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781Y1 -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81Y1
KR200347781Y1 KR20-2004-0000536U KR20040000536U KR200347781Y1 KR 200347781 Y1 KR200347781 Y1 KR 200347781Y1 KR 20040000536 U KR20040000536 U KR 20040000536U KR 200347781 Y1 KR200347781 Y1 KR 200347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amera
inspection
ji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열
임윤규
노지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창
대구가톨릭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창, 대구가톨릭대학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to KR20-2004-0000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부품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차단된 검사방내에 검사대상물인 자동차부품을 놓고 이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기 설정된 양호한 자동차부품의 영상의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된 검사방과, 상기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가 검사방내로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자동차부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광원을 공급하는 조명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검사대상의 영상과 기설정된 양호한 검사대상의 영상 비교에 의해 제어부에서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가 자동적으로 검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THE DEVICE FOR INSPECTING AUTOMOBILE PARTS USING VISION SYSTEM}
본 고안은 자동차부품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빛이 차단된 검사방내에 검사대상물인 자동차부품을 놓고 이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기설정된 양호한 자동차부품의 영상의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한 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2만개가 넘는 부품이 조립되어야 하며, 이 중 단 하나라도 누락된다면 심각한 사고를 불러올 수 있다. 부품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누락여부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너트와 같이 아주 작은 부품의 누락은 쉽게 발견하기가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부품 중 시트쿠션스테이(Seat Cushion Stay)와시트쿠션(Seat Cushion)같은 제품은 다수의 홀(Hole)이 있어 이를 육안으로 검사할 경우 작업자의 눈에 피로도를 가중시키므로, 연속적인 작업으로 불량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품생산의 마지막 공정에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부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곤 하였는데, 이와 같이 근접센서를 이용한 검사장치의 도입으로 불량률이 줄긴 하였으나, 이를 이용해서는 거셋(Gusset)의 모든 부속품을 검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근접센서를 이용한 검사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거셋의 검사영역을 나누어서, 1번 카메라는 너트와 서포트브라켓을 검사하고 2번 카메라는 유동너트, 플레이트와 서포트브라켓을 검사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검사장치가 있었으나, 이 경우 작업라인내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작업의 불편을 주고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이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될 경우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용접불꽃이나,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조명의 변화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자동차부품의 영상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부품검사장비는 반도체웨이퍼검사, PCB기판 검색 또는 의약품검사 등에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부품검사장비의 경우 고가이고 알고리즘이 특정한 업종에 국한되어 있었는 바, 중소기업에서 이를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2만 개에 달하는 많은 부품이 존재하고 공정도 다양하여 각 부품마다 새로운 알고리즘이 요구되는 자동차부품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더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기설정된 양호한 자동차부품의 영상을 비교하여 검사대상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도록 카메라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된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작업라인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그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검사장치를 층구조로 구성한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용접불꽃과 같은 불규칙한 외부광원에 의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촬영을 위한 광원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조명이 설치된 밀폐된 검사방이 구비된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하고자 하는 부품을 고정시키는 지그가 부품별로 구비된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의 정면 내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의 측면 내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측면 내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그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바의 인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쿠션의 검사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출력과 프린터출력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검사방 11 - 개폐도어
12 - 모니터보호유리 13 - 고정가이드
20 - 지그 21 - 지그핀
22 - 제품유무감지센서 23 - 전자석
30 - 가이드부 31 - 받침대
32 - 가이드바 33 - 가이드고정바
34 - 개폐감지센서 35 - 마커
40 - 카메라 41 - 중앙카메라
42 - 좌측카메라 43 - 우측카메라
50 - 조명 60 - 제어부
70 - 모니터 80 - 프린터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에 의해 자동차부품을 검사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부품 검사시에 유입되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된 검사방과, 상기 검사방내의 하부에 놓여서 상기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지그를 상기 검사방내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검사방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부품을 촬영하는 1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검사방내에 설치된 조명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자동차부품의 영상을 수신하고, 촬영된 영상의 좌표값과 기설정된 검사대상의 양품 촬영화면에 해당하는 영상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자동차부품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차부품의 촬영영상과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지그에서 이격되어 상기 검사방내에 구비된 고정가이드에 설치되고, 자동차부품의 중앙 상측을 촬영하는 중앙카메라와, 왼쪽 상측을 촬영하는 좌측카메라와, 오른쪽 상측을 촬영하는 우측카메라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지그가 자동차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해 자동차부품의 홀에 끼워지는 지그핀과, 상기 지그에 자동차부품이 안착됨을 판단하는 제품유무감지센서와, 상기 지그핀에 안착된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지그가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에 따라 각각 구비되는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어부에서 자동차부품이 불량으로 판단되면, 부저를 울리고 경고등에 붉은색등을 작동시켜서 불량품의 발생을 알리며, 마킹수단에 의해 자동차부품에 불량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불량품의 촬영화면을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가 더 구비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의 정면 내부와 측면 내부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된 검사방(10)과, 상기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는 지그(20)와, 상기 지그를 검사방내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30)와, 상기 자동차부품을 촬영하는 카메라(40)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광원을 공급하는 조명(50)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0)로 구성된다.
상기 검사방(10)은 자동차부품을 검사할 때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위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을 상기 검사방의 내부로 넣을 수 있는 개폐도어(11)가 상기 검사방(10)의 일면에 설치되고, 또한 모니터의 화면이 보여지는 모니터보호유리(12)가 일면에 설치되고 그 후면에 모니터(70)가 설치된다.
상기 지그(20)는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방(10)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받침대 위에 놓여진다. 이때, 상기 지그(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자동차부품의 홀에 끼워지는 다수의 지그핀(21)과, 상기 지그핀(21)이 자동차부품의 홀에 끼워져서 부품이 정확한위치에 안착됨을 판단하는 제품유무감지센서(22)와, 상기 지그에 놓여진 부품을 고정시키는 전자석(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20)는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별로 각각 구비되며, 이 경우 상기 지그핀(21)은 각 자동차부품에 홀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품유무감지센서(22)는 상기 자동차부품의 홀이 상기 지그핀(21)에 정확히 끼워져서 지그위에 안착됨을 감지하도록 상기 지그(20)의 윗면에 형성되며,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제어부(60)에 연결된다.
상기 전자석(23)은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기화되고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통상의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23)으로의 전류 공급은 상기 지그(20)에 제품이 안착됨을 감지하는 신호가 상기 제품유무감지센서(22)에서 전송되면 제어부에서 전류를 공급하고, 자동차부품의 불량 여부 판별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에서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가 놓여지는 받침대(31)와, 상기 받침대(31)를 전, 후로 이동시켜서 상기 검사방으로 자동차부품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받침대(31)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바(32)와, 상기 가이드바(32)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이동된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가이드고정바(33)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31)는 상기 지그와 그 위에 안착되는 자동차부품이 놓여져 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그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그가상기 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31)는 상기 검사방으로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도어(11)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바(32)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바(32)는 상기 받침대(31)에 연결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에 의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 통상의 바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가이드바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와 모터는 통상의 공압피스톤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고정바(33)는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검사방(10) 내부로 이동하는 가이드바(32)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검사방(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고정바(33)의 일단에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감지센서(34)는 가이드바가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바(32)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고정바에 구비된 개폐감지센서(34)에 접지됨을 인식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로서, 상기 개폐감지센서(34)에서 접지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가이드바(32)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 판별이 종료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여 가이드바(32)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0)에 검사하는 자동차부품에 불량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인 마커(3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커(35)는 검사대상인 자동차부품에 검사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고정바(33)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자동차부품의 저면에 검사결과를 표시하도록 상기 지그(20) 아래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마커(35)는 양호함을 표시할 수 있는 양호마킹장치와 불량임을 표시할 수 있는 불량마킹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40)는 상기 자동차부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검사방(10)내의 상부에 있는 고정가이드(13)에 설치된 CCD카메라로 구성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이 놓이는 지그의 위에 설치된다.
이때,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카메라(40)는 상기 지그(20)에서 이격되어 상기 검사방내에 구비된 고정가이드(13)에 설치되고, 자동차부품의 중앙 상측을 촬영하는 중앙카메라(41)와, 왼쪽 상측을 촬영하는 좌측카메라(42)와, 오른쪽 상측을 촬영하는 우측카메라(4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 영상을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40)는 제어부(60)에 연결된다.
상기 조명(50)은 상기 검사방내에서 자동차부품을 촬영하기 위한 광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검사방(10)내의 상부에 있는 고정가이드(13)에 설치된 조명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명(50)은 상기 중앙 및 좌, 우측카메라에 균일한 조명을 공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카메라와 좌측카메라 사이에 1개가 설치되고, 상기 중앙카메라와 우측카메라 사이에 1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하여 전송되는 자동차부품의 영상을수신하고 기설정된 양호한 자동차부품의 영상과 비교하여 검사대상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카메라(40)에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모니터(70)에 연결된다.
또한,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의 영상이 기설정된 양호한 자동차부품의 영상과 일치하지 않아 불량으로 판별된 자동차부품의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되고, 그 불량 자동차부품의 영상을 프린터에서 출력하도록 프린터(80)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자동차부품이 불량임을 알리는 부저를 울리고 경고등을 울리도록 상기 제어부(60)에 부저와 경고등이 연결된다.
또한, 지그(20)에서 전송되는 제품안착신호를 수신하여, 전자석(23)에 전류를 공급하고, 가이드바를 이동시키고,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조명을 키는 등 상기 검사장치내의 모든 신호를 제어한다.
상기 모니터(70)는 검사하는 자동차부품의 관련정보와 검사일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자동차부품의 영상 및 불량이 발생된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상의 모니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에 연결되고 상기 검사방(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의 일체화를 위해 부피가 적은 LCD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검사된 영상을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터(80)가 상기 제어부(60)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검사방(10)이 5개의 층구조로 형성되어, 최상층에는 자동차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와 조명, 지그 및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그 아래층에는 제어부에 신호를 입력하고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에 적합한 양품 촬영정보를 입력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입력수단으로 키보드가 설치되고, 그 아래층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터가 설치되고, 그 아래층에는 제어부가 설치되고, 그 아래층에는 불량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층구조는 상기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의 부피를 적게 하여 작업장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으로 시트쿠션(Seat Cushion)을 선택하고, 검사대상인 시트쿠션이 안착될 수 있는 적합한 지그(20)를 받침대(31)에 결합하고, 양품의 시트쿠션을 촬영한 영상을 제어부(60)에 저장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하고자 하는 내용인 시트쿠션의 홀과 너트의 위치와 개수, 용접타점의 위치와 개수, 스프링유무, 고무패킹유무, 및 브라켓핀과 브라켓홀의 유무에 관련된 양품 촬영영상의 좌표값을 프로그래밍한다.
상기 지그에 검사대상인 시트쿠션을 놓아서 지그핀(21)이 시트쿠션의 일부 홀에 삽입되어 지그(20)에 안착된다. 이후 제품유무감지센서(22)에서 검사대상이 지그에 안착됨을 감지하는 신호가 제어부(60)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에서 전자석(23)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의 공급에 의해 전자석이 자기화되어 검사대상이 지그(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그(20)에 검사대상이 안착, 고정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바(32)가 이동되어 상기 지그가 검사방내로 들어간다.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이 완료되면 개폐도어(11)가 닫히고 상기 검사방(10)은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검사방(10)내에 설치된 조명(50)에 전원이 공급되어 일정한 조도의 빛이 발생되면, 카메라(40)에서 상기 검사대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발생시킨다. 이때, 검사대상의 일반평면은 빛이 반사되어 밝게 나타나고, 검사대상에 형성된 홀의 경우 빛이 반사되지 않아서 까맣게 표출되며, 용접타점의 경우 약간 어둡게 나타나는 등 검사내용에 따라 그 명암이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카메라(40)에서 발생된 영상은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60)에서 기설정된 양품의 촬영영상과 상기 카메라(40)에서 전송된 영상의 각 좌표값이 비교되며 명암의 일치여부가 판단된다.
즉, 시트쿠션에서 필요한 11개의 홀의 위치가 X축과 Y축 값으로 규정되고, 양품 촬영영상에서 각 위치에 해당하는 명암 정도가 수치화된 값과 상기 카메라에서 전송된 영상에서 해당 홀의 X축과 Y축 위치에서의 명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비교하여, 그 명암 값의 일치여부로 검사대상의 양, 불량여부가 판별된다.
상기 제어부에서의 판별결과 검사대상이 양품인 경우에는 가이드부(30)에 구비된 양호마킹장치를 동작시켜서 상기 검사대상에 양호함을 표시하고, 표시등의 파란색등을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검사대상의 화면을 검사일시,제품번호 등의 정보와 함께 모니터(70)에 표출시킨다.
상기 제어부에서의 판별결과 검사대상이 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30)에 구비된 불량마킹장치를 동작시켜서 상기 검사대상에 불량임을 표시하고, 표시등의 붉은색등을 작동시키며, 부저를 작동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알린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불량품의 영상을 검사일시, 제품번호, 및 불량발생위치 등의 정보와 함께 모니터(70)에 표출시킨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품의 영상정보와 불량발생위치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별도로 구비된 프린터(80)에서 출력하여 불량원인을 검토할 수 있는 자료로 참작하도록 한다.
이처럼 자동차부품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검사방의 개폐도어(11)를 열고 상기 가이드부의 리니어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지그를 검사방외부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지그에서 검사대상을 분리하고 새로운 검사대상을 안착시킨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나 도면에 기재된 내용에 그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특유한 효과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검사대상의 영상과 기설정된 양호한 검사대상의 영상을 비교하여 제어부에서 자동차부품의 불량여부가 자동적으로 검사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외부로부터 빛의 유입이 차단되어 광잡음이 제거되도록 밀폐된 검사방에서 균일한 조도아래 검사대상을 촬영하여 검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검사하는 자동차부품이 불량으로 판별되면 이를 자동차부품에 마킹하고 불량이 발생된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함으로써, 불량의 원인을 수정하여 추가적인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에 의해 자동차부품을 검사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부품 검사시에 유입되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 밀폐된 검사방과;
    상기 검사방내의 하부에 놓여서 상기 자동차부품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를 상기 검사방내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검사방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부품을 촬영하는 1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검사방내에 설치된 조명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자동차부품의 영상을 수신하고, 촬영된 영상의 좌표값과 기설정된 검사대상의 양품 촬영화면에 해당하는 영상의 좌표값을 비교하여 자동차부품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자동차부품의 촬영영상과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지그에서 이격되어 상기 검사방내에 구비된 고정가이드에 설치되고, 자동차부품의 중앙 상측을 촬영하는 중앙카메라와, 왼쪽 상측을 촬영하는 좌측카메라와, 오른쪽 상측을 촬영하는 우측카메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자동차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해 자동차부품의 홀에 끼워지는 지그핀과, 상기 지그에 부품이 안착됨을 판단하는 제품유무감지센서와, 상기 지그핀에 안착된 부품을 고정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가 검사하고자 하는 자동차부품에 따라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자동차부품이 불량으로 판단되면, 부저를 울리고 경고등에 붉은색등을 작동시켜서 불량품의 발생을 알리며, 마킹수단에 의해 자동차부품에 불량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품의 촬영화면을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KR20-2004-0000536U 2004-01-09 2004-01-09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KR200347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36U KR200347781Y1 (ko) 2004-01-09 2004-01-09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536U KR200347781Y1 (ko) 2004-01-09 2004-01-09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21A Division KR100613896B1 (ko) 2004-01-08 2004-01-08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81Y1 true KR200347781Y1 (ko) 2004-04-14

Family

ID=4934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536U KR200347781Y1 (ko) 2004-01-09 2004-01-09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8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527B1 (ko) 2009-09-17 2011-09-19 대원강업주식회사 밸브 스프링의 복합 검사장치
KR101120522B1 (ko) * 2009-12-17 2012-03-05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검사장치
KR101501014B1 (ko) 2014-10-23 2015-03-25 태양정밀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덕트 부품 누락 검사 장치
KR102242996B1 (ko) 2019-11-27 2021-04-21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 사출제품의 비정형 불량 검출 방법
KR102360140B1 (ko) 2021-06-17 2022-02-08 박성수 부품검사용 비전 검사 장치
CN114434947A (zh) * 2022-03-01 2022-05-06 四川展新胶粘材料有限公司 一种便于判别柔性膜产品良率用贴合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527B1 (ko) 2009-09-17 2011-09-19 대원강업주식회사 밸브 스프링의 복합 검사장치
KR101120522B1 (ko) * 2009-12-17 2012-03-05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검사장치
KR101501014B1 (ko) 2014-10-23 2015-03-25 태양정밀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덕트 부품 누락 검사 장치
KR102242996B1 (ko) 2019-11-27 2021-04-21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 사출제품의 비정형 불량 검출 방법
KR102360140B1 (ko) 2021-06-17 2022-02-08 박성수 부품검사용 비전 검사 장치
CN114434947A (zh) * 2022-03-01 2022-05-06 四川展新胶粘材料有限公司 一种便于判别柔性膜产品良率用贴合机
CN114434947B (zh) * 2022-03-01 2024-03-22 四川展新胶粘材料有限公司 一种便于判别柔性膜产品良率用贴合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96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KR0150689B1 (ko) 평면형 표시패널 검사장치
JP4264407B2 (ja) 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US7586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liquid crystal display
US7804591B2 (en) Wafer inspecting method
JP2599431B2 (ja) 自動車ヘッドライト照準方法及び照明パターン検査方法
KR101916448B1 (ko) 자동차 리어램프용 자동 검사 시스템
JP2009512839A (ja) ガラス板光学検査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347781Y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JP2007315959A (ja) レンズ測定装置
KR101136388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 검사장치
CN117330505A (zh) 平凸版外观质量检测设备和平凸版外观质量检测方法
JP4404597B2 (ja) 配光検査装置および配光検査方法
KR20210143081A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검사장치
JP2009208561A (ja) 運転者撮像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撮像方法
KR20140012513A (ko) 자동차용 업쇼바 캡 검사 장치
JP3211681B2 (ja) 塗装欠陥検査装置
KR101136387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 검사방법
KR20190010133A (ko) 차량 전조등 조사각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0083B1 (ko) 크러쉬 패드의 비전 검사기
KR101523512B1 (ko) 자동 광학 검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036012B1 (ko) 비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448021B1 (ko) 아웃사이드 미러 품질 비전검사 시스템
KR102559775B1 (ko) 차량 내 도어 트림의 무드 조명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6235676A (ja) 密封容器の圧洩れ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