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290A -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290A
KR20140007290A KR1020130079649A KR20130079649A KR20140007290A KR 20140007290 A KR20140007290 A KR 20140007290A KR 1020130079649 A KR1020130079649 A KR 1020130079649A KR 20130079649 A KR20130079649 A KR 20130079649A KR 20140007290 A KR20140007290 A KR 2014000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air duct
output signal
pressur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547B1 (ko
Inventor
죈케 마날
베르톨트 부르크
호르스트 뮐러
미햐엘 바흐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7/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luid pressure
    • G01L27/002Calibrating, i.e. establishing true relation between transducer output value and value to be measured, zeroing, linearising or span error deter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1/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plied with non-airborne oxygen or other non-fuel gas
    • F02D21/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plied with non-airborne oxygen or other non-fuel gas peculiar to engines having other non-fuel gas added to combustion air
    • F02D21/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plied with non-airborne oxygen or other non-fuel gas peculiar to engines having other non-fuel gas added to combustion air the other gas being the exhaust gas of eng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7/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2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the parameter being determined by using a model of the engine intake or its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6Intake manifold pressure
    • F02D2200/0408Estimation of intake manifol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덕트(46)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80)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82)의 오프셋(100)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116)이며, 오프셋(100)은 압력 센서(88, 90, 94)의 출력 신호(96)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방법은,
- 차압 센서(80)에 사전 결정된 압력차(82)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으로 에어 덕트(46)를 전환하는 단계(118)와,
-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에서 출력 신호(96)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120)와,
- 출력 신호(96)의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오프셋(100)을 계산하는 단계(1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RRECTING AN OFFSET FOR A PRESSURE DIFFERENCE MEASUR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WHICH IS ARRANGED IN AN AIR DU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압 센서들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보정과 관련한 분야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6 054 043 A1호로부터 내연기관들 장착되는 차압 센서들이 공지되었다. 압력은 열역학적 변수이며, 내연기관에서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 및/또는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을 관류하는 가스의 온도 및/또는 질량의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은 대개, 내연기관의 특정 작동 영역에 대해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최적의 연료량을 분사하기 위해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에 의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뿐 아니라, 대등의 청구항들에 따르는 제어 장치 및 이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서,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이 명시되며, 여기서 오프셋은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명시된 방법은,
- 차압 센서에 사전 결정된 압력차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으로 에어 덕트를 전환하는 단계와,
-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에서 출력 신호 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 측정된 출력 신호 값을 기반으로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명시된 방법은, 차압 센서를 이용한 압력차의 검출이 대개 오프셋에 의해 공차와 결부된다는 고려 사항을 기초로 한다. 다시 말하면, 압력차의 검출 시 에러는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된다. 상기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기지의 압력차에 대해 차압 센서의 출력 신호 값이 검출되고 기지의 압력차에 상응해야 하는 목표하는 출력 신호 값에 대한 간격이 결정됨으로써, 오프셋은 기지의 압력차를 기반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오프셋이 차압 센서의 수명에 걸쳐서 예컨대 부품 드리프트로 인해 변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압력차의 측정 시 오프셋의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압력차가 결정된 경우 항시 정의되고 할당된 출력 신호 값을 확보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기지의 작동 상황들에서 오프셋을 보정하는 점이 제안된다. 예컨대 내연기관이 정지함으로써 에어 덕트 내에 더 이상 압력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 내연기관의 에어 덕트 내에 상기 기지의 작동 상황이 존재한다. 이 경우, 에어 덕트 내 상이한 두 지점 사이의 압력차도 검출될 수 없으며, 이는 오프셋의 보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명시된 방법의 한 개선예에 따라서, 출력 신호 값의 측정을 위해, 출력 신호가 사전 결정된 시간에 걸쳐서 검출되고 필터링된다. 본 개선예는, 단일의 출력 신호 값은 사전 결정된 압력차의 측정 시 예컨대 잡음에 의해 왜곡될 수도 있으며, 이는 잘못된 오프셋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고찰에 기초한다. 사전 결정된 압력차의 측정에서 상기 유형의 "가외치(outlier)"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오프셋은 여러 시점에서 사전 결정된 압력차를 재현하는 출력 신호 값들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명시된 방법의 또 다른 개선예에 따라서, 오프셋은 측정된 출력 신호 값과 과거에 측정된 출력 신호 값을 기반으로 계산된다. 계산은 각각의 임의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신규 오프셋은 실행된 측정과 기존 오프셋을 기반으로 보간될 수도 있다. 이처럼, 가외치가 비교적 오랜 시간에 걸쳐서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가외치"의 영향은 감소한다.
추가 개선예에 따라서, 명시된 방법은, 에어 덕트 내에서 교란 압력이 검출될 경우, 계산된 오프셋을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는, 내연기관의 에어 덕트 내 차압 센서가 다양한 간섭에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차압 센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간섭이 인지되면, 이 시점에 오프셋의 보정은 중지되어야 한다. 명시된 방법의 범주에서, 보정은 각각의 임의의 방식으로 중지될 수 있다. 오프셋의 보정도 수행하면서 오프셋을 계산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보정이 실행되고 나서 파기될 수는 있으나, 교란 압력이 검출된다는 전제 하에서는 애초에 오프셋의 경우에 따른 보정이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의 한 특별한 개선예에 따라서, 에어 덕트는 내연기관 내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덕트의 부분이다.
상기 방법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교란 압력은 배기가스 흡인 시스템을 통해 에어 덕트 내로 공급된 부압이다. 상기 유형의 교란은 일시적일 뿐이며, 확실하게 차압 센서의 에러로서 배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유형의 흡인 시스템은 대개 검사의 목적으로, 예컨대 배기가스 검사를 위해 차량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에어 덕트가 내연기관 내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덕트라면, 흡인 시스템을 통해 공급되는 부압이 곧바로 상기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덕트에 인가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부압은 흡인 시스템을 이용한 검사 시간 동안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덕트 내에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될 차압을 왜곡시키게 된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개선예에 따라서, 교란 압력은 에어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추가 에어 덕트에 인가되며, 이때 출력 신호가 에어 덕트로부터 분기된 에어 덕트의 개방 정도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 교란 압력이 존재한다. 개방 정도는 예컨대 밸브나 플랩처럼 에어 덕트의 횡단면에 영향을 주는 작동 부재들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작동 부재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 에어 덕트로서의 배기 장치 내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플랩이거나, 컴프레서 전방의 신선 공기 스로틀 밸브이거나, 배기가스 측 또는 신선 공기 측의 3방향 제어 밸브일 수 있다. 본 개선예는, 에어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에어 덕트에 인가되는 전술한 부압은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과는 무관하다는 고찰에 기초한다. 다시 말해, 내연기관이 작동 중인지, 아니면 내연기관이 정지해 있는지의 여부는 상관이 없으며, 교란 압력의 존재 시 차압 센서는, 어느 경우든 추가 에어 덕트에 교란 압력이 인가되면, 추가 에어 덕트의 개방 정도가 작동 부재를 통해 변경될 때 에어 덕트 내에서 변하는 차압을 검출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차압은 에어 덕트의 개방 정도에 영향을 주는 작동 부재에 의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는 밸브이거나 플랩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어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에어 덕트의 개방 정도에 대한 출력 신호의 의존성은, 에어 덕트의 2가지 이상의 개방 정도에서 완전 개방 시와 완전 폐쇄 시 측정될 압력차에 대해 검사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에어 덕트가 완전 개방된 경우에도 에어 덕트 내에 압력이 형성될 수 없다. 따라서 에어 덕트는 약간 폐쇄되어야 하면서도 여전히 관류될 수 있어야 한다.
또 다른 개선예에 따라서, 에어 덕트에 질량 유량이 없다면, 차압 센서에 사전 결정된 압력차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이 존재한다. 이로써 에어 덕트 내에 또 다른 압력이 형성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사전 결정된 압력차는 영(0)으로 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전 결정된 영(0)의 압력차는 영(0)의 교란 압력에 의해서만 변경될 수 있다.
한 특별한 개선예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회전수가 영(0)이면, 에어 덕트에 질량 유량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처럼,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은 별도의 센서 기술적 조치 없이 검출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내연기관이 사전 결정된 시간 동안 정지해 있는 경우, 내연기관의 회전수는 영(0)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연기관의 연소실로부터 잔여 가스가 에어 덕트를 통해 이동되지 않는 점도 보장되는, 내연기관의 정상 상태(steady state)가 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라서,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특히 컴퓨터 유닛이 제공되고, 오프셋은 압력 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상기 장치는,
- 차압 센서에 사전 결정된 압력차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으로 에어 덕트를 전환하고,
-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에서 출력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며,
- 출력 신호의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오프셋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치는, 제시된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을 종속항들에 따라 실행할 수 있도록 임의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본원의 장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원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메모리로부터 프로세서로 로딩되면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세서가 제공된다.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라서, 차량은 본원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과도 관련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또는 명시된 장치들 중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될 때, 상기 방법들 중 한 방법의 모든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도 관련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판독 가능 데이터 캐리어에 저장되며,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때 상기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을 통해 신선 공기를 공급받고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을 통해 연소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내연기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압력차의 계산에 이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상기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필적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고 한 번만 설명된다.
도 1에는,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과, 내연기관(2) 내로 신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6)을 포함하는 내연기관(2)이 도시되어 있다.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6)은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볼 때 공기 흡입구(8)와, 공기 필터(10)와, 핫필름 타입 공기 흐름 센서(12)와, 분기(14)와, 컴프레서(16)와, 냉각기(18)와, 밸브(20)와, 분기(22)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흡입구(8)로부터 컴프레서(16)까지의 공기 경로는, 신선 공기의 압력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는 제1 섹션(24)을 의미하고, 컴프레서(16)에서 내연기관(2)까지의 공기 경로는 신선 공기의 압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제2 섹션(26)을 의미한다.
도 1의 상부 영역에 도시된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은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분기(28)와, 배기가스 터빈(30)과, 산화 촉매 컨버터(32)와, 미립자 필터(34)와, 분기(36)와, 배기가스 플랩(38)과, 머플러(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내연기관(2)에서 배기가스 터빈(30)까지의 배기가스 경로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섹션(42)을 의미하고, 배기가스 터빈(30)에서 머플러(40)까지의 배기가스 경로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는 섹션(44)을 의미한다. 배기가스의 압력은 섹션(44)을 따라 단계적으로 배기가스 터빈(30), 산화 촉매 컨버터(32) 및 미립자 필터(34)를 통해, 상기 부재들에서 발생하는 유동 저항에 상응하게 소멸될 수도 있다.
도 1의 좌측 영역에서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의 분기(36)와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6)의 분기(14) 사이에는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가 존재한다.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는 설비(48)와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를 포함한다.
도 1의 우측 영역에서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의 분기(28)와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6)의 분기(22) 사이에는 고압 배기가스 재순환부(52)가 존재한다. 고압 배기가스 재순환부(52)는 설비(54)와 고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6)를 포함한다. 상기 설비들(48, 52)은 본 실시예에서 바이패스와 밸브를 구비한 (상세히 설명하지 않은) 배기가스 재순환 냉각기를 각각 하나씩 포함한다.
내연기관(2)이 작동되면, 공기 필터(10)와 핫필름 타입 공기 흐름 센서(12)를 통해 저압 신선 공기(58)가 흐르며, 상기 저압 신선 공기는 분기(14)에서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를 통해 재순환된 저압 배기가스(60)에 의해 농후화된다. 농후화된 저압 신선 공기(62)는 컴프레서(16)에서 압축된다. 압축되고 농후화된 저압 신선 공기(64)는 섹션(22)에서 재순환된 고압 배기가스(66)에 의해 농후화되어, 고압 신선 공기(68)로서 연료의 연소를 위해 내연기관(2)으로 공급된다.
내연기관(2)은 연소의 결과로서 고압 배기가스(70)를 배출하며, 이 고압 배기가스로부터 섹션(28)에서 재순환되는 배기가스(66)가 분기된다. 이 경우, 재순환되는 배기가스(66)의 양은 고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6)에 의해 조정된다. 고압 배기가스(70)의 잔량(72)은 배기가스 터빈(30) 내에서 저압 배기가스(74)로 감압된다. 섹션(36)에서 저압 배기가스(74)로부터 재순환되는 저압 배기가스(60)가 분기되는 한편, 저압 배기가스(74)의 잔량(76)은 배기관(78)을 통해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과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6)을 포함하는 내연기관(2)에 제어 장치(80)가 연결된다. 제어 장치(8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내연기관(2) 내 연소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시스템의 부분일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80)가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과 신선 공기 흡입 시스템(6)을 포함하는 내연기관(2)의 컴포넌트들에서 기능 효율성 진단을 수행하는 별도의 진단 장치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80)는 예컨대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차(82)의 검출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80)는 측정 장치로서 사용된다. 이는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의 전방에서 재순환되는 저압 배기가스(60)의 압력(84)과,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의 후방에서 재순환되는 저압 배기가스(60)의 압력(86)의 검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검출된 두 압력은 제어 장치(80) 내에서 서로 감산되며, 그 결과 검출될 압력차(82)가 도출된다.
이제, 압력차(82)의 계산에 이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80)의 일부분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80)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의 전방에서 재순환되는 저압 배기가스(60)의 압력(84)을 변환하기 위한 제1 측정 변환기(88)와,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의 후방에서 재순환되는 저압 배기가스(60)의 압력(86)을 변환하기 위한 제2 측정 변환기(90)를 포함한다. 두 측정 변환기는 그에 상응하게 제1 전기 측정 신호(91)와 제2 측정 신호(92)를 송출하고, 이어서 상기 전기 측정 신호들은 감산 부재(94)에서 서로 감산된다. 상기 감산의 결과는 차압(82)에 대한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이다. 이와 관련하여, 차압(82)에 대한 전기 측정 신호(96)는 압력 센서 자체에 의해서도 송출될 수 있다는 점을 참조한다.
차압(82)에 대한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는 부품 공차, 측정 기술적 변동들 및 여타 영향으로 인해 공차와 결부된다. 그러나 확인된 점에 따르면, 상기 공차는 실질적으로, 차압(82)에 대한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의 레벨과 무관한 오프셋(100)에 상응한다. 그러므로 차압(82)에 대한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는 가산 소자(102)에서 오프셋(100)만큼 보정될 수 있으며, 이는 차압(82)에 대해 보정된 전기 측정 신호(104)를 야기한다.
오프셋(100)은 예컨대 메모리(106)에 저장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될 수 있다.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에서 공차는 더욱 오랜 시간에 걸쳐서 예컨대 부품 드리프트로 인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80)의 본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오프셋(100)을 보정할 수 있는 오프셋 보정 유닛(108)이 제공된다.
오프셋 보정 유닛(108)은 내연기관(2)의 특정 작동 상태에서 오프셋(100)의 보정을 실행한다. 상기 특정 작동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내연기관(2)의 작동이 멈춘 경우 내연기관(2)의 정지이다. 이를 위해, 오프셋 보정 유닛(108)은 내연기관(2)의 실제 상태(110)를 수신하고, 상기 실제 상태가 특정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지를 검사한다. 실제 상태(110)가 특정 상태에 상응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출에 대해서는 이후에 내연기관(2)이 정지하고 작동이 멈추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를 토대로 더욱 상세하게 다루어진다.
또한, 내연기관(2)이 특정 작동 상태에 있다면, 오프셋 보정 유닛(108)은,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 내의 압력비도 알게 된다. 내연기관(2)이 예컨대 정지하면, 신선 공기가 흡입되지 않고 배기가스도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차압이 발생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측정되는 차압(82)은 영(0)으로 간주될 수 있다. 차압(82)이 영(0)이라면, 차압(82)에 대한 보정된 측정 신호(104)에 대한 소정의 레벨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면, 정의된 소정의 레벨과 차압(82)에 대해 보정되지 않은 측정 신호(96)에서 설정되는 레벨 사이의 차분이 보정된 오프셋(100)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오프셋 보정(100)을 위한 상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차후에 다룰 것이다.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 내에 교란 압력이 존재한다면, 오프셋 보정은 억제될 수 있다. 도 1에는, 내연기관(2)이 배기가스 흡인 시스템(111)에 연결되어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기가스 흡인 시스템(111)은 흡입 모터(95)를 이용하여 배기관(78)으로부터 저압 배기가스(74)의 잔량(76)을 흡입하고, 그에 따라 차압(82)의 측정을 왜곡하는 압력을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 내로 공급한다. 검출된 차압이 예상 차압에 상응하는지 여부의 전술한 검사가 의도하지 않은 오프셋 산출을 초래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라서, 경우에 따른 검사 결과를 파기하거나, 애초에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 점이 제안된다.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4)에 배기가스 흡인 시스템(111)이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가스 배출 시스템 내에서 여러 작동 부재가 작동될 경우, 차압(82)의 시간에 따른 거동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오프셋 보정 유닛(108)은 제1 제어 신호(112)로 배기가스 플랩(38)을, 그리고 제2 제어 신호(114)로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를 제어하고 조정할 수 있다.
우선, 제어 장치(80)는 제2 제어 신호(114)를 이용하여,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에서 차압(82)이 감소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가 개방되면 차압(82)이 형성될 수 없으므로,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50)의 위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는 위치로 선택되어야 한다.
이후, 제어 장치(80)는 제1 제어 신호(112)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플랩(38)을 조정한다. 배기가스 플랩(38)의 조정을 통해, 내연기관(2)의 정지 시 전술한 작동 상태로서 차압(82)에서의 변화가 없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 내에 압력이 형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상기 압력은 배기가스 흡인 시스템(111)을 통해 저압 배기가스 재순환부(46) 내로 공급되며, 그 때문에 배기가스 플랩(38)의 조정 시 차압도 변동한다. 이 경우, 차압의 검출을 위해 기능 효율성 검사는 불허되거나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이제, 명시된 방법(116)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본원의 방법(116)에서는, 우선 단계 118에서 내연기관(2)의 실제 상태가 소정의 작동 상태에 상응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내연기관(2)이 정지해 있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 내연기관(2)의 회전수가 검출될 수 있고, 이 회전수가 사전 결정된 시간 동안 영(0)이라면, 내연기관(2)은 정상 상태이며 정지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내연기관(2)의 정지가 검출된 후에, 단계 120에서 사전 결정된 기간에 걸쳐서 차압(82)에 대해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의 복수의 레벨이 감지될 수 있다. 내연기관(2)의 정지 시 차압(82)은 변경되면 안 되기 때문에, 개별 레벨들은 서로 동일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에 대한 다른 부정적인 영향과 잡음을 통한 간섭을 필터링하기 위해, 차압(82)에 대한 보정되지 않은 전기 측정 신호(96)의 개별 레벨들은 단계 122에서 예컨대 평균값 계산을 통해 필터링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영(0)의 차압(82)이 할당될 수 있는 실제 레벨이 확정된다. 그러나 소정의 설정 레벨에서 영(0)의 차압(82)이 출력된다면, 실제 레벨은 실제 레벨을 설정 레벨로 높이는 오프셋(100)만큼 보정되어야만 한다. 상응하는 오프셋(100)은 예컨대 실제 레벨과 설정 레벨 상호 간의 감산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24에서, 상기와 같이 결정된 오프셋(100)은 메모리(106)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 대안으로, 상기와 같이 결정된 오프셋(100)은 단계 126에서 가중 계수로 가중될 수 있다.
단계 128에서 기존 오프셋(100)이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될 수 있고, 단계 130에서 추가 가중 계수로 가중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중된 두 오프셋(100)은 단계 132에서 평균될 수 있고, 이때 평균에 의해 도출된 신규 오프셋은 메모리(106)에 신규 오프셋(100)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Claims (11)

  1. 에어 덕트(46)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80)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82)에 대한 오프셋(100)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116)이며, 상기 오프셋(100)은 압력 센서(88, 90, 94)의 출력 신호(96)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오프셋 보정 방법에 있어서,
    - 차압 센서(80)에 사전 결정된 압력차(82)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으로 에어 덕트(46)를 전환하는 단계(118)와,
    - 상기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에서 출력 신호(96)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120)와,
    - 상기 출력 신호(96)의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오프셋(100)을 계산하는 단계(122)를 포함하는, 오프셋 보정 방법(116).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신호(96)의 레벨의 측정을 위해, 사전 결정된 시간에 걸쳐 출력 신호(96)가 검출되어 필터링되는, 오프셋 보정 방법(116).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100)은 출력 신호(96)의 측정된 레벨과 상기 출력 신호(96)의 과거에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계산되는(132), 오프셋 보정 방법(116).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 에어 덕트(46) 내에서 교란 압력이 검출되면, 계산된 오프셋(100)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셋 보정 방법(116).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교란 압력은 배기가스 흡인 시스템(111)을 통해 에어 덕트(46) 내로 공급되는 부압인, 오프셋 보정 방법(116).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 압력은, 에어 덕트(78)로부터 분기되는 에어 덕트(46)의 개방 정도에 따라 출력 신호(96)가 변경될 때 존재하는, 오프셋 보정 방법(116).
  7. 제6항에 있어서, 에어 덕트(46)로부터 분기된 에어 덕트(78)의 개방 정도에 대한 출력 신호(96)의 의존성은, 완전 개방 상태보다는 작고 완전 폐쇄 상태보다는 큰 에어 덕트(46)의 개방 정도에서 검사되는, 오프셋 보정 방법(116).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어 덕트(46)에 질량 유동이 없다면, 차압 센서(80)에 영(0)의 압력차(82)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이 존재하는, 오프셋 보정 방법(116).
  9. 에어 덕트(46)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80)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82)의 오프셋(100)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80)이며, 상기 오프셋(100)은 압력 센서(88, 90, 94)의 출력 신호(96)로 계산되는 오프셋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80)는,
    - 차압 센서(80)에 사전 결정된 압력차(82)가 인가된 것으로서 간주되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으로 에어 덕트(46)를 전환하고(118),
    - 상기 사전 결정된 작동 상황(110)에서 출력 신호(96)의 레벨을 측정하며(120),
    - 상기 출력 신호(96)의 측정된 레벨을 기반으로 오프셋(100)을 계산하도록(122) 구성되는, 오프셋 보정 장치(80).
  10. 제9항에 따른 제어 장치(80)를 포함하는 차량.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데이터 캐리어.
KR1020130079649A 2012-07-09 2013-07-08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04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1900.0 2012-07-09
DE102012211900.0A DE102012211900B4 (de) 2012-07-09 2012-07-09 Verfahren zur Korrektur eines Offsets für eine mit einem in einem Luftkanal angeordneten Druckdifferenzsensor gemessene Druckdifferen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90A true KR20140007290A (ko) 2014-01-17
KR102004547B1 KR102004547B1 (ko) 2019-07-26

Family

ID=4978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649A KR102004547B1 (ko) 2012-07-09 2013-07-08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1519B2 (ko)
JP (1) JP6178644B2 (ko)
KR (1) KR102004547B1 (ko)
DE (1) DE10201221190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92B1 (ko) * 2018-12-07 2020-03-0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Egr 시스템의 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9015B2 (ja) * 2011-06-06 2016-06-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US10377112B2 (en) 2014-09-12 2019-08-13 Nike, Inc. Membranes and uses therof
WO2018005295A1 (en) 2016-06-29 2018-01-04 Nike Innovate C.V. Multi-layered structures and uses thereof
EP3505897B1 (en) * 2016-08-29 2024-03-06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roadside device,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control program, and roadside device control program
US11112269B2 (en) * 2018-07-09 2021-09-07 Analog Devic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lf-testing MEMS inertial sensors
FR3088366B1 (fr) * 2018-11-09 2020-10-23 Safran Aube de stator
CN109613187B (zh) * 2019-02-22 2024-01-02 上海立格仪表有限公司 一种气体监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0301A (ja) * 1981-03-05 1983-02-24 バブコツク−ブリストル リミテツド 環境要因に対応するブリツジ回路補償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137727A (ja) * 1982-02-09 1983-08-16 Suzuki Motor Co Ltd 圧力検出装置
JP2010237104A (ja) * 2009-03-31 2010-10-21 Toyo Denso Co Ltd 空気圧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8930A (ja) * 1983-05-27 1984-12-10 Suzuki Motor Co Ltd 圧力検出装置の補正装置
US4817022A (en) * 1986-07-30 1989-03-28 Barber-Colma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offset compensation in parameter-sensing transducer systems
US5606117A (en) * 1991-02-27 1997-02-25 Robert Bosch Gmbh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press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6027507A1 (de) 2006-06-14 2007-12-20 Testo Ag Messgerät mit Druckaufnehmer und Vorrichtung zur Offsetkorrektur
DE102006054043A1 (de) 2006-11-16 2008-05-21 Volkswagen Ag Brennkraftmaschine mit Abgasrückführung
DE102010035705A1 (de) 2010-08-27 2012-03-01 Volkswagen Ag Verfahren zur Verifizierung eines unter Anwendung wenigstens einer Messung ermittelten ersten Wertes,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Diesel-Partikelfilters und Vorrichtung zur Verifizierung eines Differenzdruckwertes
US8479580B2 (en) * 2011-02-18 2013-07-09 Schneider Electric Buildings, Llc Pressure transducer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0301A (ja) * 1981-03-05 1983-02-24 バブコツク−ブリストル リミテツド 環境要因に対応するブリツジ回路補償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137727A (ja) * 1982-02-09 1983-08-16 Suzuki Motor Co Ltd 圧力検出装置
JP2010237104A (ja) * 2009-03-31 2010-10-21 Toyo Denso Co Ltd 空気圧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92B1 (ko) * 2018-12-07 2020-03-0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Egr 시스템의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91519B2 (en) 2016-03-22
JP2014016350A (ja) 2014-01-30
DE102012211900B4 (de) 2022-03-24
US20140007647A1 (en) 2014-01-09
JP6178644B2 (ja) 2017-08-09
KR102004547B1 (ko) 2019-07-26
DE102012211900A1 (de)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290A (ko)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CN104685172B (zh) 用于运行内燃机的方法和装置
US9145851B2 (en) Method for diagnosing a low pressure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5841539B2 (ja) 燃焼エンジンのegr率の測定及び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2251509A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JP4395120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KR102015409B1 (ko) 내연기관의 에어 덕트 내에 배치된 차압 센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JP2008038648A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
KR101406636B1 (ko) Egr시스템
US11035301B1 (en) Method for preventing engine air flow calculation error and engine system thereof
US916357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ressure at the output of an exhaust gas system
WO2013190933A1 (ja) 内燃機関の排気還流装置及び排気還流装置のegr算出方法
CN105715395B (zh) 用于检查在用于内燃机的供气系统中的基于压力的质量流量传感器的方法和装置
CN102102593B (zh) 针对选定运行阶段中的功能的氧传感器运行预备性识别法
WO2018147005A1 (ja) 絶対湿度センサ
US7941280B2 (en) Procedure and device for checking the functionality of a tank ventilation valve
US10247117B2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JP200609021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010075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tmospheric pressure during the operation, in a partial load state, of a turbocharged engine
JP2016160855A (ja) 内燃機関のエミッション推定装置
JP201700282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N106471238B (zh) 用于分析处理特性曲线的偏差的方法
KR101134976B1 (ko) Egr 장착 차량의 maf 센서 열화 신호 출력 방법
JPH0649876Y2 (ja) スロットル開度検出器の故障診断装置
JP202119591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