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606U - 목도리 - Google Patents

목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606U
KR20140004606U KR2020130000768U KR20130000768U KR20140004606U KR 20140004606 U KR20140004606 U KR 20140004606U KR 2020130000768 U KR2020130000768 U KR 2020130000768U KR 20130000768 U KR20130000768 U KR 20130000768U KR 20140004606 U KR20140004606 U KR 201400046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hawl
fastening part
disposed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정
염현철
Original Assignee
염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현철 filed Critical 염현철
Priority to KR2020130000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606U/ko
Publication of KR20140004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6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Scarves; Head-scarves; Neckerch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탈착이 간편하고 견고한 착용이 가능한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상하변이 평행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변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변의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목도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도리{NECKPIECE}
본 고안은 추위를 막거나 장식으로 목에 두르는 목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탈착이 간편하고 견고한 착용이 가능한 목도리에 관한 것이다.
날씨가 추운 동절기에는 특히 목에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목도리나 머플러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목도리는 추위를 막기 위하여 목에 두르는 부재로서, 단독으로 형성되는 목도리는 사각의 보자기 형상으로 된 스카프타입과 목에 한두 바퀴 두를 수 있도록 천을 길게 형성한 머플러타입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스카프타입의 목도리는 통상적으로 목에 둘은 상태에서 목 앞에서 매듭을 지어 매는 식으로 사용하는데, 목 앞을 완전히 가릴 수 없으므로 앞쪽의 목에는 상의와 스카프 사이로 찬 공기가 스며들게 되어 목도리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 머플러타입의 목도리는 목에 두른 상태에서 행동하게 되면, 목도리가 목의 위쪽으로 감겨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머플러타입의 목도리와 상의와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여 차가운 공기가 목으로 스며들게 되어 이 역시 목도리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376077호의 '휴대용 다기능착용구'와 실용신안등록 제20-421775호의 '모자를 내장한 착탈식 목도리'가 제안되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376077호의 '휴대용 다기능 착용구'는, 목도리 타입으로 형성된 몸체에는 연장면을 별도로 부착하고 몸체가 부착된 몸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지퍼를 부착하여 상기 연장면을 지퍼를 통해 몸체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목도리타입으로 된 몸체를 목에 착용했을 때에 연장면이 등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등을 다소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바람이 불게 되면 연장면이 휘날리게 되어 등을 따뜻하게 하는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제20-421775호의 '모자를 내장한 착탈식 목도리'는, 상부가 개방되어 모자를 말아 목도리의 안쪽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목도리의 양단 반대면에는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목에 두른 상태에서 양단의 부착수단을 접착하여 착용하며, 필요에 따라 모자를 펼쳐 사용할 수 있으며, 탈착수단에 의해 옷깃에 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인데, 이와 같이 모자가 내장된 목도리는 단순히 목에 한번 두른 후에 양단의 부착수단을 접착하여 착용하므로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목도리와 목과의 사이로 차가운 공기가 쉽게 스며들며, 옷깃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옷깃에도 별도의 탈착수단을 부착시켜야 하므로 효용성이 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목도리들은 탈착이나 보관 등에 있어서 불편함을 가지며, 목을 완전히 보호할 수 없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에 견고하게 착용상태를 유지시키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활동성을 지나치게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목도리가 자체적으로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탈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체결부재의 배치상태를 최적화함으로써 목에 밀착력을 강화하여 보온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목도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는, 길이방향으로 상하변이 평행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변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변의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목도리를 제공한다.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각각 2개 이상의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측의 스냅버튼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상기 제1체결부의 상기 제2체결부에 대한 배열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장방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가 더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목도리는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 또는 배치되기 때문에 목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보온성능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체결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체결상태에서 몸체부의 상측의 개구보다 하측의 개구보다 더욱 넓게 이루어지므로 신체의 형상에 더욱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들이 스냅버튼, 벨크로 또는 자성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목도리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도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양측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서 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체결부(120)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전체적으로 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될 바와 같이 사다리꼴 내지는 대략적인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부(110)가 전체적으로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 사이를 연결하여 목을 감싸는 부위를 몸체부(110)로 한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인체와의 접촉 및 모양 형성의 유연성을 고려하여 면, 가죽, 양모 또는 합성섬유 등과 같은 재질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양단측은 상호간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착용상태에서 평면상 대략 폐곡선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 사이의 공간에 목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의 양단측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체결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제2체결부(130)는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몸체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밀착 및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가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부(120)는 홈부를 스냅버튼이고, 제2체결부(130)는 돌부를 구비한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체결부(130)의 돌부가 제1체결부(120)의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냅버튼의 구조 및 작동방식은 공지의 스냅버튼이 적용될 수 있음다.
다만,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는 반드시 스냅버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퍼, 단추 또는 후술할 바와 같은 자성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부(110)는 목을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양변측이 어느 정도 높이를 형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몸체부(110)가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양변은 목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의 양단측에 배치되는 체결부들은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지만, 스냅버튼이 1개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몸체부(110)의 양단측의 밀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존재한다. 즉, 1개의 스냅버튼만으로는 착용 상태에서의 전방측에 공간이 발생하고, 밀착되지 않은 양단측 부위가 바람직하지 않게 유동될 수 있으므로 이는 그 사이의 공간으로 냉기가 유입될 수 있어 기능적인 효율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가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몸체부(110)의 양단부측에 각각 종방향으로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착용상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체결부(120)의 제2체결부(130)의 종방향의 배열되는 개수는 2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배열이 상기 몸체부(110)의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직선(A-A')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를 형성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가 가로로 길게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의 변이 평행한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의 한 변을 A-A'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120)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o)은 몸체부(110)의 일단부측에 인접하여 상기 A-A'선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130)는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에 인접하여 상기 A-A'선의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의 배치상태에서 상측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변이 목에 착용시 상측으로 배치될 때, 상기 제2체결부(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재는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보다 타단부측에서 더 멀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A-A'선은 반드시 몸체부(110)의 한 변에 평행한 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의 외곽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A-A'선은 양단부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일 수도 있고, 양단부측의 접선이 이루는 방향을 각각 의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된 본 고안의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개념에 따라 전체적으로 몸체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배열은 비대칭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부(130)의 배치상태에 따라 몸체부(110)가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체결부(130)와 양단부측 사이에는 소정의 몸체부(110)의 잔여 부위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덮개부(140)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40)는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의 상측에서 폭이 더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의 예와 같은 경우 제2체결부(130)를 이루는 부재들의 외곽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에 의하여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예에 따른 목도리의 체결부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체결되는 경우는 몸체부(110)가 평면상 대략 폐곡선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 사이의 공간에서 목을 감싸도록 기능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120)에 대해 제2체결부(130)가 외측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이 일단부측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목을 완전하게 감싸도록 하면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130)가 몸체부(110)의 상변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은 상측이 일단부측을 더 많이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개념에 따라 몸체부(1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목도리의 형상은 상측의 개구보다 하측의 개구가 더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람의 목 형상은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넓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목을 더 편안하면서도 완전하게 감쌀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덮개부(140)는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면서 몸체부(110)의 일단부측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덮개부(140)는 외풍의 유입 방지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덮개부(140)가 바람직하지 않게 유동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부(140)의 내면에는 소정의 접착 또는 결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덮개부(140)에 대응되는 몸체부(110)의 일단부측 외면에는 이와 결합될 수 있는 접착 또는 결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Velcro)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념에서는 몸체부(110)의 양단부측에서 타단부측이 일단부측에 대해 경사지도록 결합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목도리(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조절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즉, 목의 두께나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목의 두께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체결부(120)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1체결부(120)가 하나의 종방향 배열로 이루어지고 제2체결부(130)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목도리의 착용상태에서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더욱 구체적으로는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의 경사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결부(130)의 상측에 배열되는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는 개념이 추가적으로 제시된다.
즉, 상기 제2체결부(130)가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에 인접되어 실질적으로 상하측에 각 하나씩의 부재가 배치될 때, 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A-A'선에 대한 제2체결부(130)의 배열인 p선의 각도는 하나로 결정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130)의 상단부측에 배치되는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하나 더 배열되는 경우는 제1체결부(120)와의 결합상태가 두 개로 선택될 수 있고, 이는 몸체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측이 결합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체결상태에서 몸체부(110)의 상측의 개구와 하측의 개구의 넓이의 비는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제2체결부(130) 또는 제1체결부(120)가 소정의 도트가 종횡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는 소정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선택은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체결부(130)가 몸체부(110)의 타변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예가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체결부(130)가 몸체부(110)의 타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개념이 제시된다.
여기서, 제1실시예의 몸체부(110)의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타변(t)이 A-A'선의 직교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타변의 연장선(t)과 제2체결부(130)의 배열상태의 연장선(p)가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은 도 1의 실시예에서의 덮개부(140)의 면적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체결상태에서 몸체부(110)의 타단부가 유동되는 부위가 최소화되거나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120), 제2체결부(130) 및 몸체부(110)와 관련하여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와 달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가 대략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양단부측의 형상이 길이방향인 A-A'선의 직교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제시된다.
따라서, 일단부측의 변(t')과 타단부측의 변(t)은 길이방향의 한 변의 연장선인 A-A'에 대해 경사지고, 제1체결부(120)의 배열과 제2체결부(130)의 배열은 각각 상기 양단부측의 변에 대해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결합상태에서 몸체부(110)의 상측의 개구가 하측의 개구보다 더 좁게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한 체결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체결부들의 대략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예가 설명되었고, 이러한 체결부들은 스냅버튼, 단추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각각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길게 배열되는 예가 제시된다.
상기 체결부들을 이루는 자성체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체결력을 고려하여 네오디늄자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고려하여 고무자석이 적용될 수도 있고,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자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성체들은 신체에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110)를 이루는 섬유재질의 전후방측의 면 사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성체들의 고정은 접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정의 재봉선에 의하여 내부에 일종의 포켓이 형성되어 이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를 이루는 자성체들이 대략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설명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120)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의 한 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체결부(130)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의 한 변의 직교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o는 제1체결부(120)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을 의미하며, p는 제2체결부(130)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을 의미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가 각각 복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그 배열이 몸체부(110)의 일단과 타단측에서 상호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예가 설명되었고, 제4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 자체가 일단과 타단측에서 직립하거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예가 설명되는데, 이러한 배치에 따라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측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의 개구와 하측의 개구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경우 상기 자성체들이 몸체부(110)의 단부측의 높이방향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스냅버튼 방식에 비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이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탈착이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체결부(130)의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부측에는 덮개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덮개부(140)에는 몸체부(110)의 일단부측의 외면과 결합될 수 있는 소정의 결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소정의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자성체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목도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230)가 몸체부(211)의 양단측에서 각각 A-A'선에 대해 수직하고 경사진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211)의 하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커버부(2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부(210)는 신체에 착용 상태에서 목 아래 쪽으로 연장되어 쇄골과 가슴부위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 내지는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1체결부(120)와 제2체결부(130)의 체결부위는 목의 임의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는데, 탈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대략 목의 전방측에 체결위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5실시예의 경우는 커버부(210)가 목의 전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체결부(220)와 제2체결부(230)가 목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210)는 대략 역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탈착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211)가 양측으로 더욱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211)는 목을 2회 이상 감싸면서 체결부위가 목의 전방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몸체부(110, 211)의 양단부측에 체결부들이 배치되어 상호 결합되는데, 이러한 체결부들이 형성되는 몸체부위가 착용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들이 몸 뒤편에 배치되는바, 상기 체결부들이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른 부위로 돌아가는 경우 이물감이나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상태의 고정을 위한 구조가 제안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부들이 배치되는 몸체부 즉, 몸체부의 양단측은 상하 폭이 다른 부위보다 더 좁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는 유연성이 있는 섬유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단측에서 소정의 절첩 및 봉제를 통하여 절첩부위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목과의 마찰면적과 두께방향의 볼륨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도리에서 각각 설명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목도리는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열 또는 배치되기 때문에 목과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체결부의 배치상태에 따라 체결상태에서 몸체부의 상측의 개구보다 하측의 개구보다 더욱 넓게 이루어지므로 신체의 형상에 더욱 적합한 이점이 있다.
또한, 체결부들이 스냅버튼, 벨크로 또는 자성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목도리 110...몸체부
120...제1체결부 130...제2체결부
121...제1자성체부 131...제2자성체부
140...덮개부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상하변이 평행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변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변의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각각 2개 이상의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측의 스냅버튼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어 상기 제1체결부의 상기 제2체결부에 대한 배열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장방형상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개구가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도리.
KR2020130000768U 2013-01-29 2013-01-29 목도리 KR201400046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8U KR20140004606U (ko) 2013-01-29 2013-01-29 목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68U KR20140004606U (ko) 2013-01-29 2013-01-29 목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606U true KR20140004606U (ko) 2014-08-06

Family

ID=5244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68U KR20140004606U (ko) 2013-01-29 2013-01-29 목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6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790A (zh) * 2019-04-02 2019-09-13 邓晓东 时尚领口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6790A (zh) * 2019-04-02 2019-09-13 邓晓东 时尚领口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783B2 (en) Head covering with pouch
ES2331381T3 (es) Casco de proteccion plegable.
US10271600B2 (en) Headwear for protecting the long hair of a wearer
CN107205513B (zh) 冷却组件
US20080028518A1 (en) Covering with pocke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10501312A (ja) 収容ポケット付き帽子
US20070214545A1 (en) Bandanna-style head covering
US20080222775A1 (en) Hair drying cap
JP2002088556A (ja) 折れるつばを備えた帽子
JPS61179313A (ja) 防護マスク
US8914914B1 (en) Hat with hair keeping device
JP3110940U (ja) 帽子
KR20140004606U (ko) 목도리
US20230199361A1 (en) Headphone Earcup Cover Device
KR200486717Y1 (ko) 모자를 가지는 상의
KR200487141Y1 (ko) 후드용 에어쿠션
KR200466667Y1 (ko) 모자 우산
JP3175570U (ja) 防災頭巾兼用バッグ
KR200417151Y1 (ko) 상의 결착식 방한 조끼
ES2361345A1 (es) Mochila para casco.
KR200439928Y1 (ko) 양면 챙 모자
KR200421775Y1 (ko)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JP3203543U (ja) 分離型帽子
US20230119878A1 (en) Hat with improved comfort
JP3180639U (ja) 首部又は頭部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