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73U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5173U KR20140005173U KR2020130002186U KR20130002186U KR20140005173U KR 20140005173 U KR20140005173 U KR 20140005173U KR 2020130002186 U KR2020130002186 U KR 2020130002186U KR 20130002186 U KR20130002186 U KR 20130002186U KR 20140005173 U KR20140005173 U KR 2014000517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let
- unit plate
- correlation
- detachabl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는, 입상관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 및 입상관 결합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어 관통부 내에서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되어 관통부를 밀폐시켜 주면서 또한 입상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빌라 등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환기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를 배수하는 오수 배관 등의 각종 배관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관들을 통틀어 소위, 입상관이라 한다. 입상관은 보통 건물의 시공 시 건물에 함께 매설된 슬리브(sleeve) 내에 배관되거나 건물을 그때로 뚫어 형성된 관통부 내에 배관된다. 참고로, 슬리브란 건물의 시공 시 건물의 몰타르층에 직접 매설되는 합성수지제로 된 파이프(pipe) 형의 부재를 의미한다.
좀 더 부연하면, 건물 시공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슬리브를 건물에 함께 매설한 다음, 슬리브 내로 슬리브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입상관을 배관한 후에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입상관은 슬리브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입상관을 슬리브 내에 설치한 후에는 입상관을 고정해야 한다.
만약 입상관이 고정되지 않는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의 일 실시예에서는 벽면 등에 고정되어 있는 앵글에 U형 볼트를 결합하여 입상관을 고정한 예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 방식을 이용하면 입상관 교체시나 하자 보수 시 철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를 사용하여 입상관을 고정시키고 있다.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대한 기술은 현재 다양하게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거나 실제 적용 중에 있는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서 용이하게 고정되지 못하거나 설사 고정된다 하더라도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관통부의 밀폐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사항을 감안한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에 대한 구조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되어 관통부를 밀폐시켜 주면서 또한 입상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상관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 및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입상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의 제1 힌지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유닛 플레이트;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입상관 지지벽체;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적어도 삼각 구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는 다수의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는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는 상기 통공을 지나 상기 다수의 나사홈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으면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횡으로 배치하면서 상기 이격간격에 맞게 횡으로 위치 조절하여 사용하며,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으면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종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며, 상기 입상관이 상기 관통부의 중앙이 아닌 편심 위치에 배치되는 때에는 상기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 중 하나는 횡으로 다른 하나는 종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상기 입상관의 외벽에 배치되는 열선이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선통과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코너 영역에는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공의 주변에는 상기 앵커공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카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타카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가공은 상기 앵커공들을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에 끼워지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대면되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입상관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되어 관통부를 밀폐시켜 주면서 또한 입상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패킹을 제외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도 6은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의 위치 변화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패킹을 제외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도 6은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의 위치 변화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패킹을 제외한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들이고, 도 6은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의 위치 변화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입상관(110)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130)과, 입상관 결합유닛(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미도시)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 도 2 참조)에 배치되어 관통부 내에서 입상관(110)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통부는 입상관(1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건축 구조물에 천공된 홀(hole)일 수도 있고, 도면처럼 별도의 구조물로서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120, sleeve)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후자를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간격(G)에 설치되어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을 통해 슬리브(120)에 대하여 입상관(110)을 고정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입상관(110)과 슬리브(120) 사이의 이격간격(G)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역할을 겸한다.
참고로, 입상관(110)은 환풍용 배관, 가스용 배관, 냉온수용 배관, 오수 및 하수 등을 배수하는 오수관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pipe)로서 필요에 따라 적용된다.
그리고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는 것으로서 보통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입상관(110)도 마찬가지이지만 슬리브(120) 역시 건물의 용도 혹은 규격에 따라 그 사이즈가 다른 것들이 적용된다. 슬리브(120)의 일측에는 연장날개부(120a)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돌출리브(120b)가 형성된다.
돌출리브(120b)는 슬리브(120)가 몰타르층에 매입될 때의 매입 효율을 증가시키며, 연장날개부(120a)는 볼트 체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슬리브(120) 내에는 내화단열재인 세라크울을 비롯하여 충막음 부재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슬리브(120)는 건물의 시공 시 몰타르층에 매입되거나 설사 매입되지 않더라도 연장날개부(120a)를 통한 볼트 체결에 의해 건물에 고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는다.
하지만, 입상관(110)은 슬리브(120)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은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진동에 따른 입상관(11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110)을 통해 환기, 가스, 냉온수, 오수 및 하수 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본 실시예의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100)는 입상관 결합유닛(130)과,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와, 패킹(180)을 포함한다.
입상관 결합유닛(130)은 도 1 및 도 2처럼 입상관(110)에 결합되어 입상관(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용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입상관 결합유닛(130)은 금속 재질, 비철 금속 재질, 연질 혹은 경질의 합성수지 등 어떠한 것으로 제작되어도 관계없다.
이러한 입상관 결합유닛(130)은,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의 제1 힌지(141)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유닛 플레이트(14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입상관(110)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입상관 지지벽체(150)와,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체결부(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닛 플레이트(140)는 대면되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을 갖는다. 이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판체에서 대면되는 한 쌍의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가공함으로써 쉽게 얻을 수 있는 형상이다. 즉 제조가 편리하다.
이러한 유닛 플레이트(140)의 판면에는 입상관(110)의 외벽에 배치되는 열선(미도시)이 통과되는 열선통과구(14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선통과구(142)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맞닿는 영역에 근접되게 유닛 플레이트(140)에 한 개 형성된다. 하지만, 열선통과구(142)의 위치와 개수는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유닛 플레이트(140)의 한 쌍의 코너 영역에는 도시 않은 앵커를 이용하여 유닛 플레이트(140)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공(14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닛 플레이트(140)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가공된 마름모 형상을 갖기 때문에 앵커공(143)은 라운드지지 않은 쪽의 한 쌍의 코너 영역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마련된다.
유닛 플레이트(140)가 입상관(110)은 슬리브(120) 사이에 배치되더라도 앵커공(143) 영역은 슬리브(120)의 바깥쪽 콘크리트 벽체에 배치되는데, 이때 앵커공(143)으로 앵커를 삽입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체결시킴으로써 유닛 플레이트(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앵커공(143)의 주변에는 앵커공(143)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카(미도시)를 이용하여 유닛 플레이트(140)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타카공(144)이 더 형성된다.
앵커는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다소 오래 걸릴 수 있는 반면 고정력이 세고, 타카는 유압의 힘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체결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빠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닛 플레이트(140)에는 이와 같은 앵커공(143)과 타카공(144)을 모두 구현함으로써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타카공(144)은 한 쌍의 앵커공(143)을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유닛 플레이트(14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상관 지지벽체(150)는 유닛 플레이트(14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입상관(110)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장소를 이룬다. 입상관 지지벽체(150)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일체로 성형된다.
유닛 플레이트(140)의 제1 힌지(141)에 대응되게 입상관 지지벽체(150)에도 제2 힌지(151)가 마련된다.
따라서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위치되는 체결부(160)를 풀면 제1 및 제2 힌지(141,151)에 의해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상호 벌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입상관(110)에 체결하면 된다.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표면에는 돌기형 패턴(152)이 형성된다. 돌기형 패턴(152)은 형식적인 문양일 수 있기 때문에 생략도 가능하다.
입상관 지지벽체(150)에 패킹(180)이 끼워진다. 패킹(180)을 사이에 두고 입상관 지지벽체(150)가 입상관(110)을 감싸 지지하고, 이어 체결부(160)를 조이게 됨으로써 입상관(1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160)는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유닛 플레이트(140)와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160)는 볼트(B), 너트(N) 또는 와셔(W)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W)는 평 와셔와 스프링 와셔를 포함할 수 있는데, 스프링 와셔가 적용되면 볼트(B)와 너트(N)가 잘 풀리지 않는 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입상관 지지벽체(150)의 개구 영역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53)가 임의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체결부(160) 영역에는 체결부(160)의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풀림방지부(165)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풀림방지부(165)는 체결부(160)에 이웃된 한 쌍의 플랜지(153)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부(165)는 한 쌍의 플랜지(153)의 노출 단부 영역에서 한 쌍의 플랜지(153) 사이에 배치되어 기체결한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풀림방지부(165)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1) 한 쌍의 플랜지(153) 사이에 탄성이 큰 스프링와셔나 댐핑(damping)이 큰 고무와셔를 끼우는 방법, 2) 혀붙이와셔 또는 톱니붙이와셔를 사용하여 너트(N)를 고정하는 방법, 3) 록너트(더블너트, 고정너트)를 이용하는 방법, 4) 너트(N)가 볼트(B)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분할핀을 이용하여 너트(N)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 5) 볼트(B) 면에 플라스틱이 들어간 너트(미도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한 쌍의 플랜지(153)의 마주보는 내벽 모두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돌기 타입의 풀림방지부(165)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한 쌍의 플랜지(153)의 마주보는 내벽 중 어느 한 쪽에서 상대편을 향해 하나의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의 풀림방지부(165)는 플랜지(153)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플랜지(15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공법이 사용되면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풀림방지부(165)는 체결부(160)의 볼트(B)와 너트(N)를 조일 때, 서로 접촉되어 한 쌍의 플랜지(153)의 단부 영역이 상호간 이격되도록 하는데, 이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를 계속 조이면 풀림방지부(165)의 반대편 영역이 조여져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볼트(B)와 너트(N)를 조이면서 실제로 힘을 가압하는 방향과 한 쌍의 플랜지(153)가 조여져 클램핑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벡터 성분의 힘으로 인하여 기체결된 체결부(160)의 볼트(B)와 너트(N)가 임의로 풀리기 어렵게 되며, 이로써 입상관(110)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는 슬리브(120, sleeve)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 도 2 참조)에 배치되어 슬리브(120) 내에서 입상관(110)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은 도 3 및 도 4처럼 유닛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적어도 삼각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즉 3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도면과 달리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은 4개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에는 다수의 나사홈(170a~170c)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3개의 나사홈(170a~170c)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의 개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닛 플레이트(140)에는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는 통공(H)을 지나 다수의 나사홈(170a~170c)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나사(172)에 의해 해당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이 좁다면 나사홈(170a~170c) 중 바깥쪽의 나사홈(170a)에 나사(172)를 체결함으로써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의 돌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이 넓다면 나사홈(170a~170c) 중 안쪽의 나사홈(170a)에 나사(172)를 체결함으로써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의 돌출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사 슬리브(120)와 입상관(110)이 규격화되지 못하여 그 사이의 이격간격(G)이 다르다 하더라도 쉽게 대응되게 사용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270~470)들은 단면이 원 형상이거나 마름모 형상이거나 캠 형상일 수 있는데, 어떠한 형상과 사이즈가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은 금속 재질, 비철 금속 재질,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된 재료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이 연질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경우라면 나사홈(170a~170c)들이 굳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나사홈(170a~170c)들이 없더라도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의 재질적인 특징으로 인해 손쉽게 나사(172)를 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을 고려하여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면서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을 유닛 플레이트(140)에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입상관(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이기는 하지만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에 3개의 나사홈(170a~170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나사홈(170a~170c) 중에서 어떠한 곳에 나사를 체결하느냐에 따라 도 6의 (a) 내지 (c)처럼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이 좁거나 넓더라도 그에 대응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d)는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에 맞게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를 종으로 배치한 상태이다.
이러한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의 작용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만약 도 7처럼 슬리브(2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1)이 양쪽에 동일하게 넓으면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을 회전시켜 횡으로 회전 배치시키고 3개의 나사홈(170a~170c) 중에서 제일 안쪽의 것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이 별 무리 없이 이격간격(G1)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처럼 슬리브(3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2)이 양쪽에 동일하게 좁으면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을 회전시켜 종으로 회전 배치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의 이격간격(G2)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도 9처럼 슬리브(4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1,G2)이 한쪽은 넓고 한쪽은 좁은 경우라면 그에 대응되게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들을 회전시켜 횡으로 혹은 종으로 회전 배치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의 이격간격(G1,G2)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가 횡으로 혹은 종으로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으로 배치된 상태일지라도 나사홈(170a~170c)에 따라서 도 6의 (a) 내지 (c)처럼 그 위치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슬리브(320)와 입상관(110) 사이의 이격간격(G1,G2)이 넓거나 좁더라도 그에 대응되게 용이하게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170)를 맞춰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되어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면서 또한 입상관(11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닛 플레이트(240)가 사각 형상을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그 구조와 기능이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도 10에서는 유닛 플레이트(240)에 대해서만 참조부호를 구별하도록 한다.
도 10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슬리브(120)와 입상관(110) 사이에서 용이하게 배치되면서 입상관(11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110 : 입상관
120 : 슬리브 130 : 입상관 결합유닛
140 : 유닛 플레이트 141 : 제1 힌지
142 : 열선통과구 143 : 앵커공
144 : 타카공 150 : 입상관 지지벽체
151 : 제2 힌지 152 : 돌기형 패턴
153 : 플랜지 160 : 체결부
165 : 풀림방지부 170 :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
180 : 패킹
120 : 슬리브 130 : 입상관 결합유닛
140 : 유닛 플레이트 141 : 제1 힌지
142 : 열선통과구 143 : 앵커공
144 : 타카공 150 : 입상관 지지벽체
151 : 제2 힌지 152 : 돌기형 패턴
153 : 플랜지 160 : 체결부
165 : 풀림방지부 170 :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
180 : 패킹
Claims (10)
- 입상관에 결합되는 입상관 결합유닛; 및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건축 구조물에 형성되는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상기 입상관의 유동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건축 구조물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입상관 결합유닛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입상관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의 제1 힌지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유닛 플레이트;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입상관이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입상관 지지벽체; 및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유닛 플레이트와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의 개구 영역을 조이거나 푸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는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적어도 삼각 구도로 배치되며,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는 다수의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닛 플레이트에는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는 상기 통공을 지나 상기 다수의 나사홈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해당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으면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횡으로 배치하면서 상기 이격간격에 맞게 횡으로 위치 조절하여 사용하며,
상기 관통부와 상기 입상관 사이의 이격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으면 상기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를 종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며,
상기 입상관이 상기 관통부의 중앙이 아닌 편심 위치에 배치되는 때에는 상기 다수의 착탈식 입상관 유동 저지부재 중 하나는 횡으로 다른 하나는 종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판면에는 상기 입상관의 외벽에 배치되는 열선이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선통과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코너 영역에는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의 주변에는 상기 앵커공보다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타카를 이용하여 상기 유닛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타카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가공은 상기 앵커공들을 잇는 가상의 라인을 따라 상기 유닛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 지지벽체에 끼워지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플레이트는 대면되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마름모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186U KR200474699Y1 (ko) | 2013-03-22 | 2013-03-22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2186U KR200474699Y1 (ko) | 2013-03-22 | 2013-03-22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5173U true KR20140005173U (ko) | 2014-10-01 |
KR200474699Y1 KR200474699Y1 (ko) | 2014-10-07 |
Family
ID=5200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2186U KR200474699Y1 (ko) | 2013-03-22 | 2013-03-22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69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54834A (zh) * | 2019-08-22 | 2019-11-15 | 浙江蓝炬星电器有限公司 | 一种集成灶排烟管的加固方法及其支撑组件 |
KR102475631B1 (ko) * | 2022-02-25 | 2022-12-07 | 홍석호 | 입상관 클램핑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3036A (ko) | 2019-12-05 | 2021-01-11 |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 입상관 고정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254Y1 (ko) * | 2006-04-17 | 2006-09-18 | 주식회사 영진공영 | 배관용 파이프 고정틀 |
KR20110000536U (ko) * | 2009-07-10 | 2011-01-18 | 가봉섭 | 입상 배관파이프 지지장치 |
KR101057957B1 (ko) * | 2009-09-23 | 2011-08-18 | 한재광 | 입상관 위치 고정장치 |
KR101110519B1 (ko) | 2009-12-04 | 2012-01-31 | 박찬석 | 배관 고정용 클램프 |
-
2013
- 2013-03-22 KR KR2020130002186U patent/KR200474699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54834A (zh) * | 2019-08-22 | 2019-11-15 | 浙江蓝炬星电器有限公司 | 一种集成灶排烟管的加固方法及其支撑组件 |
CN110454834B (zh) * | 2019-08-22 | 2024-04-09 | 浙江蓝炬星电器有限公司 | 一种集成灶排烟管的加固方法及其支撑组件 |
KR102475631B1 (ko) * | 2022-02-25 | 2022-12-07 | 홍석호 | 입상관 클램핑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699Y1 (ko) | 2014-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03644U (ko)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
KR200474699Y1 (ko) |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 |
JP2009203648A (ja) | 回転防止具 | |
KR101232318B1 (ko) |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 |
US2773708A (en) | Plumbing assembly | |
KR20200080113A (ko) | 입상배관 고정장치 | |
US7854337B1 (en) | Breakaway closure member with offset nipple | |
KR200470890Y1 (ko) |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 |
KR100967427B1 (ko) | 커플러에 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맨홀 | |
US2706499A (en) | Spacing and closure device for electrical conduits | |
JP2010185574A (ja) |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 |
US10214883B2 (en) | Sillcock for robust re-installation | |
KR20120100553A (ko) | 유로폼 지지파이프 고정장치 | |
JP2003106478A (ja) |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 |
KR100786978B1 (ko) | 수관의 벽체 설치 시스템 | |
GB2546376A (en) | A device for resisting rotation of a tap | |
KR101000708B1 (ko) | 내부식 파이프 연결장치 | |
KR20070006185A (ko) | 수전함 | |
KR20130000795U (ko) | 파이프 배관 고정구 | |
KR101197239B1 (ko) | 맨홀뚜껑 고정장치 | |
KR200348065Y1 (ko) |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 |
KR102163221B1 (ko) | 수직배관 내부의 동파방지용 열선 지지장치 | |
KR101650750B1 (ko) | 벽체형 조절분배기 | |
KR100750344B1 (ko) | 상수도 제수변 맨홀 | |
KR200494246Y1 (ko) | 배선작업이 용이한 콘트리트 매설용 전선 배관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