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041A -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041A
KR20140007041A KR1020120073377A KR20120073377A KR20140007041A KR 20140007041 A KR20140007041 A KR 20140007041A KR 1020120073377 A KR1020120073377 A KR 1020120073377A KR 20120073377 A KR20120073377 A KR 20120073377A KR 20140007041 A KR20140007041 A KR 20140007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silver powder
conductive composition
electrode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 사토
가즈노리 이시카와
가즈오 아라카와
오사무 가지타
히로시 모리모토
유지 스기타니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다 킨조쿠 하쿠훈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다 킨조쿠 하쿠훈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7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041A/ko
Publication of KR2014000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성이 우수하고, 애스펙트비가 높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0.5 ∼ 5.0 ㎛ 인 구상 은 분말 (A) 과, 평균 두께가 0.05 ∼ 0.2 ㎛ 이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4 ∼ 1.1 g/㎤ 인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함유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CONDUCTIVE COMPOSITION FOR MAKING CURRENT COLLECTING ELECTRODE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은 입자 등의 도전성 입자에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등) 나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유기 용제, 경화제, 촉매 등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얻어지는 은 페이스트 (도전성 조성물) 를, 합성 수지 기재 위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 에 소정의 회로 패턴이 되도록 인쇄하고, 이것들을 가열하여 도체 회로를 이루는 도전성 배선을 형성하고, 회로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레이저 회절법 50 % 입경이 3 ∼ 8 ㎛ 이고, 겉보기 밀도가 0.4 ∼ 1.1/㎤ 이고, 또한 BET 법 비표면적치가 1.5 ∼ 4.0 ㎡/g 인 플레이크상 은 분말, 및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체 페이스트로서, 상기 도체 페이스트는, 150 ∼ 200 ℃ 사이에 전기 저항값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페이스트.」 가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5]).
또, 특허문헌 2 에는, 「3 ∼ 8 ㎛ 의 평균 입경, 1.5 ∼ 4.0 ㎡/g 의 비표면적 및 0.4 ∼ 1.1 g/㎤ 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 박편상 은 분말 A, 3 ∼ 10 ㎛ 의 평균 입경, 0.6 ∼ 1.2 ㎡/g 의 비표면적 및 1.5 ∼ 2.1 g/㎤ 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 박편상 은 분말 B, 그리고 수지를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로서, 박편상 은 분말 A 를 박편상 은 분말 A 와 박편상 은 분말 B 의 합계 중량 100 부에 대해 30 ∼ 95 중량부가 되는 비율로 함유하고, 그리고 박편상 은 분말 A 와 박편상 은 분말 B 의 합계를 도전성 페이스트의 고형분에 대해 35 ∼ 85 중량% 가 되도록 함유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전기 저항률이 20 × 10-6 Ω·㎝ 이하인 금속 재료 (A) 와, 수산기를 1 개 이상 갖는 지방산 은염 (B) 과, 비점이 200 ℃ 이하인 2 급 지방산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2 급 지방산 은염 (C) 을 함유하는 도전성 조성물.」 이 기재되어 있고 ([청구항 1]), 임의 성분으로서 에폭시 수지 등의 조막성 (造膜性) 수지가 기재되어 있고 ([0061]), 금속 재료 (A) 로서 실시예에서는 은 분말이 사용되고 있다 ([007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55701호 일본 특허 제39558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92684호
그러나, 본 발명자가 특허문헌 1 ∼ 3 에 기재된 페이스트 재료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선 폭이 좁은 회로 패턴이 많이 존재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을 형성하면, 단선이나 사행 (蛇行), 번짐 등의 발생에 의해 인쇄성이 떨어지고, 또, 전극의 단면 (斷面) 의 높이와 폭의 비율 (높이/폭) (이하, 「애스펙트비」라고 한다) 도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리콘형 태양 전지의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에는 피라미드상의 미세 텍스처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텍스처의 형상에 따라서는, 인쇄된 페이스트 재료가 텍스처의 홈을 따라 젖어 퍼지는 현상 (번짐) 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인쇄성이 우수하고, 애스펙트비가 높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구상 은 분말과 소정의 평균 두께 및 겉보기 밀도를 갖는 플레이크상 은 분말을 병용하여 조제한 조성물이, 양호한 인쇄성을 갖고, 애스펙트비가 높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 (11) 을 제공한다.
(1) 평균 입자 직경이 0.5 ∼ 5.0 ㎛ 인 구상 은 분말 (A) 과,
평균 두께가 0.05 ∼ 0.2 ㎛ 이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4 ∼ 1.1 g/㎤ 인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함유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2)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질량에 대해 30 질량% 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3) 추가로, 에폭시 수지 (C) 를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4) 추가로, 지방산 은염 (D) 을 함유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5) 상기 에폭시 수지 (C) 가, 적어도, 에폭시 당량이 1500 ∼ 4000 g/eq 인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및 에폭시 당량이 1000 g/eq 이하인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인 상기 (3) 또는 (4) 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6) 상기 지방산 은염 (D) 이, 카르복시 은염기 (-COOAg) 와 수산기 (-OH) 를 각각 1 개 이상 갖는 지방산 은염 (D1), 및/또는 카르복시 은염기 (-COOAg) 를 3 개 이상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은염 (D2) 인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7) 상기 지방산 은염 (D1) 이,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n-부티르산 은염 및/또는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은염인 상기 (6) 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8) 상기 폴리카르복실산 은염 (D2) 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은염인 상기 (6) 또는 (7) 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9) 상기 에폭시 수지 (C)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2 ∼ 20 질량부인 상기 (3)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10) 상기 지방산 은염 (D)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인 상기 (4)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11) 수광면측의 표면 전극, 반도체 기판 및 이면 (裏面)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전극 및/또는 상기 이면 전극이,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태양 전지 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성이 우수하고, 애스펙트비가 높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이라고 한다) 은, 세선부 (선 폭 : 50 ∼ 100 ㎛ 정도) 의 인쇄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면, 저온 (150 ∼ 500 ℃ 정도) 소성이어도, 단선이나 번짐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셀 기판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 등) 에 대한 열에 의한 데미지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져, 매우 유용하다.
도 1 은, 태양 전지 셀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구상 은 분말 (AgC-103,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플레이크상 은 분말 (Ag-XF301K,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 는, 비교예에서 사용한 플레이크상 은 분말 (AgC-A,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은, 평균 입자 직경이 0.5 ∼ 5.0 ㎛ 인 구상 은 분말 (A) 과, 평균 두께가 0.05 ∼ 0.2 ㎛ 이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4 ∼ 1.1 g/㎤ 인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함유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이다.
이하에, 구상 은 분말 (A) 및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함유해도 되는 다른 성분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구상 은 분말 (A)>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구상 은 분말 (A) 은, 평균 입자 직경이 0.5 ∼ 5 ㎛ 인 은 분말이다.
여기에서, 구상이란, 장경/단경의 비율이 2 이하인 입자의 형상을 말한다.
또, 평균 입자 직경이란, 구상의 은 분말의 입자 직경의 평균값을 말하며,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 50 % 체적 누적 직경 (D50) 을 말한다. 또한, 평균값을 산출하는 기초가 되는 입자 직경은, 구상의 은 분말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는 그 장경과 단경의 합계값을 2 로 나눈 평균값을 말하며, 정원형 (正圓形) 인 경우는 그 직경을 말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은 분말 (AgC-103,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의 사진 (도 2) 으로 나타내는 것은 구상의 은 분말에 해당하지만,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병용하는 은 분말 (Ag-XF301K,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의 사진 (도 3) 이나 비교예에서 병용하는 은 분말 (AgC-A,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의 사진 (도 4) 으로 나타내는 것은 구상의 은 분말에는 해당하지 않고, 플레이크 (비늘 조각) 상의 은 분말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 상기 구상 은 분말 (A) 의 평균 입자 직경은, 인쇄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로부터 0.7 ∼ 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결 속도가 적당해져 작업성이 우수한 이유로부터 1 ∼ 3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상 은 분말 (A) 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예로서는, AgC-102 (평균 입자 직경 : 1.5 ㎛,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AgC-103 (평균 입자 직경 : 1.5 ㎛,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AG4-8F (평균 입자 직경 : 2.2 ㎛, DOWA 엘렉트로닉스사 제조), AG2-1C (평균 입자 직경 : 1.0 ㎛, DOWA 엘렉트로닉스사 제조), AG3-11F (평균 입자 직경 : 1.4 ㎛, DOWA 엘렉트로닉스사 제조), EHD (평균 입자 직경 : 0.5 ㎛, 미츠이 금속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은, 평균 두께가 0.05 ∼ 0.2 ㎛ 이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4 ∼ 1.1 g/㎤ 인 은 분말이다.
여기에서, 플레이크상이란, 장경/단경의 비율이 2 초과인 형상을 말하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로 나타내는 은 분말이 해당되지만, 그 중 도 3 으로 나타내는 은 분말이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 평균 두께 (d) 란, BET 법 (기체 흡착법) 에 의해 측정한 은 분말의 비표면적을 S (㎡/g) 로 하여, 하기 식 (i) 로부터 산출한 값을 말한다.
d = 0.19/S … (i)
또, 겉보기 밀도란, JIS Z 2504 : 2000 의 「금속 분말-겉보기 밀도 측정 방법」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말한다.
또,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평균 두께는, 인쇄성이 보다 양호해져, 페이스트화되기 쉽다는 이유로부터 0.05 ∼ 0.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겉보기 밀도는, 0.4 ∼ 1.1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1.0 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0007]∼[0015]단락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예로서는, Ag-XF301K (평균 두께 : 0.1 ㎛, 겉보기 밀도 : 0.82 g/㎤,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구상 은 분말 (A) 과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병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의 인쇄성이 양호해지고, 애스펙트비가 높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세하게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먼저, 일반적인 페이스트 재료에서는, 내재하는 분말체의 표면적이 클수록 틱소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은, 통상의 플레이크상 은 분말에 비해 표면적이 매우 커, 틱소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인쇄성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구상 은 분말 (A) 과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병용함으로써, 구상 은 분말 (A) 이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에 끼워져 움직이기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임의 성분 (에폭시 수지, 지방산 은염, 용매 등) 을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끼리의 사이에 내포하기 때문에, 인쇄 후의 형상 유지성이 우수하고, 애스펙트비가 높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틱소성 및 점도가 적당해져, 인쇄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로부터,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질량에 대해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2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 (C)>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조막성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 (C)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 (C) 로서는, 종래 공지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 비스페놀 F 형, 브롬화 비스페놀 A 형, 수첨 비스페놀 A 형, 비스페놀 S 형, 비스페놀 AF 형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
에틸렌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디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 트리메틸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키스(글리시딜옥시페닐)에탄, 트리스(글리시딜옥시)메탄 등의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
다이머산 등의 합성 지방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계 에폭시 수지 ;
N,N,N',N'-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TGDDM),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술폰 (TGDDS), 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TGMXDA), 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트리글리시딜-m-아미노페놀, N,N-디글리시딜아닐린, 테트라글리시딜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TG1,3-BAC),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TGIC) 등의 글리시딜아민계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폭시 수지 (C) 는, 납땜성이 양호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에폭시 당량이 1500 ∼ 4000 g/eq 인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및 에폭시 당량이 1000 g/eq 이하인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상기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는, 에폭시 당량이 1500 ∼ 4000 g/eq 인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이다.
상기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의 에폭시 당량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의 경화 후의 경도가 양호해져, 경화물 (전극) 에 대한 우수한 납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의 에폭시 당량은, 전극에 대한 납땜성이 보다 양호해져, 경화 수축의 비율이 작아 태양 전지 셀 기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2000 ∼ 4000 g/eq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 3500 g/eq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상기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는, 에폭시 당량이 1000 g/eq 이하인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이다.
상기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의 에폭시 당량이 상기 범위이면,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의 점도가 양호해져, 인쇄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 상기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의 에폭시 당량은, 스크린 인쇄를 할 때의 점도가 적당해지는 이유로부터, 100 ∼ 400 g/eq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300 g/eq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폭시 수지 (C) 는, 태양 전지 셀 기판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부가된 에폭시 수지 (C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에 의한 부가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을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를 조제할 때,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을 첨가함으로써 부가 (변성) 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 (C3) 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예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BEO-60E, 신닛폰 리카사 제조),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BPO-20E, 신닛폰 리카사 제조),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EP-4010S, ADEKA 사 제조),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EP-4000S, ADEKA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에폭시 수지 (C) 를 함유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태양 전지 셀 기판과의 밀착성이 보다 양호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2 ∼ 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1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산 은염 (D)>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은, 보다 저온 (150 ∼ 200 ℃ 정도) 의 소성이어도 전극을 형성할 수 있고, 태양 전지 셀 기판에 대한 열에 의한 데미지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는 이유로부터, 추가로 지방산 은염 (D)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 은염 (D) 은, 유기 카르복실산의 은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98595호의[0063]∼[0068]단락에 기재된 지방산 금속염 (특히 3 급 지방산 은염), 일본 특허 제4482930호의[0030]단락에 기재된 지방산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92684호의[0029]∼ [0045]단락에 기재된 수산기를 1 개 이상 갖는 지방산 은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92684호의[0046]∼[0056]단락에 기재된 2 급 지방산 은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카르복시 은염기 (-COOAg) 와 수산기 (-OH) 를 각각 1 개 이상 갖는 지방산 은염 (D1), 및/또는 카르복시 은염기 (-COOAg) 를 3 개 이상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은염 (D2)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지방산 은염 (D1) 으로서는,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n-부티르산 은염,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은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카르복실산 은염 (D2) 으로서는,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은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방산 은염 (D) 의 함유량은, 인쇄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이유로부터,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티온계 경화제 (E)>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은,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 에폭시 수지 (C) 를 함유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카티온계 경화제 (E)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계 경화제 (E)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민계, 술포늄계, 암모늄계, 포스포늄계의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카티온계 경화제 (E) 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3 불화 붕소 에틸아민, 3 불화 붕소 피페리딘, 3 불화 붕소 페놀, p-메톡시벤젠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이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술포늄, 테트라-n-부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테트라-n-부틸포스포늄-o,o-디에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하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 경화 시간이 짧아진다는 이유로부터, 하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술포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벤질기 또는 α-나프틸메틸기를 나타내고, R3 은,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 Q 는, 하기 식 (a) ∼ (c)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X 는, SbF6, PF6, CF3SO3, (CF3SO2)2N, BF4, B(C6F5)4 또는 Al(CF3SO3)4 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식 (a) 중, R 은, 수소 원자, 아세틸기, 메톡시카르보닐기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Ⅰ) 로 나타내는 술포늄염 중, 납땜성이 양호한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상기 식 (Ⅰ) 중의 X 가 SbF6 으로 나타내는 술포늄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 (1) 및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티온계 경화제 (E) 의 함유량은, 열에 의해 활성화하여 에폭시기의 개환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부터, 상기 에폭시 수지 (C) 100 질량부에 대해 1 ∼ 1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 (F)>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은, 인쇄성 등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추가로 용매 (F)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 (F) 는,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구체예로서는, 부틸카르비톨, 메틸에틸케톤, 이소포론, α-테르피네올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상기 용매 (F) 를 함유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2 ∼ 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서술한 구상 은 분말 (A) 및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이외의 금속 분말, 환원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분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0.01 ∼ 10 ㎛ 의 입경의 금속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원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애스펙트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서술한 에폭시 수지 (C) 의 분해를 억제하는 이유로부터, 산화 은의 함유량은 상기 서술한 용매 (F)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산화 은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양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그리고 원하는 바에 따라 함유해도 되는 상기 에폭시 수지 (C), 상기 지방산 은염 (D), 상기 카티온계 경화제 (E), 상기 용매 (F) 및 첨가제를, 롤, 니더, 압출기, 만능 교반기 등에 의해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태양 전지 셀]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은, 수광면측의 표면 전극, 반도체 기판 및 이면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전극 및/또는 상기 이면 전극이,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태양 전지 셀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이 전체 이면 전극형 (이른바 백 컨택트형) 태양 전지의 이면 전극의 형성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이면 전극형의 태양 전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 (1) 은, 수광면측의 표면 전극 (4) 과, p 층 (5) 및 n 층 (2) 이 접합한 pn 접합 실리콘 기판 (7) 과, 이면 전극 (6) 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 (1) 은, 반사율 저감을 위해, 예를 들어, 웨이퍼 표면에 에칭을 실시하여, 피라미드상의 텍스처를 형성하고, 반사 방지막 (3)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전극/이면 전극>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이 구비하는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은,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전극의 배치 (피치), 형상, 높이, 폭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극의 높이는, 통상, 수 ∼ 수십 ㎛ 로 설계되지만,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전극의 애스펙트비는 0.4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복수 개 갖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 전극의 일부만이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표면 전극의 일부와 복수의 이면 전극의 일부가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반사 방지막>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이 구비하고 있어도 되는 반사 방지막은, 수광면의 표면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막 (막두께 : 0.05 ∼ 0.1 ㎛ 정도) 으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산화 티탄막, 이들의 적층막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실리콘 기판>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이 구비하는 실리콘 기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태양 전지를 형성하기 위한 공지된 실리콘 기판 (판 두께 : 100 ∼ 450 ㎛ 정도) 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중 어느 실리콘 기판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리콘 기판은 pn 접합을 갖는데, 이것은 제 1 도전형 반도체 기판의 표면측에 제 2 도전형 수광면 불순물 확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도전형이 n 형인 경우에는, 제 2 도전형은 p 형이며, 제 1 도전형이 p 형인 경우에는, 제 2 도전형은 n 형이다.
여기에서, p 형을 부여하는 불순물로서는 붕소,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고, n 형을 부여하는 불순물로서는 인, 비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은, 표면 전극 및/또는 이면 전극이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의 애스펙트비가 0.4 이상이 되어, 수광에 의해 발생한 기전력을 전류로서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실리콘 기판 위에 도포하여 배선을 형성하는 배선 형성 공정과, 얻어진 배선을 열 처리하여 전극 (표면 전극 및/또는 이면 전극) 을 형성하는 열 처리 공정을 갖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 전지 셀이 반사 방지막을 구비하는 경우, 반사 방지막은, 플라즈마 CVD 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배선 형성 공정, 열처리 공정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배선 형성 공정>
상기 배선 형성 공정은,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실리콘 기재 위에 도포하여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에서, 도포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잉크젯,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볼록판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열 처리 공정>
상기 열 처리 공정은, 상기 배선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배선을 열 처리하여 도전성의 배선 (전극) 을 얻는 공정이다.
여기에서, 상기 열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50 ∼ 800 ℃ 의 온도에서, 수 초 ∼ 수 십분간, 가열 (소성) 하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및 시간이 이 범위이면, 실리콘 기판 위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한 경우에도, 파이어 스루법에 의해 용이하게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온 (150 ∼ 500 ℃ 정도) 이어도, 양호한 열 처리 (소성) 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배선 형성 공정에서 얻어진 배선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의 조사로도 전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열처리 공정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의 조사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도전성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5, 비교예 1 ∼ 3)
교반기에, 하기 제 1 표에 나타내는 구상 은 분말 등을 하기 제 1 표 중에 나타내는 조성비가 되도록 첨가하고, 이것들을 혼합함으로써 도전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스크린 인쇄성>
조제한 도전성 조성물을, 실리콘 기판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LS-25TVA, 156 ㎜ × 156 ㎜ × 200 ㎛,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위에, 스크린 인쇄로 도포하여 배선 (선 폭 : 80 ㎛, 길이 : 5 ㎝) 을 형성하였다.
스크린 인쇄로 형성한 건조 (소성) 전의 배선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단선, 사행, 번짐 및 메시 자국 모두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인쇄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하여 「◎」로 평가하고, 단선은 확인되지 않지만, 사행, 번짐 및 메시 자국 중 어느 하나가 확인된 경우를 인쇄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여 「○」로 평가하고, 단선은 확인되지 않지만, 사행, 번짐 및 메시 자국 중 어느 2 개 이상이 확인된 경우를 인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하여 「△」로 평가하고, 단선이 확인된 경우를 인쇄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하여 「×」로 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제 1 표에 나타낸다.
<체적 저항률 (비저항)>
스크린 인쇄로 배선을 형성한 후, 오븐으로 200 ℃ 에서 30 분간 건조시켜, 도전성의 배선 (전극) 을 형성시킨 태양 전지 셀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각 태양 전지 셀의 샘플에 대하여, 전극의 체적 저항률을 저항률계(로레스타 GP,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를 사용한 4 단자 4 탐침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제 1 표에 나타낸다.
<애스펙트비 (소성 후)>
상기와 동일하게 제작한 각 태양 전지 셀의 샘플에 대하여, 전극을 레이저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높이와 폭을 측정하고, 애스펙트비 (높이/폭) 를 구하였다.
여기에서, 애스펙트비가 0.4 이상 0.8 미만인 샘플을 애스펙트비가 높다 (만족할 수 있다) 고 평가하고, 0.4 미만인 샘플을 애스펙트비가 낮다 (만족할 수 없다) 고 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제 1 표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제 1 표 중의 각 성분은,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구상 은 분말 A-1 : Ag2-1C (평균 입자 직경 : 1.0 ㎛, DOWA 엘렉트로닉스사 제조)
·구상 은 분말 A-2 : AgC-103 (평균 입자 직경 : 1.5 ㎛,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1 : Ag-XF301K (평균 두께 : 0.1 ㎛, 겉보기 밀도 : 0.82 g/㎤,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플레이크상 은 분말 X : AgC-A (평균 두께 : 0.3 ㎛, 겉보기 밀도 : 1.82 g/㎤, 후쿠다 금속박분 공업사 제조)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1 : YD-019 (에폭시 당량 : 2400 ∼ 3300 g/eq, 신닛테츠 화학사 제조)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1 :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EX-821, 에폭시 당량 : 185 g/eq, 나가세켐텍스사 제조)
·PO 부가 에폭시 수지 C3-1 :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에폭시 당량 : 260 g/eq, EP-4000S, ADEKA 사 제조)
·PO 부가 에폭시 수지 C3-2 : 350 g/eq,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EP-4010S, ADEKA 사 제조)
·이소부티르산 은염 : 먼저, 산화 은 (토요 화학 공업사 제조) 50 g, 이소부티르산 (칸토 화학사 제조) 38 g 및 메틸에틸케톤 (MEK) 300 g 을 볼 밀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교반시킴으로써 반응시켰다. 이어서, 흡인 여과에 의해 MEK 를 제거하고, 얻어진 분말을 건조시킴으로써, 백색의 이소부티르산 은염을 조제하였다.
·네오데칸산 은염 : 먼저, 산화 은 (토요 화학 공업사 제조) 50 g, 네오데칸산 (토요 합성사 제조) 74.3 g 및 메틸에틸케톤 (MEK) 300 g 을 볼 밀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교반시킴으로써 반응시켰다. 이어서, 흡인 여과에 의해 MEK 를 제거하고, 얻어진 분말을 건조시킴으로써, 백색의 네오데칸산 은염을 조제하였다.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은염 : 먼저, 산화 은 (토요 화학 공업사 제조) 50 g,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토쿄 화성사 제조) 45 g 및 메틸에틸케톤 (MEK) 300 g 을 볼 밀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교반시킴으로써 반응시켰다. 이어서, 흡인 여과에 의해 MEK 를 제거하고, 얻어진 분말을 건조시킴으로써, 백색의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은염을 조제하였다.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n-부티르산 은염 : 먼저, 산화 은 (토요 화학 공업사 제조) 50 g,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n-부티르산 (토쿄 화성사 제조) 64 g 및 메틸에틸케톤 (MEK) 300 g 을 볼 밀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교반시킴으로써 반응시켰다. 이어서, 흡인 여과에 의해 MEK 를 제거하고, 얻어진 분말을 건조시킴으로써, 백색의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n-부티르산 은염을 조제하였다.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은염 : 먼저, 산화 은 (토요 화학 공업사 제조) 50 g,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신닛폰 리카사 제조) 25.29 g 및 메틸에틸케톤 (MEK) 300 g 을 볼 밀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교반시킴으로써 반응시켰다. 이어서, 흡인 여과에 의해 MEK 를 제거하고, 얻어진 분말을 건조시킴으로써, 백색의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은염을 조제하였다.
·경화제 :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방향족 술포늄염 (Sl-100L, 산신 화학 공업사 제조)
·용매 : α-테르피네올
제 1 표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만을 사용하여 조제한 비교예 1 은, 단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인쇄성이 매우 나쁘고, 애스펙트비도 측정 불능일 정도로 작고, 체적 저항률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구상 은 분말 (A) 과,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에 해당하지 않는 플레이크상 은 분말을 병용한 비교예 2 는, 비교예 1 보다 전체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인쇄성이 떨어지고, 애스펙트비도 낮고, 체적 저항률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구상 은 분말 (A) 만을 사용하여 조제한 비교예 3 은, 인쇄성이 양호하고, 체적 저항률도 낮아지지만, 애스펙트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구상 은 분말 (A) 과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병용하여 조제한 실시예 1 ∼ 15 는, 인쇄성이 양호하고, 애스펙트비도 높고, 체적 저항률도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지방산 은염을 첨가하여 조제한 실시예 4 ∼ 15 는, 실시예 1 과 비교하여, 체적 저항률이 낮아지고, 또, 약간 애스펙트비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 태양 전지 셀
2 : n 층
3 : 반사 방지막
4 : 표면 전극
5 : p 층
6 : 이면 전극
7 : 실리콘 기판

Claims (11)

  1. 평균 입자 직경이 0.5 ∼ 5.0 ㎛ 인 구상 은 분말 (A) 과,
    평균 두께가 0.05 ∼ 0.2 ㎛ 이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4 ∼ 1.1 g/㎤ 인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을 함유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질량에 대해 30 질량% 이하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에폭시 수지 (C) 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지방산 은염 (D) 을 함유하는,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C) 가, 적어도 에폭시 당량이 1500 ∼ 4000 g/eq 인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C1) 및 에폭시 당량이 1000 g/eq 이하인 다가 알코올계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C2) 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은염 (D) 이, 카르복시 은염기 (-COOAg) 와 수산기 (-OH) 를 각각 1 개 이상 갖는 지방산 은염 (D1), 및 카르복시 은염기 (-COOAg) 를 3 개 이상 갖는 폴리카르복실산 은염 (D2)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은염 (D1) 이,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n-부티르산 은염 및 2-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은염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산 은염 (D2) 이,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은염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C)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2 ∼ 20 질량부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은염 (D) 의 함유량이, 상기 구상 은 분말 (A) 및 상기 플레이크상 은 분말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0.1 ∼ 10 질량부인,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11. 수광면측의 표면 전극, 반도체 기판 및 이면 (裏面)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전극 및 상기 이면 전극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태양 전지 셀.
KR1020120073377A 2012-07-05 2012-07-05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KR20140007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377A KR20140007041A (ko) 2012-07-05 2012-07-05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377A KR20140007041A (ko) 2012-07-05 2012-07-05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041A true KR20140007041A (ko) 2014-01-16

Family

ID=5014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377A KR20140007041A (ko) 2012-07-05 2012-07-05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0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38757A1 (en) * 2017-02-17 2018-08-23 Azbil Corporation Capacitive pressure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38757A1 (en) * 2017-02-17 2018-08-23 Azbil Corporation Capacitive pressure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5803B2 (ja) 導電性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セル
JP5304932B1 (ja) 導電性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セル
JP5527901B2 (ja) 太陽電池集電電極形成用導電性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セル
WO2018139463A1 (ja) 導電性組成物
CN111448670A (zh) 导电性糊剂
JP2009146584A (ja) 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
JP2016030794A (ja) 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201434988A (zh) 導電性組成物及太陽能電池單元
JP6579108B2 (ja) 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40007041A (ko)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JP6620744B2 (ja) 太陽電池集電電極形成用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50087194A (ko) 저온 소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JP2016032022A (ja) 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160415A (ja) 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160413A (ja) 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40019100A (ko) 태양 전지 집전 전극 형성용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JP5630111B2 (ja) 太陽電池電極用ペーストおよび太陽電池セル
JP2022052765A (ja) 保護膜用放熱樹脂組成物、保護膜、及び電子部品
JP2012178456A (ja) 太陽電池集電電極形成用導電性組成物および太陽電池セル
KR20160021178A (ko) 도전성 조성물 및 태양 전지 셀
WO2015118760A1 (ja) 導電性組成物、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3531267A (zh) 太阳能电池集流电极形成用导电性组合物及太阳能电池单元
JP6361843B1 (ja) 導電性組成物
KR101179113B1 (ko) 태양 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및 태양 전지 셀
JP2022052612A (ja) 保護膜用放熱樹脂組成物、保護膜、及び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