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231A -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 Google Patents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231A
KR20140007231A KR1020120074791A KR20120074791A KR20140007231A KR 20140007231 A KR20140007231 A KR 20140007231A KR 1020120074791 A KR1020120074791 A KR 1020120074791A KR 20120074791 A KR20120074791 A KR 20120074791A KR 20140007231 A KR20140007231 A KR 20140007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as
rice
electricity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738B1 (ko
Inventor
김진부
Original Assignee
김진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부 filed Critical 김진부
Priority to KR102012007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7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밥은 짓는 단계에서는 가스를 이용하고 보온 단계에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사용이 편리한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에 있어서, 전체 밥솥의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인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내부에 밥을 짓기 위한 쌀과 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 상단에 결합하는 뚜껑; 상기 안착부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지지되어 용기와 안착부 사이에 연통공간을 형성시키는 지지단; 상기 안착부 밑의 몸체에 고정되는 가스 버너; 상기 안착부의 측면으로 상기 용기에 열을 인가하는 전기 가열부; 및 상기 지지단의 위치, 가스 버너의 작동 및 전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Rice coker using gas and electric}
본 발명은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밥짓는 단계에서는 가스를 이용하고, 보온 단계에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체 에너지 배분이 효율적인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밥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을 수 있으나, 근래에는 대부분 전기 밥솥을 이용한다.
상기 전기 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밥을 지으며, 밥짓기가 완료된 후에는 역시 전기를 이용하여 보온으로 밥을 항상 따뜻하게 보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기 밥솥은 매우 다양한 기술들이 접목되어 생산되고 있으며, 압력 밥솥의 기능도 추가되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121425호에는 뚜껑이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뚜껑과 본체 사이의 접합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918801호에는 소비자가 직접 밥솥의 보온 온도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솥 내부의 뚜껑부에서 물 맺힘이 생기는 현상을 소비자가 직접 보면서 상부 히터의 전력을 제어하도록 하여 밥솥 내부의 뚜껑부에서 발생하는 물 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보온 온도 및 상부 히터 제어 방법과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밥솥의 품질을 증가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406980호에는 잠금 표시 램프를 구비하여 밥솥뚜껑과 밥솥몸체의 결합을 조작하는 핸들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서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뚜껑과 몸체의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취사 도중 발생할 수 있었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발명들은 특별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기능에 의하여 상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구성들이며, 밥의 시작 단계부터 보온 단계까지 모두 전기를 이용하는 구성들이다.
특히 전기밥솥의 경우에는 밥짓는 단계에서 많은 전기를 소모하므로, 밥의 소모가 많은 영업점인 경우에는 가스를 이용한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은 전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밥을 짓기 위해서는 경험이 필요하며, 또한 보온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가스식 및 전기식 밥솥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밥은 짓는 단계에서는 가스를 이용하고 보온 단계에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사용이 편리한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에 있어서, 전체 밥솥의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인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내부에 밥을 짓기 위한 쌀과 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 상단에 결합하는 뚜껑; 상기 안착부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지지되어 용기와 안착부 사이에 연통공간을 형성시키는 지지단; 상기 안착부 밑의 몸체에 고정되는 가스 버너; 상기 안착부의 측면으로 상기 용기에 열을 인가하는 전기 가열부; 및 상기 지지단의 위치, 가스 버너의 작동 및 전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압력 센서와 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기 가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단은 용기를 지지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을 이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밥을 짓는 경우 소용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 가격에 인한 에너지 비용을 가스를 이용하여 비용을 저감시키고, 또한 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보온 유지가 힘든 단점을 전기를 이용하여 보온 가능하므로, 가스식 밥솥과 전기식 밥솥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전체 에너지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안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지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의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10), 내부에 물과 쌀을 담으며, 최종적으로 완성된 밥이 담기는 용기(20), 상기 용기(20)를 밀폐시키는 뚜껑(30), 상기 용기(20)를 수용하며, 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부(40), 상기 안착부(40)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20)를 지지하는 지지단(50), 상기 안착부(4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20)에 보온을 위한 열을 가하는 전기 가열부(60), 상기 안착부(40) 하단에 위치하는 가스 버너(70), 전체 밥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전체 밥솥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열이 가해지는 부위는 금속을 사용하고 나머지 열이 가해지지 않는 부위는 내열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안전을 위하여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0)는 축대칭 형태의 홀이 형성되는 구조로 하단은 좁게 상단을 넓게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40)의 측벽(41)은 금속제로 구성하고, 상단(42) 및 하단(43)은 개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40)의 하단(43)에는 지지단(5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50)은 측벽(4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단(51)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51)은 별도의 액추에이터(52)에 의하여 상기 측벽(41)에 돌출 또는 함몰되는 형태로 작동한다.
상기 돌출단(51)은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며, 적어도 측벽(41) 원주 방향으로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단(51)에는 용기(20)의 밑단(21)이 안착된다.
상기 용기(20)는 안착부(40)에 형태와 동일하게 밑단(21)은 좁게 윗단은 넓게 형성한다.
상기 돌출단(51)이 돌출된 경우 용기(20)와 안착부(40) 사이에는 연통공간(11)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간(11)은 몸체(10)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된 형태이다
한편, 상기 돌출단(51)이 액추에이터(52)의 작동에 의하여 측벽(41) 내부로 함몰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는 상기 안착부(40)에 정확히 일치하여 결합한다.
한편, 상기 용기(20)의 상단에는 뚜껑(30)이 결합한다. 상기 뚜껑(30)은 필요한 경우 클램핑에 의하여 결합하여 내부에 일정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30)에는 용기(2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31)를 포함하고 일정 이상의 압력이 용기에서 발생하는 경우 내부 압력을 배출하는 밸브(32)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32)는 필요한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40)의 하단에는 가스 버너(70)가 위치하며, 상기 가스 버너(70)는 몸체(10)에 연결되며, 외부의 가스관과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가스 버너(70)는 전기적으로 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초기 가스불을 붙이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버너(70)는 상기 용기(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설치되어야 상기 가스 버너(70)의 가스불이 상기 용기(20)에 연속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버너(70)에 위치하는 몸체(10)는 연소를 유지시키기 위한 공기 유입을 위하여 개방형태로 구성하며, 가스 버너(70) 하부 역시 개방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버너(70)는 상기 용기(20)가 지지단(50)에 지지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며, 이때 연소된 가스는 상기 연통공간(11)을 통과하여 몸체(10) 상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측벽(41)에는 용기(20)의 보온을 위한 전기 가열부(60)가 부착되며, 상기 전기 가열부(60)는 상기 지지단(50)이 몸체(10)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용기(20)가 상기 측벽(41)에 접촉한 경우에 작동하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온도 센서(6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91)와 내부에 별도의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센서(31), 온도 센서(61)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가스 버너(70), 전기 가열부(60), 액추에이터(52) 및 밸브(32)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9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밥을 짓기 위해서 입력장치(91)를 통하여 작동을 지시하면, 상기 제어장치(90)는 상기 액추에이터(52)를 작동시켜 지지단(50)이 측벽(41)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연통공간(1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90)는 가스 버너(70)를 작동시키고, 초기에는 높은 화력으로 용기(20)를 가열한다.
가스 버너(70) 가열중 상기 압력 센서(31)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 상기 밸브(32)를 개방하여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가스 버너(70)의 화력을 저감시킨다.
일정 시간 후에는 상기 가스 버너(7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동시에 상기 액추에이터(52)를 작동시켜 지지단(50)을 측벽(41)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후에는 전기 가열부(60)를 온도 센서(61)와 연동하여 제어하면서 용기(20)를 보온한다.
상기 제어장치(90)의 제어 방법은 일실시예에 해당되고, 필요한 경우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31)는 시간을 기준으로 제어하는 경우 삭제 가능하며, 상기 지지단(50)은 회전 형태로 작동하는 돌출단(51)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몸체 11: 연통공간
20: 용기 21: 밑단
30: 뚜껑 31: 압력 센서
32: 밸브 40: 안착부
41: 측벽 42: 상단
43: 한단 50: 지지단
51: 돌출단 52: 액추에이터
60: 전기 가열부 61: 온도 센서
70: 가스 버너 90: 제어장치
91: 입력장치 100: 밥솥

Claims (5)

  1.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에 있어서,
    전체 밥솥의 구조를 지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인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내부에 밥을 짓기 위한 쌀과 물이 담기는 용기;
    상기 용기 상단에 결합하는 뚜껑;
    상기 안착부 하부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가 지지되어 용기와 안착부 사이에 연통공간을 형성시키는 지지단;
    상기 안착부 밑의 몸체에 고정되는 가스 버너;
    상기 안착부의 측면으로 상기 용기에 열을 인가하는 전기 가열부; 및
    상기 지지단의 위치, 가스 버너의 작동 및 전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압력 센서와 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기 가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용기를 지지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을 이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KR1020120074791A 2012-07-09 2012-07-09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KR10139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91A KR101393738B1 (ko) 2012-07-09 2012-07-09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91A KR101393738B1 (ko) 2012-07-09 2012-07-09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31A true KR20140007231A (ko) 2014-01-17
KR101393738B1 KR101393738B1 (ko) 2014-05-13

Family

ID=5014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791A KR101393738B1 (ko) 2012-07-09 2012-07-09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2275A (zh) * 2015-01-26 2015-05-20 王绍明 错位控制式放气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214B1 (ko) 2020-10-19 2021-10-1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압력밥솥 겸용의 전기밥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848B1 (ko) * 1995-11-14 1998-11-16 구자홍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3276889B2 (ja) * 1997-06-19 2002-04-22 大阪瓦斯株式会社 炊飯方法、及び、炊飯器
JP2001145562A (ja) * 1999-11-22 2001-05-29 Osaka Gas Co Ltd セパレート型ガス炊飯器
KR200378462Y1 (ko) * 2004-11-19 2005-03-11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2275A (zh) * 2015-01-26 2015-05-20 王绍明 错位控制式放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738B1 (ko)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7148A1 (en) Gas Burner for a Gas Hob, Gas Cooker, and Method for Operating a Gas Hob
KR101526157B1 (ko) 업소용 대형 국솥
CN105091043A (zh) 灶具及其煲汤控制装置和方法
KR101244144B1 (ko) 가스레인지
WO2009070988A1 (fr) Bouilloire électrique pour chauffer l'eau et la maintenir chaude
KR101393738B1 (ko) 가스 및 전기를 이용한 밥솥
KR100966716B1 (ko) 업소용 대형 국솥
CN210018935U (zh) 一种蒸汽发生器
KR20170069186A (ko) 다(多) 구획 분할 전기레인지
KR101354786B1 (ko) 음식조리용 찜기
JP2015043933A (ja) 炊飯装置、および炊飯方法
KR101457765B1 (ko) 중량 감지식 안전장치가 구비된 가스렌지
KR200480298Y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가스 및 전기 겸용 레인지
JP6073111B2 (ja) 加熱調理器
KR100541191B1 (ko) 시루떡 증숙용 스팀발생장치
CN208301510U (zh) 锅盖组件及加热灶具
KR10092732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14095538A (ja) 加熱調理器
KR101745312B1 (ko) 가스레인지에서 압력밥솥 자동검지에 따른 과열방지방법
CN101766451B (zh) 一种多功能蒸烤炸机
CN204813364U (zh) 煮饭器
JP6197166B2 (ja) 電気湯沸器
CN204813331U (zh) 煮饭器
CN103836654A (zh) 数字式瓦斯锅加热装置及其控制方法
CN203723882U (zh) 一种智能燃气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