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440B1 - 다기능 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440B1
KR102084440B1 KR1020190002200A KR20190002200A KR102084440B1 KR 102084440 B1 KR102084440 B1 KR 102084440B1 KR 1020190002200 A KR1020190002200 A KR 1020190002200A KR 20190002200 A KR20190002200 A KR 20190002200A KR 102084440 B1 KR102084440 B1 KR 10208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workpiece
state
fix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권빈
Original Assignee
(주)오성씨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씨엔엠 filed Critical (주)오성씨엔엠
Priority to KR102019000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4Rotary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되,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고, 피절삭물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피절삭물의 가공면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배치수단; 및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피절삭물의 가공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절삭물을 향해 승강하면서 상기 피절삭물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로드에 의해 회전판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피절삭물을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테이블 장치{MULTIFUNCTIONAL TABLE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배치되는 피절삭물을 가공할 수 있는 다기능 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라고도 하며, 기계공업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기계이다. 넓은 뜻으로 단조·압연(壓延)·프레스·전단(剪斷) 등의 가공기계까지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기계공작의 기초가 되는 절삭·연삭 등과 같이 절삭 칩(chip)을 내면서 금속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필요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 기계를 말한다. 피가공물을 소정의 모양으로 깎아내기 위하여 즉, 절삭가공을 위하여 바이트·드릴빗·밀링커터와 같은 커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공작기계에는 공작물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이용하여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블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677678호(2007.01.26) "인덱스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은 접속 돌기가 형성되는 분할판, 분할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접속 돌기에 접속 또는 해제되는 분할판접속구, 분할판접속구의 스프링가압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해제스프링 및 분할판접속구의 분할판연결부를 분할판의 접속돌기에 접속시키는 가압력을 전달 또는 해제하는 고정슬라이드로 구성되고, 공작물을 일정 각도로 등분할하여 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덱스 테이블은 구동부를 통해 공작물을 회전시켜 상부면을 가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나, 공작물의 하부면을 가공해야 할 경우,공작물을 분할판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부면과 하부면의 위치를 변경하고, 다시 분할판에 고정시키는 세팅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공작물의 위치를 변경하는 세팅과정에서 공작물의 위치공차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7678호(2007.01.26) "인덱스 테이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블 상에 고정된 공작물을 테이블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 다기능 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테이블 장치는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되,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고, 피절삭물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피절삭물의 가공면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배치수단; 및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피절삭물의 가공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절삭물을 향해 승강하면서 상기 피절삭물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연결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이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기 회전부를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는 제1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피절삭물을 상기 회전판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고정된 상기 피절삭물을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제1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부면 내측에 원형을 이루도록 함몰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제2 회전수단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제각기 상기 회전판의 상기 회전부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부의 상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베어링; 상기 회전베어링의 내측에 고정 상태로 마련되고, 내측에 나사산을 갖는 중공이 형성된 체결링;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의 중공에 관통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로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부에 관통 상태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베어링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회전베어링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회전베어링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회전로드에 의해 회전판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피절삭물을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절삭물을 회전판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고도, 피절삭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배치 상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피절삭물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가공을 위해 피절삭물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기존의 세팅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피절삭물의 위치공차가 유지되기 때문에 피절삭물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한 작업의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테이블 장치의 전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 - A'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테이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테이블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테이블(110), 배치수단(120) 및 가공부(160)를 포함한다.
테이블(110)은 후술할 배치수단(120)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110)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를 이루고, 바닥면에 마련되는 받침대(170)의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테이블(110)은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배치수단(120)은 피절삭물(200)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시켜 피절삭물(200)의 가공면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0), 제1 회전수단(140) 및 제2 회전수단(150)을 포함한다.
회전판(130)은 피절삭물(200)을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구성 중, 하나의 구성으로, 연결부(131) 및 회전부(133)를 포함한다.
연결부(131)는 회전판(130)을 테이블(110)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소정의 형상을 이루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131)는 원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1)는 원형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1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연결돌기(111)에 연결홈(131a)이 끼워지는 끼움방식을 통해 테이블(11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33)는 후술할 피절삭물(200)을 테이블(1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전술한 연결부(13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133)는 연결부(131)와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33)는 후술할 제1 회전수단(140)을 통해 연결부(1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수단(140)은 연결부(131)에 회전부(13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41) 및 가이드 돌기(143)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141)은 후술할 가이드 돌기(14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연결부(131)의 내측에 원형을 이루도록 함몰형성되는 레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41)은 내부로 구비되는 후술할 가이드 돌기(143)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43)는 가이드 레일(141)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회전부(133)의 하부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돌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43)는 가이드 레일(141)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수단(140)은 회전부(133)가 테이블(1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되, 가이드 레일(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연결부(131)에 연결할 수 있다.
제2 회전수단(150)은 피절삭물(200)을 회전판(130)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고정된 피절삭물(200)을 테이블(110)의 상부면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연결브라켓(151), 회전베어링(153), 체결링(155) 및 회전로드(157)를 포함한다.
연결브라켓(151)은 후술할 회전로드(157)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한 싸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제각기 전술한 회전판(13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브라켓(151)은 회전판(130)의 회전부(133) 상부에 마련되되, 회전부(133)의 상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브라켓(151)은 후술할 회전로드(157)를 제각기 마주보게 구비할 수 있다.
회전베어링(153)은 피절삭물(200)을 테이블(1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브라켓(15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베어링(153)은 복렬 자동 조심형 베어링, 단식 스러스트 베어링, 니들 베어링, 원통 베어링, 구면 롤러 베어링 등의 구름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베어링(153)은 외륜을 이루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53a)이 함몰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고정홈(153a)이 등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고정핀(159)에 걸려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함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회전베어링(153)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설정된 각도는 180°를 이룰 수 있다.
체결링(155)은 후술할 회전로드(157)를 회전베어링(15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회전베어링(153)의 내륜이 이루는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환형의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링(155)은 별도의 고정방식을 통해 회전베어링(153)의 내륜에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적인 내용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체결링(155)은 내측에 나사산을 갖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링(155)의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예컨대, 암나사산의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후술할 회전로드(157)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될 수 있다.
회전로드(157)는 피절삭물(200)을 고정하고, 고정된 피절삭물(20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길이를 갖는 봉 형상를 이루고, 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로드(157)는 예컨대, 리드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끝단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회전로드(15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예컨대, 수나사산의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전술한 체결링(155)의 나사산과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로드(157)는 체결링(155)의 내측으로 나사체결된 상태로 연결되고, 한 쌍의 연결브라켓(151)에 제각기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로드(157)는 후술할 고정핀(159)에 의해 전술한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이 차단된 상태를 이룰 경우, 체결링(155)과 체결된 축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이동됨에 따라 끝단이 회전판(130)의 상부에 배치될 피절삭물(200)의 양측을 제각기 지지하는 상태로, 피절삭물(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로드(157)는 피절삭물(200)을 고정한 상태에서 더이상 회전될 수 없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고정핀(159)을 고정홈(153a)으로부터 분리시켜 회전베어링(153)이 회전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에 따라, 회전베어링(153)에 의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고정핀(159)을 회전베어링(153)의 다른 고정홈(153a)에 끼워넣어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을 다시 차단함에 따라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수단(150)은 고정핀(1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159)은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5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51)의 상부에 관통 상태로 구비되되, 회전베어링(153)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회전베어링(153)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153a)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159)은 배치된 상태 그대로 승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회전베어링(153)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153a)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이룸에 따라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고정핀(159)은 회전베어링(153)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 그대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수단(150)은 회전로드(157)를 통해 피절삭물(200)을 회전판(130)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고정된 피절삭물(200)을 테이블(1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치수단(120)을 통해 피절삭물(200)의 가공면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작동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0)의 상부에 피절삭물(200)을 배치시키되, 피절삭물(200)의 상부면 즉, 제1 가공면(201)이 후술할 가공부(160)에 마주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피절삭물(200)은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 즉, 가공부(1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지지수단을 통해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 고정핀(159)을 통해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을 차단한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드(157)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로드(157)의 끝단을 피절삭물(2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로드(157)는 끝단이 피절삭물(200)의 양측면에 제각기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피절삭물(20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절삭물(200)은 회전판(130)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은 물론, 회전부(133)에 의해 가이드 레일(141)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59)을 회전베어링(153)의 고정홈(153a)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회전베어링(153)은 회전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회전로드(157)가 회전베어링(153)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가능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드(157)를 회전베어링(153)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피절삭물(200)은 테이블(1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가공면(201)과 하부면 즉, 제2 가공면(203)의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59)을 통해 회전베어링(153)의 회전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회전로드(157)는 회전베어링(153)의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피절삭물(200)의 제2 가공면(203)이 후술할 가공부(160)와 마주하는 상태 그대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수단(120)은 피절삭물(200)을 고정한 상태로, 피절삭물(200)의 가공면 즉, 제1 가공면(201)과 제2 가공면(203)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피절삭물(200)은 회전로드(157)에 의해 고정된 상태 그대로 가공면의 위치만 변경되기 때문에 위치공차가 유지되므로, 후술할 가공부(160)에 의해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공부(160)는 전술한 피절삭물(200)을 가공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70)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브라켓(161)에 설치되는 공작기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공작기계는 드릴링 머신, 보링 머신, 셰이퍼, 연마기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스핀들 축에 의해 회전되는 엔드밀을 통해 피절삭물(200)을 가공하는 드릴링 머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부(160)는 전술한 테이블(110) 및 배치수단(120)에 의해 피절삭물(200)의 가공면과 마주하는 상태에서, 승강하면서 피절삭물(200)의 가공면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테이블 장치(100)는 피절삭물(200)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다기능 테이블 장치 110 : 테이블
120 : 배치수단 130 : 회전판
131 : 연결부 133 : 회전부
140 : 제1 회전수단 141 : 가이드 레일
143 : 가이드 돌기 150 : 제2 회전수단
151 : 연결브라켓 153 : 회전베어링
155 : 체결링 157 : 회전로드
159 : 고정핀 160 : 가공부
161 : 고정브라켓 170 : 받침대

Claims (5)

  1. 삭제
  2.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되,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고, 피절삭물을 고정한 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피절삭물의 가공면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시키는 배치수단; 및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피절삭물의 가공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절삭물을 향해 승강하면서 상기 피절삭물을 가공하는 가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배치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연결돌기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홈이 마련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로 이루어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기 회전부를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는 제1 회전수단; 및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고, 상기 피절삭물을 상기 회전판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고정된 상기 피절삭물을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상부면 내측에 원형을 이루도록 함몰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
    를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수단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제각기 상기 회전판의 상기 회전부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회전부의 상부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베어링;
    상기 회전베어링의 내측에 고정 상태로 마련되고, 내측에 나사산을 갖는 중공이 형성된 체결링; 및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의 중공에 관통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로드;
    를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부에 관통 상태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베어링을 향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회전베어링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걸림 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회전베어링의 회전을 차단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는 다기능 테이블 장치.
KR1020190002200A 2019-01-08 2019-01-08 다기능 테이블 장치 KR10208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00A KR102084440B1 (ko) 2019-01-08 2019-01-08 다기능 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00A KR102084440B1 (ko) 2019-01-08 2019-01-08 다기능 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440B1 true KR102084440B1 (ko) 2020-03-04

Family

ID=6978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00A KR102084440B1 (ko) 2019-01-08 2019-01-08 다기능 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4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78B1 (ko) 2006-05-08 2007-02-02 주식회사 태진정밀 인덱스 테이블
KR20120006472U (ko) * 2011-03-11 2012-09-20 (주)엠에스테크비젼 공작물 고정 장치
KR20160087554A (ko) * 2015-01-14 2016-07-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베어링 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대형 플랜지 가공기의 턴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678B1 (ko) 2006-05-08 2007-02-02 주식회사 태진정밀 인덱스 테이블
KR20120006472U (ko) * 2011-03-11 2012-09-20 (주)엠에스테크비젼 공작물 고정 장치
KR20160087554A (ko) * 2015-01-14 2016-07-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베어링 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대형 플랜지 가공기의 턴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655B1 (ko) 터릿 공구대 및 그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 기계
KR101130035B1 (ko) 물림 시 회전을 고정하는 바이스
KR100934452B1 (ko) 원형단면 소재의 모따기장치
KR101479497B1 (ko) 범용선반을 이용한 자동 건드릴장치
US3228265A (en) Boring and facing tool
US10532408B2 (en) Pipe end machining device
CN103264281A (zh) 车、磨、镗、铣一体大型复合卧式机床
JPWO2016063410A1 (ja) 製造システム
KR102084440B1 (ko) 다기능 테이블 장치
KR20190000949A (ko) 드릴링 머신
KR101023150B1 (ko) 디버링 자동머신용 가공헤드
KR20160116472A (ko) 트윈틸팅타입 건-드릴머신
KR100994914B1 (ko)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공구대
KR20120005329A (ko) 공작기계용 멀티 스핀들 장치
KR20140133017A (ko) 절삭가공용 공작물의 고정베이스 회전장치
KR100845294B1 (ko) 수직형 멀티 인덱스 드릴링 머신 및 드릴링 방법
CN104708500A (zh) 圆弧孔加工装置
CN214108920U (zh) 一种建筑施工用钻夹
JP4805025B2 (ja) 回転型加工機
JP4621569B2 (ja) 旋盤における主軸交叉内周の加工方法
JP5902901B2 (ja) 工作機械用の主軸
KR101602059B1 (ko) 머시닝 센터를 이용한 스윙링크의 편심축 가공방법
KR20130065362A (ko) 밀링커터의 인서트 팁 세팅장치
CN209902296U (zh) 一种用于镗床加工的多自由度运动平台
CN215393747U (zh) 一种新型机床机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