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694A -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 Google Patents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694A
KR20140008694A KR1020120075564A KR20120075564A KR20140008694A KR 20140008694 A KR20140008694 A KR 20140008694A KR 1020120075564 A KR1020120075564 A KR 1020120075564A KR 20120075564 A KR20120075564 A KR 20120075564A KR 20140008694 A KR20140008694 A KR 2014000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mposition
compound
isolated
orci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677B1 (ko
Inventor
이민원
오명환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6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03Monocyclic carbocyclic rings other than cyclohexane rings; Bicyclic carbocyclic r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오르시놀기를 갖는 신규 탄닌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닌 화합물은 강력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가짐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규 탄닌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필요한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Novel Hydrolysable Tanni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leyera japonica Thunberg and Anti-Oxidative Use Thereof}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의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의 항산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르시놀기를 갖는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오르시놀 1-O-β-D-(3'-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오르시놀 1-O-β-D-(3',6'-다이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오르시놀 1-O-β-D-(4',6'-O-(S)-HHDP) 글루코피라노사이드와,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인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 즉, 자외선, 방사선, 배기가스, 담배연기,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 요인과 체내의 미토콘드리아 및 백혈구의 대사과정 에 의해서 생성되어, 다단계의 연쇄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자유라디칼은 대부분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 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단일상태의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일어나는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aldehyde) 및 에폭사이드(epoxide)의 다양한 활성 산소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 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또한, 이러한 활성 산소종들은 암, 조직 손상, 노화, 피부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Black HS, Photochemphotobiol. 46(2):213(1987)). 예를 들어, 세포를 구성하는 막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 효소의 누출, 막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가교결합의 생성,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에 의해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항산화제로서 BHT(2,6-di-tertibutyl-4-methylphenol), BHA (2-tert0butyl-4-methoxyphenol), PG(3,4,5-terhydroxy benzoic acid propyl ester) 등의 물질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식생활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에 대해 소비자들이 거부감을 일으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종래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는 50 ㎎/㎏/day 이상 섭취시 암이 유발된다는 보고가 있다.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는 빗죽이나무 라고도 하며 원산지가 한국으로, 제주도와 전남, 경남의 일부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소교목이며, 일본, 중국, 타이완에도 분포하고, 높이는 10m에 이르며, 겨울눈의 모양이 비쭉해서 비쭈기나무라고 불린다. 비쭈기나무는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 참빗 제조용으로 쓰이고, 일본에서는 가지를 신사(神寺)나 축제가 열리는 장소를 장식하는 데 쓰이며, 뿌리째 뽑은 비쭈기나무는 종교행사에 쓰이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00673호에는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29693호에는 비쭈기나무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들이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특허문헌에는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본 발명의 신규 탄닌 화합물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Tsuneo IWAKAWA등은 비쭈기나무(Cleyera ochnacea DC)으로부터 분리한 신규의 갈로일피라노사이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 화합물은 1개의 갈로일기를 가지고 있어 2개의 갈로일기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는 다르다[Chem. Pharm. Bull. 49(11) 14981499 (2001)].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06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9693호
Chem. Pharm. Bull. 49(11) 14981499 (2001)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항산화능을 갖는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 동정된 신규 탄닌 화합물이 매우 뛰어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가짐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 탄닌 계열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탄닌 계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용도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르시놀기를 갖는 탄닌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르시놀 1-O-β-D-(3'-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오르시놀 1-O-β-D-(3',6'-다이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오르시놀 1-O-β-D-(4',6'-O-(S)-HHDP) 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탄닌 계열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추출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CH2Cl2), 클로로포름, 헥산(Hexane)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은 상기 용매에 의한 추출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더욱 정제하여 분리한 분획물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추가적 분리는 바람직하게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수행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크기배제(size-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ion-exchange)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친화(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탄닌계열의 단일 화합물은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겔 또는 셀라이트(celite)겔 컬럼을 이용한 여과(filtration), 액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크기배제(size-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ion-exchange) 크로마토그래피,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친화(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합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단일 화합물은 MALDI-TOF MS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scopy), EI MS (Electron Ionization Mass Spectroscopy), CI (Chemical Ionization Mass Spectroscopy), FABI (Fast Atom Bombardment Ionization), ESI-MS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와 같은 질량분석법과, 적외선 분광법(IR Sectrum), 핵자기공명법(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CD (Circular Dichroism)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동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탄닌 계열 화합물은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항산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a)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탄닌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mg/kg (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용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 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항산화용 화장품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로션,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탄닌화합물 및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은 항산화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탄닌 화합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탄닌 화합물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므로, 항산화 활성이 필요한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오르시놀기를 갖는 신규 탄닌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닌 화합물은 강력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가짐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신규 탄닌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필요한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식품 등의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12.5 - 100 ㎍/㎖의 농도에서의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 및 비타민 C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6.25 - 100 μM 농도에서의 본 발명의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비타민 C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6.25 - 100 ㎍/㎖의 농도에서의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 및 알로퓨리놀에 대한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6.25 - 100 μM 농도에서의 본 발명의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알로퓨리놀에 대한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활성 화합물의 분리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잎 3.0 kg을 80% 아세톤(acetone)으로 실온에서 3회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 430 g을 얻었다. 이어서, 이 추출물을 H2O에 현탁시킨 후에 셀라이트(Celite)로 여과하여 수용성 층(water soluble layer)(282.43g)과, 수불용성 층(water insoluble layer)(127.67g)으로 나누었으며, 그 중 수용성 층(282.43g)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0→100% MeOH, gradient system)를 실시하여 8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들 분획 중에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Fr. 5 (28.63g)는 YMC-gel ODS-A (0→100% MeOH, gradient system)를 실시하여 다시 7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7개 분획 중 Fr. 5-4 (10.4 g)를 MCI-gel CHP-20P (20→100% MeOH, gradient system)를 실시하여 다시 3개의 분획으로 나누고, Fr. 5-4-3 (9.8 g)을 YMC-gel ODS-A (20→100% MeOH, gradient system)를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화합물 3 (130mg)를 얻었으며, 추가적으로 Fr. 5-4-3-1 (4.9 g)에서 prep-TLC를 benzene-ethyl formate-formic acid (1:10:1, volume ratio)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여 화합물 1 (35mg)을 얻었다. 그리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Fr. 6 (24.2 g)은 YMC-gel ODS-A (0→100% MeOH, gradient system)를 실시하여 다시 Fr. 6을 9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9개의 분획 중 Fr. 6-4 (5.95 g)를 YMC-gel ODS-A (20→100% MeOH, gradient system)를 실시한 결과 화합물 2 (150mg)를 얻었다.
실시예 2: 화합물 1의 구조 동정
상기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1은 하기 화합물 구조 분석 데이터에 의해, 오르시놀기를 갖는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로서, 오르시놀 1-O-β-D-(3'-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orcinol 1-O-β-D-(3'- galloyl) glucopyranoside]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1H-NMR (600 MHz, MeOH-d 4 +D2O) : δ 7.17(2H, s, galloyl-2", 6"), 6.43(1H, m, H-6), 6.39(1H, m, H-4), 6.32(1H, m, H-2), 5.21(1H, t, J=9.3Hz, H-3’), 5.00(1H, d, J=7.8Hz, H-1’), 3.91(1H, dd, J=2.1, 12.3Hz, H-6'-b), 3.77(1H, dd, J=5.4, 12.3Hz, H-6'-a), 3.70(1H, t, J=9.3Hz, H-4'), 3.68(1H, dd, J=7.8, 9.0Hz, H-2'), 3.57(1H, m, H-5’), 2.09(3H, s, CH3-7)
13C-NMR (150 MHz, MeOH-d 4 + D2O) : δ 167.1 (Galloyl-7"), 158.5 (C-1), 157.7 (C-3), 144.9 (Galloyl-3", 5"), 139.9 (C-5), 138,3 (Galloyl-4"), 120.2 (Galloyl-1"), 120.2 (Galloyl-1'"), 110.0 (C-4), 109.1 (Galloyl-2", 6"), 108.4 (C-6), 100.8 (C-2), 100.7 (C-1'), 77.5 (C-3'), 76.5 (C-5'), 71.9 (C-2'), 68.1 (C-4'), 60.7 (C-6'), 20.2 (CH3-7).
③ HRFAB-MS m/z ; 437.1084 [M-H]+ (calculated for C20H21O11, 437.1084)
④ 화학구조식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실시예 3 : 화합물 2의 구조 동정
상기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2는 하기 화합물 구조 분석 데이터에 의해, 오르시놀기를 갖는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로서, 오르시놀 1-O-β-D-(3',6'-다이갈로일)글루코피라노사이드[orcinol 1-O-β-D-(3',6'-digalloyl) glucopyranoside]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1H-NMR (600 MHz, MeOH-d 4 +D2O): δ 7.17(2H, s, galloyl-2", 6"), 7.13(2H, s, galloyl-2"', 6"'), 6.39(1H, m, H-6), 6.37(1H, m, H-4), 6.30(1H, m, H-2), 5.26(1H, t, J=9.6Hz, H-3’), 5.01(1H, d, J=7.8Hz, H-1’), 4.62(1H, dd, J=1.8, 12.0Hz, H-6'-b), 4.48(1H, dd, J=6.6, 12.0Hz, H-6'-a), 3.91(1H, m, H-5’), 3.75(1H, t, J=9.6Hz, H-4'), 3.73(1H, dd, J=7.2, 9.6Hz, H-2'), 2.09(3H, s, CH3-7)
13C-NMR (150 MHz, MeOH-d 4 + D2O) : δ 166.9 (Galloyl-7"), 166.8 (Galloyl-7"'), 158.4 (C-1), 157.5 (C-3), 145.0 (Galloyl-3", 5"), 144.9 (Galloyl-3"', 5"'), 140.2 (C-5), 138.5 (Galloyl-4"), 138.3 (Galloyl-4"'), 120.2 (Galloyl-1"), 119.8 (Galloyl-1"'), 110.2 (C-4), 109.0 (Galloyl-2", 6"), 108.9 (Galloyl-2"', 6"'), 108.2 (C-6), 101.2 (C-2), 100.8 (C-1'), 77.3 (C-3'), 74.0 (C-5'), 71.9 (C-2'), 68.7 (C-4'), 63.2 (C-6'), 20.1 (CH3-7).
③ HRFAB-MS m/z ; 591.1350 [M-H]+ (calculated for C27H27O15, 591.1356)
④ 화학 구조식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실시예 4: 화합물 3의 구조 동정
상기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3은 하기 화합물 구조 분석 데이터에 의해, 오르시놀기를 갖는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로서, 오르시놀 1-O-β-D-(4',6'-O-(S)-HHDP) 글루코피라노사이드[orcinol 1-O-β-D-(4’,6’-O-(S)-HHDP) glucopyranoside]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1H-NMR (600 MHz, MeOH-d 4 +D2O) :
δ 6.71(1H, s, HHDP-3"), 6.59(1H, s, HHDP-3"'), 6.41(1H, m, H-6), 6.37(1H, m, H-4), 6.33(1H, m, H-2), 5.24(1H, dd, J=6.0, 13.2Hz, H-6'-a), 4.92(1H, d, J=7.8Hz, H-1'), 4.85(1H, t, J=9.9Hz, H-4'), 4.03(1H, m, H-5'), 3.85(1H, d, J=0.6, 13.2Hz, H-6'-b), 3.71(1H, t, J=9.6Hz, H-3'), 3.56(1H, dd, J=7.8, 9.0Hz, H-2'), 2.23(3H, s, CH3-7)
13C-NMR (150 MHz, DMSO-d 6 + D2O):
δ 168.6 (HHDP-7"), 168.3 (HHDP-7"'), 158.4 (C-1), 157.7 (C-3), 144.4 (HHDP-4"), 144.4 (HHDP-4"'), 143.4 (HHDP-6"), 143.3 (HHDP-6"'), 140.0 (C-5), 136.1 (HHDP-5"), 135.9 (HHDP-5"'), 125.1 (HHDP-2"), 124.9 (HHDP-2"'), 115.3 (HHDP-1"), 115.1 (HHDP-1"'), 110.1 (C-4), 108.5 (C-6), 107.2 (HHDP-3"), 106.9 (HHDP-3"'), 101.3 (C-1'), 100.9 (C-2), 74.2 (C-2'), 74.1 (C-3'), 71.9 (C-4'), 71.4 (C-5'), 63.0 (C-6'), 20.2 (CH3-7).
③ HRFAB-MS m/z ; 587.1037 [M-H]- (calculated for C27H23O15, 587.1039)
④ 화학구조식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실시예 5: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측정
DPPH(200 mM) 용액 180 ㎕에 각 농도별 샘플 20 ㎕를 첨가하여 30 분간 방치 후 51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샘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sample O.D.- blank O.D.) / (control O.D. - blank O.D.)] X 100으로 구하였다.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50 ㎍/㎖의 농도에서 비타민 C와 대등한 정도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신규 탄닌 화합물인 오르시놀 1-O-β-D-(3'-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오르시놀 1-O-β-D-(3',6'-다이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오르시놀 1-O-β-D-(4',6'-O-(S)-HHDP)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비타민 C 보다 우수하거나 동등한 정도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특히 12.5 μM의 낮은 농도에서는 비타민 C 보다 약 2배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도 2 참조).
실시예 6: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의 측정
포스페이트 완충액 (50 mM), EDTA (0.05 mM), NBT (1 mM), 히포크산틴(hypoxanthine) (0.2 mM)을 첨가한 혼합물 용액 160 ㎕에 각 농도별 샘플 20 ㎕을 넣고, 크산틴 옥시다아제(xanthine oxidatse) (1.2 U/㎕) 20 ㎕를 첨가하여, 37℃에 10분간 방치 후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각 샘플의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은 [1-(sample O.D.- blank O.D.) / (control O.D. - blank O.D.)] X 100 으로 구하였다.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12.5 ㎍/㎖ 이상의 농도에서 알로퓨리놀과 대등한 정도의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신규 탄닌 화합물인 오르시놀 1-O-β-D-(3'-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오르시놀 1-O-β-D-(3',6'-다이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및 오르시놀 1-O-β-D-(4',6'-O-(S)-HHDP)글루코피라노사이드는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알로퓨리놀 보다 우수하거나 동등한 정도의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특히 6.25 μM의 낮은 농도에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이 알로퓨리놀 보다 2배 정도 우수하였다(도 4 참조).
실시예 7: 비쭈기나무 추출물과 활성 탄닌 화합물의 라디칼 소거능 IC 50
비쭈기나무 추출물에 대해 측정한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의 IC50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상기 실험결과에 의해,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본 발명의 오르시놀기를 갖는 신규 탄닌 화합물은 매우 우수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가짐을 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오르시놀기를 갖는 탄닌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르시놀 1-O-β-D-(3'-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오르시놀 1-O-β-D-(3',6'-다이갈로일) 글루코피라노사이드; 또는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오르시놀 1-O-β-D-(4',6'-O-(S)-HHDP) 글루코피라노사이드.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상기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120075564A 2012-07-11 2012-07-11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KR10144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64A KR101440677B1 (ko) 2012-07-11 2012-07-11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64A KR101440677B1 (ko) 2012-07-11 2012-07-11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94A true KR20140008694A (ko) 2014-01-22
KR101440677B1 KR101440677B1 (ko) 2014-09-17

Family

ID=5014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564A KR101440677B1 (ko) 2012-07-11 2012-07-11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87B1 (ko) * 2014-05-23 2015-01-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성 탄닌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769A (ja) * 1992-01-13 1993-07-27 Jiyumoku Chiyuushiyutsu Seibun Riyou Gijutsu Kenkyu Kumiai 活性酸素消去作用を有する抗酸化剤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207560B1 (ko) * 2010-06-28 2012-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711B1 (ko) * 2010-09-17 2013-01-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87B1 (ko) * 2014-05-23 2015-01-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쭈기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가수분해성 탄닌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677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9636B2 (en) Purifications of pomegranate ellagitannins and their uses thereof
EP4321518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KR101453609B1 (ko) 조팝나무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헤미테르펜 글루코사이드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및 항염 용도
CN102186457B (zh) 包含源自红果山胡椒的提取物、部分或化合物的皮肤增白组合物
KR101261380B1 (ko) 신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갈로탄닌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96059B1 (ko) 소귀나무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황산염 페놀성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및 항염 용도
KR101440677B1 (ko)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EP4349845A1 (en) Novel isoflavone compound
KR101256971B1 (ko) 데커시놀의 추출방법 및 상기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6941B1 (ko) 차가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30439B1 (ko) 물오리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5461872B2 (ja) アラビノシルビテキシン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KR20120135448A (ko) 먼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KR101309114B1 (ko) 콩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이소인돌리논 계열의 항산화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0311762B1 (ko) 항산화활성을가지는고로쇠나무추출물및이를이용한풀라반계화합물의제조방법
KR20240009611A (ko) 신규한 항염증성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203128B1 (ko) 프로시아니딘 b3 화합물 또는 신규의 축합형 타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0759A (ko) 인삼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력이 증진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