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57U -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57U
KR20140003157U KR2020120010638U KR20120010638U KR20140003157U KR 20140003157 U KR20140003157 U KR 20140003157U KR 2020120010638 U KR2020120010638 U KR 2020120010638U KR 20120010638 U KR20120010638 U KR 20120010638U KR 20140003157 U KR20140003157 U KR 201400031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built
component
camera
vision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333Y1 (ko
Inventor
배종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0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33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3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projecting a pattern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oun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11/3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measuring even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이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도어트림에 조립될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받이대; 상기 받이대로 상기 내장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피더; 상기 도어트림에 부착될 바코드 라벨을 출력하는 바코드 프린터; 상기 안착지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트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빛을 조사하는 조명;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도어트림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내장부품의 조립누락 여부를 판독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판독된 상기 내장부품의 조립누락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판독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전 검사 모니터;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트림의 검사이력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Vision insp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interior components of door trim}
본 고안은 자동차의 부품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트림 내장부품의 누락을 검출하기 위한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트림은 각종 내장부품들이 조립되어 완성 되는데, 이중 단 하나라도 누락된다면 심각한 사고를 불러올 수 있다. 내장부품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누락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도어트림 조립 시 사용되는 내장부품의 경우,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불량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도어트림 내장재에 조립되는 내장부품은 조립 완료 후, 내장부품 조립부 상면에 추가적으로 단품이 조립되므로, 검사공정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도어트림에 내장부품 조립 후, 상기 도어트림의 후면부에 화이트 마커로 별도의 마킹을 하여 검사공정에서 마킹의 유, 무를 확인함으로써 내장부품의 조립누락을 판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내장부품의 검출 정확도나 작업 능률 등의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트림 조립공정에서 작업자가 내장부품의 조립을 누락 하였으나 내장부품 조립확인 마킹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내장부품 조립확인 마킹을 하더라도 내장부품의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어트림에 조립된 내장부품의 상면에 추가적으로 조립되는 부품은 융착공법에 의해서 조립되기 때문에 도어트림의 분리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내장부품이 누락된 도어트림의 경우에는 도어트림을 폐기해야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내장부품이 누락된 도어트림이 고객사로 납품될 수 있음에 따른 필드 클레임 및 로트 불량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어트림 조립공정 내에서 내장부품의 누락을 검출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이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도어트림에 조립될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받이대; 상기 받이대로 상기 내장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피더; 상기 도어트림에 부착될 바코드 라벨을 출력하는 바코드 프린터; 상기 안착지그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트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빛을 조사하는 조명;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도어트림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내장부품의 조립누락 여부를 판독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판독된 상기 내장부품의 조립누락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판독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전 검사 모니터;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어트림의 검사이력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받이대는, 상기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중심부가 하방으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상기 부품 피더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내장부품이 자중에 의해 중심부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에 상기 내장부품(101)의 유, 무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내장부품이 지속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 프린터는, 상기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는, 조립공정 내에 비전 검사를 적용하여 내장부품의 누락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는, 부품 피더에 구비된 받이대에 센서를 장착하여 일정 시간 이내에 내장부품을 미취출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도어트림 내장부품을 누락하지 않고 도어트림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는, 검사결과를 전산 시스템과 연계시켜 내장부품의 조립이 누락된 도어트림은 출하를 불가하도록 하여, 누락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중, 받이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작동순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1)는 안착지그(10), 받이대(20), 부품 피더(30), 바코드 프린터(40), 카메라(50), 조명(60), 제어부(70), 비전 검사 모니터(80) 및 데이터 베이스(9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지그(10)는 바닥면에서 소정높이로 설치된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 될 수 있다. 안착지그(10)는 도어트림(100)에 내장부품(101)을 조립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안착지그(10)에는 도어트림(100)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안착지그(10)에는 도어트림(100)의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고정블럭이 마련될 수 있다.
받이대(20)는 안착지그(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받이대(20)에는 도어트림(100)에 조립되기 위한 내장부품(101)이 안착될 수 있다. 내장부품(101)은 후술할 부품 피더(30)를 통해 받이대(20)로 배출될 수 있다. 받이대(20)는 작업자의 조립 자세나 작업 편의를 고려하여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내장부품(101)은 도어트림(100)에 조립되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장부품(101)의 일 예로 클립부재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부품 피더(30)는 도어트림(100)에 조립되기 위한 내장부품(101)을 받이대(20)로 공급한다. 부품 피더(30)는 배출되는 내장부품(101)이 받이대(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받이대(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지그(10)의 좌측부에 부품 피더(30)가 받이대(20)가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품 피더(30)와 받이대(20) 사이에는 이송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로는 부품 피더(30)에서 제공되는 내장부품(101)이 받이대(20)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 경로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부품 피더(30)에서 공급된 내장부품(101)은 상기 이송로를 통해 받이대(20)로 배출되어, 받이대(20) 위에 안착되게 된다. 부품 피더(30)의 경우, 통상적인 조립 라인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부품 자동 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바코드 프린터(40)는 안착지그(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트림(100)에 부착될 바코드 라벨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받이대(20) 및 부품 피더(30)가 배치된 반대측에 바코드 프린터(40)가 배치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코드 프린터(40)에는 부품 공급 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 버튼은 부품 피더(30)에 내장부품(101)의 공급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부품 공급 버튼이 스위칭되면, 부품 피더(30)는 도어트림(100)에 조립되기 위한 내장부품(101)을 받이대(20)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품 공급 버튼을 스위칭함으로써 별다른 조작 없이 내장부품(101)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프린터(40)는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41)를 구비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41)는 바코드 프린터(40)에서 출력된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여 식별정보를 수집한다. 바코드 스캐너(41)는 수집된 바코드 라벨의 식별정보를 후술할 제어부(70)로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50) 및 조명(60)은 도어트림(100)이 안착된 안착지그(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50) 및 조명(60)은 안착지그(10)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된 프레임, 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카메라(50)는 하측의 안착지그(10)를 향해 배치되어, 안착지그(10) 위의 도어트림(100)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조명(60)은 카메라(50)가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안착지그(10) 및 이에 안착된 도어트림(100)을 조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50) 및 조명(60)은 안착지그(10)의 직상부에 배치되어 도어트림(100)을 촬영하게 되는 바, 작업자가 촬상된 영상을 통해 내장부품(101)의 조립누락여부를 직관적으로 쉽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70)는 안착지그(10)에 형성된 프레임 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지그(10)의 좌측에 형성된 프레임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제어부(70)는 카메라(50)에서 촬영된 도어트림(100)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내장부품(101)의 조립누락 여부를 판독하여 상기 촬영된 도어트림의(100)의 영상 정보를 후술할 데이터 베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비전 검사 모니터(80)는 제어부(70)로부터 내장부품(101)의 조립누락 여부를 수신하여 판독결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비전 검사 모니터(80)에 표시된 판독결과를 통해 내장부품(101)의 누락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전 검사 모니터(80)는 바코드 프린터(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비전 검사 모니터(80)는 안착지그(10)의 상측에 형성된 프레임, 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비전 검사 모니터(80)는 사용자가 작업중 용이하게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바코드 프린터(40)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비전 검사 모니터(80)를 통해 도어트림(100)의 비전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선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90)는 제어부(7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70)로부터 도어트림(100)의 검사이력을 수신하여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 베이스(90)는 내장부품(101)의 조립이 누락된 도어트림(100)의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도어트림(100)의 출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중, 받이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중, 받이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받이대(20)의 중심부에는 전술한 공급 피더(30)로부터 배출된 내장부품(101)의 유, 무를 감지하는 센서(2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서(21)의 신호를 제공받는 타이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센서(21)의 상면에 안착된 내장부품(101)을 미취출할 경우, 센서(21)가 상기 타이머에 조립누락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타이머가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비전 검사가 시작되기 전에 일차적으로 도어트림(100)에 내장부품(101)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이대(20)는, 센서(21)가 장착되는 받이대(20)의 중심부가 오목하게 인입되어 쟁반 형태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는, 부품 피더(30)로부터 배출된 내장부품(101)이 자중에 의해 상기 중심부에 장착된 센서(21)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의 작동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의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작동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우선, 조립하고자 하는 도어트림(100)을 안착지그(10)에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블럭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블럭에 도어트림(100)이 고정되면, 작업자는 바코드 프린터(40)의 부품 공급 버튼을 스위칭한다.
작업자로부터 바코드 프린터(40)의 공급버튼이 스위칭되면, 부품 피더(30)에서 내장부품(101)이 이송로를 통해 받이대(20)로 배출됨과 동시에 바코드 프린터(40)에서는 도어트림(100)에 부착될 바코드 라벨이 출력된다(S100, S200).
이때, 작업자가 받이대(20)로 배출된 내장부품(101)을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미취출할 경우, 전술한 상기 타이머에서 자동적으로 경고음이 발생한다.
한편, 작업자는 부품 피더(30)에서 배출된 내장부품(101)을 도어트림에 조립하고, 도어트림(100)에 내장부품(101)의 조립이 끝나면 상기 바코드 라벨을 도어트림(100)의 일측면에 부착한다.
상기 바코드 라벨이 도어트림(100)에 부착되면, 작업자는 바코드 스캐너(41)로 상기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여 식별정보를 수집한다(S300).
바코드 스캐너(41)가 상기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면, 자동적으로 제어부(70)에 상기 바코드 라벨의 식별정보가 등록되고(S400), 도어트림(100)의 상측에 배치된 카메라(50)가 상기 도어트림(100) 및 내장부품(101)을 촬영한다(S500). 이때, 조명은 카메라(50)가 도어트림(100) 및 내장부품(101)을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한다. 단, 상기 식별정보는 도어트림(100)의 규격이나 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경우, 다수의 도어트림(100)에 내장부품(101)이 조립되는 바, 작업자가 도어트림(100)의 개수나 사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제어부(70)에 저장된다.
카메라(50)가 도어트림(100) 및 내장부품(101)을 촬영하면, 제어부(70)는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도어트림(100)내에 조립된 내장부품(101)의 누락여부를 판독한다(S600).
상기 판독된 검사결과는 비전 검사 모니터(80)에 의해 수신되며, 비전 검사모니터(80)는 상기 판독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S700).
한편, 비전 검사 모니터(80)가 상기 판독 결과를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90)는 디스플레이된 도어트림(100)의 검사이력을 수신하여 저장하고(S800) 내장부품(101)의 누락여부에 따라 도어트림(100)의 출하를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도어트림(100)에 조립된 내장부품(101)이 누락되거나 올바르게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면 출하를 불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1)는 도어트림(100)의 조립공정 내에 비전 검사를 적용함으로써 내장부품(101)의 누락여부를 파악하고 도어트림(100)에 내장부품(101)이 누락되었을 경우, 신속하게 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장부품(101)이 안착되는 받이대(20)의 중심부에는 센서(2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설정 시간 내에 내장부품(101)을 미취출할 경우, 상기 센서(21)에서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비전 검사기와 연동으로 내장 부품(101)의 누락을 이중 검사함으로써, 비전 검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전 검사 결과를 입력 받고, 상기 검색결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90)를 구비하여 도어트림(100)에 내장부품(101)이 누락되거나 올바르게 조립되지 않은 도어트림은 출하가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내장부품(101)의 누락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10: 안착지그
20: 받이대 21: 센서
30: 부품 피더 40: 바코드 프린터
41: 바코드 스캐너 50: 제어부
60: 카메라 70: 조명
80: 비전 검사 모니터 90: 데이터 베이스
100: 도어트림 101: 내장부품

Claims (4)

  1. 도어트림(100)이 안착되는 안착지그(10);
    상기 도어트림(100)에 조립될 내장부품(101)이 안착되는 받이대(20);
    상기 받이대(20)로 상기 내장부품(101)을 공급하는 부품 피더(30);
    상기 도어트림(100)에 부착될 바코드 라벨을 출력하는 바코드 프린터(40);
    상기 안착지그(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트림(100)을 촬영하는 카메라(50);
    상기 카메라(50)의 촬영에 필요한 빛을 조사하는 조명(60);
    상기 카메라(50)에서 촬영된 상기 도어트림(100)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내장부품(101)의 조립누락 여부를 판독하는 제어부(70);
    상기 제어부(70)로부터 판독된 상기 내장부품(101)의 조립누락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판독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전 검사 모니터(80); 및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상기 도어트림(100)의 검사이력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90);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이대(20)는, 상기 내장부품(101)이 안착되는 중심부가 하방으로 소정 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상기 부품 피더(3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내장부품(101)이 자중에 의해 중심부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에 상기 내장부품(101)의 유, 무를 감지하는 센서(21)가 장착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21)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내장부품(101)이 지속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프린터(40)는, 상기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41)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KR2020120010638U 2012-11-20 2012-11-20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KR200474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38U KR200474333Y1 (ko) 2012-11-20 2012-11-20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38U KR200474333Y1 (ko) 2012-11-20 2012-11-20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57U true KR20140003157U (ko) 2014-05-28
KR200474333Y1 KR200474333Y1 (ko) 2014-09-12

Family

ID=5200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38U KR200474333Y1 (ko) 2012-11-20 2012-11-20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3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15A (ko) * 2016-11-30 2018-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검사방법
KR20220039319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무등기업 고안전 차량 부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20146023A (ko) * 2021-04-23 2022-11-01 전광섭 도어트림 무드램프 휘도 검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844B1 (ko) 2015-11-30 2017-06-09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트림의 비전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17U (ja) * 1991-09-19 1993-04-06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ボウルフイーダ
KR100394344B1 (ko) * 2000-08-29 2003-08-21 주식회사 한국지엠디 생산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3896B1 (ko) * 2004-01-08 2006-08-22 주식회사 금창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15A (ko) * 2016-11-30 2018-06-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전검사방법
KR20220039319A (ko) * 2020-09-22 2022-03-29 주식회사 무등기업 고안전 차량 부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20146023A (ko) * 2021-04-23 2022-11-01 전광섭 도어트림 무드램프 휘도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333Y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333Y1 (ko) 도어트림 내장부품 비전 검사장치
US10926367B2 (en) Machine tool
KR101456289B1 (ko) 비전검사장치 및 방법
JP6159800B2 (ja) フィーダ調整装置
WO2007144986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KR100613896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JP2007315959A (ja) レンズ測定装置
JP2014183164A (ja) ノズル検査装置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
JP2002526940A (ja) 自動装着機内で基板に装着された構成部材の位置検出のための方法
KR101470424B1 (ko) 렌즈 검사 장치
JP6081610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KR200428768Y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의 조립시스템
CN107065808B (zh) 产品附件置入方法、质检方法及生产线用系统
KR101392083B1 (ko)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CN114128417A (zh) 对基板作业系统
JP200713291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ビジョン及び輝度検出システム
CN108775912A (zh) 一种节温器防错视觉检测识别装置及方法
KR20150088560A (ko) 용접 검사 장치
CN211318219U (zh)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
KR101908436B1 (ko) 차량용 에어백 커버하우징의 인서트부품 자동 검출시스템
KR200347781Y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JP2008051783A (ja) 基板の検査装置
KR102549486B1 (ko) Pcb 재활용을 위한 pcb 검사 및 수리장치
JP2008139260A (ja) 画像表示装置、外観検査装置、クリーム半田印刷機、及び画像表示方法
WO2008026559A1 (fr) Appareil d'inspection d'un subst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