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29U -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129U
KR20140005129U KR2020130002076U KR20130002076U KR20140005129U KR 20140005129 U KR20140005129 U KR 20140005129U KR 2020130002076 U KR2020130002076 U KR 2020130002076U KR 20130002076 U KR20130002076 U KR 20130002076U KR 20140005129 U KR20140005129 U KR 201400051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plate
rotary table
machin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328Y1 (ko
Inventor
박병출
Original Assignee
(주)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현 filed Critical (주)태현
Priority to KR2020130002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32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3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면과 수직면 및 경사면을 모두 가지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와 같은 제품의 각 면에 대한 기계 가공이 단일의 머시닝 센터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가공면에 대한 기계 가공이 진행되는 도중 해당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안정적인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면서 상면이 수평상태나 수직상태 혹은, 틸팅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제공되는 로타리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로타리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백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지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a back plate in parking brake}
본 고안은 가공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평면과 수직면 및 경사면을 모두 가지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와 같은 제품의 각 면에 대한 기계 가공이 단일의 머시닝 센터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가공면에 대한 기계 가공이 진행되는 도중 해당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안정적인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브레이크는 차량을 장시간 주차할 때 사용되는 브레이크로써, 풋 브레이크와는 별개의 동작을 하면서 해당 차량에 제동력을 제공하여 주차시 해당 차량이 원치않게 이동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백플레이트(1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차축에 고정되면서 브레이크슈(도시는 생략됨)가 장착되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브레이크 케이블(도시는 생략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써, 몸체부(11)와, 결합부(12) 및 케이블 지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는 차축 등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결합부(12)는 브레이크슈와 같은 상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부위이며, 상기 케이블 지지부(13)는 브레이크 케이블의 지지를 위한 부위이다.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몸체부(11)의 둘레로부터 그 방사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부(13)는 상기 몸체부(11)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로부터 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백플레이트(10)는 통상 주물로써 개략적인 형상이 성형된 후 기계 가공을 통해 각 결합부위를 가공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기계 가공은 상기 몸체부(11)의 각 부위 중 차축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11a)과 상기 결합부(12)의 각 부위 중 브레이크슈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12a)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13)의 각 부위 중 브레이크케이블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13a)을 각각 형성하는 드릴링 가공과, 상기 각 체결공(11a,12a)이 형성된 부위의 주변 부위(11b,12b)를 밀링하여 수평면을 형성하는 밀링 가공을 포함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백플레이트(10)는 상기 케이블 지지부(13)에 형성되는 수용공(13a)의 관통 방향이 상기 각 체결공(11a,12a)의 관통 방향과 수직한 방향임을 고려할 때 각 체결공(11a,12a) 및 수용공(13a)의 가공을 위한 작업이 각각 개별적으로 진행되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몸체부(11)에 대한 기계 가공 및 결합부(12)에 대한 기계 가공은 동일한 가공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상기 케이블 지지부(13)와 같이 여타 부위와는 다른 각도로 이루어진 부위에 대한 기계 가공은 별도의 가공 장치에서 진행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종래의 머시닝 센서를 이루는 작업 테이블이 고정식 구조이기 때문에 직각 방향으로 좌우 및 상하의 가공은 가능하나 임의의 각도를 가지는 부위에 대하여는 그의 가공이 극히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백플레이트(10)의 기계 가공을 위한 작업 시간은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품의 지그 안착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범위등으로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는 가능성의 구조로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 원가의 절감을 이루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의 머시닝 센터에서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수평 및 수직 부위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진 부위의 가공면에 대한 일괄적인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상기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안정적인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에 따르면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케이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면서 상면이 수평상태나 수직상태 혹은, 틸팅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제공되는 로타리 테이블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로타리 테이블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백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지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 중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둘레 부위를 따라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된 백플레이트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 중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둘레 부위를 따라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백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측 위치에 대한 기준면이 설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저면 중 세 지점을 각각 받쳐주면서 주물 상태의 백플레이트가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서포트핀이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스토퍼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각 둘레벽면 중 케이블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된 두 벽면을 각각 받쳐주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와,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측벽을 받쳐주는 제3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클램프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수평 방향측 위치를 결정하면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둘레 벽면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가 형성된 모서리와는 반대측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제1클램프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둘레 벽면 중 상기 제1스토퍼와 대향되는 둘레 벽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클램프에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수직 방향측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을 클램핑하는 복수의 제3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클램프에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케이블 지지부를 감싸면서 클램핑하는 제4클램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에는 상기 지그부에 의해 고정된 백플레이트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공 중 상기 백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백업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는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제공되는 테이블을 회전 가능한 로타리 테이블로 구성함에 따라 단일의 장치에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각도를 가지는 각 가공 부위 및 가공 방향에 상관없이 모든 가공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상면에 구비되는 지그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형상적인 특징을 고려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로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로타리 테이블의 회전 및 각 방향별 툴 조립체에 의한 가공과는 상관없이 항상 안정적인 가공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툴 조립체가 생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도시화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중 제2클램프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과 도 11 및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중 지그부에 백플레이트를 안착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B”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C”부 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D”부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가공장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장치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가공장치는 수평면과 수직면뿐만 아니라 경사진 부위를 모두 가지는 제품의 가공을 위한 가공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실시예의 설명에 대한 편의상 상기 가공장치가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의 가공을 위한 장치임을 그 예로 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백플레이트는 종래 기술로 소개된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의 백플레이트(10)임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차축에 고정되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둘레로부터 그 방사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브레이크슈가 결합되는 결합부(12)와, 상기 몸체부(11)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브레이크 케이블의 지지를 위한 케이블 지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케이블 지지부(13)는 상기 몸체부(11)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로부터 돌출되되,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는 상기와 같은 백플레이트(10)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부(11) 및 결합부(12)에 볼트 체결공(11a,12a)을 각각 형성함과 더불어 이 볼트 체결공(11a,12a)이 형성된 부위의 표면(11b,12b)을 가공하는 작업과, 상기 기울어진 상태의 케이블 지지부(13)에 수용공(13a)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수용공(13a)이 형성된 부위의 표면(13b)과 상기 표면(13b)에 추가로 형성되는 안착홈(13c)을 가공하는 작업을 단일의 머시닝 센터에서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는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로타리 테이블(300)과, 회전 구동부(310)와, 지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되는 가공장치는 통상적인 머시닝 센터를 이루는 베드(1)의 상면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통상의 머시닝 센터에 교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머시닝 센터를 이루는 베드(1)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위로써,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양측에는 터닝 서포터(110) 및 로타리 인덱스부(120)가 각각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은 백플레이트(10)가 고정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기계 가공을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테이블이다.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된 터닝 서포터(110) 및 로타리 인덱스부(120)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백플레이트(10)가 수평 상태나 수직 상태 혹은, 틸팅 상태를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수직 및 수평면뿐만 아니라 기울어진 부위(예컨대, 케이블 지지부)의 표면에 대한 기계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터닝 서포터(110)에는 로타리형 유압 공급부(1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로타리형 유압 공급부(130)는 후술될 지그부(400)의 각 클램프(421,422,423,424,425,426) 및 백업핀(440) 등으로 작동 유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구동부(310)는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회전(혹은, 틸팅)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로터리 인덱스부(120)에 설치된다.
상기한 회전 구동부(310)는 액츄에이터 혹은, 서보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그부(400)는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제공되면서 백플레이트(1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부(400)가 안착 플레이트(410)와, 복수의 클램프(421,422,423,424,425) 및 복수의 스토퍼(431,432,43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안착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백플레이트(10)의 기계 가공시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의한 작업상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위로써,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돌출된 상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는 이중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측에 위치되는 플레이트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몸체부(11)가 이루는 형상에 따라 선택하여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상면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저면 중 세 지점을 각각 받쳐주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가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서포트핀(411)이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서포트핀(411)은 백플레이트(10)를 얹었을 경우 상기 백플레이트(10)가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 균일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물론,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상면에 상기 백플레이트(10)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얹히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백플레이트(10)가 주물 상태로 제공됨을 고려할 때 면 접촉 방식으로의 고정보다는 점 접촉 방식으로의 고정이 수평 상태를 맞추는데 더욱 유리하며, 특히 상기 서포트핀(411)을 세 개로 구성한 이유는 최소한의 접촉 부위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인 수평 상태로의 유지를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클램프(421,422,423,424,425,426)는 안착 플레이트(410)에 안착된 백플레이트(10)를 파지하는 구성임과 더불어 상기 복수의 스토퍼(431,432,433)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에 안착되는 백플레이트(10)의 수평 방향측 위치에 대한 기준면이 설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 중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둘레 부위를 따라 각각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스토퍼(431,432,433)가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각 둘레벽면 중 케이블 지지부(13)가 돌출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된 두 벽면을 각각 받쳐주는 제1스토퍼(431) 및 제2스토퍼(432)와, 상기 케이블 지지부(13)의 측벽을 받쳐주는 제3스토퍼(4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클램프(421,422,423,424,425,426)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수평 방향측 위치를 결정하면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둘레 벽면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13)가 형성된 모서리와는 반대측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1클램프(421) 및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둘레 벽면 중 상기 제1스토퍼(431)와 대향되는 둘레 벽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클램프(422)와,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수직 방향측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제3클램프(423,424,425)와,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케이블 지지부(13)를 감싸면서 고정하는 제4클램프(42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각 스토퍼(431,432,433) 및 각 클램프(421,422,423,424,425,426)에 대한 구성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타리 테이블(300)이 수평 및 수직하거나 혹은, 경사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각 부위에 대한 기계 가공이 수행되는 도중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방향 및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기계 가공 방향에 상관없이 항상 상기 백플레이트(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각 클램프(421,422,423,424,425,426) 중 제2클램프(422)의 경우 첨부된 도 8과 같이 유압력과 스프링력에 의해 백플레이트(10)를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과도한 가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인 클램핑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함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제2클램프(422)를 이중 플런저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이중 플런저 중 백플레이트(10)의 둘레벽면에 접촉되는 어느 한 플런저(422a)는 스프링(422b)에 의한 스프링력을 제공받도록 함과 더불어 다른 한 플런저(422c)는 작동 유체의 유압력에 의해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어느 한 플런저(422a)를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 중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둘레 부위에는 복수의 백업핀(4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한 각 백업핀(440)은 복수의 제3클램프(423,424,425)에 의해 클램핑된 백플레이트(10)가 그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도중 가공 부하에 의한 떨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티백 장치로써, 상기 각 제3클램프(423,424,425)에 의해 백플레이트(10)의 클램핑이 완료된 후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저면에 맞닿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는 지그부(400)가 복수로 제공됨을 실시예로 한다.
즉,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로타리 테이블(300) 상면에 두 지그부(400)를 설치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의 향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도면 부호 200은 툴 조립체(200)로써, 복수의 가공툴(210)을 가지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각 부위를 가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툴 조립체(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측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각 가공툴(210)은 각 작업별로 선택적인 교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각 부위를 가공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6 및 도 7과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주물 상태로 만들어진 백플레이트(10)를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구비된 지그부(400)의 안착 플레이트(410)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상면에 구비된 각 서포트핀(411)의 상면에 안착되며, 특히 상기 각 서포트핀(411)은 상기 백플레이트(10)의 형상 및 무게 중심을 고려한 세 지점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를 3점 지지 방식으로 지지함을 고려할 때 상기 각 서포트핀(411)의 상면에 안착되는 백플레이트(10)는 비록 주물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안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과 같다.
이의 상태에서,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제1클램프(421) 및 제2클램프(422)가 각각 우선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를 상기 제1클램프(421) 및 제2클램프(422)의 동작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상기 제1클램프(421) 및 제2클램프(422)의 동작 방향측에 각각 위치된 제1스토퍼(431)와 제2스토퍼(432) 및 제3스토퍼(433)에 접촉될 때까지 수평 이동되며,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둘레면이 제1스토퍼(431)와 제2스토퍼(432) 및 제3스토퍼(43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제1클램프(421) 및 제2클램프(422)에 의한 가압력을 제공받는 상태로 유지되면서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각 제3클램프(423,424,425)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 역시 방지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각 제3클램프(423,424,425)에 의해 상기 백플레이트(10)가 수직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제공받는 과정에서는 각 백업핀(440)이 상승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저면을 받쳐줌으로써 상기 백플레이트(10)는 상기 각 제3클램프(423,424,425)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제공받는 과정에서 뒤집히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안착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첨부된 도 13 및 도 14와 같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백플레이트(10)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고정 및 수직 방향으로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4클램프(426)가 동작되어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케이블 지지부(13)를 감싸면서 고정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지지부(13)의 수평 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된 각 과정에 의한 백플레이트(10)의 각 방향별 및 부위별 고정이 완료되면 툴 조립체(200)의 동작 및 로타리 테이블(30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에 대한 각 부위별 기계 가공이 진행된다.
즉, 툴 조립체(200)는 각 부위별 가공에 적합한 툴(tool)을 이용하여 백플레이트(10)의 각 부위에 대한 드릴링 및 밀링을 수행하고,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은 상기 툴 조립체(200)에 의한 백플레이트(10)의 가공 부위 및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가 눕혀진 상태나 세워진 상태 혹은,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단일 장치에 의한 백플레이트(10)의 모든 부위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백플레이트(10)는 각 클램프(421,422,423,424,425,426) 및 각 스토퍼(431,432,433)에 의해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 대한 유동이 모두 방지되도록 고정됨에 따라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회전이나 툴 조립체(200)에 의한 가공 방향과는 상관없이 항상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모든 가공 부위의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는 백플레이트(10)의 가공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제공되는 테이블을 회전 가능한 로타리 테이블(300)로 구성함에 따라 단일의 장치에서 상기 백플레이트(10)와 같이 경사 부위(케이블 지지부)를 갖는 제품의 각 가공 부위 및 가공 방향에 상관없이 모든 가공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는 통상적인 구조의 머시닝 센터를 이루는 베드(1)의 상면에 추가적인 결합 설치를 통해 구성됨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머시닝 센터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지그부(400)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형상적인 특징을 고려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및 틸팅 방향 모두로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회전 및 각 방향별 툴 조립체(200)에 의한 가공과는 상관없이 안정적인 가공이 가능하다.
100. 베이스 플레이트 110. 터닝 서포터
120. 로타리 인덱스부 130. 로타리형 유압공급부
200. 툴 조립체 300. 로타리 테이블
310. 회전 구동부 400. 지그부
410. 안착플레이트 411. 서포트핀
421. 제1클램프 422. 제2클램프
423,424,425. 제3클램프 426. 제4클램프
431. 제1스토퍼 432. 제2스토퍼
433. 제3스토퍼 440. 백업핀

Claims (7)

  1.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케이블 지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10)의 가공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되면서 상면이 수평상태나 수직상태 혹은, 틸팅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가공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 제공되는 로타리 테이블(30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되면서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310)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백플레이트(10)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지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400)는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안착 영역을 제공하는 안착 플레이트(410)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 중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둘레 부위를 따라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에 안착된 백플레이트(10)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와,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 중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둘레 부위를 따라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에 안착되는 백플레이트(10)의 수평 방향측 위치에 대한 기준면이 설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410)의 상면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저면 중 세 지점을 각각 받쳐주면서 주물 상태의 백플레이트(10)가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서포트핀(411)이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토퍼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각 둘레벽면 중 케이블 지지부(13)가 돌출 형성된 모서리와 인접된 두 벽면을 각각 받쳐주는 제1스토퍼(431) 및 제2스토퍼(432)와, 상기 케이블 지지부(13)의 측벽을 받쳐주는 제3스토퍼(4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클램프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수평 방향측 위치를 결정하면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둘레 벽면 중 상기 케이블 지지부(13)가 형성된 모서리와는 반대측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제1클램프(421) 및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둘레 벽면 중 상기 제1스토퍼(431)와 대향되는 둘레 벽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클램프(42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램프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수직 방향측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상면을 클램핑하는 복수의 제3클램프(423,424,4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램프에는
    상기 백플레이트(10)의 케이블 지지부(13)를 감싸면서 클램핑하는 제4클램프(42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 테이블(300)의 상면에는 상기 지그부(400)에 의해 고정된 백플레이트(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면서 가공 중 상기 백플레이트(10)의 떨림을 방지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백업핀(4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KR2020130002076U 2013-03-20 2013-03-20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KR200475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76U KR200475328Y1 (ko) 2013-03-20 2013-03-20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76U KR200475328Y1 (ko) 2013-03-20 2013-03-20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29U true KR20140005129U (ko) 2014-09-30
KR200475328Y1 KR200475328Y1 (ko) 2014-11-24

Family

ID=5229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076U KR200475328Y1 (ko) 2013-03-20 2013-03-20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3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19B1 (ko) * 2019-03-04 2019-05-16 정동한 차량 엔진 또는 미션용 캠캡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20230040187A (ko) * 2021-09-15 2023-03-22 (주)와이텍 공작기계의 공작물 바이스장치
KR20230080187A (ko) * 2021-11-29 2023-06-07 손성민 항공기 컨테이너용 프레임 가공을 위한 고정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31Y1 (ko) * 2001-03-12 2001-10-06 양재부 에어콘 콤프레셔용 샤프트 복합 가공장치
KR101098211B1 (ko) * 2005-05-17 2011-12-27 주식회사 성산암데코 다공정 복합가공장치
JP2009074599A (ja) * 2007-09-20 2009-04-09 Fuji Heavy Ind Ltd トルクコンバータ組付方法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組付装置
KR200467066Y1 (ko) * 2011-03-11 2013-06-04 (주)엠에스테크비젼 공작물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19B1 (ko) * 2019-03-04 2019-05-16 정동한 차량 엔진 또는 미션용 캠캡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20230040187A (ko) * 2021-09-15 2023-03-22 (주)와이텍 공작기계의 공작물 바이스장치
KR20230080187A (ko) * 2021-11-29 2023-06-07 손성민 항공기 컨테이너용 프레임 가공을 위한 고정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328Y1 (ko) 201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996B1 (ko) 공구단면 클램핑툴
CN205342590U (zh) 一种液压缸头的车用夹具
US8985564B2 (en) Workpiece holding fixture for machining multiple prismatic parts
KR20160074941A (ko) 밀링 머신의 공작물 가공용 고정치구
US10953507B2 (en) Workpiece holder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workpiece in a workpiece holding device
TWI568529B (zh) Object positioning fixtures
KR200475328Y1 (ko)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CN211489694U (zh) 制动鼓车加工九点车夹具
CN210209459U (zh) 一种实现零件加工面开敞的多工位模块化快速组合工装
JP2008183651A (ja) 段替えプレートのクランプ装置
CN109623411B (zh) 一种应用于板簧吊耳支座的工装及设备
CN110605597B (zh) 组合式定位治具及其使用方法
KR101609664B1 (ko) 캘리퍼 하우징의 메인보어 가공용 인덱스장치
KR101608041B1 (ko) 대형 디스크제품 가공보조용 지그장치
JP5531951B2 (ja) 自動組み付け装置
JP5101198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101872490B1 (ko) 면삭용 지그
CN106624889A (zh) 汽车发动机缸盖铣夹具
KR101927089B1 (ko) 아날로그 접속장치 케이스의 가공 고정지그
JP6951186B2 (ja) 回転塑性加工装置、およびワーク保持ユニット
CN214558188U (zh) 单次凸焊多个标准件的夹具
CN209919348U (zh) 一种消除拖拉机箱体加工中定位误差的辅具
CN213034142U (zh) 用于轮毂加工的固定工装
CN216706806U (zh) 一种制动器部件装夹装置
CN220718983U (zh) 一种圆筒焊把打磨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