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567A - 고압 클리닝 기기 - Google Patents

고압 클리닝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567A
KR20140003567A KR20137022198A KR20137022198A KR20140003567A KR 20140003567 A KR20140003567 A KR 20140003567A KR 20137022198 A KR20137022198 A KR 20137022198A KR 20137022198 A KR20137022198 A KR 20137022198A KR 20140003567 A KR20140003567 A KR 20140003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drive shaft
fuel pump
pressure clean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루크바이드
알렉산드라 슈바르츠
크리스토프 브루어
베른트 카술라트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0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416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system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클리닝 기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는 고압 클리닝 기기(10)에 의해 분배되도록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가능한 열 교환기(30), 구동 축(24)을 한정하는 구동 샤프트(26)를 갖는 모터(18),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펌프 모터(20), 연소 공기 스트림을 생성하고 팬 하우징(32)을 갖는 팬(14), 및 상기 열 교환기(30)에 대해 연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료 펌프(22)를 포함하고, 펌프 유닛(20), 팬(14) 및 연료 펌프(22)는 구동 축(24)에 따라 배치되고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주행가능하고, 및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모터(18)로부터 이격되어 접촉하는 팬 하우징의 측부 상에서 팬 하우징(32) 상의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56, 58)를 포함한다.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에 대해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와 연합되고 팬 하우징(32) 상에서 일체로 구성된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를 갖는 제1 고정 장치(56)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상기 구동 샤프트(26)로부터 풀림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 펌프(22)가 구동 샤프트(26)에 커플링 결합되고 구동 샤프트에서 풀릴 수 있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가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에서 배치되고 연료 펌프(22)를 고정하는 고정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에 의해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된 위치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라 제시된다.

Description

고압 클리닝 기기{HIGH-PRESSUR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고압 클리닝 기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는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에 의해 배분될 수 있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가능한 열 교환기, 구동 회전축을 정의하는 구동 샤프트를 갖는 모터,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펌프 유닛, 팬 하우징을 가지고 연소 공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팬 및 상기 열 교환기용 연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료 펌프를 포함하고, 펌프 유닛, 팬 및 연료 펌프는 구동 회전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가능하고,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는 모터로부터 이격되어 인접하는 측부 상의 팬 하우징에서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 30 01 571 C2호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고압 클리닝 기기에 있어서, 펌프 유닛, 모터, 팬 및 연료 펌프는 모터-펌프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모터-펌프 유닛은 간소한 구조를 가지고 조밀한 설계와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구동 샤프트는 모터의 한 측부에 펌프 유닛을 구동하고, 및 상기 펌프 유닛으로부터 마주보며 모터의 측부에 팬을 구동한다. 게다가, 상기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유체 펌프는 상기 모터로부터 이격되어 인접하는 팬의 한 측부상에서 모터 펌프상의 단부에 배치된다. 이는 연속적인 샤프트 없이 저렴한 연료 펌프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속적인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에 대해 공통 축으로 커플링 결합되고 팬 하우징에서 고정된다.
도입부에서 소개된 형태의 고압 클리닝 기기에 있어서, 팬 하우징은 가령, 연료 펌프에 고정하기 위하여 금속 슬리브를 갖는 몰딩 플라스틱 부분으로부터 제작되고, 상기 슬리브는 몰딩 부분으로 몰딩된다. 연료 펌프 상에서의 보유 돌출부는 슬리브에서 위치될 수 있고 나사못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에 안정적이라는 것이 증명되고, 다만, 실제적인 제조와 조립 노력을 요구한다. 팬 하우징의 재료가 재활용되는 경우, 또한 이는 팬 하우징으로부터 슬리브를 분리하기 위한 부가적인 노력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고압 클리닝 기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통상적인 고압 클리닝 기기로 구현되고,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를 가지는 제1 고정 장치를 가지고, 및 고정 구성요소 용기를 가지며,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와 연합되고 상기 팬 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되고, 제1 고정 장치는 연료 펌프가 구동 샤프트에 커플링 결합될 수 있고 여기에서부터 착탈될 수 있는 고정되지 않는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가 고정 구성요소 용기에서 배치되고 상기 연료 펌프를 구동 샤프트로부터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하는 고정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까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클리닝 기기의 경우에 있어서, 간소하고 동시에 저렴하게 조립은, 구동 샤프트에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장치가 고정 구성요소 용기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는 고정 구성요소 용기로 밀릴 수 있다. 이는 아주 사소한 조립 노력으로 팬 하우징에 연료 펌프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제1 고정 장치는 공구의 사용없이 팬 하우징에 연료 펌프를 고정하고 이러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공구의 사용 없이 고정 위치에 유리하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팬 하우징 또는 이들의 부분에 연료 펌프를 나사못 결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고정 구성요소 용기는 팬 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팬 하우징은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인, 일체로 구성된 플라스틱 부분이거나 또는 일체로 구성된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한다. 팬 하우징에 고정 구성요소 용기의 통합 몰딩에 의해, 우선 모터 펌프 유닛의 제조 비용을 감소하고, 팬 하우징으로 슬리브를 몰딩하기 위한 전술된 종래 고압 클리닝 기기가 필요되는 임의의 작업 단계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는 팬 하우징의 재활용을 촉진한다.
연료 펌프가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 장치가 고정위치에 있을 경우, 가령 보유 돌출부인 연료 펌프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 상에서와 또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 및 고정 구성요소 용기 상에서의 협동 정지 부재(cooperating stop member)는 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축방향의 이동에 반대하여 연료 펌프를 고정하는 데 있어 협동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 및 고정 구성요소 용기의, 또 한편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 및 보유 돌출부와 같은 연료 펌프의 정지 부재들이 팬의 방향으로 축 운동에 대항하여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 위해 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1 고정 장치가 고정 위치에 있을 경우 모터 펌프 유닛상의 연료 펌프의 특히 잘 정의된 상대적인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 축에 대하여 횡단하여 방향된 방향으로 및/또는 축 방향으로 제1 고정 장치의 고정 위치에서 양으로-잠금하는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고정 구성요소 용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경우 유리하다. 이는 제1 고정장치가 고정위치에 있는 경우 팬 하우징 상에서 제1 고정 장치의 안정적인 착석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팬 하우징으로 연료 펌프의 안정적인 고정을 허용한다. 구동 축에 대해 횡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의 양으로-잠금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하기 위하여, 구동 축에 대하여 횡단하여 작동하는 정지 부재들이 고정 구성요소와 고정 구성요소 용기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연료 펌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홈을 포함하고, 고정 요홈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가 제1 고정 장치의 고정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양으로-잠금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한다. 그러므로, 고정 위치에서의 제1 고정 장치와 연료 펌프 모두는 팬 하우징으로 연료 펌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특히 적합하게 정의된 위치들을 가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오목홈(recess)은 요홈(groove)이고, 가령, 이러한 벽들은 요홈에서 맞물려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가 연료 펌프의 축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 부재들을 형성한다.
제1 고정 장치는 가령, 2개의 고정 구성요소들인,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장치가 구동 축에 대해 횡단하여 양으로-잠금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고정 장치의 고정 위치에서 연료 펌프 주위를 조인하여 맞물려 결합하는 2개의 고정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2개의 고정 구성요소들은 이들 사이에서 양으로-잠금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연료 펌프를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축방향으로 연료 펌프 횡단의 운동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그러므로 연료 펌프는 팬 하우징으로 특히 적합하게 정의된 상대 위치에서 구동 축에 대하여 횡단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는 구동 축에 대하여 횡단하여, 고정 구성요소 용기로 특히 밀려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 축을 따라 및/또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가로놓인,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는 전술된 바와 같이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고정 구성요소 용기에서 배치된다.
상기 제1 고정 장치가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경우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1 고정 장치를 취급하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 장치가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고압 클리닝 기기는 제1 고정 장치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를 가지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팬 하우징 상에 연료 펌프를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1 고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에 배치될 수 있고, 가령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를 고정 구성요소 용기로 밀면서, 고정 위치로 가이드 구성요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장치는 고정 구성요소 용기의 외측부에 유리하게 배치된다. 이는 부분적이라기 보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가 고정 구성요소 용기에 아직 배치되지 않을 때조차 제1 고정 장치를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가 팬 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된다. 이는 모터 펌프 유닛에 대한 간소한 구조적 설계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는 팬 하우징에 특히 일체로 구성되는 가이드 립(guide rib)이고, 이를 따라 제1 고정 장치는 고정 구성요소 용기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를 미끄러지게 하여 대체될 수 있다.
고압 클리닝 기기가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제1 고정 장치를 이동시키는 데 있어 제1 고정 장치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제1 고정 장치가 정지 구성요소와 접촉할 때, 제1 고정 장치가 고정 위치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모터 펌프 유닛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팬 하우징과 관계하여 제1 고정 장치의 정확한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 팬 하우징은 정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정지 구성요소는 팬 하우징에 특히 바람직하게 일체로 구성된다. 이는 모터 펌프 유닛을 구조적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허용한다.
고압 클리닝 기기가,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위치에서의 제1 고정 장치를 잠금 위치에서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이는 연료 펌프가 구동 샤프트로부터 부주의하게 착탈되지 않도록 하고, 순차적으로 모터 펌프 유닛의 안정적인 기능을 보장한다.
잠금 장치가 팬 하우징 및/또는 제1 고정 장치에 일체로 구성된 잠금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고, 잠금 구성요소들은 고정 장치를 잠금하기 위하여 협동한다. 이는 모터 펌프 유닛을 구조적으로 간소화한 설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고압 클리닝 기기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특히 멈춤쇠 장치일 수 있다. 전술된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특히 제1 고정 장치가 잠금 위치에서 팬 하우징으로 래치 결합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압 클리닝 기기는 잠금 위치에서부터, 고정 위치에서 고정되지 않은 위치까지 제1 고정 장치가 이동될 수 있는 잠금되지 않은 위치로 잠금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동 장치를 포함한다. 공구들의 사용없이 바람직하게 작동될 수 있는 시동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한 취급 방식으로 잠금되지 않은 위치로 잠금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모터 펌프 유닛으로부터 연료 펌프를 착탈하기 위하여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제1 고정 장치의 이동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는 공구들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장치는 팬 하우징과 함께 제1 고정 장치의 멈춤쇠 맞물림 결합을 끊음으로써 잠금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된다.
간소한 설계를 가지는 모터 펌프 유닛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동 장치가 제1 고정 장치에 일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동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제1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된 잠금 구성요소는 가령, 시동 장치를 사용하여 팬 하우징으로부터 맞물림 결합이 풀리도록 탄성으로 변형가능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 있어, 시동 장치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1 고정 장치의 잠금 구성요소의 가령, 잠금 장치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제한 장치는 잠금 장치가 잠금 위치로의 이동에 있어 손상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제1 고정 장치는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이는 모터 펌프 유닛의 저렴한 제작과 구조적으로 간소한 설계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 적어도 하나의 잠금 구성요소, 적어도 하나의 시동 구성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한 구성요소가 하나의 조각(piece)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클리닝 기기의 실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간소한 구성을 위해, 제1 고정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 바람직하게 거리가 떨어져 공간이 형성된 2개의 다리들을 형성하는 다리를 갖는 고정 클립(securing clip)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유리하고, 각각의 다리는 고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브릿지(bridge)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 클립은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2개의 다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다리는 고정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고정 위치에서 2개의 다리들 사이에서 양으로-잠금 방식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 방식으로 연료 펌프를 수용한다. 이들은 가령, 연료 펌프 상에 구성되는, 요홈형태(groove-type) 고정 용기에서 양으로-잠금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한다. 브릿지 넘어 각각의 다리의 연장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팬 하우징으로 멈춤쇠 맞물림 결합을 위한 잠금 구성요소들을 구성하는 부가적으로 탄성의 변형가능한 다리형 돌출부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잠금 구성요소들을 구성하는 상기 돌출 부분들 상에서, 돌출부의 형상인 시동 구성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잠금 구성요소들이 팬 하우징으로 맞물림 결합되지 않는 고정 클립들을 제공하여 멈춤쇠 맞물림 결합을 끊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클립들의 돌출하는 제한 구성요소들은 잠금 구성요소들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더욱이, 핸들 구성요소는 고정 클립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고정 클립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고압 클리닝 기기는 구동 축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연료 펌프와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antitwist element)를 갖는 제2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1 고정 장치에 부가하여, 고압 클리닝 기기는 제2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는 구동 축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모터 토크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료 펌프에 대한 반작용 토크를 인가한다.
구조적으로 간소하고 효율적인 연료 펌프를 고정하는 수단들은 가령, 상호 작용이 가장 가능한 영역이 비틀림방지 구성요소와 연료 펌프 사이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가 연료 펌프와 인접하여 접촉되는(face-to-face contact) 사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는 가장 간소함이 가능한 방식으로 전술된 장점을 구현하기 위해 연료 펌프 하우징 상에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팬 하우징 상의 돌출부이다.
제2 고정 장치는 서로에 대해 가로지르게 방향되는 하우징의 2개의 측부 벽들에 대항하여 인접하여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는 2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돌출의 형상으로 2개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들은 가령 공통 변부에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우선, 이는 연료 펌프가 구동 축에 대한 비틀림에 대항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연료 펌프 및 팬 하우징을 서로 관계하여 한정된 방식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는 하우징에 일체로 구성된다. 이는 모터 펌프 유닛의 구조적으로 간소한 구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비틀림방지 구성요소는 연료 펌프의 하우징에 대해 서로에 대하 가로지르게 방향된 2개의 접촉 표면들을 가지는 방향 각도(orientation angle) 또는 팬 하우징 상에 일체로 구성된 립(rib)이다.
팬 하우징은 연료 펌프에 대한 접촉 플랜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료 펌프는 팬 하우징과 관계하여 명확하게 한정된 위치로 결과될 수 있다. 접촉 플랜지는 구동 축에 대한 직각(right angle)으로 유리하게 방향된다.
중앙 개구부가 접촉 플랜지상에 구성되고, 접촉 플랜지를 통하여 연료 펌프는 구동 샤프트에 커플링 결합되는 상태에서 팬 하우징에서 부분적으로 맞물림 결합되는 경우, 및 팬 하우징에서 맞물려 결합하는 연료 펌프의 일 부분이 고정 위치를 차지하는 제1 고정 장치에 의해 팬 하우징 상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경우 유리하다. 연료 펌프는 가령 하우징을 갖는 접촉 플랜지와 접촉할 수 있고, 팬 하우징에서 부분적으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으며 전술된 보유 돌출부(retaining protrusion)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후술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구성요소 용기가 팬 하우징 내 접촉 플랜지의 후면(rear side)에 배치되는 경우 유리하다. 예를 들어, 팬 하우징은 하우징 벽을 포함하고, 하우징 벽은 외측부에 접촉 플랜지를 구성하고 내측부에 정지 부재를 구성하고, 내측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가 축 운동에 대항하여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된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소의 개방 위치에서 후드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클리닝 기기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모터, 펌프 유닛, 팬 및 연료 펌프를 가지고, 도 1로부터 고압 클리닝 기기의 모터 펌프 유닛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3은 분해조립도로서, 팬 상에 연료 펌프를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장치와 도 2로부터 모터 펌프 유닛의 연료 펌프와 팬을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난 고정 장치를 도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5는 제1 고정 장치에 의해 팬 상에 고정되는 상태에서 연료 펌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서 6-6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7-7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은 도면 부호 10으로 지칭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클리닝 기기(high-pressure cleaning appliance)의 선호된 실시형태의 측부도를 나타낸다.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후드(hood)(12)를 포함하고, 후드는 도 1에서 다소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고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의 팬(14)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다.
팬(14)은 모터(18), 펌프 유닛(20), 팬(14) 및 연료 펌프(22)를 포함하고, 도 2의 투시도로서 도시된, 모터 펌프 유닛의 일부이다. 상기 모터 펌프 유닛(16)은 구동 축(24)을 따른 선형 설계를 가지고, 상기 구동 축은 모터(18)의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한정되고, 모터의 일부가 도 5에서 도시된다. 구동 샤프트(26)는 펌프 유닛(20), 팬(14) 및 연료 펌프(22)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펌프 유닛(20)은 고압 클리닝 기기(10)에 의해 분배될 수 있는 액체를 가압하기 위하여 모터 펌프 유닛(16) 상의 단부에서 배치된다. 상기 팬(14)은 팬 휠(28)을 가지고, 일부의 팬 휠이 도 3에서 도시된다. 연소 공기 스트림은 팬 휠(28)의 수단에 의해 생산될 수 있고, 고압 클리닝 기기(10)의 열 교환기(30)(도 1에서 도시)로 공급된다. 열 교환기(30)는 버너(burner)를 포함하고(도면에서 미도시), 따라서 펌프 유닛(20)에 의해 열 교환기(30)에서 가압된 클리닝 유체가 클리닝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열될 수 있다.
팬(14)은 가령, 나사못 연결부에 의해 모터(18)에 고정되는 하우징 베이스(34)를 갖는 팬 하우징(32)을 포함한다. 하우징 커버(36)는 모터(18)로부터 이격되어 접촉하는 측부 상의 하우징 베이스(34)에 끼워 맞춤되고, 회전하게 고정된 방식인 구동 샤프트(26)에 끼워 맞춤되는 팬 휠(28)은 하우징 인테리어(interior)(38)에서 수용되며, 하우징 인테리어는 하우징 베이스(34)와 하우징 커버(36)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우징 베이스(34)와 하우징 커버(36)는 각각 하나의 조각으로 각각 제작된다.
연료 펌프(22)는 펌프 유닛(20)으로부터 마주하여 모터 펌프 유닛(16)의 단부에 배치된다. 연료 펌프(22)는 열 교환기(30) 내 버너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연료는 고압 클리닝 기기(10)의 연료 저장 탱크(도면에서 미도시)에 저장된다. 이러한 연료는 연료 라인(도면에서 또한 미도시)들을 통하여 연료 펌프(22)에 공급될 수 있고, 열 교환기(30) 내 버너로 연료 펌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연료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해, 연료 펌프(22)는 큐브형 펌프 하우징(44) 상에 2개의 연결부(40 및 42)들을 가진다. 원통형 보유 돌출부(46)는 펌프 하우징(44)으로부터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연료 펌프(22)의 설치 상태에 있어, 이러한 돌출부는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인테리어(38)로 맞물려 결합하고, 팬 하우징(32) 상에 고정된다. 연료 펌프(22)의 샤프트(48)는 팬 휠(28)의 방향으로 보유 돌출부(retaining protrusion)(46)로부터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샤프트(48)는 회전하게 고정된 방식으로 모터(18)의 구동 샤프트(26)의 단부에 연결된다(도 5 참조).
보유 돌출부(46)는 펌프 하우징(44)에 인접한 일부분상에 고정 용기(50)를 가진다. 고정 용기(50)는 구동 축(24)에 수직인 평면을 한정하는 링 요홈(52)과 같이 구성된다. 링 요홈(52)은 요홈 벽(54)을 포함하고, 요홈 벽은 구동 축(24)에 대하여 펌프 하우징(44)의 방향으로 원뿔로 테이퍼 가공되며, 상기 요홈 벽은 팬 하우징(32)에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한 주변 정지 부재를 구성한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팬 하우징(32) 상의 의도된 위치로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제1 고정 장치(56)와 제2 고정 장치(58)를 가진다. 제1 고정 장치(56)는 연료 펌프가 축방향으로 구동 샤프트(26)로부터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 고정 장치(58)는 모터의 토크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료 펌프(22)에 대한 비틀림-방지 장치(twist-preventing device)로서 제공되고 팬(14)과 관련하여 구동 축(24)에 대하여 연료 펌프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펌프(22)를 고정한다.
도 4의 투시도로 도시되는 제1 고정 장치(56)는 만곡된 브릿지(6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다리(61 및 62)들을 갖는 고정 클립(60)으로서 구성된다. 다리(61 및 62)들은 하기에서 추가적으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22)를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고정 구성요소(64 및 65) 각각으로 구성된다.
브릿지(63)를 넘어 다리(61 및 62)들의 연장에 있어, 고정 클립(60)은 다리형 연장부(66 및 67)를 가진다. 멈춤쇠 돌출부(68 및 69)는 각각의 다른 연장부(66, 67)로부터 이격되어 인접하는 측부상에 각각 연장부(66 및 67) 상에 배치된다(도 4 및 도 7 참조). 멈춤쇠 돌출부(68 및 69)를 갖는 연장부(66 및 67)는 하우징 커버(36)로 고정 클립(60)을 착탈가능한 잠금을 위한 잠금 장치(72)의 각각의 잠금 구성요소(70 및 71)들을 구성한다. 연장부(66 및 67)들은 고정 클립(60)의 탄성의 변형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연장부(66 및 67)들은 브릿지(63)를 조인 결합할 경우 탄성 변형을 받을 수 있다.
고정 클립(60)은 각각의 연장부(66 및 67)들의 변형을 촉진하기 위하여 돌출부(73 및 74)를 가진다. 돌출부(73 및 74)들은 연장부(66 및 67)들 상의 멈춤쇠 돌출부(68 및 69)에 인접해 있고, 다리(61, 62), 브릿지(63) 및 연장부(66 및 67)에 의해 한정된 평면 외부로 돌출한다. 돌출부(73 및 74)들은 잠금 장치(72)를 시동하기 위한 시동 장치(77)의 각각의 시동 구성요소(75 및 76)들이다.
돌출부(73 및 74)들은 상호 안내된 하중에 의해 작동될 경우, 연장부(66 및 67)들 각각은 탄성 변형을 받는다. 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클립(60)은 연장부(66 및 67)들이 변형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구성요소(78 및 79)들을 포함한다. 제한 구성요소(78 및 79)들은 브릿지(63)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각각의 윙(wing)(80 및 81)로서 구성된다.
윙(80 및 81)들은 웹(web)(82) 상에 일체로 구성되고 웹은 윙들 사이에 배치되고, 브릿지(63)로부터 이격되어 전개되며, 핸들 구성요소(83)는 브릿지(63)로부터 이격되어 인접하는 이들의 단부에서 일체로 구성된다. 핸들 구성요소(83)는 사용자에 의해 고정 클립(60)의 취급을 촉진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 클립(60)은 하나의 조각 전체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조각인 하우징 커버(36)는 팬(14) 상에서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한 타워형 고정 부분(84)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84)은 구동 축(24)과 공통 축으로 배열 구성되는 원통형 외측부 벽(86)을 가진다. 외측부 벽(86)은 수용 공간(88)을 둘러싸고, 상기 수용 공간은 하우징 인테리어(38)의 일부를 구성한다.
부가하여, 단부에서의 고정 부분(84)은 구동 축(24)에 대한 직각(right angle)으로 방향된 지지 벽(90)을 포함한다. 지지 벽(90)은 연료 펌프(22)의 펌프 하우징(44)에 대한 접촉 플랜지(92)를 구성한다. 지지 벽(90)은 변부(96)에 의해 감싸인 중앙 개구부(94)를 가진다. 연료 펌프(22)는 원통형 보유 돌출부(46)를 통해 즉, 개구부(94)를 통해 수용 공간(88)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펌프 하우징(44)이 접촉 플랜지(92)와 접촉하는 경우, 보유 돌출부(46)는 구동 샤프트(26)에 커플링 결합하기 위해 샤프트(48)에 대한 수용 공간(88)으로 보다 더 충분하게 전개된다.
전술된 제2 고정 장치(58)는 구동 축(24)에 평행한, 각각의 외측부 벽(86)과 지지 벽(90)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개되는 2개의 비틀림방지 보호 구성요소(98 및 99)들을 포함한다. 비틀림방지 보호 구성요소(98 및 99)들은 각각 립(101 및 102)이고, 립들은 앵글 브래킷(angle bracket)(103)와 함께 구성된, 라운드형 변부(100)에서 하나의 조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앵글 브래킷(103)는 접촉 플랜지(92)에 의해 한정된 평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서로에 대해 가로지르게 방향된 펌프 하우징(44)의 2개의 측부 벽들에 인접 접촉하여 놓일 수 있도록 치수가 구성된다(도 7 참조).
연료 펌프(22)의 샤프트(48)가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앵글 브래킷(103)은 연료 펌프(22)가 팬(14)과 관련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비틀림방지 돌출부를 구성한다. 부가하여, 앵글 브래킷(103)은 조립되는 동안에 팬(14)와 관련하여 연료 펌프(22)의 방향을 촉진한다. 펌프 하우징(44)이 접촉 플랜지(92)와 앵글 브래킷(103)과 접촉하는 경우, 연료 펌프(22)는 팬(14) 상의 의도된 위치를 차지하고 고정 클립(60)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축(24)에 대해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만곡된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은 수용 공간(88)으로 개구부(94)의 변부(96)로부터 이격되어 돌출한다. 구동 축(24)과 평행한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은 대략 연료 펌프(22)의 보유 돌출부(46)까지 이다.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은 구동 축(24)과 공통축으로 배열 구성된 원통형 내측부 벽으로부터 유도되는 바와 같이 간주될 수 있고, 구동 축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부분들은 절삭된다(도 3 및 도 7 참조).
외측부 벽(86)은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의 방사상의 외측부에 오목홈(108 및 110)을 각각 가진다(도 3 및 도 6 참조). 그러므로, 외측부 벽(86)은 지지 벽(90)까지 전개되지 않으며, 지지 벽은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의 원주 영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변부(96)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구동 축(24)에 평행하게, 오목홈(108 및 110)은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 보다 다소 짧다. 외측부 벽(86)과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은 오목홈(108 및 106)의 측부 변부에서 구동 축(24)에 대하여 직각으로 방향된 4개의 숄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4개의 숄더 중, 단 2개의 숄더(112 및 114)만이 도 3 및 도 6의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대응하는 숄더들은 숄더(112 및 114)가 배치되는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의 변부로부터 마주하는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의 단부들과 인접하는 고정 부분(84) 상에 배치된다.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 까지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수용 공간(88)으로 방사상으로 전개되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립형 돌출부(116 및 118)는 외측부 벽(86)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개된다. 돌출부(116 및 118)들은 구동 축(24)에 대하여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고,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숄더들 또는 숄더(112 및 114)들 사이에서 대략 배치된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과,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외측부 벽(86)의 숄더뿐만 아니라 숄더(112 및 114), 수용 공간(88)에 접촉하는 지지 벽(90)의 내측부 사이에서 고정 클립(60)의 다리(61 및 62)를 위한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가 존재한다.
오목홈(108)의 영역에서, 립(122, 123 및 124)들은 외측부 벽(86)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립(122)은 구동 축(24)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방향되고, 상기 립(123 및 124)들은 상기 립(122)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작동되고 이러한 립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 구성된다. 상기 립(122 내지 124)의 상부 측부들은 오목홈(108)의 영역의 외측부 벽(86), 및 도시되지 않은 숄더 뿐만 아니라 숄더(112 및 114)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서 배치된다.
벽 두께가 립(123 및 124)들의 벽보다 각각 다소 작은, 부가 립(126 및 127)들은 구동 축(24)와 평행한 립(123 및 124)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개된다. 립(126 및 127)들은 오목홈(128 및 129)에서 각각 인터럽트된다.
립(122, 123 및 124)들은 고정 클립(60)에 대한 가이드 장치(133)를 조인 결합하여 구성되는 각각의 가이드 구성요소(130, 131 및 132) 이다.
립(126 및 127)들은 잠금 장치(72)의 각각의 잠금 구성요소(134 및 135)들을 구성하고, 고정 클립(60)의 멈춤쇠 맞물림 결합에 대한 멈춤쇠 돌출부(68 및 69)와 각각 연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펌프(22)는 고정 클립(60)에 의해 수반되는 바와 같이 고정될 수 있다.
연료 펌프(22)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접촉 플랜지(92)에 대항하여 배치되도록 우선 구성된다. 연료 펌프는 앵글 브래킷(103)에 의해 배열 구성될 수 있다. 보유 돌출부(retaining protrusion)(46)는 도시되지 않은 숄더들 뿐만 아니라 숄더(112 및 114)들과 지지 벽(90) 사이에서, 구동 축(24)의 종방향에 기초하여 링 요홈(52)이 중앙으로 배치되는 수용 공간(88)으로 충분히 맞물려 결합된다. 샤프트(48)는 구동 샤프트(26)에 커플링 결합된다.
고정 클립(60)은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있고, 고정되지 않은 위치 내에서 연료 펌프(22)는 구동 샤프트(26)로부터 축방향으로 착탈될 수 있다. 고정된 위치에 대한 이동에 있어선, 사용자는 핸들 구성요소(83)에 의해 고정 클립(60)을 쥘 수 있고, 립(123)으로 다리(61) 및 연장부(66)를 배치하고 립(124)으로 다리(62) 및 연장부(67)를 배치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중앙 립(122) 상의 웹(82)을 배치할 수 있다. 립(122, 123 및 124) 에 의해 또한 립(126 및 127)들에 의해 안내되면, 사용자는 공구들의 사용없이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 다리(61 및 62)들과 함께 고정 클립(60)을 특히 미끄러뜨려 삽입할 수 있다.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는 브릿지(63)에 대한 정지 구성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브릿지가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에 대해 부딪치면, 고정 클립(60)은 고정된 위치를 책임진다. 고정된 위치에 있어서, 다리(61)는 숄더(112 및 114)들과 한편으로 지지 벽(90) 사이에서,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에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구동 축(24)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은 다리(61)에 대한 정지 부재들을 구성한다. 유사하게, 다리(62)는 지지 벽(90)과 숄더들(미도시) 사이에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다리(61 및 62)들은 원통형 보유 돌출부(46) 주위에서 함께 전개되고, 즉 이들은 이들 사이에서 보유 돌출부(46)를 고정한다. 2개의 다리(61 및 62)들은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링 요홈(52)에서 각각 맞물려 결합하고 구동 샤프트(26)의 방향으로 요홈 벽(54)에 지지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보유 돌출부(46)는 구동 축(24)의 방향에 대하여, 횡단하여, 다리(61 및 62)들 사이에서 양으로-잠금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다리(61 및 62)들은 거의 자유로운 방식으로 외측부 벽(86)과 돌출부(116) 및, 한편으로 각각 외측부 벽(86)과 돌출부(118), 또 한편으로 내측부 벽 세그먼트(104 및 106)들 사이에서 구동 축(24)에 대하여 횡단하여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에서 안착되어 고정된다(도 7 참조).
고정 클립(60)이 고정된 위치에 있을 경우, 연료 펌프(22)는 팬(14)으로부터 이격되어 방향되는 지점으로 구동 샤프트(26)로부터 풀려지는 것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요홈 벽(54) 과 다리(61 및 62)들은 협동 정지 부재(cooperating stop member)들을 구성하고, 다리(61 및 62) 및 지지 벽(90)은 하우징 커버(36)에 대해, 팬으로부터 이격되고 연료 펌프(22)에 대해 작동하는 풀링 하중(pulling force)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협동 정지 부재들을 또한 구성한다. 돌출부(116 및 118)의 목적은, 풀링 하중이 다리(61 및 62)들에 대해 작동할 때 다리들(61 및 62)이 요홈 벽(54)의 원뿔 형태에 기인하여 구동 축(24)에 대하여 가로지르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잠금 장치(72)는, 고정 클립(60)이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 잠금된 위치를 책임진다. 잠금된 위치에 있어서, 멈춤쇠 돌출부(68 및 69)는 오목홈(128 및 129)의 영역에서, 각각 립(126 및 127)들에 잠금된다(도 7 참조). 이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고정 클립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 위치의 고정 클립(60)을 고정하고, 반면 동시에 연료 펌프(22)가 하우징 커버(36)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팬(14)으로부터 연료 펌프(22)를 착탈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마주보며 방향된 하중을 갖는 돌출부(73 및 74)에 대한 작동이 가능하고,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되지 않은 위치로 잠금 장치(72)를 이동할 수 있다. 멈춤쇠 돌출부(68 및 69)가 립(126 및 127) 들 각각으로 부터 맞물림 결합이 풀리게 되는 경우 즉 연장부(66 및 67)의 전술된 변형과 함께 잠금되지 않은 위치는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윙(80 및 81)은 연장부(66 및 67)가 고정 클립(60)에 대한 손상이 결과되는, 과도한 변형을 받게 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잠금 장치(72)가 잠금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경우, 고정 클립(60)은 구동 축(24)에 대하여 가로지르게, 립(122, 123 및 124)들을 따라 대체됨으로써 고정된 위치로부터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부터 다리(61 및 62)들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동시에, 맞물림 결합이 다리(61 및 62) 들 사이에 존재하고 요홈 벽(54)이 연속하지 않으므로, 연료 펌프(22)는 팬(14)으로부터 이격되어 축 운동에 대항하여 고정 클립(60)을 통해 더 이상 고정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고정 클립(60)을 통한 축 운동, 및 또 한편으로 앵글 브래킷(103)에 기인한 구동 축(24)에 대한 비틀림에 대항하여 연료 펌프(22)의 고정의 비커플링 결합은 구조적으로 간소하고 저렴한 고압 클리닝 기기(10)의, 모터 펌프 유닛(16)의 제작을 허용한다.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작가능할 수 있는 일체로 구성된 플라스틱 부분들만이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고정 클립(60)의 다리(61 및 62)들이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 삽입되는 점에 있어서, 연료 펌프(22)는 최소 조립 노력으로 고정된다. 연료 펌프(22)는 공구들의 사용 없이 하우징(36) 상에 고정되고, 단지 2개의 단계로 하우징 커버(36)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즉, 앵글 브래킷(103)과 관계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접촉 플랜지(92)에 배치될 수 있고, 및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 다리(61 및 62)들을 삽입하고 특히 밀어넣음으로써, 공구의 사용 없이 고정된 위치로 고정 클립(60)을 이동할 수 있다.

Claims (20)

  1. 고압 클리닝 기기(10)에 의해 분배되도록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가능한 열 교환기(30), 구동 축(24)을 한정하는 구동 샤프트(26)를 갖는 모터(18), 유체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펌프 모터(20), 연소 공기 스트림을 생성하고 팬 하우징(32)을 갖는 팬(14), 및 상기 열 교환기(30)에 대해 연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료 펌프(22)를 포함하고, 펌프 유닛(20), 팬(14) 및 연료 펌프(22)는 구동 축(24)에 따라 배치되고 구동 샤프트(26)에 의해 주행가능하고, 및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모터(18)로부터 이격되어 접촉하는 팬 하우징의 측부 상에서 팬 하우징(32) 상의 연료 펌프(22)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장치(56, 58)를 포함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와 연합되고 팬 하우징(32) 상에서 일체로 구성된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를 갖는 제1 고정 장치(56)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상기 구동 샤프트(26)로부터 풀림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 펌프(22)가 구동 샤프트(26)에 커플링 결합되고 구동 샤프트에서 풀릴 수 있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가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에서 배치되고 연료 펌프(22)를 고정하는 고정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에 의해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된 위치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는 축 방향 및/또는 상기 구동 축(24)에 대하여 가로지르게 방향된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 장치(56)의 고정된 위치의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 내에서 양으로-잠금되는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22)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오목홈(50)을 포함하고, 고정 오목홈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는 상기 제1 고정 장치(56)의 고정된 위치에서 축 방향으로 양으로-잠금되는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되는 방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상기 제1 고정 장치(56)의 고정된 위치 내 구동 축(24)에 대해 가로지르게 양으로-잠금되는 또는 실질적으로 양으로-잠금되는 방식으로 연료 펌프(22) 주위를 맞물려 결합하는 2개의 고정 구성요소(64, 65)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는 상기 구동 축(24)에 대하여 가로지르게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사용자가 쥐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 구성요소(83)를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고정된 위치까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 장치(56)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130, 131, 132)를 가지는 가이드 장치(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구성요소(130, 131, 132)는 팬 하우징(32)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잠금 장치(72)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장치는 고정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된 위치 내 상기 제1 고정 장치(56)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72)는 상기 고정 장치(56)를 잠그기 위하여 팬 하우징(32) 및/또는 상기 제1 고정 장치(56)에 일체로 구성되는 협동 잠금 구성요소(cooperating locking element)(70, 71, 134, 135)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클리닌 기기(10)는 상기 제1 고정 장치(56)가 고정된 위치로부터 고정되지 않은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 잠금되지 않는 위치까지, 잠금된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장치(72)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동 장치(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장치(77)는 상기 제1 고정 장치(56)에 일체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동 구성요소(75, 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하나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장치(56)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구성요소(64, 65)를 구성하는 임의의 다리(61, 62)를 가지는, 바람직하게 서로 떨어진 거리에 있는 2개의 다리(61, 62)들을 가지는 고정 클립(60)으로서 구성되고, 각각의 다리는 고정 구성요소(64, 65)를 구성하고 브릿지(6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클리닝 기기(10)는 상기 구동 축(24)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동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료 펌프(22)와 함께 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antitwist element)(98, 99)를 가지는 제2 고정 장치(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98, 99)는 상기 연료 펌프(22)의 하우징(44)과 인접하여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는 팬 하우징(32) 상의 돌출부(101, 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방지 구성요소(98, 99)는 팬 하우징(32) 상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32)은 상기 연료 펌프(22)를 위한 접촉 플랜지(92)를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중앙 개구부(94)는 상기 접촉 플랜지 상에서 구성되고, 상기 접촉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연료 펌프(22)는 상기 구동 샤프트(26)에 연결되는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팬 하우징(32) 내에서 맞물림 결합되고, 및 상기 팬 하우징(32) 내에서 맞물림 결합되는 상기 연료 펌프(22)의 일부분은 상기 고정된 위치를 차지하는 상기 제1 고정 장치(56)에 의해 상기 팬 하우징(32) 상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요소 용기(120)는 팬 하우징(32) 내 접촉 플랜지(92)의 후면(rear side)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클리닝 기기.
KR20137022198A 2011-03-07 2011-03-07 고압 클리닝 기기 KR20140003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1/053404 WO2012119643A1 (de) 2011-03-07 2011-03-07 Hochdruckreinigungs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67A true KR20140003567A (ko) 2014-01-09

Family

ID=4462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22198A KR20140003567A (ko) 2011-03-07 2011-03-07 고압 클리닝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40845A1 (ko)
EP (1) EP2683497B1 (ko)
KR (1) KR20140003567A (ko)
CN (1) CN103429360B (ko)
DK (1) DK2683497T3 (ko)
RU (1) RU2561320C2 (ko)
WO (1) WO2012119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2371B2 (en) * 2014-04-09 2016-04-26 Champion Engine Technology, LLC Slide-in mountable fuel pump assembly
CN108024677B (zh) * 2015-10-27 2020-07-03 阿尔弗雷德·卡赫欧洲两合公司 用于连接抽吸管路的连接设备以及抽吸机构
DE102022128398A1 (de) 2022-10-26 2024-05-02 Alfred Kärcher SE & Co. KG Hochdruckreinigung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5778A (en) * 1967-08-15 1969-04-01 Nat Pump & Injector Sales & Se Adapter for mounting hydraulic pump
US3645420A (en) * 1969-06-23 1972-02-29 Joseph G Machado High-pressure hot water cleaner
DE3001571C2 (de) * 1980-01-17 1982-10-28 Alfred Kärcher GmbH & Co, 7057 Winnenden Hochdruckreinigungsgerät
US4715786A (en) * 1984-12-14 1987-12-29 Cole-Parmer Instrument Compan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staltic fluid pump
US4778349A (en) * 1985-11-15 1988-10-18 Browning Henry A Multiple machine drive shaft and coupling adapter assembly
DE3617556A1 (de) * 1986-05-24 1987-12-03 Friedrich Epple Gmbh & Co Hoch Hochdruck-reinigungsgeraet
US4733738A (en) * 1986-10-14 1988-03-29 Neil Rowe Tractor spray pump support
DE3837419A1 (de) * 1988-11-04 1990-05-10 Bosch Gmbh Robert Bremsgeraet fue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DE9303645U1 (ko) * 1993-03-12 1993-05-13 Wilfried Pavel Maschinenbau, 4802 Halle, De
DE9303648U1 (ko) * 1993-03-12 1993-06-24 Friedrich Epple Gmbh & Co Hochdruckreinigungsgeraete Und Spezialreinigungsmaschinen Kg, 6942 Moerlenbach, De
DE10041154A1 (de) * 2000-08-21 2002-03-14 Kups Umwelttechnik Gmbh & Co K Hochdruckreinigungsgerät
DE102007018249A1 (de) * 2007-04-12 2008-10-16 Alfred Kärcher Gmbh & Co. Kg Fahrbares Hochdruckreinigungsgerät
DE102007061403A1 (de) * 2007-12-12 2009-06-18 Alfred Kärcher Gmbh & Co. Kg Reinigungsgerät
DE102008011506A1 (de) * 2008-02-22 2009-08-27 Alfred Kärcher Gmbh & Co. Kg Flächenreinigungskop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44606A (ru) 2015-04-20
RU2561320C2 (ru) 2015-08-27
US20130340845A1 (en) 2013-12-26
CN103429360B (zh) 2015-11-25
EP2683497A1 (de) 2014-01-15
DK2683497T3 (en) 2015-02-09
CN103429360A (zh) 2013-12-04
WO2012119643A1 (de) 2012-09-13
EP2683497B1 (de)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290B2 (en) Device for the jointed connection of a wiper blade
US7208853B2 (en) Fastener assembly
KR20140003567A (ko) 고압 클리닝 기기
JP5570320B2 (ja) 燃料タンクの配管構造体
CN104019112B (zh) 用于连接两个构件的装置、此类装置的保持器件和构件
KR101466571B1 (ko) 결합 요소 및 결합 요소를 위한 잠금 해제 요소
US20130185890A1 (en)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RU2444972C1 (ru) Фурниту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 емкости для варки или жарки
KR102510522B1 (ko)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 조립체
JP5855971B2 (ja) バンパー固定クリップ
KR101994268B1 (ko) 지지대 조립형 배플
JP6192939B2 (ja) 燃料タンク内部品の結合構造
MXPA02009694A (es) Dispositivo de acoplamiento para un aparato para uso domestico.
WO2014113213A1 (en) An article for blind fastening to a support
CN109154410A (zh) 半环区段、连接夹具和连接器具
JP5395029B2 (ja) プルハンドル部の支持構造
KR102618078B1 (ko) 강화 장치를 가진 용기
JP2008531360A (ja) 燃料パイプ組立体の取付け装置と組立方法
US20110308040A1 (en) Handle device of work machine
US10863991B2 (en) Surgical clip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material
JP2007064367A (ja) パイプ結合構造
KR101948134B1 (ko) 볼트의 교체가 용이한 조립클립
JP6203772B2 (ja) スクリューホール用キャップ
WO2012143276A2 (en) A drum-lifters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US20210404492A1 (en) Quick connector with tool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