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515A -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 Google Patents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515A
KR20140009515A KR1020137030797A KR20137030797A KR20140009515A KR 20140009515 A KR20140009515 A KR 20140009515A KR 1020137030797 A KR1020137030797 A KR 1020137030797A KR 20137030797 A KR20137030797 A KR 20137030797A KR 20140009515 A KR20140009515 A KR 2014000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open access
range
handoff
smal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789B1 (ko
Inventor
피라폴 틴나코른스리수팝
메흐메트 야부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고,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본 특허 출원은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ASSISTED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라는 명칭으로 2011년 4월 20일자 제출된 가출원 제61/477,49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전화,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도시, 국가, 지방 그리고 심지어 전세계 레벨 상에서 서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통신 표준들에 채택되어 왔다. 다른 통신 표준의 일례는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다. LTE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반포된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에 대한 확장(enhancement)들의 한 세트이다. LTE는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고, 비용들을 낮추며,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며, 다운링크(DL: downlink) 상에서 OFDMA를, 업링크(UL: uplink) 상에서 SC-FDMA를, 그리고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개방형 표준들과 더욱 잘 통합함으로써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욱 잘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어 추가적인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현재 개발 중인 한 가지 방안은 커버리지 영역을 확대하거나 아니면 더 큰 매크로 셀들과 협력하기 위한 더 작은 셀들의 사용이다. 그러나 소규모 셀 전개와 관련된 개선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해당 기술분야에 남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에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예를 들어,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다른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예를 들어,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도움이 되도록 제시되며 실시예들의 한정이 아닌 단지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서만 제공된다.
도 1은 2-단말 시스템,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사용자 장비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매크로 셀들과 협력하여 소규모 셀들이 전개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예시적인 범위 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에 따라 범위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양상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관련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이 논의되는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안출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다른 더 관련된 세부사항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 및 설명될 수 있지만,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 일부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방법들은 동작들의 순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고 이해 및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방법이 대안으로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 관련 상태들이나 이벤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고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되는 모든 동작들이 필요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단일 반송파 FDMA(SC-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들"과 "시스템들"이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저속 칩(LCR: Low Chip Rate)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형(Evolved)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시-OFDM
Figure pct00001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release)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 및 표준들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2-단말 시스템,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시스템(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1에 예시된 예시적인 액세스 노드/UE 시스템(100)이 FDMA 환경, OFDMA 환경, CDMA 환경, WCDMA 환경, TDMA 환경, SDMA 환경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무선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액세스 노드/UE 시스템(100)은 액세스 노드(101)(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NodeB) 및 UE(201)(예를 들어, 핸드셋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레그에서, 액세스 노드(101)는 트래픽 데이터를 받아들여 포맷화하고, 코딩하고, 인터리빙 및 변조(또는 심벌 맵핑)하여 변조 심벌들(예를 들어, 데이터 심벌들)을 제공하는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 A(110)를 포함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A(110)는 심벌 변조기 A(120)와 통신한다. 심벌 변조기 A(120)는 데이터 심벌들 및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들을 받아들여 처리하고 심벌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벌 변조기 A(120)는 트래픽 데이터를 변조(또는 심벌 맵핑)하여 변조 심벌들(예를 들어, 데이터 심벌들)을 제공한다. 심벌 변조기 A(120)는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A(180)와 통신한다. 심벌 변조기 A(120)는 송신기 유닛(TMTR) A(130)와 통신한다. 심벌 변조기 A(120)는 데이터 심벌들과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들을 다중화하여 이들을 송신기 유닛 A(130)에 제공한다.
전송될 각각의 심벌은 데이터 심벌,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 또는 0의 신호 값일 수 있다.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들은 각각의 심벌 주기로 끊임없이 전송될 수 있다.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들은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코드 분할 다중화(CDM)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기 유닛 A(130)은 심벌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또는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무선 송신에 적합한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는 안테나(140)를 통해 전송된다.
다운링크 레그에서, UE(201)는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기 유닛(RCVR) B(220)에 입력하기 위한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수신기 유닛 B(220)는 아날로그 다운링크 신호를 조정,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 1 "조정된"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제 1 "조정된" 신호가 샘플링된다. 수신기 유닛 B(220)는 심벌 복조기 B(230)와 통신한다. 심벌 복조기 B(230)는 수신기 유닛 B(220)로부터 출력된 제 1 "조정된" 그리고 "샘플링된" 신호(예를 들어, 데이터 심벌들)를 복조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대안이 심벌 복조기 B(230)에 샘플링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심벌 복조기 B(230)는 프로세서 B(24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 B(240)는 심벌 복조기 B(230)로부터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들을 수신하여 다운링크 파일럿 심벌들에 대한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채널 추정은 현재 전파 환경을 특성화하는 프로세스를 수반한다. 심벌 복조기 B(230)는 프로세서 B(240)로부터 다운링크 레그에 대한 주파수 응답 추정치를 수신한다. 심벌 복조기 B(230)는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다운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을 획득한다. 다운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은 전송된 데이터 심벌들의 추정치들이다. 심벌 복조기 B(230)는 또한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 B(250)와 통신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B(250)는 심벌 복조기 B(230)로부터 다운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을 수신하고, 예를 들어 다운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을 복조(즉, 심벌 디맵핑), 디인터리빙 및/또는 디코딩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심벌 복조기 B(230)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 B(250)에 의한 처리는 각각 심벌 변조기 A(1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A(110)에 의한 처리와 상보적이다.
업링크 레그에서, UE(201)는 TX 데이터 프로세서 B(260)를 포함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B(260)는 트래픽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처리하여 데이터 심벌들을 출력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B(260)는 심벌 변조기 D(270)와 통신한다. 심벌 변조기 D(270)는 업링크 파일럿 심벌들과 함께 데이터 심벌들을 받아들여 다중화하고, 변조를 수행하여 심벌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심벌 변조기 D(270)는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B(240)와 통신한다. 심벌 변조기 D(270)는 송신기 유닛(TMTR) B(280)와 통신한다.
전송될 각각의 심벌은 데이터 심벌, 업링크 파일럿 심벌 또는 0의 신호 값일 수 있다. 업링크 파일럿 심벌들은 각각의 심벌 주기로 끊임없이 전송될 수 있다. 업링크 파일럿 심벌들은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코드 분할 다중화(CDM)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기 유닛 B(280)는 심벌들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또는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무선 송신에 적합한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210)를 통해 전송된다.
UE(201)로부터의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는 안테나(140)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 유닛(RCVR) A(150)에 의해 처리되어 샘플들을 획득한다. 수신기 유닛 A(150)는 아날로그 업링크 신호를 조정,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제 2 "조정된" 신호를 생성한다. 그 다음, 제 2 "조정된" 신호가 샘플링된다. 수신기 유닛 A(150)는 심벌 복조기 C(160)와 통신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대안이 심벌 복조기 C(160)에 샘플링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심벌 복조기 C(160)는 데이터 심벌들에 대한 데이터 복조를 수행하여 업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을 획득한 다음, 업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 및 업링크 파일럿 심벌들을 RX 데이터 프로세서 A(170)에 제공한다. 업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은 전송된 데이터 심벌들의 추정치들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A(170)는 업링크 경로에 대한 데이터 심벌 추정치들을 처리하여, UE(201)에 의해 전송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심벌 복조기 C(160)는 또한 프로세서 A(180)와 통신한다. 프로세서 A(180)는 업링크 레그 상에서 전송하고 있는 각각의 액티브 단말에 대한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다수의 단말들이 각자의 할당된 세트들의 파일럿 부대역들을 통해 업링크 레그 상에서 동시에 파일럿 심벌들을 전송할 수 있는데, 여기서 파일럿 부대역 세트들은 인터레이스될 수 있다.
프로세서 A(180)와 프로세서 B(240)는 각각 액세스 노드(101) 및 UE(201)에서의 동작을 지시(즉, 제어, 조정 또는 관리 등)한다. 프로세서 A(180)와 프로세서 B(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메모리 유닛들에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 A(180)와 프로세서 B(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각각 업링크 레그 및 다운링크 레그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추정치들을 유도하기 위한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노드/UE 시스템(100)은 FDMA, OFDMA, CDMA, TDMA, SDMA 등과 같은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다중 액세스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단말들이 업링크 레그를 통해 동시에 전송하여, 다수의 UE들에 대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파일럿 부대역들이 서로 다른 단말들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에 대한 파일럿 부대역들이 (대역 에지들을 가능한 한 제외한) 전체 동작 대역에 걸쳐 이어지는 경우들에 채널 추정 기술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파일럿 부대역 구조는 각각의 단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얻기에 바람직하다.
도 2는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29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참조 부호들(292A-292G)은 셀들을 의미하고, 참조 부호들(298A-298G)은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이나 NodeB들을 의미하고, 참조 부호들(296A-296J)은 (UE들이라고도 알려진) 액세스 사용자 디바이스들을 의미한다. 셀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시스템(290)에서의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들 및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290)은 다수의 셀들(292A-292G)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셀은 대응하는 기지국(298A-298G))에 의해 각각 서비스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296A-296J) 중 하나가 셀들(292A-292G) 중에서 자신이 이전에 서빙되고 있었던 셀과는 다른 셀로 이동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셀을 관리하는 새로운 기지국(즉, 기지국들(298A-298G) 중 해당하는 기지국)과 통신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서빙 셀의 변경은 "핸드오프"(또는 동등하게 "핸드오버")로 지칭된다. 현재 기지국으로부터 인근 기지국으로의 전환 전에 다수의 기지국들과 동시에 통신하면서 핸드오프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소프트 핸드오프"로 지칭된다. 소프트 핸드오프에서는,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종료되기 전에 인근 기지국과의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 "소프터 핸드오프"라 하는 수정된 버전의 소프트 핸드오프가 있는데, 여기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일한 기지국 내의 다수의 섹터들과 동시에 통신한다. 대안으로, 2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들 간에 서빙 셀의 변경이 있을 때 또는 기지국이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해 적절히 동기화되지 않을 때는 "하드 핸드오프"가 수행될 수 있다. 하드 핸드오프에서는, 인근 기지국과의 통신이 설정되기 전에 현재 기지국과의 통신이 종료된다.
위에 배경기술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커버리지 영역을 확장하거나 아니면 도 2에 예시된 것들과 같은 더 큰 매크로 셀들과 협력하도록 더 작은 셀들이 전개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혼합된 다수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대략 몇 킬로미터의 공칭 반경을 가진 셀일 수 있는 한편, 소규모 셀은 일반적으로 1킬로미터 미만의 공칭 반경을 가진 셀일 수 있다. 소규모 셀들(예를 들어, 펨토 셀들 또는 피코 셀들)은 흔히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매크로 셀 시그널링을 분담(offload)하기 위한 "핫스팟들"로서 전개된다. 핫스팟은 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공인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규모 셀들은 비교적 이동성이 낮은 유목(nomadic)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서빙에 잘 맞는다.
도 3은 매크로 셀들과 협력하여 소규모 셀들이 전개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네트워크(300)는 다수의 소규모 셀(예를 들어, 펨토 노드 또는 피코 노드) 기지국들(320)과 협력하여 전개되는 매크로 셀 기지국(310)을 포함한다.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들은 특정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pseudo-random noise sequence) 오프셋들(PN 오프셋들), 기본 스크램블링 코드(PSC: primary scrambling code)들 또는 물리적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fier)들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또는 일부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 사이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진 위치들(예를 들어, 제한적인 매크로 셀 커버리지가 있는 시골 지역들), 커버리지 개선(예를 들어, 매크로 셀 가장자리의 근교 지역들) 또는 용량 개선(예를 들어, 고밀도 도심 지역들 또는 핫스팟들)을 포함하여, 주어진 모바일 디바이스(33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혼합된 셀 네트워크(300)가 유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전개 시나리오들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셀 기지국(310)은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36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340)에 접속된다. 그러나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을 코어 네트워크(330)에 접속하기 위한 몇 가지 옵션들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은 게이트웨이(350) 및 공인 IP 백홀 링크(38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330)에 접속될 수 있다.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에 대해 소프트 핸드오프가 지원된다면 전용 백홀 링크가 필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면 공인 IP 백홀 링크로 충분할 수 있다. 다른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은 전용 기지국 제어기(BSC)(37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330)에 접속될 수 있다.
소규모 셀 기지국들에 대한 예시된 전개 모델은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 전개 모델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모델들은 옥외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공유 매크로 제어기와 옥내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전용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예시적인 모델들이 완전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시적인 모델들이 특정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 전개 모델에는 여러 가지 이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단지 상호 운용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판매자들의 공개 선정이 가능하고, 제한적인 매크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가진 외진 위치들에서 더 단순한 전개가 용이해지며, 더 단순한 의사 랜덤 잡음(PN) 코드 할당들과 이웃 리스트 구성, 더 많은 백홀 옵션들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매크로 셀 BSC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소규모 셀들에 대해서는, 소규모 셀들과 매크로 셀들 간에 소프트 핸드오프가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고, 소규모 셀들과 매크로 셀들 간 유휴 천이(idle transition)에 대해 등록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핸드오프는 하드 핸드오프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소규모 셀들과 매크로 셀들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프, 빠른 서빙 셀 전환 및 간섭 완화의 결여는 소규모 셀 성능의 최적화에 대한 난제들을 제시한다. 이는 커버리지 경계를 따라 가장자리 위치들에서 특히 사실인데, 여기서는 고속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셀 커버리지를 전환하려는 시도를 할 때 이들이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고, 계속 진행 중인 접속들이 끊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원하는 레벨의 커버리지를 달성하면서, 고속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높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끌어들이지 않도록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레버리징함으로써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들, 방법들 및 다른 기술들이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소규모 셀들의 개선된 사용에 대해 종래의 설계들에 비해 여러 가지 이점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개시를 통해 다른 이점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이점들이 독보적인 것은 아니다.
도 4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예시적인 범위 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규모 셀(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 중 하나)이 그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연관된 또는 잠재적으로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들(330))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고(블록(410)),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블록(420)).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조정될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은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 오프셋(PN 오프셋) 또는 기본 스크램블링 코드(PSC)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소규모 셀의 커버리지 반경을 제어하도록(예를 들어, 높은 이동성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끌어들이지 않으면서 대응하는 핫스팟 지역을 커버하도록),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FL: forward link) 또는 다운링크(DL) 송신 전력이 조정될 수 있다. 상당수의 높은 이동성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빈번한 핸드인(hand-in) 및 즉각적인 핸드아웃(hand-out) 상황들을 트리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수행되는 조정은 불필요한 핸드오프들을 피할 수 있고, 높은 이동성의 커버리지 영역을 배제함으로써 채널 엘리먼트 전력 소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핸드오프 프로시저들은 성공적인 핸드오프를 보장하기에 충분히 신속하게 수행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더욱이, 빈번한 핸드오프들은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더 많은 시그널링 로드를 발생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규모 셀은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예를 들어, 매크로 셀 BSC(370))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소규모 셀 기지국들(320) 중 하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신, 소규모 셀은 매크로 셀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와 백홀 링크(예를 들어, 게이트웨이(350)와 공인 IP 백홀 링크(380)) 아니면 전용 BSC(예를 들어, 전용 BSC(37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34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드오프 가능성은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으로부터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들의 예상 빈도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핸드오프들은 위에서 논의한 연관된 문제들로 이어진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러 가지 방식들로 핸드오프 가능성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소규모 셀 내에서 액티브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접속 시간 듀레이션,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UTRAN Iu 인터페이스에서의 UE 이력 정보 IE로부터의) 각각의 모바일이 이전 셀들에서 소비한 접속 시간 듀레이션들의 이력을 기초로 핸드오프 가능성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수십 초의) 짧은 듀레이션은 높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이 축소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대략 몇 분의) 큰 듀레이션은 낮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떤 경우들에는 커버리지 영역이 안전하게 확대될 수 있음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드오프 가능성은 핸드오프 성공/실패 통계치들을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약 1%보다 큰) 높은 실패율은 커버리지 영역이 축소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약 99.99%보다 큰) 높은 성공율은 커버리지 영역이 안전하게 확대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드오프 가능성은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을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높은 속도 추정치들은 높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이 축소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낮은 속도 추정치들은 낮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떤 경우들에는 커버리지 영역이 안전하게 확대될 수 있음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높은 속도가 되는 것은 쟁점이 되고 있는 특정 커버리지 영역의 크기뿐만 아니라 다른 인자들에도 의존할 수 있다고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1분의 목표 접속 듀레이션 및 약 100미터의 셀 지름에 대해, 약 100미터/분보다 큰 속도가 높은 속도로 여겨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위치 보고들,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속도 보고들,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에서의 도플러 추정치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동안의 왕복 지연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속도를 나타낼 때, 소규모 셀은 어떤 경우들에는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과 연관되지 않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강제로 핸드오프하게 할 수도 있다(도 4에서 선택적 블록(430)으로 예시됨).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핸드오프 가능성은 주어진 시간 기간 내 핸드인들의 횟수 또는 주어진 시간 기간 내 핸드아웃들의 횟수를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주어진 시간 기간 내 많은 수의 핸드인들 또는 핸드아웃들은 높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이 축소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적은 수의 핸드인들 또는 핸드아웃들은 낮은 핸드오프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떤 경우들에는 커버리지 영역이 안전하게 확대될 수 있음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많은 수의 핸드인들 또는 핸드아웃들이 되는 것은 쟁점이 되고 있는 특정 커버리지 영역의 크기뿐만 아니라 다른 인자들에도 의존할 수 있다고 또한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셀이 16명의 접속된 사용자들을 동시에 서빙할 수 있고 목표 접속 듀레이션이 적어도 1분으로 설정된다면, 핸드오프들의 횟수는 분당 16회 미만의 핸드오프들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조금이라도 더 크면 많은 수의 핸드인들/핸드아웃들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기술들에 추가로 또는 이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핸드오프 가능성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보조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모바일 보조 범위 조정은 여러 가지 옵션들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드오프 가능성은 유휴 상태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통계치들, 등록 이후 시기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페이징함으로써 획득된 통계치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주기적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보조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규모 셀은 등록 이후 어떤 시기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페이징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여전히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징은 소규모 셀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지 여부에 관한 결정을 하는데 사용되는 듀레이션 임계치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소규모 셀에 등록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서브세트로만 페이징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소규모 셀은 주기적 등록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기는 소규모 셀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듀레이션 임계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주어진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의 방법들 중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방법들이 협력하여 이용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할 때,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의 제어는 인근 매크로 셀의 측정된 수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유도된 구성 가능한 최대 목표 한도(Txmax) 및 구성 가능한 최소 목표 한도(Txmin)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 송신 전력은 매크로 셀 파일럿 세기를 기초로 결정된 특정 한도까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한도는 목표 최대 커버리지 영역 및 목표 최소 커버리지 영역(예를 들어, 약 80㏈ 내지 약 110㏈ 경로 손실)을 충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조정은 이벤트 기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를테면, 임계치를 가로지를 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증가/감소는 주어진 기간 내 모든 이벤트들의 집합적 통계치들을 기초로 한다. 어떤 경우들에, 증가된 송신 전력은 크기가 더 작고 더 드물 수 있으며, 감소된 송신 전력은 크기가 더 크고 더 즉각적일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4의 예시적인 흐름도들에 개시된 특정 단계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들의 순서가 교환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흐름도에 예시된 단계들이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른 단계들이 포함될 수 있거나 예시적인 흐름도의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계가 삭제될 수도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레버리징함으로써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은 통신 디바이스로서 또는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서나 유사한 디바이스로서 구성된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블록들(410-430)로 예시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에 따라 범위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된 액세스 노드(101)에서와 같이,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501)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502)과 통신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510), 심벌 변조기(520), 송신기 유닛(TMTR)(530), 안테나(들)(540), 수신기 유닛(RCVR)(550), 심벌 복조기(560), RX 데이터 프로세서(570) 및 구성 정보 프로세서(580)를 포함한다.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501)는 또한 (단수형으로 제어기/프로세서(582)로서 예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범용 제어기들 또는 프로세서들 및 관련 데이터 또는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584)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586)를 통해 함께, 이들 유닛들은 통신에 사용되는 적절한 무선 기술 또는 기술들에 따른 처리뿐만 아니라,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501)에 대한 다른 기능들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501)는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의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고,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501)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그에 따라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범위 조정 모듈(5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위 조정 모듈(590)은 예시된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기(592) 및/또는 모바일 보조 정보 데이터베이스(594)와 같은 다른 특별한 목적의 모듈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 및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어떤 설계들에서는, 범위 조정 모듈(590),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기(592) 또는 모바일 보조 정보 데이터베이스(594)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의 기능이 때로는 메모리(584)와 함께, 소규모 셀 기지국 장치(501)의 범용 제어기/프로세서(582)로 직접 통합되거나, 아니면 이러한 범용 제어기/프로세서(58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추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펌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에 관해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펌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른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구현의 경우, 처리 유닛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들,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들,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programmable logic device)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대해, 구현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어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흐름도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또는 알고리즘 단계들은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들로서 코딩되거나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과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고,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개시된 양상들의 상기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실시 또는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0)

  1.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으로서,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은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pseudo-random noise sequence) 오프셋(PN 오프셋), 기본 스크램블링 코드(PSC: primary scrambling code) 또는 물리적 셀 식별자(PCI: physical cell identifier)에 의해 식별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은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들의 예상 빈도에 해당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다음의 인자들:
    상기 소규모 셀 또는 다른 셀들에서 액티브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접속 시간 듀레이션 이력;
    핸드오프 성공/실패 통계치들;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에 대한 핸드인(hand-in)들의 횟수; 또는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 밖으로의 핸드아웃(hand-out)들의 횟수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인자를 기초로 결정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위치 보고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속도 보고들, 도플러 추정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동안의 왕복 지연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속도를 나타낼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강제로 핸드오프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보조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보조 정보는,
    유휴 상태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통계치들;
    등록 이후 시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페이징함으로써 획득된 통계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주기적 등록 정보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은 인근 매크로 셀의 측정된 수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유도된 최대 목표 한도 및 최소 목표 한도에 의해 제한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방법.
  11.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로서,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관련된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은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 오프셋(PN 오프셋), 기본 스크램블링 코드(PSC) 또는 물리적 셀 식별자(PCI)에 의해 식별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은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들의 예상 빈도에 해당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다음의 인자들:
    상기 소규모 셀 또는 다른 셀들에서 액티브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접속 시간 듀레이션 이력;
    핸드오프 성공/실패 통계치들;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에 대한 핸드인들의 횟수; 또는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 밖으로의 핸드아웃들의 횟수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인자를 기초로 결정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위치 보고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속도 보고들, 도플러 추정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동안의 왕복 지연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속도를 나타낼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강제로 핸드오프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보조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보조 정보는,
    유휴 상태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통계치들;
    등록 이후 시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페이징함으로써 획득된 통계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주기적 등록 정보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은 인근 매크로 셀의 측정된 수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유도된 최대 목표 한도 및 최소 목표 한도에 의해 제한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1.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로서,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은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 오프셋(PN 오프셋), 기본 스크램블링 코드(PSC) 또는 물리적 셀 식별자(PCI)에 의해 식별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은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들의 예상 빈도에 해당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다음의 인자들:
    상기 소규모 셀 또는 다른 셀들에서 액티브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접속 시간 듀레이션 이력;
    핸드오프 성공/실패 통계치들;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에 대한 핸드인들의 횟수; 또는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 밖으로의 핸드아웃들의 횟수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인자를 기초로 결정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위치 보고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속도 보고들, 도플러 추정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동안의 왕복 지연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속도를 나타낼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강제로 핸드오프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보조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보조 정보는,
    유휴 상태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통계치들;
    등록 이후 시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페이징함으로써 획득된 통계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주기적 등록 정보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은 인근 매크로 셀의 측정된 수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유도된 최대 목표 한도 및 최소 목표 한도에 의해 제한되는,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장치.
  3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 주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핸드오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을 기초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의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 커버리지 영역은 의사 랜덤 잡음 시퀀스 오프셋(PN 오프셋), 기본 스크램블링 코드(PSC) 또는 물리적 셀 식별자(PCI)에 의해 식별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은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펨토 셀 또는 피코 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매크로 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매크로 셀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들의 예상 빈도에 해당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다음의 인자들:
    상기 소규모 셀 또는 다른 셀들에서 액티브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접속 시간 듀레이션 이력;
    핸드오프 성공/실패 통계치들;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에 대한 핸드인들의 횟수; 또는
    주어진 시간 기간 내 상기 소규모 셀 밖으로의 핸드아웃들의 횟수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인자를 기초로 결정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위치 보고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주기적 속도 보고들, 도플러 추정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동안의 왕복 지연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속도 추정치들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높은 속도를 나타낼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강제로 핸드오프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가능성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모바일 보조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보조 정보는,
    유휴 상태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통계치들;
    등록 이후 시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페이징함으로써 획득된 통계치들;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주기적 등록 정보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셀의 송신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것은 인근 매크로 셀의 측정된 수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으로부터 유도된 최대 목표 한도 및 최소 목표 한도에 의해 제한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37030797A 2011-04-20 2012-04-20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KR101680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7498P 2011-04-20 2011-04-20
US61/477,498 2011-04-20
US13/451,427 2012-04-19
US13/451,427 US9913229B2 (en) 2011-04-20 2012-04-19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PCT/US2012/034572 WO2012145711A1 (en) 2011-04-20 2012-04-20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300A Division KR101831628B1 (ko) 2011-04-20 2012-04-20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515A true KR20140009515A (ko) 2014-01-22
KR101680789B1 KR101680789B1 (ko) 2016-12-12

Family

ID=460269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300A KR101831628B1 (ko) 2011-04-20 2012-04-20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KR1020137030797A KR101680789B1 (ko) 2011-04-20 2012-04-20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300A KR101831628B1 (ko) 2011-04-20 2012-04-20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13229B2 (ko)
EP (1) EP2700274A1 (ko)
JP (1) JP6030123B2 (ko)
KR (2) KR101831628B1 (ko)
CN (1) CN103503524B (ko)
TW (1) TWI501666B (ko)
WO (1) WO2012145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4370B2 (en) * 2007-05-03 2010-03-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daptive beamforming configu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access points serving as handoff indication mechanism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TWI468064B (zh) * 2011-08-18 2015-01-01 Nat Univ Tsing Hua 在毫微微蜂窩式網路中利用毫微微蜂窩式閘道器減少換手次數之方法
CN103327543B (zh) * 2012-03-19 2016-07-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异构型通信网络中用于发现小小区的方法和装置
US9775068B2 (en) * 2012-08-24 2017-09-26 Actix Gmbh Method for joint and coordinated load balancing and coverage and capacity optimiza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9084166B1 (en) 2012-08-27 2015-07-14 Sprint Spectrum L.P. Managing codec consistency across a communication session
US9319996B2 (en) 2013-03-15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wer regulation in small cells
US9215623B1 (en) * 2013-03-28 2015-12-15 Sprint Spectrum L.P. Coordination of codec consistency across wireless coverage areas
EP2982153A4 (en) * 2013-04-05 2016-11-02 Kyocera Corp DYNAMIC RADIATION AREA TRANSFER WITH COORDINATED TRANSFER
US9386563B1 (en) 2013-04-11 2016-07-05 Sprint Spectrum L.P. Coordination of codec consistency based on cross-carrier assignment
US9578561B2 (en) 2013-11-18 2017-02-21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andovers in a wireless network
US9451521B2 (en) 2013-11-18 2016-09-2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handovers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speed group assignments
US20150189574A1 (en) * 2013-12-26 2015-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dormant cell signaling for advanced cellular network
WO2015117153A1 (en) * 2014-02-03 2015-08-06 Qualcomm Incorporated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JP6517781B2 (ja) * 2014-03-20 2019-05-2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2015201802A (ja) * 2014-04-09 2015-11-1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基地局制御方法
US9906993B2 (en) * 2014-05-16 2018-02-27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related measurements and events for power adaptation
CN105722110A (zh) * 2014-12-05 2016-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覆盖距离的获取方法及装置
US9848338B2 (en) * 2015-08-05 2017-12-19 Viavi Solutions Uk Limited Small cell planning
CN105263146B (zh) * 2015-10-30 2019-03-1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确定过覆盖小区的方法及装置
BR112018014740A2 (pt) 2016-01-26 2019-02-12 Sony Corporation ?aparelho, e, método?
CN109982246B (zh) * 2017-12-27 2020-12-01 中国移动通信集团北京有限公司 一种蜂窝小区功率的调整方法、装置及介质
US11637613B1 (en) * 2019-05-21 2023-04-2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ceiver beam in a co-existence cognitive radi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558A1 (zh) * 2009-03-20 2010-09-23 阿尔卡特朗讯 非授权移动接入网络和蜂窝通信网络间的移交方法及装置
JP2010219970A (ja) * 2009-03-18 2010-09-30 Nec Corp 無線パラメ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553A (en) * 1998-01-20 2000-10-31 Lucent Technologies, Inc. Handov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fuzzy logic
US7054635B1 (en) 1998-11-09 2006-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the size of a cell due to speech quality
US20020193135A1 (en) 2000-10-31 2002-12-19 Takayuki Nakano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handover method
US7142861B2 (en) * 2003-12-12 2006-1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communications in a hierarchical cell structure
US7397779B2 (en) 2004-09-28 2008-07-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nimizing handoffs and handoff tim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9113464B2 (en) 2006-01-06 2015-08-18 Proxense, Llc Dynamic cell size variation via wireless link parameter adjustment
CN101227705B (zh) 2007-01-17 2012-09-05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终端至宏小区的方法及系统、终端、接入节点和网关
GB2446738C (en) 2007-02-02 2014-10-01 Ubiquisys Ltd Basestation measurement modes
US20100040016A1 (en) 2008-08-15 2010-02-18 Kar-Wing Edward Lor Wireless Network Handoff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Same
US20100105394A1 (en) 2008-10-29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 data communications for multi-mode devices
CN101827372A (zh) 2009-03-02 2010-09-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小区覆盖范围调整方法、装置和系统
EP2268082B1 (de) 2009-06-25 2012-08-08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Optimierung des Handover-Verhaltens in einem Mobilfunknetz
EP2296394B1 (en) 2009-09-10 2016-08-10 Alcatel Lucent Base st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ad balancing in a group of base stations
KR101666009B1 (ko) 2009-10-22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환경에서 피간섭 단말을 검출하고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US9137719B2 (en) 2009-10-27 2015-09-15 Clearwire Ip Holdings Llc Multi-frequency real-time data stream handoff
EP2387265A1 (en) 2010-05-10 2011-11-16 Alcatel Lucent Small cell base station operating state control
EP2589235B1 (en) 2010-06-30 2014-05-07 Fujitsu Limited Transition mechanism for energy efficient mobile overlay network
US20130242782A1 (en) * 2010-07-09 2013-09-19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in a Radio System
US20140148213A1 (en) 2011-04-20 2014-05-29 Qualcomm Incorporated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9970A (ja) * 2009-03-18 2010-09-30 Nec Corp 無線パラメ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制御システム
WO2010105558A1 (zh) * 2009-03-20 2010-09-23 阿尔卡特朗讯 非授权移动接入网络和蜂窝通信网络间的移交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m Yeoul Choi 외 2명. "Adaptive Coverage Adjustment for Femtocell Management in a Residential Scenario." Department of Mobile System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009.09.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333A (ko) 2015-05-13
JP6030123B2 (ja) 2016-11-24
TWI501666B (zh) 2015-09-21
WO2012145711A1 (en) 2012-10-26
US20130109387A1 (en) 2013-05-02
KR101680789B1 (ko) 2016-12-12
US9913229B2 (en) 2018-03-06
KR101831628B1 (ko) 2018-02-23
CN103503524A (zh) 2014-01-08
TW201249232A (en) 2012-12-01
EP2700274A1 (en) 2014-02-26
JP2014514864A (ja) 2014-06-19
CN103503524B (zh)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789B1 (ko) 개방형 액세스 소규모 셀들에 대한 범위 조정
US20200245318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14514864A5 (ko)
KR101236815B1 (ko) 펨토 셀들을 위한 저전력 모드들
CN110583044B (zh) 移动通信网络、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和方法
US20140148213A1 (en)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KR102396807B1 (ko) 비허가된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을 통한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JP2015513268A (ja) ネットワークトポロジーにおいて検出された変化に基づいてフェムトセル特性を適応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716129B1 (en) Carrier aggregation support for home base stations
KR2011011927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3527706A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ピア通信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JP6769811B2 (ja) 通信システム
JP2013530621A (ja) 信号伝送パターン
CN107005865B (zh) 由网络实体进行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JP6473163B2 (ja) 隣接セルに近い移動局を識別する方法
CN108809553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US20150296439A1 (en) Distributed neigboring cell assisted neighbour discovery
EP229204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ll-based highly detectable pilot multiplexing
WO2015117153A1 (en) Range tuning for open access small cells
JP6594017B2 (ja) 通信システム
TW202333536A (zh) 新無線電系統的干擾消除方案
Llibre Beltri Handover Algorithm for WiMAX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