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249B1 -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8249B1 KR101518249B1 KR1020130117680A KR20130117680A KR101518249B1 KR 101518249 B1 KR101518249 B1 KR 101518249B1 KR 1020130117680 A KR1020130117680 A KR 1020130117680A KR 20130117680 A KR20130117680 A KR 20130117680A KR 101518249 B1 KR101518249 B1 KR 101518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unit
- raceway
- frame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부품의 현장설치가 편리하고, 공사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전선이 배치되는 제1 브라켓을 갖는 제1 레이스웨이유닛;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의 상대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을 연결하는 제3 전선이 배치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튜브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성형 와이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전선이 배치되는 제1 브라켓을 갖는 제1 레이스웨이유닛;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의 상대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을 연결하는 제3 전선이 배치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튜브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성형 와이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장에서 해당 구성부품들을 제작한 후 조립하여 설치현장에서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Raceway)는 전기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천정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상기 레이스웨이는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정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이스웨이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고, 배선 작업을 위한 단위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절단된 레이스웨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웃하는 레이스웨이들 사이에 별도의 연결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레이스웨이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수직 연결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높이가 다른 레이스웨이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수평연결장치 및 수직연결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레이스웨이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연결장치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현장시공이 복잡하고, 작업자가 레이스웨이들을 시공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성부품의 현장설치가 편리하고,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전선이 배치되는 제1 브라켓을 갖는 제1 레이스웨이유닛;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의 상대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을 연결하는 제3 전선이 배치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튜브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성형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관통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에 배치되는 커넥터프레임과,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을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홀더와, 상기 와이어홀더, 상기 커넥터프레임 및 상기 결합프레임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프레임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관통되는 튜브관통홀이 형성된 제1 커넥터프레임과, 상기 제1 커넥터프레임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면을 덮는 제2 커넥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결합볼트와 결합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홀더, 상기 결합프레임 및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제1 볼트관통홀, 제2 볼트관통홀 및 제3 볼트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시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를 가압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의 대각선폭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내측벽이 형성하는 내부공간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시 상기 결합프레임은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내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을 관통한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끝단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프레임과 상기 플렉시블 튜브를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홀더는 판형상을 가지는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에서 함몰형성되면서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는 일정각도로 굴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홀더본체와 면접촉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 테두리에 끼워지는 돌출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와이어홀더가 면접촉되로독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에 배치된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는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의 상대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연결유닛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레이스웨이유닛의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성형 와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을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홀더가 레이스웨이유닛의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이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일정 강도를 가지게 되어 레이스웨이유닛들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유닛과 제2 레이스웨이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유닛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유닛과 제2 레이스웨이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연결유닛에 구비된 결합프레임이 제2 레이스웨이의 제2 브라켓에 고정되는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구비된 연결유닛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유닛과 제2 레이스웨이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유닛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유닛과 제2 레이스웨이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연결유닛에 구비된 결합프레임이 제2 레이스웨이의 제2 브라켓에 고정되는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구비된 연결유닛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대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은 제1 레이스웨이유닛(10),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 및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은 일단이 건물의 천정면에 고정된 고정행거(3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매달려 있다.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은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제1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을 위한 제1 전선이 배치된다.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은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2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브라켓(2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테두리(211)는 상기 빈 공간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브라켓(210)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2 전선을 잡아주기 위한 전선홀더(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은 별도의 연결유닛에 의하여 제3 레이스웨이유닛(20)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의 하부에는 조명유닛(4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의 상대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닛(100)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10)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200)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을 연결하는 제3 전선(50)이 배치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튜브(110)와,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성형 와이어(12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2 결합부의 구성들에 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결합부는 결합프레임(160), 커넥터프레임(140), 와이어홀더(123), 결합부재(170), 와이어 보호부재(130) 및 프레임 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프레임(140)은 상기 제2 브라켓(210)의 일단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가 관통되는 튜브관통홀(143a)이 형성된 제1 커넥터프레임(143)과, 상기 제1 커넥터프레임(143)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켓(210)의 일단 상면을 덮는 제2 커넥터프레임(14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141)에는 상기 결합부재(170)가 관통하는 제3 볼트관통홀(1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160)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2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프레임(160)에는 상기 결합부재(170)가 관통하는 제2 볼트관통홀(16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홀더(123)는 상기 성형 와이어(121)의 끝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와이어홀더(123)에는 상기 결합부재(170)과 관통하는 제1 볼트관통홀(1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70)는 상기 와이어홀더(123), 상기 커넥터프레임(140) 및 상기 결합프레임(160)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170)는 상기 제1 볼트관통홀(123a), 제2 볼트관통홀(161a) 및 제3 볼트관통홀(141a)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는 결합볼트(171)와,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141)의 상면에서 상기 결합볼트(171)와 결합되는 결합나사(17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시, 즉 상기 결합볼트(171)와 상기 결합나사(173)가 결합할 때 상기 결합프레임(160)과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141)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211)를 가압하면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160)의 대각선폭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브라켓(210)의 내측벽이 형성하는 내부공간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시 상기 결합프레임(160)은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브라켓(210)의 일단 내측벽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160)이 상기 제2 브라켓의 의 내부공간으로, 즉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삽입된 후,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160)이 회전되면 상기 결합프레임(160)은 상기 제2 브라켓(210)의 내측벽에 고정되면서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50)는 상기 제1 커넥터프레임(143)을 관통한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끝단영역(111)에 설치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커넥터프레임(140)과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 커넥터프레임(143)이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고정돌기(112)와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150) 사이에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프레임(140)이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보호부재(130)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끝단영역(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전선(50)과 상기 성형 와이어(121)가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의 내측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전선(50) 및 상기 성형 와이어(121)가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 보호부재(130) 단면의 끝단영역은 완만한 곡선부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는 스틸재질의 외측커버와, 고무재질의 내부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렉시블 튜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성형 와이어(121)가 레이스웨이유닛의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100)이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일정 강도를 가지게 되어 레이스웨이유닛들의 상대위치가 바뀌더라도 상기 레이스웨이유닛의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은 제작공장에서 조립된 후 설치현장으로 운송되어 상기 설치현장에서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은 상술한 일 실시 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 예에 구비된 와이어홀더(180) 및 결합프레임(160)은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홀더(180)는 판형상을 가지는 홀더본체(181)와, 상기 홀더본체(181)에서 함몰형성되면서 상기 성형 와이어(121)의 끝단이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부(183)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183)는 상기 홀더본체(181)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183)는 일정각도, 예를 들면 수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183)는 '∩'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160)은 상기 홀더본체(181)와 면접촉하는 프레임본체(161)와, 상기 프레임본체(161)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 테두리(도 2의 211 참조)에 끼워지는 돌출테두리(163)를 포함한다.
결합부재의 체결시, 즉 결합볼트(171)와 결합나사(173)가 결합할 때 상기 결합프레임(160)과 제2 커넥터프레임(141)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211)를 가압하면서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은 상기 결합프레임(160)과 상기 와이어홀더(180)가 면접촉되로독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183)에 배치된 상기 성형 와이어(121)의 끝단을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상기 와이어홀더(180)와 상기 결합프레임(16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91)와, 상기 결합프레임(160)의 상면에서 상기 고정볼트(191)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193)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홀더(180)에는 상기 고정볼트(191)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181b)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프레임(160)에는 상기 고정볼트(191)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161b)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볼트(191)와 상기 고정너트(193)가 결합되면, 상기 결합프레임(160)과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183)이 형성된 상기 와이어홀더(180)의 일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성형와이어(121)의 끝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 레이스웨이유닛 20: 제3 레이스웨이유닛
100: 연결유닛 110: 플렉시블 튜브
121: 성형 와이어 123, 180: 와이어 홀더
130: 와이어 보호부재 140: 커넥터프레임
141: 제2 커넥터프레임 141a: 제3 볼트관통홀
143: 제1 커넥터프레임 143a: 튜브관통홀
150: 프레임 고정부재 160: 결합프레임
161: 프레임본체 163: 돌출테두리
170: 결합부재 171: 결합볼트
173: 결합나사 191: 고정볼트
193: 고정너트 200: 제2 레이스웨이유닛
100: 연결유닛 110: 플렉시블 튜브
121: 성형 와이어 123, 180: 와이어 홀더
130: 와이어 보호부재 140: 커넥터프레임
141: 제2 커넥터프레임 141a: 제3 볼트관통홀
143: 제1 커넥터프레임 143a: 튜브관통홀
150: 프레임 고정부재 160: 결합프레임
161: 프레임본체 163: 돌출테두리
170: 결합부재 171: 결합볼트
173: 결합나사 191: 고정볼트
193: 고정너트 200: 제2 레이스웨이유닛
Claims (8)
- 내부에 제1 전선이 배치되는 제1 브라켓을 갖는 제1 레이스웨이유닛;
상기 제1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2 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이스웨이유닛; 그리고,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의 상대위치에 따라 형상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레이스웨이유닛과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내부에는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을 연결하는 제3 전선이 배치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튜브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성형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결합프레임과,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관통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에 배치되는 커넥터프레임과,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을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홀더와, 상기 와이어홀더, 상기 커넥터프레임 및 상기 결합프레임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프레임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관통되는 튜브관통홀이 형성된 제1 커넥터프레임과, 상기 제1 커넥터프레임에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면을 덮는 제2 커넥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결합볼트와 결합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홀더, 상기 결합프레임 및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제1 볼트관통홀, 제2 볼트관통홀 및 제3 볼트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시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제2 커넥터프레임은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상부테두리를 가압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프레임을 관통한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끝단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프레임과 상기 플렉시블 튜브를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의 대각선폭은 상기 제2 브라켓의 내측벽이 형성하는 내부공간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체결시 상기 결합프레임은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일단 내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홀더는 판형상을 가지는 홀더본체와, 상기 홀더본체에서 함몰형성되면서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는 일정각도로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홀더본체와 면접촉하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 테두리에 끼워지는 돌출테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결합프레임과 상기 와이어홀더가 면접촉되로독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삽입홈부에 배치된 상기 성형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7680A KR101518249B1 (ko) | 2013-10-02 | 2013-10-02 |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7680A KR101518249B1 (ko) | 2013-10-02 | 2013-10-02 |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9298A KR20150039298A (ko) | 2015-04-10 |
KR101518249B1 true KR101518249B1 (ko) | 2015-05-11 |
Family
ID=5302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7680A KR101518249B1 (ko) | 2013-10-02 | 2013-10-02 |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824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0801Y1 (ko) | 2003-04-10 | 2003-07-22 | 백준식 | 전선관 커넥터의 전선보호구 |
KR200421623Y1 (ko) | 2006-04-22 | 2006-07-14 | 채원석 | 케이블 다발 및 그 케이블 다발을 구비한 케이블 일체형파이프 |
-
2013
- 2013-10-02 KR KR1020130117680A patent/KR1015182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0801Y1 (ko) | 2003-04-10 | 2003-07-22 | 백준식 | 전선관 커넥터의 전선보호구 |
KR200421623Y1 (ko) | 2006-04-22 | 2006-07-14 | 채원석 | 케이블 다발 및 그 케이블 다발을 구비한 케이블 일체형파이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9298A (ko) | 2015-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18845B1 (en) | A splice plate for coupling two adjacent ends of two cable ladder units and a cable ladder arrangement | |
US20230318274A1 (en) |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with reinforcement | |
KR101448730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관로구조물 | |
KR200480539Y1 (ko) | 통합 배선일체형 레이스웨이 장치 | |
KR100619136B1 (ko) | 덕트 지지장치 | |
KR101518249B1 (ko) | 성형와이어를 갖는 플렉시블 레이스웨이 시스템 | |
KR101190240B1 (ko) | 레이스 웨이용 원터치식 조이너 | |
CN102544785A (zh) | 用于定位至少一个圆形插头的装置 | |
KR20140079887A (ko) | 비상유도 케이블 트레이 | |
KR200456526Y1 (ko) |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 |
US9054510B2 (en) | Utility meter socket and condu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KR101268194B1 (ko) |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 |
EP3087309B1 (en) | Movable tray for a suspended light fixture | |
JP2009243506A (ja) | 化粧カバー | |
KR200451739Y1 (ko) |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 |
KR200433347Y1 (ko) | 케이블지지 구 | |
KR101325668B1 (ko) |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 |
KR100968115B1 (ko) | 배선용 시스템 박스 | |
KR20180124444A (ko) | 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 |
KR102587313B1 (ko) | 전선관 연결구 | |
KR100694487B1 (ko) | 배선용 덕트의 접속 구조 | |
KR102440055B1 (ko) | 양방향 변동형 브래킷 | |
KR102582929B1 (ko) | 콘센트 지지대 | |
JP5826312B2 (ja) | 筐体取付け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取付け具 | |
JP6470194B2 (ja) | 配線器具取付体装置、配線ボックス装置及びボックスカバ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