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119A -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119A
KR20140003119A KR1020120070811A KR20120070811A KR20140003119A KR 20140003119 A KR20140003119 A KR 20140003119A KR 1020120070811 A KR1020120070811 A KR 1020120070811A KR 20120070811 A KR20120070811 A KR 20120070811A KR 20140003119 A KR20140003119 A KR 2014000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bot
support device
cables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갑
이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119A/ko
Publication of KR2014000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25Means for supplying energy to the end eff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지지벽(5)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11)를 갖는 지지브래킷(10) 및 상기 지지브래킷(10)의 연결부(11)에 연결되어 케이블(7)을 안내 및 지지하는 케이블홀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이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홀더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복수의 케이블홀더에 의해 케이블 서로 간의 간섭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게 되면서 케이블의 마모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케이블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케이블들의 분리 정렬이 수월하게 되어 케이블 판별이 용이하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of cables for robot swing axis}
본 발명은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이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홀더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복수의 케이블홀더에 의해 케이블 서로 간의 간섭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게 되면서 케이블의 마모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케이블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케이블들의 분리 정렬이 수월하게 되어 케이블 판별이 용이하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산업용 로봇)은 공장의 라인 등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자동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로봇은 소형 컴퓨터가 내장되며, 구조적으로는 사람의 팔이나 손의 기능을 대신하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게 보통이다.
주요 용도는 조립용, 기계 가공, 입출하, 검사측정, 프레스, 수지가공, 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단순 반복기능에서 센서를 기반으로 한 인식기능이 추가되어 지능형 로봇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크게 서비스 로봇과 이에 대비되는 제조업용 로봇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봇은 선회축(swing axis)을 구비하게 되며, 이 선회축은 중공형 감속기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 감속기의 중공을 통해 제작자(maker)는 기본적으로 로봇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동력선, 센서선, 유틸리티선 등을 포설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user)는 로봇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로봇의 팔 등에 각종 공구를 부착하여 작동시키기 위한 응용 케이블(동력, 센서신호선, 통신신호선, 에어호스, 진공호스, 유체호스 등)을 추가로 포설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케이블들은 우선 제작자가 중앙부에 기본적 외배 케이블을 포설하고 차후에 사용자가 그 주위에 추가로 용도별 케이블을 포설하여 로봇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케이블 포설 방법은 이들 케이블을 분리 구획시키기 위한 별도의 분리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측과 외측 케이블의 비틀림 및 당김 현상의 발생 등 케이블 서로 간의 간섭이 생기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마모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이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홀더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복수의 케이블홀더에 의해 케이블 서로 간의 간섭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게 되면서 케이블의 마모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케이블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케이블들의 분리 정렬이 수월하게 되어 케이블 판별이 용이하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는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케이블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단일 판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는 상기 케이블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중앙에 원형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는 상기 원형관통공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분리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의 분리 구조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분리부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공을 서로 일치시켜 별도의 체결구로 체결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단일 판재 구조인 경우 그 양측 벽면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홀더 간의 연결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간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는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이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홀더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복수의 케이블홀더에 의해 케이블 서로 간의 간섭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게 되면서 케이블의 마모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케이블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케이블들의 분리 정렬이 수월하게 되어 케이블 판별이 용이하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는 해당 지지벽(5)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11)를 갖는 지지브래킷(10) 및 상기 지지브래킷(10)의 연결부(11)에 연결되어 케이블(7)을 안내 및 지지하는 케이블홀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래킷(10)의 연결부(11)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고 중심점(10a)을 기준으로 해서 등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브래킷(10)의 연결부(11)가 3방사 방향으로 분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지지브래킷(30)의 연결부(31)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단일 판재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홀더(20)는 상기 케이블(7)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중앙에 원형관통공(20a)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홀더(20)는 상기 원형관통공(20a)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케이블홀더(20)의 분리 구조는, 상기 지지브래킷(10)의 연결부(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부(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1)와 분리부(22)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각각 관통공(21a,22a)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공(21a,22a)을 서로 일치시켜 별도의 체결구(23)로 체결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1)가 단일 판재 구조인 경우, 그 양측 벽면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홀더(20) 간의 연결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간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홀더(20)는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연결부(31)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는 상기 지지브래킷(10)의 각각의 연결부(11)에 케이블홀더(20)를 연결한 후 해당 로봇 선회축의 감속기(40) 상부의 소정의 지지벽(5)에 상기 지지브래킷(10)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각각의 케이블홀더(20)의 체결구(23)의 체결을 해제하여 분리부(22)가 고정부(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이들 케이블홀더(20)의 외부로 개방된 원형관통공(20a)에 해당 케이블(7)들을 각각 배치시키고 난 후 분리되어 있는 해당 분리부(22)를 다시 체결구(23)를 통해 상기 고정부(21)에 결합시켜 원형관통공(20a)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블들을 감싸 보호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 장착 작업이 완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로봇을 작동시키면 각각의 케이블(7)들은 서로 간의 간섭됨이 없이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는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이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홀더를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복수의 케이블홀더에 의해 케이블 서로 간의 간섭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게 되면서 케이블의 마모 등에 의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케이블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케이블들의 분리 정렬이 수월하게 되어 케이블 판별이 용이하게 되는 등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지지벽 7 : 케이블
10 : 지지브래킷 10a : 중심점
11 : 연결부 20 : 케이블홀더
20a : 원형관통공 21 : 고정부
21a : 관통공 22 : 분리부
22a : 관통공 23 : 체결구
30 : 지지브래킷 31 : 연결부
40 : 감속기

Claims (8)

  1. 해당 지지벽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를 갖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케이블홀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재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단일 판재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는 상기 케이블이 상하로 관통되도록 중앙에 원형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는 상기 원형관통공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분리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의 분리 구조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연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분리부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공을 서로 일치시켜 별도의 체결구로 체결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단일 판재 구조인 경우 그 양측 벽면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홀더 간의 연결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간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20070811A 2012-06-29 2012-06-29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KR20140003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11A KR20140003119A (ko) 2012-06-29 2012-06-29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11A KR20140003119A (ko) 2012-06-29 2012-06-29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119A true KR20140003119A (ko) 2014-01-09

Family

ID=5013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811A KR20140003119A (ko) 2012-06-29 2012-06-29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170A1 (en) * 2020-06-16 2021-12-23 Raytheon Company Collaborative robot line manageme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170A1 (en) * 2020-06-16 2021-12-23 Raytheon Company Collaborative robot line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0831B2 (en) Industrial robot
KR102357091B1 (ko) 리프트 시스템의 리프트 샤프트에 설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착 디바이스
KR101944907B1 (ko) 자동 물체 반송 방법 및 자동 물체 반송 시스템
CN104275707A (zh) 机器人用驱动线缆的处理构造体和机器人装置
US8245592B2 (en) Manipulator
EP2942160A2 (en) Robot
JP2009052714A (ja) ケーブル保護チェーンの破損検知システムおよび破損検知方法
WO2009005233A3 (en) Cable duct
KR20140003119A (ko) 로봇 선회축용 케이블 지지장치
JP5605100B2 (ja) ロープテスタ保持用治具
CN205134977U (zh) 一种生命绳
KR20140003910U (ko) 선박의 케이블 정리용 고리
KR200478137Y1 (ko) 풍력타워 설치용 가이드
KR20160077997A (ko) 농업용 작업차의 톱 링크기구
JP2017108569A (ja) 配線部材および配線ユニット
CN205228799U (zh) 移动式梯具测试机
CN205670840U (zh) 一种可防止咪头导线被压伤的咪头与咪套组装设备
JP6161125B2 (ja) 仮固定具ユニット、仮固定具外し忘れ防止装置及び方法
CN203850549U (zh) 连接器
KR200298770Y1 (ko) 산업용 다 관절 암
JP2014089845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101684618B1 (ko) 카트리지형 세선포설 장치
KR101701923B1 (ko) 전선 거치 로프
JP2015094152A (ja) 竪樋支持具、竪樋支持具の設置方法
KR101518249B1 (ko)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