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842A - 목재 연소용 난로 - Google Patents

목재 연소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842A
KR20140008842A KR1020120076158A KR20120076158A KR20140008842A KR 20140008842 A KR20140008842 A KR 20140008842A KR 1020120076158 A KR1020120076158 A KR 1020120076158A KR 20120076158 A KR20120076158 A KR 20120076158A KR 20140008842 A KR20140008842 A KR 2014000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bustion chamber
wood
wall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214B1 (ko
Inventor
김관수
Original Assignee
김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수 filed Critical 김관수
Priority to KR102012007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2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24B13/008Ash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8Arrangements combining combustion-air and flue-gas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로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 버려지는 방출열의 손실을 줄여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가 개시된다.
상기 목재 연소용 난로에 따르면, 내부에 연소공간을 구비하되, 전방에 목재가 공급되는 메인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출입구의 하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출입구를 형성하며, 후방 상단에 연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는 연소실과, 상기 메인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도어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연통을 포함하되, 상기 연통은, 측면과 밑면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일측이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밑면의 중심에는 이음구가 형성된 제1 연통부재와, 상기 제1 연통부재와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하여 상기 제1 연통부재의 이음구에 고정되는 제2 연통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연소용 난로{stove for wood}
본 발명은 목재 연소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로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 버려지는 방출열의 손실을 줄여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농가의 비닐 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와 공장, 공사장 등과 같은 옥외에서 난방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난방 기구의 하나로서, 최근 들어서는 유체 연료의 가격이 큰 폭으로 인상됨에 따라 이 유체 연료에 비하여 저가이고 비교적 강력한 화력을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농촌이나 산간마을 등지에서는 현재에도 그 대부분이 고체 연료용 난로를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 등의 난방을 해결하고 있고, 이밖에 골프장, 공장, 건설현장 등에서도 가스 난로나, 석유난로 대신에 점차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로서 난방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나무 장작이나, 숯 등과 같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는 그 구조상 연소 시 난로내부의 연통 하단에 있는 연료만 한꺼번에 빨리 집중 연소되고 나머지 연료는 불완전 연소가 되기 때문에 연료 사용량이 많아 난방을 위한 유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연소 시 연기 및 그을음이 많이 발생되어 연소 효율이 매우 떨어짐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시 주변의 심각한 대기 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환경친화적인 상태로 사용할 수가 없으며, 연통이 그을음으로 인해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인해 사용자가 관리 시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과 함께, 받침판 밑으로 쌓인 재를 빈번히 빼내는 등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난로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 버려지는 방출열의 손실을 줄여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에 따르면, 내부에 연소공간을 구비하되, 전방에 목재가 공급되는 메인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출입구의 하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출입구를 형성하며, 후방 상단에 연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는 연소실과, 상기 메인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도어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연통을 포함하되, 상기 연통은, 측면과 밑면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일측이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밑면의 중심에는 이음구가 형성된 제1 연통부재와, 상기 제1 연통부재와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하여 상기 제1 연통부재의 이음구에 고정되는 제2 연통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납되는 서랍이 연결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의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서랍의 상부를 차폐하는 아치형의 루프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2 연통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연통부재의 밑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의 내부로 수용되고, 하단에서 상부로 요입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메인도어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힌지 고정되며, 타측에 전방으로 절곡된 손잡이를 형성하되,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는 상기 손잡이가 걸쳐지도록 상부로 절곡된 후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연소실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의 파이프 형상을 취하며, 후방 상단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공간으로 작용하는 내벽부재와, 각각 평판 형태를 취하며, 상기 내벽부재의 개방된 전방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출입구 및 보조출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재와, 상기 내벽부재의 개방된 후방을 차폐하도록 상기 전면부재와 나란하게 고정되는 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수직하도록 상기 내벽부재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와 수직하도록 상기 내벽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된 상면부재 및 상기 상면부재와 나란하도록 상기 내벽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는 외벽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전,후면부재 또는 측면부재는 상기 내벽부재와 바닥면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부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중심부에 상부로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에 따르면, 연통으로 빠져나가는 연기 및 화염, 열기의 와류를 발생하여 기존에 손실되었던 열에너지의 일부를 연소실로 복귀시켜 난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받침판 아래로 적재된 재를 거의 매일 빈번히 빼내는 등 관리가 번거로웠으나, 연소실에서 재를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내면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난로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 버려지는 방출열의 손실을 줄여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원통형의 내벽과 상기 내벽의 외면에 판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3에 도시된 연소실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에 따르면, 내부에 연소공간(101)을 구비하되, 전방에 목재가 공급되는 메인출입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출입구(102)의 하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출입구(103)를 형성하며, 후방 상단에 연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104)를 형성하는 연소실(100)과, 상기 메인출입구(102)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도어(200)와, 상기 보조출입구(103)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도어(300)와, 상기 배출구(104)와 연결되는 연통(400)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실(100)은 내부에 외부와 차폐된 연소공간(101)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출입구(102)를 통해 목재 등의 연료가 연소실(100) 내부로 투입되면 연소공간(101)에서는 연소가 진행되고, 외부로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상기 연소실(100)에서 목재 등의 연소가 진행되면, 연기, 그을음 등은 상기 배출구(104)와 연통(4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메인출입구(102) 및 보조출입구(103)는 각각 메인도어(200)와 보조도어(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목재 등을 상기 연소실(100)에 공급하거나, 연소가 완료된 후 연소실(100) 내부에 남아있는 재를 꺼내기 위해서 메인도어(200)를 열어 메인출입구(102)를 개방하고, 연소가 진행될 경우에는 반대로 메인도어(200)를 닫아 메인출입구(102)를 차폐한다. 한편, 연소실(100) 내부에서 일어나는 연소의 진행 상태에 따라 연소량 조절을 위해 상기 보조도어(200)를 이용하여 보조출입구(103)의 개폐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소실(10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연통(400)은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배출구(104)와 연결되어 배출구(104)를 빠져 나온 연기 및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통(400)은, 원통형의 측면(411)과 상기 측면(411)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밑면(412)을 구비한 용기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밑면(412)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개방된 타측이 상기 배출구(104)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밑면(412)의 중심에는 이음구(413)가 형성된 제1 연통부재(410)와, 상기 제1 연통부재(410)와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410)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하여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이음구(413)에 고정되는 제2 연통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연통(400)이 다단형태의 제1 연통부재(410)와 제2 연통부재(420)로 형성될 경우, 상기 연소실(100)의 배출구(104)를 통해 연기, 화염, 열기 등이 제1 연통부재(410)로 빠져나가되, 그 중 일부는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밑면(412)에 의해 연소실(100) 내부로 복귀되고, 일부만 상기 제2 연통부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내부에서는 제2 연통부재(420)로 빠져나가려는 연기 및 화염과 연소실(100) 내부로 복귀하려는 연기, 열기 및 화염들 간의 충돌이 발생하면서 와류가 발생되고, 상기 제2 연통부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에 도시된 연소실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도어(300)의 후면에는 상기 연소실(100) 내부에 수납되는 서랍(310)이 연결되고, 상기 연소실(100) 내부의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서랍(310)의 상부를 차폐하는 아치형의 루프부재(105)가 형성된다.
상기 루프부재(105)는 나무, 재 등으로부터 상기 서랍(310)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루프부재(105)의 하부공간을 통해 보조출입구(103)로 유입된 공기가 연소실(100) 내부까지 전달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한다. 한편, 상기 서랍(310)의 전면에는 상기 서랍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손잡이(320)를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2 연통부재(420)의 하단부(421)는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밑면(412)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내부로 수용되고, 하단에서 상부로 요입된 복수의 요철부(4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연통부재(420)의 하단부(421)가 제1 연통부재(410)로 수용될 경우, 상기 배출구(104)를 통해 제1 연통부재(420)로 빠져나갔던 연기, 화염, 열기 등의 일부는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밑면(412)과 제2 연통부재(420)의 하단부(421)에 의해 연소실(100) 내부로 복귀되고, 제2 연통부재(420)의 하단부(421)를 통과한 일부만 상기 제2 연통부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통부재(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통부재(4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연통부재(420)의 하단에 요철부(422)를 형성하여 상기 제2 연통부재(420)로 빠져나가는 연기 및 열기가 상기 요철부(422)를 거치면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와류가 형성될 경우, 제1 연통부재(410)를 거쳐 제2 연통부재(420)로 빠져나가는 열에너지의 일부를 연소실(100)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어 그에 따라 발생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메인도어(200)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소실(100)의 전방에 힌지(201)를 통해 고정되며, 타측에 전방을 향해 ‘ㄱ’자로 절곡된 손잡이(202)를 형성하되, 상기 연소실(100)의 전방에는 상기 손잡이(202)가 걸쳐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ㄴ’자로 절곡된 후크(106)를 형성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후크(106)에 걸쳐진 상태의 손잡이(202)를 잡고 메인도어(200)를 상부로 회전하여 메인출입구(102)를 개방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잡이(202)를 후크(106)에 걸어 메인출입구(102)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도어(200)의 전면에는 상기 연소실(100) 내부의 연소공간(101)에서 진행되는 연소과정 및 목재의 잔량 등을 체크하는 투시창(20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연소실(100)은 내벽부재(110)와 외벽부재(1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내벽부재(110)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의 파이프 형상을 취하며, 후방 상단에 제1배출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공간(101)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내벽부재(1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연소공간(101) 내부의 화염, 열기가 원형의 측면을 따라 연소공간(101) 내부 전체에 골고루 순환되고 따라서,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파이프를 전달하여 곧바로 내벽부재(110)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벽부재(120)는 상기 내벽부재(110)의 외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평판 형태를 취하는 전,후면부재(121,122), 측면부재(122,124) 및 상,하면부재(125,126)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전면부재(121)는 상기 내벽부재(110)의 개방된 전방에 고정되고, 메인도어(200) 및 보조도어(300)가 장착되는 메인출입구(102)와 보조출입구(103) 및 후크(106)가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외벽부재(120)의 전면을 형성한다. 후면부재(122)는 상기 내벽부재(110)의 개방된 후방을 차폐하도록 상기 전면부재(121)와 나란하게 고정되며, 외벽부재(120)의 후면을 형성한다. 측면부재(123,124)는 상기 전면부재(121) 및 후면부재(122)와 수직하도록 상기 내벽부재(110)의 양측에 고정되며, 외벽부재(12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한다. 상면부재(125)는 상기 측면부재(123,124)와 수직하도록 상기 내벽부재(11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배출구(111)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127)가 형성되며, 외벽부재(120)의 상면을 형성한다. 하면부재(126)는 상기 상면부재(125)와 나란하도록 상기 내벽부재(110)의 하단에 고정되며, 외벽부재(120)의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내벽부재(110)의 제1 배출구(111)와 상면부재(125)의 제2 배출구(127)는 상호 연통되며, 상기 연소실(100)의 배출구(104)로 작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전,후면부재(121,122) 또는 측면부재(123,124)는 상기 내벽부재(110)와 바닥면(30)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부(121a,122a)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121a,122a)의 하단에는 중심부에 상부로 요입된 요입홈(121b,122b)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21a,122a)는 연소실(100)의 다리로 작용할 수 있다. 연장부(121a,122a) 및 요입홈(121b,122b)은 상기 전,후면부재(121,122)에 형성되거나 측면부재(123,124)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면부재(121,122)와 측면부재(123,124)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연소용 난로(10)에 따르면, 연통으로 빠져나가는 연기 및 화염, 열기의 와류를 발생하여 기존에 손실되었던 열에너지의 일부를 연소실(100)로 복귀시켜 난로(10)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받침판 아래로 적재된 재를 거의 매일 빈번히 빼내는 등 관리가 번거로웠으나, 연소실(100)에서 재를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면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난로(10)의 국부적인 가열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 버려지는 방출열의 손실을 줄여 난방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소실
101 : 연소공간
102 : 메인출입구
103 : 보조출입구
104 : 배출구
105 : 루프부재
110 : 내벽부재
120 : 외벽부재
121 : 전면부재
122 : 후면부재
123,124 : 측면부재
125 : 상면부재
126 : 하면부재
200 : 메인도어
300 : 보조도어
310 : 서랍
320 : 손잡이
400 : 연통
410 : 제1 연통부재
420 : 제2 연통부재

Claims (6)

  1. 내부에 연소공간을 구비하되, 전방에 목재가 공급되는 메인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출입구의 하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출입구를 형성하며, 후방 상단에 연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형성하는 연소실과; 상기 메인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도어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연통을 포함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에 있어서, 상기 연통은:
    측면과 밑면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일측이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고정되고, 상기 밑면의 중심에는 이음구가 형성된 제1 연통부재와;
    상기 제1 연통부재와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하여 상기 제1 연통부재의 이음구에 고정되는 제2 연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연소실 내부에 수납되는 서랍이 연결되고, 상기 연소실 내부의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서랍의 상부를 차폐하는 아치형의 루프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연통부재의 밑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통부재의 내부로 수용되고, 하단에서 상부로 요입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 힌지 고정되며, 타측에 전방으로 절곡된 손잡이를 형성하되, 상기 연소실의 전방에는 상기 손잡이가 걸쳐지도록 상부로 절곡된 후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은
    양측이 개방된 원통의 파이프 형상을 취하며, 후방 상단에 제1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공간으로 작용하는 내벽부재와;
    각각 평판 형태를 취하며, 상기 내벽부재의 개방된 전방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출입구 및 보조출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재와, 상기 내벽부재의 개방된 후방을 차폐하도록 상기 전면부재와 나란하게 고정되는 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수직하도록 상기 내벽부재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와 수직하도록 상기 내벽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된 상면부재 및 상기 상면부재와 나란하도록 상기 내벽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는 외벽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부재 또는 측면부재는 상기 내벽부재와 바닥면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부를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는 중심부에 상부로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연소용 난로.
KR1020120076158A 2012-07-12 2012-07-12 목재 연소용 난로 KR101388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58A KR101388214B1 (ko) 2012-07-12 2012-07-12 목재 연소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58A KR101388214B1 (ko) 2012-07-12 2012-07-12 목재 연소용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42A true KR20140008842A (ko) 2014-01-22
KR101388214B1 KR101388214B1 (ko) 2014-04-23

Family

ID=5014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158A KR101388214B1 (ko) 2012-07-12 2012-07-12 목재 연소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8160A (zh) * 2015-02-17 2015-07-01 李晓静 一种易封闭煤炉底部火口的方便火盖
KR102485842B1 (ko) 2021-05-24 2023-01-05 노정기 구이기 겸용 화목난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027A (ja) * 1998-10-09 2000-04-28 Ienaga Kazuo 焼却炉
KR100813130B1 (ko) 2007-03-15 2008-03-17 신한보일러(주) 화목보일러
KR101005721B1 (ko) * 2008-08-11 2011-01-06 하나로이앤지 주식회사 화목보일러
KR200448981Y1 (ko) * 2009-12-10 2010-06-09 조명준 벽난로형 나무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214B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127B1 (ko)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WO2012106435A1 (en) Fireplace unit
KR101650239B1 (ko) 화목난로
KR101241386B1 (ko) 목재 연소용 화덕
KR20180027775A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388214B1 (ko) 목재 연소용 난로
US8505471B2 (en) Burning equipment
KR101786730B1 (ko) 화목난로
US20150184861A1 (en) Biomass fuel simulation fireplace
KR101757026B1 (ko) 화목 및 펠렛 겸용 난로
CN214307201U (zh) 一种炉具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CN201281376Y (zh) 一种壁炉型燃料暖炉
CN202927896U (zh) 燃气灶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CN102954497B (zh) 便携式生物质炊事炉
KR101289550B1 (ko) 연탄 전용 착화 장치
KR20130015543A (ko)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CN103017207B (zh) 保温节能暖气炉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200492718Y1 (ko) 화목 난로
US20220279799A1 (en) Rotary Combustion Furnace
CN202835460U (zh) 一种水箱生态节能灶
KR102637190B1 (ko) 캠핑용 화목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