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313U -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313U
KR20140006313U KR2020130004650U KR20130004650U KR20140006313U KR 20140006313 U KR20140006313 U KR 20140006313U KR 2020130004650 U KR2020130004650 U KR 2020130004650U KR 20130004650 U KR20130004650 U KR 20130004650U KR 20140006313 U KR20140006313 U KR 201400063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rane
present
whee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313U/ko
Publication of KR20140006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60T1/1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directly on road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이나 강풍시에도 감전의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침수시에도 물에 뜨지 않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크레인 휠의 양측을 고이도록 형성된 한쌍의 쐐기부(1. 1')와; 양측 쐐기부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식 간격 조절부(2);로 구성된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를 고안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Wedge apparatus for anchoring crane wheel}
본 고안은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조선소 등에서 레일 위를 이동하면서 선각공사용 블록 등의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휠을 고정시켜 태풍 등의 악천후 속에서도 쐐기가 물에 뜨지 않고 항시 크레인 휠을 고정시켜 크레인의 전복을 막도록 한 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는 거대한 중량을 가진 블록을 도크 내의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양 장치로 골리앗 크레인 또는 짚 크레인(도 4 참조)이 사용된다. 이러한 크레인의 이동 방법은 보통 기차 레일같은 레일이 도크 외부 야적장에 설치되어 이 레일상에 크레인의 휠이 다수개 설치되어 직선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골리앗 크레인 같은 경우는 도크의 양쪽 레일상에 휠이 설치되어 동시에 움직이게 구성되고, 짚 크레인은 보통 도크의 일측 레일상에서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크레인은 가동 정지시 또는 고정 위치에서 작업시 바람 등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크레인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휠에 복수개의 쐐기를 휠에 끼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쐐기 중 가장 일상적인 형태가 나무 쐐기이다(도 5 참조). 나무 쐐기는 중량이 가벼워 작업자가 쉽게 운반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나무 쐐기는 강풍이나 태풍 등이 몰아칠 경우 바람에 움직이거나 침수시 물에 뜬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어서, 태풍이나 강풍처럼 초속이 빠르고 비를 동반시에는 이를 사용치 않고 금속재(스틸) 쐐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 형상은 나무 쐐기와 유사하다.
스틸 또는 금속 쐐기의 사용방법은 태풍이나 강풍의 초속(예 18m/S)에도 견딜수 있도록 보통 레일에 용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스틸 또는 금속 쐐기를 레일에 용접시키는 이유는 대형 중량물인 크레인은 그 높이가 크고 바람과 접촉하는 면적이 많은데 비해 이를 지지하는 하부 휠 사이의 폭이 좁아 강풍이 불 경우 바람에 의해 전복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침수시 부력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스틸 또는 금속 쐐기의 단점은 비가 오는 중에는 이를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일상적인 비바람속에서 작업 중 급작스런 강풍 경보 등이 울리면 비 때문에 용접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감전의 위험이 있어서 안전상의 이유로 용접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금속 또는 스틸 쐐기의 문제점은 용접후 레일 표면이 손상되기 때문에 스틸쐐기의 설치 횟수가 늘어나면 레일을 보수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등의 구조적 단점도 있다.
이 때문에 강풍이나 태풍 등이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 안전하게 크레인을 고정시킬 수 있는 쐐기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1997-0040421(1997.07.24) 국내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1209753(2012.12.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이나 강풍시에도 감전의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침수시에도 물에 뜨지 않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크레인 휠의 양측을 고이도록 형성된 한쌍의 쐐기부와; 양측 쐐기부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식 간격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간격조절부는 양측 쐐기부를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대와, 지지대에 각각 돌출 설치된 나사봉과, 양측 나사봉과 동시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키도록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너트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쐐기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돌출부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쐐기부는 금속재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쐐기부는 교체식일 경우 금속재 또는 나무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휠 쐐기 장치는 별도의 용접작업이 필요치 않아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이나 강풍시에도 감전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설치할수 있고, 설치작업 및 제거작업이 간단하다는 장점과,
또한 크레인 휠간 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어 양측 휠사이를 밀착 고정함으로써 크레인의 전후 이동이 불가능하여 종래 금속 또는 스틸 쐐기의 용접에 의한 고정력 못지 않은 고정력을 발휘한다는 장점과,
또한 그 재질이 중량재인 금속재로 구성되어 침수시에도 물에 뜨지 않아 항시 고정력을 유지시켜 준다는 장점과,
또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쐐기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고안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일반적인 짚 크레인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종래 일반적인 나무 쐐기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장치는 크레인 휠의 양측을 고이도록 형성된 한쌍의 쐐기부(1. 1')와; 양측 쐐기부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식 간격 조절부(2);로 구성된다.
상기 쐐기부는 금속 또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져 침수시 뜨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절부(2)는 양측 쐐기부를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대(21, 21')와, 지지대에 각각 돌출 설치된 나사봉(22, 22')과, 양측 나사봉과 동시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키도록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너트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 나사봉과 타측 나사봉간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쐐기부의 전면 측 휠과 접촉하는 면은 경사면 또는 곡률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여 접촉력을 높이게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21, 21')는 미도시 되었으나 쐐기부와 용접에 의한 고정방법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한 고정방법 등 어떤 고정방법을 사용해도 상관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 고정이 아니고 유격이 있게 연결만 되게 구성해도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또한 본 고안은 쐐기부(1)가 필요에 따라 금속(스틸)재질 쐐기와 나무 재질 쐐기를 교체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나무 또는 금속 쐐기를 교체 설치할 수 있으면 평상시 고임 작업시에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하거나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이경우에도 간격조절부(2)가 금속재로 구성됨으로 인해 일반적인 침수시 물에 뜨지는 않는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쐐기부의 후반부 즉 휠과 접촉하지 않는 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홈부(11, 11')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의 지지대(21, 21')에는 돌출부(211, 21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레일 방향쪽으로 쐐기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는 지지대와 접한면보다 돌출되어 쐐기부와 접촉면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하여 빠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장치의 작동을 한 실시예인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의 휠(5)이 올려져 있는 양측 휠 사이의 레일(6) 상부에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장치를 올려놓는다. 이후 회전너트부를 손 또는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회전에 의해 양측 나사봉과 결합된 양측 지지대가 동시에 양측 크레인 휠쪽으로 전진하여 이와 결합된 쐐기부가 양측휠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후 최대한 회전너트부를 회전시켜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때까지 회전시켜 단단히 쐐기부와 크레인 휠을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반대로 제거시는 상기 회전너트부를 설치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쐐기부를 나무 또는 금속 재질로 교체시는 지지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쐐기부를 들어 올려 교체하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쐐기부 (2) : 간격 조절부
(5) : 휠 (6) :레일
(11. 11') : 홈부 (21, 21') : 지지대
(22, 22') : 나사봉 (23) : 회전너트부
(211, 211') : 돌출부

Claims (5)

  1. 크레인 휠의 양측을 고이도록 형성된 한쌍의 쐐기부(1. 1')와;
    양측 쐐기부의 거리를 조절하는 나사식 간격 조절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2)는 양측 쐐기부를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대(21, 21')와, 지지대에 각각 돌출 설치된 나사봉(22, 22')과, 양측 나사봉과 동시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키도록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너트부(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1, 21')에는 돌출부(211, 21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금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교체식일 경우 금속재 또는 나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KR2020130004650U 2013-06-10 2013-06-10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KR201400063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50U KR20140006313U (ko) 2013-06-10 2013-06-10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50U KR20140006313U (ko) 2013-06-10 2013-06-10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13U true KR20140006313U (ko) 2014-12-18

Family

ID=5361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650U KR20140006313U (ko) 2013-06-10 2013-06-10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31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659A (zh) * 2019-01-22 2019-05-28 深圳市贝优通新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轮毂降温功能的稳定性高的新能源汽车
KR102111781B1 (ko) 2020-02-11 2020-05-15 에이펙스 주식회사 대형크레인의 휠 제동용 자동초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659A (zh) * 2019-01-22 2019-05-28 深圳市贝优通新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具有轮毂降温功能的稳定性高的新能源汽车
KR102111781B1 (ko) 2020-02-11 2020-05-15 에이펙스 주식회사 대형크레인의 휠 제동용 자동초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621B1 (ko) 롤러가이드부가 형성된 엔드스트럿을 이용한 빔 런칭방법
CN103147407B (zh) 可实现移动模架主梁在水平面内转动的推进小车
KR20140006313U (ko) 크레인 휠 고정용 쐐기 장치
CN114182975B (zh) 一种市政道路工程用基坑安全防护装置
CN205742089U (zh) 一种抱箍支撑装置
CN211818563U (zh) 一种可升缩的建筑施工护栏
CN210127418U (zh) 跨江大桥桥墩修补用支护结构
FR2956130A1 (fr) Eolienne montee sur un massif d&#39;ancrage.
KR20150000307U (ko) 크레인 앵커링용 웨지
KR20110077222A (ko) 풍력 클램핑 장치
CN213927826U (zh) 一种桥梁检测用围挡装置
CN214985975U (zh) 一种船舶修理用自动固定装置
CN212831694U (zh) 一种便于稳定对接的登车桥
CN211646145U (zh) 一种可拆卸的护栏用基座结构
KR100782722B1 (ko) 레일 크램핑 기능을 갖는 언로더 주행부의 밀림방지장치
CN210286554U (zh) 一种钢桥专用回转吊机自助找平滑移轨道系统
CN210598230U (zh) 一种防止墙体开裂的约束体
CN218505727U (zh) 一种运梁车用新型节段梁的防护装置
CN110834899B (zh) 一种轨道输送架
CN219585675U (zh) 龙门吊多功能辅助装置
CN219195612U (zh) 一种钢箱结构
CN212295606U (zh) 一种具有稳定支撑功能的钢结构底板
CN215518330U (zh) 一种桥梁用防护桥墩
KR20180037548A (ko) 기관실 크레인
CN219009733U (zh) 易于调节高度的龙门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