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76U -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76U
KR20140006276U KR2020130004561U KR20130004561U KR20140006276U KR 20140006276 U KR20140006276 U KR 20140006276U KR 2020130004561 U KR2020130004561 U KR 2020130004561U KR 20130004561 U KR20130004561 U KR 20130004561U KR 20140006276 U KR20140006276 U KR 20140006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um
pulling
clamp
dru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경덕
주지훈
윤종진
권재현
권순성
이동준
양성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276U/ko
Publication of KR20140006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멀티드럼 거치대용 샤프트를 이용하고 스탠드형 풀림대의 롤러 부분을 받침대로 제작하며, 케이블 드럼의 홀과 멀티드럼 거치대용 샤프트 사이에 틈을 채워주는 클램프를 개발하고, 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가 개시된다.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케이블 드럼의 중심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단부에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안착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케이블 드럼의 중심홀을 관통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를 거치하는 스탠드부 및 상기 파이프부를 삽입시켜 파이프부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드럼의 중심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블 드럼을 지지하는 축을 롤러부로 대체함으로써 정렬 문제를 해소하고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전복 위험을 감소시키고 스탠드형 풀림기의 경량화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케이블 풀링 시 축이탈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케이블 풀링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드럼 풀링 작업 시 덜컹 거리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케이블 드럼과 파이프부를 안벽에서 호선으로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DEVICE FOR PULLING CABLE DRUM}
본 고안은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케이블을 감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드럼의 풀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각종 공사 수행 시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에 있어서 케이블이 감긴 케이블 드럼을 적치하고, 필요시에 포크 리프터나 크레인을 사용하여 케이블 드럼을 서포트 지그에 장착한 후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17188호(2012.12.24)에는 케이블 드럼의 위치 세팅이 용이하게 케이블을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케이블 드럼 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드럼과 드럼샤프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드럼 장치는 케이블(4)이 권취되는 케이블 드럼(2)과, 포크 리프터의 포크에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2)을 드럼샤프트(5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어셈블리와, 드럼샤프트(50)에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2)의 축 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포지셔너(53)로 구성된다.
트럼샤프트(50)는 케이블 드럼(2)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센터홀(9)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케이블 드럼(2)의 양측판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포지셔너(53)는 드럼샤프트(50) 상에 케이블 드럼(2)의 양측방으로 조립되는 위치고정부재(51)와, 위치고정부재(5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용 클램프(52)로 구성된다. 고정용 클램프(52)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드럼샤프트(5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 쌍의 링부(52a)와, 링부(52a)의 일단부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는 힌지부(52b)와, 각 링부(52a)의 타단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볼트(54)와 너트(55)에 의해 체결되는 결합부(52c)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스탠드형 풀림대의 정렬이 맞지 않아 케이블을 당기는 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스탠드형 풀림대의 롤러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전복의 위험이 발생하였다. 셋째,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축회전 시 치우침에 의한 이탈의 우려가 있었다. 넷째,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드럼의 홀 사이즈와 멀티 드럼 거치대용 샤프트 사이즈의 차이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멀티 드럼용 샤프트의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었다. 여섯째, 종래의 케이블 드럼은 안벽에서 호선으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장비를 이동 시 케이블 드럼, 샤프트, 스탠드형 풀림기 3가지의 장비를 별도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17188호(2012.12.2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멀티드럼 거치대용 샤프트를 이용하고 스탠드형 풀림대의 롤러 부분을 받침대로 제작하며, 케이블 드럼의 홀과 멀티드럼 거치대용 샤프트 사이에 틈을 채워주는 클램프를 개발하고, 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케이블 드럼의 중심홀을 관통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단부에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안착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케이블 드럼의 중심홀을 관통하는 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부를 거치하는 스탠드부 및 상기 파이프부를 삽입시켜 파이프부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드럼의 중심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케이블 드럼을 지지하는 축을 롤러부로 대체함으로써 정렬 문제를 해소하고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전복 위험을 감소시키고 스탠드형 풀림기의 경량화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케이블 풀링 시 축이탈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케이블 풀링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드럼 풀링 작업 시 덜컹 거리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케이블 드럼과 파이프부를 안벽에서 호선으로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드럼과 드럼샤프트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지지부에 샤프트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지지부에 샤프트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지지부에 샤프트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지지부에 샤프트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샤프트부(110)와, 롤러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샤프트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서,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을 관통하며, 케이블 드럼(190)에는 케이블(199)이 권취된다. 상기 샤프트부(110)는 멀티드럼 거치대용 축으로서 기능한다.
롤러부(120)는 상기 샤프트부(110)의 단부에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롤러부(120)는 지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요입된 오목부(121)를 구비한다. 오목부(121)는 후술할 지지부(130)에 대응되어 지지부(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부(130)는 상기 롤러부(120)를 안착시키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30)는 지면에 안착된 베이스(133)에 결합되며, U자형 안착부(131)와, 상기 롤러부(120)의 오목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 대응부(13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케이블 드럼(190)을 지지하는 축을 롤러부(120)로 대체함으로써 정렬 문제를 해소하고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드럼(190)의 전복 위험을 감소시키고 스탠드형 풀림기의 경량화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케이블 풀링 시 축이탈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케이블 풀링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클램프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의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파이프부(210)와, 스탠드부(220)와, 클램프(230)와, 베어링(240)과, 스냅링(250)과 스토퍼(260) 및 고리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이프부(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서,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을 관통하며, 케이블 드럼(190)에는 케이블(199)이 권취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부(210)는 멀티드럼 거치대용 축으로서 기능한다. 스탠드부(220)는 상기 파이프부(210)를 거치하는 기능을 한다.
클램프(23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부(210)를 삽입시켜 파이프부(210)의 외경면에 결합된다. 또한, 클램프(230)는 상기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230)는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일회 단차지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경 구간을 가지며, 가장 큰 직경 구간의 외경면(232)이 상기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에 삽입된다. 즉, 상기 클램프(230)는 단차부(231)를 구비하여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큰 직경 구간의 외경면(232)에 케이블 드럼(19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클램프(230)의 중공홀(233)에는 파이프부(210)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230)의 외경면과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의 사이에 베어링(24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250)이 클램프(230)의 외경면에 결합된다.
스토퍼(260)는 상기 파이프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클램프(23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프(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토퍼(260)에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조임홀(26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임홀(261)에 볼트를 조임으로써 파이프부(210)를 고정시킨다. 상기 클램프(230)는 케이블 드럼(190)의 회전 시 클램프(23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고리부(270)는 상기 파이프부(2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케이블 드럼(190)과 파이프(210)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해, 케이블 드럼(190)과 파이프부(210)를 안벽에서 호선으로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케이블 드럼 풀링 작업 시 덜컹 거리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케이블 드럼과 파이프부를 안벽에서 호선으로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샤프트부 120 : 롤러부
121 : 오목부 130 : 지지부
210 : 파이프부 220 : 스탠드부
230 : 클램프 240 : 베어링
250 : 스냅링 260 : 스토퍼
270 : 고리부 190 : 케이블 드럼
191 : 중심홀

Claims (7)

  1.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을 관통하는 샤프트부(110);
    상기 샤프트부(110)의 단부에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부(120); 및
    상기 롤러부(120)를 안착시키는 지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부(120)는 지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요입된 오목부(1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3.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을 관통하는 파이프부(210);
    상기 파이프부(210)를 거치하는 스탠드부(220); 및
    상기 파이프부(210)를 삽입시켜 파이프부(210)의 외경면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30)는 반경 방향으로 적어도 일회 단차지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경 구간을 가지며, 가장 큰 직경 구간의 외경면(232)이 상기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30)의 외경면과 케이블 드럼(190)의 중심홀(191)의 사이에 베어링(24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어링(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250)이 클램프(230)의 외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클램프(230)의 일 측에는 상기 클램프(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210)의 단부에는 케이블 드럼(190)과 파이프부(210)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고리부(2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KR2020130004561U 2013-06-07 2013-06-07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KR201400062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61U KR20140006276U (ko) 2013-06-07 2013-06-07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61U KR20140006276U (ko) 2013-06-07 2013-06-07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76U true KR20140006276U (ko) 2014-12-17

Family

ID=5361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61U KR20140006276U (ko) 2013-06-07 2013-06-07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2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60B1 (ko) * 2019-02-27 2019-08-05 유경문 지중 송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460B1 (ko) * 2019-02-27 2019-08-05 유경문 지중 송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84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ooling wire
KR101928978B1 (ko) 클램핑 장치
US10625992B2 (en) Bearing
US20020050724A1 (en) Articulated lifting devices for lifting objects under overhangs
US9938860B2 (en) Handling device
US11155446B2 (en) Method for installing or uninstalling a component of a wind turbine
KR20150004619U (ko) 배관 설치용 지그
KR20140006276U (ko) 케이블 드럼 풀링용 장치
KR101968410B1 (ko) 크레인 장치
KR101876483B1 (ko) 파일 전도 방법, 파일 전도 시스템 및 그러한 파일 전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JP6966901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用カウンタウェイト
WO2018068813A1 (en) Antenna fixing system
KR20210149339A (ko) 파이프 설치용 지그장치
JP6556878B2 (ja) アーマード高電圧ケーブルのための一時荷重固定デバイス、および、アーマード高電圧ケーブルの据え付け関連の動作を促進させるための方法
KR20150001391U (ko) 케이블 드럼용 조립형 릴 스탠드
US11046560B2 (en) Swing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rane provided with swingable connection structure
JP6418493B2 (ja) 杭保持装置
KR101690763B1 (ko) 포터블 대빗 고정장치
JP2007312610A (ja) 鳥害防止具
KR101854841B1 (ko) 케이블 드럼용 지그
KR101821546B1 (ko)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JP6874427B2 (ja) 抜け止め装置
KR101826166B1 (ko) 로프 수평 확장 유닛
KR101804044B1 (ko)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JP6149903B2 (ja) 伸縮ビー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