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479A -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및 머리 받침대를 갖는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및 머리 받침대를 갖는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479A
KR20140007479A KR1020137032651A KR20137032651A KR20140007479A KR 20140007479 A KR20140007479 A KR 20140007479A KR 1020137032651 A KR1020137032651 A KR 1020137032651A KR 20137032651 A KR20137032651 A KR 20137032651A KR 20140007479 A KR20140007479 A KR 20140007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d restraint
seat
connecting element
receiv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슈아 헤스테르베르크
라디슬라브 구발'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7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7Head-rests with sleeves located in the back-rest for guiding the rods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머리 받침대는 연관된 리시빙 슬리브(4)들 내로 푸시되는 하나 이상의, 통상적으로 2 개의 장착 로드들을 가지며, 상기 리시빙 슬리브(4)들은 연결 요소(3)들에 의해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리시빙 슬리브(4)는 연결 요소(3)에 연결되는, 특히 용접되는 연결 섹션(5)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시빙 슬리브(4)의 연결 섹션(5) 및 연결 요소(3)는, 연결 섹션(5)을 따른 상기 연결 요소(3)의 변위시, 리시빙 슬리브(4)에 대한 연결 요소(3)의 각도가 변하도록, 상기 연결 요소가 상기 연결 섹션(5)에 의해 접촉된다. 그 결과, 특히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가요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및 머리 받침대를 갖는 차량 시트 {DEVICE FOR SECURING A HEAD RESTRAINT TO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HAVING A HEAD RESTRAIN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머리 받침대는 연관된 리시빙 슬리브들 내로 푸시되는 하나 이상의, 통상적으로 2 개의 리테이닝 로드들을 가지며, 리시빙 슬리브들은 연결 요소들에 의해 차량 시트에 고정된다. 리시빙 슬리브는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특히 용접되는 연결 섹션을 갖는다. 이후, 연결 요소(들)는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특히 차량 시트에 용접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를 머리 받침대에 고정하는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용 머리 받침대 및 차량 시트는, 예컨대, DE 10 2008 055 987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충돌 반응식(crash active) 머리 받침대는, 충격시 머리 받침대를 위치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갖는다. DE 10 2004 013 979 B3호는 차량 시트 상에 머리 받침대를 유지하는 리테이닝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리테이닝 장치에 대해 측방으로 변위될 수 있는 허용 오차 보상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가요적으로(flexibly) 사용될 수 있는, 차량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를 만드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 및 연결 섹션과 접촉하게 되는 구역에 있는 연결 요소는, 연결 요소가 연결 섹션을 따라 변위될 때, 리시빙 슬리브에 대한 연결 요소의 각도가 변화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이에 의해, 기본 설계는 머리 받침대의 리테이닝 로드들과 시트 구조 사이의 각도가 설정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시트 적용분야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될 수 있는"은, 연결 요소에 대해 상이한 각도들로 또는 상이한 위치들에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이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결 섹션이 연결 요소에 연결될 때, 리시빙 슬리브들이 연결 요소들에 대해 배열되고, 이로써 머리 받침대의 리테이닝 로드들이 시트 구조에 대해 배열되는 각도가 규정된다. 리테이닝 로드들 및 리시빙 슬리브들은 본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된 길이 방향 축을 갖는다. 각도의 최종 규정(final definition)은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발생하며, 후속하여 변화될 수 없다. 시트 구조에 대한 머리 받침대들의 리테이닝 로드들의 각도를 단순하게 구성하는 가능성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들을 상이한 시트 구조들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그 결과 공구들 및 물류들에 대해 높은 절감 가능성이 성취된다.
이를 위해, 연결 섹션은, 특히 만곡형, 타원형, 원통형 또는 볼록형이다. 따라서, 리시빙 슬리브 상에 몰딩된 연결 섹션은, 연결 요소를 위한 접촉면을 가지며, 이 접촉면은 바람직하게는, 리시빙 슬리브의 길이 방향 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평탄면을 갖는 게 아니라 외측방으로 만곡되거나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이에 의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연결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기본 형상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직사각형 연결 섹션의 길이 방향 및 횡단 측면들은 그의 접촉면의 범위를 제한한다. 길이 방향 측면은, 리시빙 슬리브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리시빙 슬리브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연결 섹션의 횡단 측면 길이의 대략 2 배 내지 4 배, 바람직하게는 2.5 배 내지 3.5 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섹션은 라운드형이며, 단부 측면으로서 형성된 횡단 측면들에 비해, 대략 10 %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25 %만큼 확장한다. 이로써, 접촉면 상에 수직하게 이어진 면은, 연결 섹션의 수직 범위에서의 상이한 지점들을 측면으로부터 보면, 일정하게 변한다.
연결 섹션은 프로세스시 리시빙 슬리브로부터 나가며, 평탄한 측면 구역들에서 접촉면에 측방으로 종료하고, 이들 구역들은 연결 섹션에 형성된 접촉면에 대응하여 부분 원 또는 부분 타원 형태로 외측방으로 만곡된 라운드형 부분을 갖는다. 연결 섹션 또는 그의 접촉면은, 게다가, 수직 및/또는 수평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다.
이에 따라, 차량 시트에 대한 연결 섹션, 연결 요소의 대향 부품(counterpiece)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차량 시트에 대한 리시빙 슬리브들의 변위가능성(displaceability), 특히 각도 변위가능성은, 연결 요소 상의 대응하는 라운드형 부분, 특히 차량 시트를 향해 또는 차량 시트 내측방에 형성된 리세스에 의해 성취된다. 일측에서 리시빙 슬리브 또는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에, 그리고 타측에서 시트 구조에 연결되는 연결 요소는, 또한 리테이닝 브래킷으로서 언급된다.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용접식 연결들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발생한다.
리테이닝 브래킷으로서 언급되는, 이러한 연결 요소는 넓은 중앙 접촉 구역을 가지며, 이 구역 상에서, 리시빙 슬리브 또는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에 대한 연결이 발생한다. 이로부터 계속해서, 각각의 경우에 대략 90°로 구부러지고, 이후 다른 2 개가 90°로 구부러져, 2 개의 외부 구역들이 만들어지며, 이들은 또한 윙들로 언급된다. 윙들은 중앙 접촉 구역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평면에 배열되고, 시트 구조로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요소의 접촉 구역은 만곡형이며, 특히 오목형이며,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의 곡률에 대응한다. 대응하는 오목 곡률에 의해, 특히 "상하(up and down)" 방향에 수직하게, 리시빙 슬리브에 대한 연결 요소의 변위가능성이 가능하여, 리시빙 슬리브의 정렬이 만곡형, 특히 오목형 형상에 기인하여 변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과 연결 요소의 중앙면 사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면 접촉(areal contact)이 유지된다.
리시빙 슬리브 상에서의 연결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볼록형인 반면에, 연결 요소 상의 대응하는 라운드형 부분은 오목형이다. 그러나, 정밀하게 역전된 구성 즉, 리시빙 슬리브의 연결 섹션이 오목형인 반면에, 이후 연결 요소가 대응하는 볼록 형상인 것이 또한 상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있어서, 연결 요소는 리시빙 슬리브 상에서의 연결 섹션보다 그의 수직 범위에 있어서 더 짧아, 상하방으로의 변위가능성은 가능하지만, 이와 동시에, 연결 요소는 그의 전체 면적에 걸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용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각도들로 배열되게 되는 리시빙 슬리브 및 연결 요소를 갖는 머리 받침대 고정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를 사용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머리 받침대(headrest)를 고정하는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의 상세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동일하게 고정하는 장치를 갖는 머리 받침대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머리 받침대를 위한 2 개의 부분의 고정 수단을 2 개의 도면들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를 3 개의 상이한 도면들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여기서 연결 섹션과 연결 요소는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각도들로 배열된다.
도 1은 시트 구조(2)를 갖는 차량 시트(1)의 상세를 도시하며, 상기 시트 구조는 상기 차량 시트(1)에 기계적으로 일체화된다. 리테이닝 브래킷들로서 또한 언급되는 연결 요소(3)들은, 이러한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시트 구조(2)에 고정되며, 특히 용접된다. 리시빙 슬리브(4)들은, 상기 연결 요소(3)들 상에 배열되며, 특히 리시빙 슬리브(4)들 상에 제공된 연결 섹션들에 의해 용접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테이닝 로드(7)들을 갖는 머리 받침대(6)를 도시한다. 이러한 특정의 구성에 있어서, 리테이닝 로드(7)들은 로드들 상에서 일체형 부품(one piece)으로 배열되는 커버링 링(11)을 갖는 리시빙 슬리브(4)들에 수용된다. 연결 요소(3)는 아우터 슬리브(12)와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슬리브는 리시빙 슬리브(4) 상에 푸시되며, 이에 따라 연결 요소(3)를 리시빙 슬리브(4)에 연결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 섹션(5) 및 연결 섹션에 고정되는 연결 요소(3)를 갖는 리시빙 슬리브(4)의 상세를 도시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상이하다. 연결 섹션(5)은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연결 요소(3)를 위해서 평탄한 접촉면을 형성한다. 리시빙 슬리브(4)의 연결 섹션(5)은, 리시빙 슬리브(4)의 길이 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리테이닝 브래킷으로서 또한 언급되는 연결 요소(3)는, 리시빙 슬리브(4)에 연결되는 중앙 접촉 구역(8)에 추가하여, 하나의 평면에 배열되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시트 구조로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2 개의 아우터 윙(9)들 및 중앙 접촉 구역(8)을 아우터 윙(9)들에 연결하는 2 개의 천이 구역(10)들을 갖는다. 레이저 용접에 의해 발생된 U 형상 또는 편자 형상 용접 연결은, 평탄한 접촉 구역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 13으로 라벨링된다. 연결 요소(3)가 리시빙 슬리브(4) 상에 장착될 때, 리시빙 슬리브(4) 또는 그의 길이방향 축 및 연결 요소(3)의 윙(9)들이 배열되는 평면은 규정된 각도를 형성하며, 이 각도는 도 3에서 "XX°"로 라벨링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소(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빙 슬리브(4)를 도시한다. 이는, 연결 섹션(5) 및 리시빙 요소(3), 특히 요소의 중앙 접촉 구역(8)이 서로에 대응하는 곡선식 섹션들을 가져, 이들이 이들의 면적들에 걸쳐 서로에 대항하여 지탱된다. 연결 요소(3)가 리시빙 슬리브(4)의 연결 섹션(5)을 따라서, 수직 방향,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위 될지라도, 이러한 면적의 접촉이 유지된다. 도시된 위치에서, 즉, 연결 섹션(5) 상에서 하방으로 비교적 낮게 배열된 연결 요소(3)에 의해, 이 경우에, 소정 각도 "XX°"는, 리시빙 슬리브(4)의 길이 방향 축과 연결 요소(3) 또는 연결 요소(3)의 윙(9)들 사이에서 또한 발생한다. 또한, 본원에서, 연결 요소(3)의 수직 범위가 연결 섹션(5)의 수직 범위보다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서로에 대응하는 2 개의 섹션들의 변위를 상방 및 하방으로 가능하게 하며, 특히, 연결 요소(3)가 연결 섹션(5)을 따라 변위될 수 있으며, 그의 전체 면적에 걸쳐 항상 접촉되어,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용접 시임(13)이 이러한 섹션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빙 슬리브(4) 상의 2 개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2 개의 예시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요소(3)의 위치 설정을 도시한다. 좌측에 도시된 예에서, 연결 요소(3)는 하방으로 가능한 멀리 배열되는 반면, 우측에 도시된 예에서, 연결 요소(3)는 리시빙 슬리브(4)의 연결 섹션(5)에서 상방으로 가능한 멀리 배열된다. 이에 의해, 리시빙 슬리브(4)의 각도는 시트 구조에 대하여 변화되는 한편, 특히 시트 구조 상의 윙(9)들의 리시빙 요소(3)의 정렬은, 동일하다. 이는,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각도 "XX°"에 의해 도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 조치는, 다양한 설치 상황들 및 상이한 시트 모델들 또는 자동차 모델들로의 머리 받침대 고정 수단의 가요적인 적응성(flexible adaptability)을 허용한다.

Claims (10)

  1.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머리 받침대는 연관된 리시빙 슬리브들 내로 푸시되는 하나 이상의, 통상적으로 2 개의 리테이닝 로드들을 가지며,
    상기 리시빙 슬리브들은 연결 요소들에 의해 차량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리시빙 슬리브는 연결 요소에 연결되는, 특히 용접되는 연결 섹션을 갖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시빙 슬리브(4)의 연결 섹션(5) 및 상기 연결 섹션(5)과 접촉하게 되는 구역에 있는 연결 요소(3)는, 상기 연결 요소(3)가 연결 섹션(5)을 따라 변위될 때, 리시빙 슬리브(4)에 대한 연결 요소(3)의 각도가 변화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5)은 외측방으로 만곡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연결 요소(3)를 위한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5)은 상기 연결 섹션의 기본 형상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섹션(5)은 리시빙 슬리브(4)로부터 나가서 측방향으로 평탄한 측면 구역들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는 연결 섹션(5)에 대응하는 라운드형 부분, 특히 내측방으로 형성된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는 넓은 중앙 접촉 구역(8)을 가지며, 상기 구역 상에서, 리시빙 슬리브(4)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는, 접촉 구역(8)에 인접하며 접촉 구역(8)의 평면에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는 2 개의 외부 구역(9)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빙 슬리브(4)로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 요소(3)의 접촉 구역(8)은 만곡되며, 특히 오목하며, 리시빙 슬리브(4)의 연결 섹션(5)의 곡률(curvatur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3)는 리시빙 슬리브(4) 상에서 연결 섹션(5) 보다 연결 요소의 수직 범위가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10. 차량, 특히 자동차용 차량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1)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머리 받침대(6)를 고정하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용 차량 시트.
KR1020137032651A 2011-05-09 2012-05-07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및 머리 받침대를 갖는 차량 시트 KR20140007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0955.1 2011-05-09
DE102011100955 2011-05-09
DE102011112418.0 2011-09-03
DE102011112418A DE102011112418B4 (de) 2011-05-09 2011-09-03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Kopfstütze an einem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mit Kopfstütze
PCT/EP2012/001955 WO2012152427A2 (de) 2011-05-09 2012-05-07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kopfstütze an einem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mit kopfstütz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479A true KR20140007479A (ko) 2014-01-17

Family

ID=4707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651A KR20140007479A (ko) 2011-05-09 2012-05-07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및 머리 받침대를 갖는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42142A1 (ko)
EP (1) EP2707252A2 (ko)
JP (1) JP5703418B2 (ko)
KR (1) KR20140007479A (ko)
CN (1) CN103517827A (ko)
DE (1) DE102011112418B4 (ko)
WO (1) WO20121524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7344B2 (ja) * 2014-09-22 2018-08-01 アディエント ルクセンブルク ホールディング エス.エー アール.エル.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及び乗り物用座席
DE102015016655A1 (de) 2015-12-19 2017-06-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orrichtung zum Lagern einer Kopfstütze in einer Sitzstruktur eines Fahrzeugsitzes
JP6773959B2 (ja) * 2016-05-09 2020-10-2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の溶接方法
JP6806989B2 (ja) * 2016-08-03 2021-01-0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768565B2 (ja) * 2017-03-10 2020-10-14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DE102017222166B3 (de) * 2017-12-07 2018-1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an einer Rückenlehne des Fahrzeugsitzes sowie Fahrzeugsitz
JP7116337B2 (ja) * 2020-12-03 2022-08-1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420A (en) * 1978-01-13 1979-07-27 Nissan Motor Co Ltd Seat for vehicle
DE8303896U1 (de) * 1983-02-12 1984-05-10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Rueckenlehne fuer kraftfahrzeugsitze mit einer kopfstuetze
JPS62125935A (ja) * 1985-11-26 1987-06-08 Aisin Seiki Co Ltd ヘツドレスト装置
DE3636931C1 (de) * 1986-10-30 1988-06-23 Butz Eugen Otto Kopfstuetze fuer Kraftfahrzeugsitze
US4854642A (en) * 1988-01-15 1989-08-08 Hoover Universal, Inc. Head restraint guide assembly
US5397170A (en) * 1993-09-20 1995-03-14 Shrock Manufacturing, Inc. Headrest bracket
FR2765842B1 (fr) * 1997-07-09 1999-09-10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ysteme de fixation d'une gaine de maintien d'un appuie-tete sur une armature de dossier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5927813A (en) * 1998-02-05 1999-07-27 Tachi-S Co., Ltd. Arrangement of headrest stay holder and holder bracket in vehicles seat
DE19961618C1 (de) * 1999-12-21 2001-04-12 Daimler Chrysler Ag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S6467846B2 (en) * 2000-09-20 2002-10-22 Robert Clough Seat headrest
DE20217258U1 (de) * 2002-11-08 2004-03-18 Lear Corporation, Southfield Kopfstützenverstellvorrichtung
JP4144514B2 (ja) * 2003-11-21 2008-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DE102004013979B3 (de) 2004-03-19 2005-06-30 Johnson Controls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Komponente, insbesondere eine Kopfstütze und insbesondere in oder an einem Fahrzeug
JP4392308B2 (ja) * 2004-09-17 2009-12-24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737501B2 (ja) * 2004-10-28 2011-08-0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4052604B3 (de) * 2004-10-29 2006-04-13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Kopfstützenhülse
DE102005019946B4 (de) * 2005-04-29 2007-01-0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i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DE102006052703B4 (de) * 2006-11-07 2011-02-03 Johnson Controls Gmbh Rückenlehne mit Kopfstützhülse zur Anbringung eines Bauteils
JP5395082B2 (ja) * 2007-09-10 2014-01-2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電気接続保護ユニット
EP2233045B1 (en) * 2008-01-11 2012-04-25 TS Tech Co., Ltd. Headrest support structure
DE102008005987A1 (de) 2008-01-24 2009-07-30 Robert Bosch Gmbh Rohr, insbesondere Hydraulikrohr sowie Herstellungsverfahren
CN201300752Y (zh) * 2008-07-03 2009-09-02 佛山市顺德区中兴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头枕的套管
US7661758B1 (en) * 2008-10-01 2010-02-16 Lear Corporation Head restraint support component for a vehicle seat
DE102008055987B4 (de) * 2008-11-05 2013-06-06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JP5521493B2 (ja) * 2009-11-04 2014-06-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DE102010024637B4 (de) * 2010-06-22 2018-05-30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Kopfstütze
DE202010015086U1 (de) * 2010-11-04 2011-02-03 Universität Kassel Kopfstütze eines Kraftfahrzeugsitzes, umfassend einen Kopfstützenkör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03418B2 (ja) 2015-04-22
EP2707252A2 (de) 2014-03-19
DE102011112418B4 (de) 2013-07-18
JP2014516854A (ja) 2014-07-17
WO2012152427A2 (de) 2012-11-15
CN103517827A (zh) 2014-01-15
US20150042142A1 (en) 2015-02-12
DE102011112418A1 (de) 2012-11-15
WO2012152427A3 (de)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479A (ko) 차량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고정하는 장치 및 머리 받침대를 갖는 차량 시트
US20180001935A1 (en) Module Suppor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6169525B2 (ja) 乗物用シートのクリップ取付構造
CN108312911B (zh) 交通工具用座椅
CN105142987B (zh) 机动车辆用保险杠
US10220883B2 (en)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WO2014033963A1 (ja) 車両用シート
CN104417621A (zh) 具有结构配件的车辆车身
JP2016537253A (ja) 車体
US10604043B2 (en) Seat frame
JP2016523712A (ja) レーザー溶接シームを作る方法及び車両シート
US10040376B2 (en) Seat frame
JP6237480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379893B1 (ko) 차체의 측면들에 브레이즈 용접된 자동차 지붕
US20160075289A1 (en) Bracket for a bodyshell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JP611266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US20180072202A1 (en) Vehicle seat
JP2009202814A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
CN103303229A (zh) 连接件,汽车车厢及把保险杠面板连接到汽车车厢的方法
US10787138B2 (en) Front bumper arrangement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JP6056602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30032630A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US20160075202A1 (en) Link Unit
JP2017109628A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支持構造
JP6218231B2 (ja) 自動車の車体製造方法および自動車の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