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66Y1 - 공작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66Y1
KR200467066Y1 KR2020110002029U KR20110002029U KR200467066Y1 KR 200467066 Y1 KR200467066 Y1 KR 200467066Y1 KR 2020110002029 U KR2020110002029 U KR 2020110002029U KR 20110002029 U KR20110002029 U KR 20110002029U KR 200467066 Y1 KR200467066 Y1 KR 200467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air
tilting
jig
machin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472U (ko
Inventor
김덕희
강종래
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테크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테크비젼 filed Critical (주)엠에스테크비젼
Priority to KR2020110002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6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4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adjustable in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작물을 용이하게 다면 가공할 수 있는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통해 다면 가공되는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공작물이 세워져 지지되도록 상기 공작물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가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블록과, 상기 공작물의 양측에서 밀착되도록 슬라이딩되어 세워진 상기 공작물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밀착 블록을 포함하는 지그와, 상기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지그에 고정된 상기 공작물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지그를 경동시키는 경동 테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작물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workpiece}
본 고안은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공작물을 용이하게 다면 가공할 수 있는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는 피삭재인 공작물의 새로운 가공면에 대응하여 필요한 공구를 차례로 자동 교환하면서 밀링, 보링, 드릴링, 탭핑 등 여러 가지 가공을 하나의 기계로 수행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일종이다.
이러한 머시닝센터는 공구가 향하는 주축의 방향에 따라 수평형(horizontal type) 머시닝센터와 수직형(vertical type) 머시닝센터로 크게 구분되며, 이외에도 대형 공작물의 가공이 용이한 문형(bridge type) 머시닝센터와 복잡한 형태를 갖는 공작물의 가공이 용이한 5축 머시닝센터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머시닝센터 중에서 가장 많이 보급된 수직형 머시닝센터는 주축의 방향이 수직이고, 공작물이 수평 테이블 상에 부착되기 때문에 공작물의 상면만 가공할 수 있었다. 즉, 종래에는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공작물의 복수 표면을 가공, 즉 공작물을 다면(多面) 가공하기 위해서는 각종 지그(jig) 또는 클램프(clamp) 등을 사용하여 수평 테이블 상에 고정된 공작물의 상면을 가공한 후, 공작물의 다른 가공면(예를 들어, 공작물의 상면 가공 시 공작물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해 공작물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가공하고자 하는 표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고정 위치를 변경시켜 가공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지그나 클램프는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수평 테이블 상에 공작물을 단순히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공작물의 다면 가공을 위해 공작물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지그나 클램프가 조절되고, 공작물의 재고정 위치가 맞추어지기 때문에 공작물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수평 테이블 상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공작물을 고정시켜 가공하는 경우, 종래에는 복수의 공작물에 대한 고정 위치의 변경이 수작업을 통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공작물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수의 공작물을 모두 동일한 재고정 위치로 변경시키는데 편차가 발생하여 공작물의 가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물을 다면 가공하는 경우, 공작물의 가공 위치 변경에 따른 시간 소요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공작물의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불량품이 발생되는 등 공작물의 가공 품질이 저하되어 공작물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공작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다면 가공하는 과정에서 공작물을 용이하게 경동 및 회전된 상태로 고정시켜 공작물을 용이하게 다면 가공할 수 있는 공작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통해 다면 가공되는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공작물이 세워져 지지되도록 상기 공작물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가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블록과, 상기 공작물의 양측에서 밀착되도록 슬라이딩되어 세워진 상기 공작물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밀착 블록을 포함하는 지그와, 상기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지그에 고정된 상기 공작물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지그를 경동시키는 경동 테이블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공작물의 다면 가공을 위해 고가의 5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직형 머시닝센터에 공작물을 용이하게 경동 또는/및 회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공작물의 다면 가공 시에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공작물을 하나의 수평 테이블에 고정시켜 가공하는 경우, 복수의 공작물에 대한 고정 위치의 변경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작물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가공된 공작물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물을 다면 가공하는 경우에 공작물의 가공 위치를 변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공작물의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작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가 적용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의 장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동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경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를 적용하여 공작물이 가공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를 구동 상태도.
도 9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가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가 적용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의 장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100)는 수직형 머시닝센터(10)를 사용하여 다면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workpiece; 1)을 위치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1)의 복수의 가공면이 공작물(1)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전(Rt)하는 공구(tool; 2)를 향하도록 공작물(1)을 경동(tilting; T) 또는 회전(rotation; R)된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작물(1)을 '다면 가공'한다는 것은 공작물(1)의 상면, 측면 등 복수 표면이 공구(2)와 마주보는 가공면이 되도록 위치시켜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100)가 장착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10)에 관하여 살펴보면, 수직형 머시닝센터(10)는 하부 몸체를 형성하는 베드(bed; 20)와, 베드(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피삭재인 공작물(1)이 놓여지는 수평 테이블(horizontal table; 30)과, 베드(2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칼럼(column)을 포함하는 주축대(40)와, 주축대(4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공구(2)가 공작물(1)의 상부면을 절삭 등 가공할 수 있도록 하측 방향(z방향)을 향하여 장착시키고, 공구(2)를 회전(Rt)시키는 공구 헤드(50) 및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나 컴퓨터 수치제어(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를 받아 수직형 머시닝센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직형 머시닝센터(10)는 수평 테이블(30), 주축대(40), 공구 헤드(50)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공작물(1)에 대한 공구(2)의 상대적인 구동이 상호 교차하는 3축 방향(x방향, y방향, z방향)이 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테이블(30)이 좌우 방향(x방향)으로 구동(Mx)되고, 주축대(40)가 전후 방향(y방향)으로 구동(My)되며, 공구 헤드(50)가 상하 방향(z방향)으로 구동(Mz)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10)를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3축 구동(Mx, My, Mz)되는 수직형 머시닝센터에도 후술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100)를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지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동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경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를 적용하여 공작물이 가공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를 구동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100)는 수직형 머시닝센터(10)를 통해 다면 가공되는 공작물(1)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공작물(1)이 세워져 지지되도록 공작물(1)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1a; 도 3(b) 참조)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230)가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블록(220)과, 공작물(1)의 양측에서 밀착되도록 슬라이딩(S)되어 세워진 공작물(1)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을 포함하는 지그(jig; 200)와, 수직형 머시닝센터(10)의 수평 테이블(3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지그(200)에 고정된 공작물(1)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A0, A0'; 도 6(b) 참조)이 수평 테이블(30)의 상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지그(200)를 경동(T)시키는 경동 테이블(300)을 포함한다.
지그(200)는 공작물(1)이 절삭 등의 가공 공정 중 움직이지 않도록 공작물(1)의 측면을 죄어 고정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공작물(1)의 하부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지지 홈(1a)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작물(1)의 지지 홈(1a)에 맞물려 끼워지는 지지 돌기(230)를 구비하여 공작물(1)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공작물(1)의 하부면이 맞대어지는 지지 블록(22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230)뿐만 아니라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의 슬라이딩(S)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돌기(2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지지 블록(220)의 상부면에 지지 돌기(230)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지그(200)를 사용하여 복수의 공작물(1)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블록(220)의 상부면에서 슬라이딩(S)되는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의 마주보는 내측면 각각에는 밀착되는 공작물(1)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밀착홈(212; 212a, 212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작물(1)이 원통형의 봉재로 이루어져,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의 내측면 각각에 수평 단면의 형상이 반원인 밀착홈(212; 212a, 212b)이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230)는 인접되는 지지 돌기와는 이격되면서, 일직선 형태로 지지 블록(220)의 상부면에서 정렬된다. 즉, 복수의 공작물(1)이 지그(200)를 통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정렬 및 고정되어 수직형 머시닝센터(10)의 공구(2)와의 상대적인 구동(Mx, My, Mz)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복수의 공작물(1)을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작물(1)의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작물(1)의 하부면에 끼워 맞춰지는 지지 돌기(230)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십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기(230)는 공작물(1)의 다면 가공시에 공작물(1)을 회전(R)시키는 각도에 따라 수평 단면의 형상의 특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작물(1)의 측면을 4개의 가공면으로 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즉 공작물(1)의 회전(R) 각도가 90°인 경우에는 지지 돌기(230)의 수평 단면의 형상이 십자형 또는 사각형이 되도록 하며, 공작물(1)의 측면을 3개의 가공면으로 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즉 공작물(1)의 회전 각도가 120°인 경우에는 지지 돌기(230)의 수평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공작물(1)의 측면을 5개 이상의 가공면으로 하여 가공하는 경우에 지지 돌기(230)의 수평 단면의 형상을 정오각형(회전각도 72°), 정육각형(회전각도 60°) 등의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작물(1)의 5면 가공(상면 및 4개의 측면 포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작물(1)의 위치 변경시 90°각도의 변경이 용이하도록 수평 단면의 형상이 십자형('+'형)인 지지 돌기(230)를 적용하였다.
위와 같은 지지 블록(22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의 사이 간격(P)이 조절되도록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을 슬라이딩(S)시키는 제1구동기(260)가 구비된다. 미도시되었지만, 제1구동기(260)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을 왕복 구동시키는 랙-피니언 기어 또는 타이밍 벨트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 블록(22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230)가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구비하였지만(도 3(b) 참조), 본 고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지지 블록(220)의 내부에 지지 돌기(230)의 하부에 연결되는 회전 몸체(240)와, 회전 몸체(240)를 회전(R)시키는 제2구동기(250)를 구비할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공작물(1)의 새로운 가공면에 대응하여 공작물(1)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공작물(1)을 수작업으로 회전(R)시킬 수 있으며, 수치제어 등의 구동 명령을 받는 제2구동기(250)를 통해 공작물(1)을 자동으로 회전(R)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구동기(250)의 적용을 통해 다면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1)의 가공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물(1)을 회전(R)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지그(200)를 공구(2)의 하측 영역에 위치시킬 때,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테이블(30)의 상부면에 지그(200)를 바로 안착시키지 않고, 수평 테이블(30)의 상부면에 경동 테이블(300)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지그(200)를 안착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동 테이블(300)은 수평 테이블(30)의 상부면에 장착(장착 및 탈착이 가능)되는 부착 플레이트(310)와, 부착 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마주보는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경동판(330; 330a, 330b)을 회전(T)시키는 한 쌍의 경동 블록(320; 320a, 320b)과, 부착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경동판(330; 330a, 330b)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지그(200)의 지지 블록(220)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경동 플레이트(3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경동 블록(320; 320a, 320b) 각각의 내부에는 마주보는 한 쌍의 경동판(330; 330a, 330b)을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제3구동기는 수치제어 등의 구동 명령을 받아 구동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경동판(330; 330a, 330b)을 동일한 각속도 및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T)시킴으로써 한 쌍의 경동판(330; 330a, 330b) 사이에 연결되는 경동 플레이트(340)를 마주보는 한 쌍의 경동판(330; 330a, 330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회전축(Ax; 도 5(b) 참조)을 기준으로 비틀림 없이 경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공작물(1)이 고정되는 지그(200)를 경동 테이블(300)을 사용하여 경동(T)시킬 수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1)이 경동(T)되기 전의 상태(도 7(a) 참조)에서 공작물(1)을 일정한 경동 각도(α)로 경동(도 7(b) 참조)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 깊이(h)를 조절함으로써 공작물(1)의 상부면 및 측면에 경사면(예를 들어, 인두팁과 같이 공작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작물의 반경(r)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지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그(200)에서의 공작물(1)의 회전(R)과, 경동 테이블(300)에서의 공작물(1)의 경동(T)을 조합하여 공작물(1)을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다면 가공시킬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공작물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공작물(1)을 가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수직형 머시닝센터(10)의 수평 테이블(30)에 공작물(1)의 연장 방향으로의 회전축(A0)을 기준으로 공작물(1)을 회전(R)시키거나 또는 수평 테이블(30)의 연장 방향 또는 복수의 공작물(1)이 정렬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축(Ax)을 기준으로 공작물(1)을 경동(T)시켜 위치 고정시키는 공작물 고정 장치(100)를 장착하는 단계(S110; 도 8(a) 참조)와, 지그(200)의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물(1)을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삽입시켜 고정하는 단계(S120; 도 8(a) 참조)와, 공작물(1)의 상측에서 수직형 머시닝센터(10)의 공구(2)를 회전(Rt) 및 공작물(1)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Mx, My, Mz)시켜 공작물(1)을 1차 가공하는 단계(S130; 도 8(b) 참조)와, 공작물(1)의 삽입 방향이 수평 테이블(30)의 상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경동 테이블(30)을 조절하여 공작물(1)을 경동시키는 단계(S140; 도 8(c) 참조)와, 기울어진 공작물(1)의 상측에서 공구(2)를 회전(Rt) 및 구동(Mx, My, Mz)시켜 공작물(1)을 2차 가공하는 단계(S150; 도 8(d))와, 공작물(1)의 삽입 방향이 수평 테이블(30)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경동 테이블(300)을 조절하고, 한 쌍의 밀착 블록(210; 210a, 210b) 사이 간격(P)을 벌어지도록 이격시킨 상태에서 공작물(1)의 연장 방향으로의 회전축(A0)을 기준으로 공작물(1)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R)시킨 후 재고정시키는 단계(S160; 도 8(e), 도 8(f) 참조) 및 공작물(1)의 새로운 가공면에 대하여 전술한 1차 가공 및 2차 가공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공작물 구동 장치(100)는 수직형 머시닝센터(10)에 입력되는 수치제어 명령을 통해 구동 제어 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작물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공작물의 다면 가공을 위해 고가의 5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수직형 머시닝센터에 공작물을 용이하게 경동 또는/및 회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공작물의 다면 가공 시에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공작물을 하나의 수평 테이블에 고정시켜 가공하는 경우, 복수의 공작물에 대한 고정 위치의 변경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작물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가공된 공작물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작물을 다면 가공하는 경우에 공작물의 가공 위치를 변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공작물의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공작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 공작물 2: 공구
10: 머시닝센터 30: 수평 테이블
100: 공작물 고정 장치 200: 지그
210: 밀착 블록 220: 지지 블록
230: 지지 돌기 250: 제2구동기
260: 제1구동기 300: 경동 테이블
310: 부착 플레이트 320: 경동 블록
330: 경동판 340: 경동 플레이트

Claims (8)

  1. 수직형 머시닝센터를 통해 다면 가공되는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공작물이 세워져 지지되도록 상기 공작물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지 홈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가 상부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지지 블록과, 상기 공작물의 양측에서 밀착되도록 슬라이딩되어 세워진 상기 공작물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밀착 블록을 포함하는 지그와;
    상기 수직형 머시닝센터의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지그에 고정된 상기 공작물의 연장되는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지그를 경동시키는 경동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경동 테이블은 상부면에 상기 지그의 지지 블록을 안착시켜 지지하는 경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작물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의 상부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 블록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밀착 블록의 마주보는 내측면 각각에는 상기 공작물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밀착홈이 형성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지지 블록의 상부면에서 인접되는 지지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구비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십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 블록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밀착 블록을 슬라이딩시키는 제1구동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 돌기를 상기 공작물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2구동기;가 구비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 테이블은,
    상기 수평 테이블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고, 마주보는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경동판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경동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동 플레이트는 상기 부착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경동판 사이에 양측이 결합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동 블록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경동판을 동일한 각속도 및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가 구비되는 공작물 고정 장치.
KR2020110002029U 2011-03-11 2011-03-11 공작물 고정 장치 KR200467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29U KR200467066Y1 (ko) 2011-03-11 2011-03-11 공작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29U KR200467066Y1 (ko) 2011-03-11 2011-03-11 공작물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72U KR20120006472U (ko) 2012-09-20
KR200467066Y1 true KR200467066Y1 (ko) 2013-06-04

Family

ID=5138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29U KR200467066Y1 (ko) 2011-03-11 2011-03-11 공작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23B1 (ko) 2013-11-12 2014-11-11 한국공작기계 주식회사 수동 밸브척
KR101955027B1 (ko) * 2018-07-20 2019-03-07 홍명훈 렌즈 사출성형용 코어 가공을 위한 고정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28Y1 (ko) * 2013-03-20 2014-11-24 (주)태현 브레이크용 백플레이트 가공장치
JP6250355B2 (ja) * 2013-10-04 2017-12-20 株式会社岩間工業所 モデリング装置
CN108262622A (zh) * 2017-07-19 2018-07-10 江苏宇邦工业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可倾斜可旋转的四工位铣面工装
JP7194537B2 (ja) * 2018-09-04 2022-12-22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反転ユニットおよび加工装置
KR102084440B1 (ko) * 2019-01-08 2020-03-04 (주)오성씨엔엠 다기능 테이블 장치
CN115008370A (zh) * 2022-06-20 2022-09-06 苏州沛斯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多组合探测分光棱镜加工固定装置
CN115229524A (zh) * 2022-09-05 2022-10-25 中国机械总院集团云南分院有限公司 一种可垂向旋转液压工作台
CN116748923B (zh) * 2023-08-17 2023-12-08 杭州鄂达精密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长方体打孔用装夹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5128U (ja) * 1981-09-01 1983-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ヘツド加工治具
JPH05138543A (ja) * 1991-11-15 1993-06-01 Nishimurajigu:Kk 棒状ワーク用のバイスアタツチメント
JPH10202455A (ja) * 1997-01-20 1998-08-04 Ricoh Co Ltd 保持具
KR100677678B1 (ko) 2006-05-08 2007-02-02 주식회사 태진정밀 인덱스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5128U (ja) * 1981-09-01 1983-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ヘツド加工治具
JPH05138543A (ja) * 1991-11-15 1993-06-01 Nishimurajigu:Kk 棒状ワーク用のバイスアタツチメント
JPH10202455A (ja) * 1997-01-20 1998-08-04 Ricoh Co Ltd 保持具
KR100677678B1 (ko) 2006-05-08 2007-02-02 주식회사 태진정밀 인덱스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23B1 (ko) 2013-11-12 2014-11-11 한국공작기계 주식회사 수동 밸브척
KR101955027B1 (ko) * 2018-07-20 2019-03-07 홍명훈 렌즈 사출성형용 코어 가공을 위한 고정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72U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066Y1 (ko) 공작물 고정 장치
CA2601055A1 (en) Numeric control engraving machine
JP6687640B2 (ja) 工作物の平坦面の加工方法
CN102825962B (zh) 一种立式数控雕刻机
JP2008126322A (ja) バイト加工方法及びバイト加工装置
CN210677900U (zh) 用于冰箱把手的多角度铣孔装置
CN113021018A (zh) 一种多轴联动的多轴机床及其控制方法
CN109624571A (zh) 一种立体雕刻机
CN112974919A (zh) 一种卧式加工中心机
CN110216481A (zh) 数控立式机床及应用其加工阀体的方法
KR20090124085A (ko) 면취기용 클램핑 장치
CN202727800U (zh) 一种新型立式数控雕刻机
CN209738645U (zh) 一种立体雕刻机
CN209887095U (zh) 一种四主轴加工中心的横梁稳定结构
CN209756591U (zh) 一种立体雕刻机
CN210161836U (zh) 一种立体雕刻机
JPS63156604A (ja) フライス加工方法
CN105817926A (zh) 钻床及机用夹紧钳
CN206200630U (zh) 一种加工设备
CN109605058A (zh) 二合一数控弯字机
US6095727A (en) Working head for numeric-control machine tools
JPH01316112A (ja) V字形状溝加工機
US20070161331A1 (en) Stone fabrication positioning system
CN105269454A (zh) 一种卧式数控磨刀机
CN217192775U (zh) 一种多轴联动数控加工中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