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775A -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 Google Patents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775A
KR20180027775A KR1020160114835A KR20160114835A KR20180027775A KR 20180027775 A KR20180027775 A KR 20180027775A KR 1020160114835 A KR1020160114835 A KR 1020160114835A KR 20160114835 A KR20160114835 A KR 20160114835A KR 20180027775 A KR20180027775 A KR 20180027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moke
combustion
supply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726B1 (ko
Inventor
김혜라
Original Assignee
김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라 filed Critical 김혜라
Priority to KR102016011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23B50/1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being fed to the combustion zone by free fall or by sliding along inclined surfaces, e.g. from a conveyor terminating above the fuel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Combustion apparatus with arrangements for burning uncombusted material from primary combustion
    • F23B5/02Combustion apparatus with arrangements for burning uncombusted material from primary combustion in main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버너로의 사용은 물론 난로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다수회에 걸친 연소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완전연소에 따른 연소효율의 향상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하며, 특히 고형연료(펠렛)의 일정량 자동공급으로 연료의 안정된 공급에 따른 일정한 화염의 부여와, 연료의 절감을 가져오게 함은 물론, 연료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도 배출로 역류로 인한 연료의 불완전연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Portable Burner}
본 발명은 야외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버너로의 사용은 물론 난로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다수회에 걸친 연소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완전연소에 따른 연소효율의 향상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하며, 특히 고형연료(펠렛)의 일정량 자동공급으로 연료의 안정된 공급에 따른 일정한 화염의 부여와, 연료의 절감과,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도 배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최적의 연소조건의 부여가 가능한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기라 함은 연료를 태워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버너와 난로 등을 들수 있다.
이때 버너는, 음식을 조리시 그 조리에 필요한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버너와 석유를 연료로 하는 석유버너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여가활동 중 하나로 가족단위의 야영 즉, 캠핑(camping)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 캠핑용품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캠핑용품 중 빠질 수 없는 것의 하나가 음식의 조리에 필요한 버너이고, 또한 겨울철이나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환절기 등에는 난로가 필수품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캠핑을 위해서는 휴대용 버너와 휴대용 난로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휴대용 버너로는 통상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허등록출원 제10-2001-0057381호와 같은 부탄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버너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용 버너는 그 취급이 매우 불편하면서도, 그 버너를 사용하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부탄가스의 비용 또한 상당하였으며, 특히, 착화시 착화부구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바람의 영양을 많이 받아 원활한 화염의 부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버너는 단순히 음식의 조리를 위한 버너로의 사용에 한정되어 있는바, 환절기 야외활동시에는 별도의 난로를 중복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펠렛을 이용한 난로가 있는데 이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0698호와 같이 상부에 펠렛 연료통이 형성되어 수직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수직으로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난로의 연료 공급 구조는 상부에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연소중 화염이 역화하여 펠렛 연료통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등록출원 제10-1998-0009015호와 같이 내부에 화목을 충전하고 그 화목을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목재용 난로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목재용 난로는 항시 연소율을 유지하기 위해 수시로 화목을 투입하여 하는 것인바, 연소의 연속 공급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른 일정한 화염의 유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등 그 연소조건이 매우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출원등록 제10-1640029호와 같이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소기는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내통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가 연료 공급관 측으로 역류하여 투입되는 연료를 가열 및 불완전연소시켜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01-0057381호.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1998-0009015호. 대한민국특허출원등록 제10-16400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야외에서 버너로의 사용은 물론 난로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다수회에 걸친 연소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완전연소에 따른 연소효율의 향상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하며, 특히 고형연료(펠렛)의 일정량 자동공급으로 연료의 안정된 공급에 따른 일정한 화염의 부여와, 연료의 절감을 가져오게 함은 물론, 연료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의 유도 배출로 역류로 인한 연료의 불완전연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받침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급관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외통과, 외통과의 사이에 공기 순환공간이 형성되게 그 외통 내부에 내입되며 하부에는 공급관 삽입공보다 낮은 위치에 내측에 걸림턱을 갖는 공급관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내통과, 외통에 결합되어 공기 순환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내통에 내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쉬 형태의 연소판과, 하방 경사로 외통을 관통 및 내통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료 공급관과, 연료 공급관과 연장 형성되는 연료 저장통과, 외통의 상단에 결합되는 화염 유도관으로 된 휴대용 연소기에 있어서,
화염 유도관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내통의 걸림턱 내주면에 결합되는 연기 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연기 유도관은,
단부가 걸림턱에 결합되며, 내통의 중앙을 향하면서 상부로 개방되도록 "ㄴ" 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기 유도부; 및
연기 유도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기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연기 유도부의 하부에는 연료 공급관과 연통되는 절개형 연료 공급홈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연기 유도부의 내측 상부면은 연료가 연소시 연료 공급홈으로 유입된 연기를 연기 배출부로 유도시키기 위해 걸림턱로부터 연기 유도부 측으로 만곡한 상향 곡률을 이루는 연기 유도면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는, 야외에서 버너로의 사용은 물론 난로로의 겸용 사용이 가능하고, 다수회에 걸친 연소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완전연소에 따른 연소효율이 향상되며, 특히 고형연료(펠렛)의 일정량 자동공급으로 연료의 안정된 공급에 따른 일정한 화염의 부여와, 연료의 절감을 가져옴은 물론, 연기 유도관을 통해 상승기류를 생성되어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가 연기 유도관을 통해 내통의 상부로 유도 배출되고, 이에 따른 연료 공급관으로의 역류 방지 및 불완전연소의 방지와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방지하는 등 최적의 연소환경이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연료 저장통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연소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연기 배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버너로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난로로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1)는, 외통(100)과, 내통(200)과, 송풍기(300)와, 연소판(400)과, 연료 공급관(500)과, 연료 저장통(600)과, 화염 유도관(7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통(100)은, 하단에 연소기(1)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받침부(110)로 마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10)로부터 상부로 수집 입설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단은 상기 받침부(110)에 의해 마감된 상태를 이루는 원형 또는 사각 통체로 구성된다.
이때, 외통(100)의 하부 일측에는 공기 유입관(120)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공기 유입관(120)은 외통(100)의 내부로 관통 형성되며, 관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관(120)의 반대측에는 공급관 삽입공(130)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공급관 삽입공(130)은 외통(100)의 중간부 높이 정도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통(200)은, 상기 외통(1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게 구성되어 외통(100)의 내부에 내입되게 구성된 것으로, 내통(200)의 상단 둘레에는 지지턱(210)이 돌출 형성되어 외통(100)의 상단에 거치 지지되는 한편 바닥면이 외통(100)의 바닥면과 이격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내통(200)은, 외통(100)에 내입시 외통(100)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외통(10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공기 순환공간(201)이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내통(2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1차 공기급기공(220)이 형성된 것으로, 1차 공기급기공(220)은 내통(200)의 바닥면에 타공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통(200)에는 공급관 결합공(230)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공급관 결합공(230)은 상기 외통(100)의 공급관 삽입공(130) 측에서 그 공급관 삽입공(130) 보다 낮은 위치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공급관 삽입공(130)과 공급관 결합공(230)이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공급관 결합공(230)의 내측에는 걸림턱(231)이 형성되어 하기하는 연료 공급관(500)이 걸림 지지된다.
그리고, 내통(200)에는 상기 공급관 결합공(230)의 하부로 연소 촉진공(240)이 형성된 것으로, 연소 촉진공(240)은 상기 공기 순환공간(201)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공급관 결합공(230)의 상부에서 내통(200)의 외주면에는 한 열 이상의 다수의 2차 공기급기공(250)이 타공 형성된다.
상기 송풍기(300)는, 상기 외통(100)의 공기 유입관(120)에 결합되어 그 공기 유입관(120)을 통해 공기 순환공간(201)로 공기를 공급하게 구성된 것으로, 통상의 팬(Fan)(도면중 미도시함) 작동하는 것이면 가능하며, 야외 사용의 특성상 배터리(도면중 미도시함)를 사용하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소판(400)은, 상기 내통(200)에 내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메쉬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연소판(400)은, 제1 경사부(410)와, 그 제1 경사부(410)와 연장되는 제2 경사부로 구성된 것으로, 제1 경사부(410)는 연소 촉진공(240) 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하게 급경사를 이루게 구성되며, 제2 경사부(420)는 제1 경사부(410)의 상단으로부터 완만한 하방 경사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연소판(400)의 제1 경사부(410)는 단면상 비교적 좁은 폭에서 급한 경사를 이루고, 제2 경사부(420)는 비교적 넓은 폭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연료 공급관(500)은, 양측 개방형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외통(100)의 공급관 삽입공(130)을 통해 삽입되어 내통(200)의 공급관 결합공(230)에 삽입 및 걸림턱(231)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된것으로, 공급관 삽입공(130)이 공급관 결합공(230)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인바, 결합시 외측으로부터 하방 경사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연료 공급관(500)의 하부 저면에는 역화방지 급기공(510)이 타공 형성된 것으로, 역화방지 급기공(510)은 연료 공급관(500)이 결합시 공기 순환공간(201)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연료 공급관(500)의 상단 둘레에는 플랜지부(5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료 저장통(600)은, 연료 저장부(610)와, 연료 배출관(6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연료 저장부(610)는 연료(펠렛)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부 개방형 수직 관체 형태로 구성 구성된다.
그리고, 연료 배출관(620)은, 상기 연료 저장부(6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연료 공급관(50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상기 연료 공급관(500)의 플랜지부(520)와 결합되는 플랜지부(621)가 형성되어 볼트 등을 통해 연료 공급관(500)과 결합 연결된다.
한편, 도 4의 도시와 같이 연료 저장통(600)의 연료 저장부(610)는, 확장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연장관(611)을 더 구성하되, 연장관(611)이 연료 저장부(610)에 삽입되어 확장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가능하다.
또한, 연장관(611)의 둘레에는 방열판(630)이 더 형성된 것으로, 방열판(630)은, 외통(100) 측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염 유도관(70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내통(200)의 걸림턱(231) 내주면에 결합되는 관통된 관체형 연기 유도관(800)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연기 유도관(800)은, 연기 유도부(810)와 연기 배출부(820)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연기 유도부(810)는, 그 일단이 상기 걸림턱(231)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며, 타단이 상부로 개방되도록 "ㄴ" 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연기 유도부(810)의 하부에는 상기 연료 공급관(500)과 연통되어 연료의 내통(200)의 내부 즉, 연소판(400)의 상부로 연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연료 공급홈(811)이 절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기 유도부(810)의 내측 상부면은, 연료가 연소시 연료 공급홈(811)으로 유입된 연기를 연기 배출부(820)로 유도시키기 위해 걸림턱(231)로부터 연기 유도부(810) 측으로 만곡한 상향 곡률을 이루는 연기 유도면(812)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연기 유도부(810)의 단부 즉, 걸림턱(231) 측은, 그 상부가 역류 차단판(813)으로 마감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그 연기 유도부(810)가 역류 차단판(813)에 의해 상부는 막히고 하부는 개방되어 그 하부로만 연료의 공급이 가능하고, 상부로는 역류 차단판(813)에 의해 연료 공급의 차단은 물론 내통(200) 내부의 연기가 연료 공급관(500)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구성된다.
상기 연기 배출부(820)는, 연기 유도부(8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외통(100) 및 내통(200)의 상단 위치까지 연장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1)는, 야외 활동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버너로의 사용은 물론, 필요에 따라 난로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연소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통(100)의 내부에 내통(200)을 내입 설치하되, 내통(20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210)이 외통(100)의 상단에 거치 지지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내통(200)의 공급관 결합공(230)은 외통(100)의 공급관 삽입공(130) 측을 향하게 되면하면 되고, 내통(200)에는 연소판(400)을 설치하되, 연소판(400)의 제1 경사부(410)가 내통(200)의 연소 촉진공(240) 측에 위치하게 하면된다.
그리고, 연기 유도관(800)을 결합하되, 연기 유도관(800)은 연기 유도부(810)를 내통(200)으로 진입 및 그 연기 유도부(810)의 단부를 걸림턱(231)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연료 공급관(500)을 외통(100)의 공급관 삽입공(130)을 통해 내통(200)의 공급관 결합공(230)에 끼우되, 걸림턱(231)에 걸림 지지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연료 공급관(500)은 외측을 향하게 상향 경사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연료 공급관(500)의 상단에는 연료 저장통(600)을 결합하되, 연료 저장통(600)의 그 하부로 연장 형성된 연료 배출관(620)을 이용하여 연료 공급관(500)과 플랜지부(520)(621)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플랜지부(520)(621)의 결합은 볼트 등을 통해 가능하다.
이에, 연료 저장통(600)의 연료 저장부(610)에는 연료를 충전하되, 이때 사용되는 연료로는 고형연료(펠렛)을 충전하면 된다.
이때, 충전된 연료는 연료 배출관(620) 및 연료 공급관(500) 및 연기 유도관(800)의 연료 공급홈(811)을 통해 내통(200)의 내부로 자유 낙하되어 유입되는 것이며, 내통(200)으로 유입된 연료는 연소판(400)의 제2 경사부(420)를 통해 흘러내려 반대측까지 고르게 공급되게 된다.
이후, 내통(200)에 공급된 연료에 별도의 점화수단을 통해 점화시키면 되고, 외통(100)의 상부에는 화염 유도관(700)을 결합하되, 화염 유도관(700)은 그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710)를 이용하여 외통(100)의 상단을 감싸며 끼움 결합하면 된다.
이후, 도 5의 도시와 같이 외통(100)의 공기 유입관(120)에는 송풍기(300)를 결합한 상태에서 그 송풍기(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송풍기(300)로부터 발생된 공기(바람)은 공기 순환공간(201)으로 유입되어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키게 된다.
즉, 공기 순환공간(201)으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 순환공간(201)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먼저, 내통(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1차 공기급기공(220)을 통해 연소판(400)으로 공급되어 연소판(400) 상부 연료를 1차 연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통(200) 내부에서 1차 연소되어 발생된 화염 및 연소가스는 상승기류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내통 상부에서는 2차 공기급기공(250)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2차 연소를 시키게된다.
또한, 발생된 화염 및 연소가스는 계속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화염 유도관(700)으로 진입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화염 유도관(7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부로 분출된다.
이때, 화염 유도관(700)의 외주면에는 형성된 3차 공기급기공(72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3차로 완전 연소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연료는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인데, 이는, 연료 배출관(620) 및 연료 공급관(500)은 경사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지속적인 자유 낙하 및 연기 유도관(800)의 연료 공급홈(811)을 통해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공급되는 연료는, 내통(200) 내부에서 연료 공급관(500)측 즉, 제1 경사부(410)에서 머무를 수 있는 것인데, 이는 공급관 결합공(230)의 하부에는 연소 촉진공(240)이 형성된 것인바, 이때, 연소 촉진공(240)을 통해공기를 공급하여 제1 경사부(410)에 쌓여진 연료를 보다 빠르게 연소시켜 분해함으로 쌓여진 연료가 무너지는 작용이 발생해 자연스럽게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화염의 역화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연료 공급관(500)의 하부에 형성된 역화방지 급기공(510)을 통해 역화가 방지되게 된다.
즉, 역화방지 급기공(510)은, 공기 순환공간(201)과 연통 형성된 것인바, 공기가 역화방지 급기공(510)을 통해 내통(200)으로 분출되어 화염이 역화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는 연기 유도관(800)을 통해 상부로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연소시 발생된 연기는 연기 유도관(800)의 연기 유도부(810)에 형성된 연료 공급홈(811)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이동하는 연기는 그 연기 유도부(810)의 내측 상부면을 이루는 연기 유도면(812)의 곡률을 따라 연기 배출부(820)로 이동하여 상부로의 유도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기 유도면(812)에 닿는 연기는 역류 차단판(813)을 통해 연료 공급관(500)으로 역류하는 것이 최소화 되게 되는 등 이러한 연기의 유도 배출로 불필요하게 열기를 가지는 연기가 연료 공급관(500)으로 역류하여 배출되거나 열기로 인한 연료가 불완전연소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연료 저장통(600)의 연료 저장부(610)에는 연료가 충전되는 것인데, 이때 연료 저장부(610)에 연장관(611)을 삽입 및 그 연료 저장부(610)를 상부 확장 연장시킴으로, 많은량의 연료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장관(611)의 외주면에는 방열판(630)이 형성된 것인바, 외통(100)을 통해 발생되는 열이 연장관(611)으로의 전달이 차단되어 혹시 모를 열에 의한 연료의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화염이 발생되는 본 발명 연소기(1)는, 버너 또는 난로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인바, 먼저, 버너로의 사용시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야외에서 사용되는 더치오븐(10) 등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되는 것인바, 화염 유도관(700)의 상부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으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난로로의 사용시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연소기(1)만을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화염 유도관(700)의 상부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과 외둘레를 통해 방사되는 열을 통해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는, 3차에 걸친 화염 및 연소가스의 연소로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하는 등 최적의 연소효율을 발휘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연료 또한 자동으로 공급되어 항시 일정한 화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연료 공급관으로의 뜨거운 연기의 역류를 방지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불완전연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외통 110 : 받침부
120 : 공기 유입구관 130 : 공급관 삽입공
200 : 내통 201 : 공기 순환공간
210 : 지지턱 220 : 1차 공기급기공
230 : 공급관 결합공 231 : 걸림턱
240 : 연소 촉진공 250 : 2차 공기급기공
300 : 송풍기
400 : 연소판 410 : 제1 경사부
420 : 제2 경사부
500 : 연료 공급관 510 : 역화방지 급기공
520 : 플랜지부
600 : 연료 저장통 610 : 연료 저장부
611 : 연장관
620 : 연료 배출관 621 : 플랜지부
630 : 방열판
700 : 화염 유도관 710 : 단턱부
720 : 3차 공기급기공
800 : 연기 유도관 810 : 연기 유도부
811 : 연료 공급홈 812 : 연기 유도면
813 : 역류 차단판 820 : 연기 배출부

Claims (2)

  1. 받침부(110)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급관 삽입공(130)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외통(100)과, 외통(100)과의 사이에 공기 순환공간(201)이 형성되게 그 외통(100) 내부에 내입되며 하부에는 공급관 삽입공(130)보다 낮은 위치에 내측에 걸림턱(231)을 갖는 공급관 결합공(230)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내통(200)과, 외통(100)에 결합되어 공기 순환공간(201)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00)와, 내통(200)에 내입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쉬 형태의 연소판(400)과, 하방 경사로 외통(100)을 관통 및 내통(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료 공급관(500)과, 연료 공급관(500)과 연장 형성되는 연료 저장통(600)과, 외통(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화염 유도관(700)으로 된 휴대용 연소기에 있어서,
    화염 유도관(70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내통(200)의 걸림턱(231) 내주면에 결합되는 연기 유도관(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연기 유도관(800)은,
    단부가 걸림턱(231)에 결합되며, 내통(200)의 중앙을 향하면서 상부로 개방되도록 "ㄴ" 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기 유도부(810); 및
    연기 유도부(8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기 배출부(8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연기 유도부(810)의 하부에는 연료 공급관(500)과 연통되는 절개형 연료 공급홈(811)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연기 유도부(810)의 내측 상부면은 연료가 연소시 연료 공급홈(811)으로 유입된 연기를 연기 배출부(820)로 유도시키기 위해 걸림턱(231)로부터 연기 유도부(810) 측으로 만곡한 상향 곡률을 이루는 연기 유도면(812)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연기 유도부(810)의 단부 내측 상부는,
    역류 차단판(813)으로 마감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20160114835A 2016-09-07 2016-09-07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84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35A KR101847726B1 (ko) 2016-09-07 2016-09-07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35A KR101847726B1 (ko) 2016-09-07 2016-09-07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775A true KR20180027775A (ko) 2018-03-15
KR101847726B1 KR101847726B1 (ko) 2018-04-11

Family

ID=6165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35A KR101847726B1 (ko) 2016-09-07 2016-09-07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1494A1 (fr) * 2019-04-04 2020-10-08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pour lutter contre le gel tardif ou toutes autres menaces dans les vignes, vergers et cultures
FR3094781A1 (fr) * 2019-04-04 2020-10-09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pour lutter contre le gel tardif ou toutes autres menaces dans les vignes, vergers et cultures
KR102255165B1 (ko) * 2020-10-15 2021-05-24 이상민 캠핑용 스토브
WO2021246857A1 (fr) * 2020-06-05 2021-12-09 Mavor Import Sarl Dispositif de lutte antigel à usage agricole.
WO2022269169A1 (fr) * 2021-06-25 2022-12-29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comportant un conduit principal et un conduit secondaire
KR102582096B1 (ko) * 2023-02-17 2023-09-25 장석호 자중이동연소기를 갖는 화목난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613A (ja) 2013-08-16 2015-02-23 森本 高広 携帯型固形燃料燃焼器
KR101640029B1 (ko) 2015-02-12 2016-07-19 김혜라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1494A1 (fr) * 2019-04-04 2020-10-08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pour lutter contre le gel tardif ou toutes autres menaces dans les vignes, vergers et cultures
FR3094781A1 (fr) * 2019-04-04 2020-10-09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pour lutter contre le gel tardif ou toutes autres menaces dans les vignes, vergers et cultures
WO2021246857A1 (fr) * 2020-06-05 2021-12-09 Mavor Import Sarl Dispositif de lutte antigel à usage agricole.
KR102255165B1 (ko) * 2020-10-15 2021-05-24 이상민 캠핑용 스토브
WO2022269169A1 (fr) * 2021-06-25 2022-12-29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comportant un conduit principal et un conduit secondaire
FR3124580A1 (fr) * 2021-06-25 2022-12-30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comportant un conduit principal et un conduit secondaire
KR102582096B1 (ko) * 2023-02-17 2023-09-25 장석호 자중이동연소기를 갖는 화목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726B1 (ko)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101640029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200448540Y1 (ko) 펠릿 난로
LT4998B (lt) Kieto kuro deginimo būdas ir šildymo katilas, kuriame šis būdas įgyvendintas
KR101371085B1 (ko) 화목 난방장치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KR10155484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 난로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20170070425A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0484682Y1 (ko) 고체연료 난로용 노즐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KR102052508B1 (ko) 화덕 겸용 난로
KR10137931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KR20130015543A (ko)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KR20080039632A (ko) 난로의 공기 공급관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102447699B1 (ko) 캠핑용 스토브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CN101813326B (zh) 可调式节能柴炉
KR102227907B1 (ko) 다용도 벽난로
KR101595061B1 (ko)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CN213237607U (zh) 一种新型柴火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