887779U (zh) 一种用来制作热交换器水室边板的成型模具
KR101497550B1 (ko) 구조물 인양용 러그
KR101344234B1 (ko) 팔레트를 해지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
CN104354145B (zh) 一种矩形平板铸件
CN104647247A (zh) 一种扳手型治具固定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