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929B1 - 콘센트 지지대 - Google Patents

콘센트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929B1
KR102582929B1 KR1020210114368A KR20210114368A KR102582929B1 KR 102582929 B1 KR102582929 B1 KR 102582929B1 KR 1020210114368 A KR1020210114368 A KR 1020210114368A KR 20210114368 A KR20210114368 A KR 20210114368A KR 102582929 B1 KR102582929 B1 KR 10258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wall
support
seg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178A (ko
Inventor
이드보라
Original Assignee
이드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드보라 filed Critical 이드보라
Publication of KR2023002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두 개의 조임부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로서 단지 3개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지지대이다. 상기 하우징은 두 개의 걸림테두리와, 상기 걸림테두리 윗면에 위치한 지지대, 상하 지지대를 연결하는 측면바로 구성되며, 조임부는 삼각패드와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콘센트 지지대는 상기 측면바는 가늘고 긴 탄성체의 막대 형상으로 본 발명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에 매입구에 매입할 때 구부릴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삼각패드는 가이드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벽체에 구비된 콘센트지지대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벽체 쪽에 가까울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 지지대에는 콘센트지지대 매입 작업 시 벽체보드에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복스를 사용할 필요 없이 조임볼트만 돌리면 되므로 설치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센트 지지대{Consent Support}
본 발명은 배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벽면의 칸막이 공사 시, 벽체 보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기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부 인테리어 공사에서 석고보드나 얇은 합판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매입형 커넥터, 스위치, 인터넷 통신 커넥터 등과 같은 배선기구를 설치할 경우, 나사 혹은 못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였을 때 배선기구가 쉽게 탈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벽면이 뒤쪽 여유 공간에 다른 재료를 덧붙여서 고정하나 이 역시 설치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여전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51748호(공고일: 51. 01. 10) “콘센트 박스 지지대”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은 높이가 조절됨과 아울러 지지대의 길이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조절이 가능하게 한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콘센트 박스 지지대는 선단측에 접속돌기를 형성하고 후단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그 후단측으로 절취가 가능한 다수의 연결살들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설치 간격에 따라 연결살의 조절절단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의 접속돌기가 고정되는 전원공급함체와 측면커버에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고정공들이 형성되어 지지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배선기구 설치 시간이 너무 길거나 벽체 두께에 따라 설치 방법을 달리해야 하는 등의 불편하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0001) 등록특허번호 제10-49047호 (0002)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51748호 (0003)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159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과 두 개의 조임부로 된 3개의 부품만으로 구성되는 매우 간단한 콘센트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바를 탄성체로 만들어 탄성체의 휘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벽체에 콘센트 지지대를 삽입할 때 구부려서 삽입하고,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다시 원상태로 펴지도록 함으로서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며, 또한 조임볼트를 사용하여 삼각패드의 조임과 풀림을 조종하는 콘센트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하우징과 조임부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걸림테두리와, 두 개의 상기 걸림테두리 윗면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지지대, 두 개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측면바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부는 삼각패드와 가이드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삼각패드는 상기 가이드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바는 탄성체로서 상기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 매입구에 매입할 때 구부러지고 매입이 완료되면 원래의 형태로 다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에서 상기 삼각패드는 벽체에 구비된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상기 벽체 쪽으로 가까울수록 낮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1세그먼트를 구성하고, 또 다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2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상기 제1세그먼트와 상기 제2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 지지대에서는 콘센트 지지대 매입 작업 시 벽체보드에 고정하기 위해 콘센트 지지대에 가늘고 긴 탄성체의 판 형상의 측면바를 두어 벽체에 매입할 때 구부려서 삽입함으로서 콘센트 지지대를 쉽게 설치를 하고,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세그먼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세그먼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그먼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의 실시예2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높이가 조절됨과 아울러 지지대의 길이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조절이 가능하게 한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 콘센트 박스 지지대는 선단측에 접속돌기(932)를 형성하고 후단에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그 후단측으로 절취가 가능한 다수의 연결살들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설치 간격에 따라 연결살의 조절절단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913)의 접속돌기(932)가 고정되는 전원공급함체과 측면커버(915)에는 그 높이를 달리하여 고정공(952)들이 형성되어 지지대(913)의 높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 콘센트 박스의 지지대이다. 콘센트 박스의 거푸집에서의 고정시 그 높이와 간격이 조절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배선기구 설치 시간이 너무 길거나 벽체 두께에 따라 설치 방법을 달리해야 하는 등의 불편하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조립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콘센트 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벽면의 칸막이 공사 시 벽체 보드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기배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전기배선기구’‘벽체보드’‘복스’등의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기배선기구’란 벽체 매입형 콘센트, 스위치, 랜케이블 콘센트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벽체보드’란 건물의 내장 마감을 위하여 벽체에 덧붙이는 석고보드와 같은 판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복스(box)’란 매입형 전기배선기구를 설치할 때, 벽체 안에서 연결된 전선을 보호하는 한편, 전기배선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또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정의하였음을 참조하여야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 지지대에 관한 것임으로 전기배선기구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기능성 부분 즉, 매입형 전기배선기구를 벽체보드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 콘센트 지지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두 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세그먼트는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로 나뉜다. 본 발명의 하우징(100)과 조임부(200)는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각 세그먼트의 하우징(100)은 두 개의 걸림테두리(1)와, 각 걸림테두리(1) 윗면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지지대(2)와 두 개의 지지대(2)를 상측에서 서로 연결하는 측면바(4)로 형성되며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걸림테두리(1)는 벽체 안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벽체 밖으로 걸리는 부분이다. 즉, 벽체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벽체에 걸리는 부분을 의미한다.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조임부(200)는 두 개의 지지대(2)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구(3)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세그먼트는 하나의 하우징(100)과 두 개의 조임부(200)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로서 “단지 3개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콘센트 지지대이다.
벽체에 매입되는 콘센트가 1구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만 사용하면 되지만, 통상은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된 것을 많이 사용하므로 두 개의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되어 있으면, 두 개의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로서 일체형으로 된 콘센트 지지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제1세그먼트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에 매입되는 콘센트가 1구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10 또는 20)를 벽체 매입구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만약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경우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를 결합한 콘센트 지지대(30)를 벽체 매입구에 삽입한 후 콘센트를 콘센트 지지대(30)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도 4는 제2세그먼트를 나타낸 것이다.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에서 사용되는 부호는 서로 동일하며 제1세그먼트(10)와 제2세그먼트(20)를 서로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제1세그먼트(10)의 연결봉(8)을 제2세그먼트(20)의 연결홈(9)에 끼워 맞추고, 제2세그먼트(20)의 연결봉(9)을 제1세그먼트(10)의 연결홈(9)에 끼워 맞춘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그먼트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각각의 세그먼트는 하우징(100)과 조임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양측에 설치한 걸림테두리(1)와, 양측 걸림테두리(1) 윗면에 각각 위치한 지지대(2)와 지지대(2)를 연결하는 측면바(4)로 나뉜다. 지지대(2) 중앙에는 조임부(200)의 가이드봉(6)과 합치될 수 있도록 상부의 일단이 절개된 관통구(3)를 구비된다.
상기 조임부(200)는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며, 삼각패드(5)와 가이드봉(6)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봉(6)은 관통구(3)를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봉(6)에는 암나사(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27)에 결합되는 조임볼트(17)는 걸림테두리(1)의 밑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암나사(27)와 결합된다.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목적은 벽체에 형성된 매입구의 깊이에 따라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를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사시도이다.
두 개의 세그먼트를 연결봉(8)과 연결홈(9)을 통하여 결합시킨다.
양측의 걸림테두리(1)를 손으로 잡고 양측을 누르면 탄성체로 된 측면바(4)가 “∩”자형으로 휘게 된다.
상기 측면바(4)는 가늘고 긴 탄성체의 판 형상으로 상단과 하단의 걸림테두리(1)를 지지대(2)를 통하여 이어주고 있다. 본 발명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에 준비된 콘센트 지지대 매입구에 삽입할 때 측면바(4)를 “∩”자 형으로 구부려서 넣게 된다.
상기 삼각패드(5)는 가이드봉(6)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봉(6)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콘센트 지지대(30)를 벽체에 조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벽체에 구비된 보드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경사면이 구비된다.
삼각패드(5)의 경사면은 벽체 쪽에 가까울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3)에 가이드봉(6)을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가 완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콘센트 지지대(4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그먼트는 두 개의 세그먼트로 하지 않고, 하나의 세그먼트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연결봉(8)과 연결홈(9)이 없는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1의 구성과 같다.
도면의 각 부호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가이드봉(6)의 실시예2에서는 가이드봉(6)이 둥근 모형이다. 가이드봉(6)이 둥근 모형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콘센트 1구용을 벽체에 매입할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의 콘센트 지지대(10 또는 20)를 벽체 매입구에 삽입하기 위하여 손으로 걸림테두리(1)를 잡으면 탄성체로 된 측면바(4)가 “∩”자 형으로 구부러지게 되므로, 하우징(100)이 구부러진 상태로 벽체의 매입구에 삽입된다.
이때 두 개의 조임부(200)는 벽체에 가까운 쪽으로 낮은 경사도를 갖는 삼각패드(5)로 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벽체에 삽입이 가능하다.
콘센트 지지대(10 또는 20)가 삽입이 완료 되면, 잡았던 걸림테두리(1)를 놓으면 탄성체로 된 측면바(4)가 “∩”자 형으로 되어 있던 것이 원래의 형태로 펴지게 되고, 벽체 매입구 내부에 콘센트 지지대(10 또는 20)가 고정이 된다.
이어 콘센트를 하우징(100)에 삽입하고 조임볼트(17)를 콘센트의 조임볼트(17)가 관통되는 구멍에 끼워 넣고, 조이면 조임볼트(17)는 가이드봉(6)에 형성된 암나사(27)에 맞물려 고정된다.
조임볼트(17)는 두 개로 형성된다. 즉, 첫 번째 조임볼트(17)는 콘센트를 관통하고, 하우징(100) 지지대(2)를 관통하여 조임부(200)의 가이드봉(6)에 형성된 암나사(27)에 조여진다.
두 번째 조임볼트(17)는 콘센트를 관통하고, 하우징(100)의 다른 쪽 지지대(2)를 관통하여 다른 쪽 조임부(200)의 가이드봉(6)에 형성된 암나사(27)에 조여진다.
이와 같이 조임볼트(17)는 두 곳을 고정하게 된다.
만약 콘센트 2구용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 개의 세그먼트를 결합한 도 6에 나타낸 콘센트 지지대(30) 또는 도 7에 나타낸 두 개의 세그먼트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콘센트 지지대(40)를 사용하며 작용원리는 세그먼트 1개만 사용할 때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 지지대는 콘센트 지지대 매입 작업 시 벽체보드에 고정하기 위해 콘센트 지지대에 가늘고 긴 "탄성체의 판 형상"의 측면바를 두어 벽체에 매입할 때 구부려서 삽입함으로서 콘센트 지지대를 쉽게 설치를 하고,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어 산업에 유용하다.
.
1: 걸림테두리 2: 지지대
3: 관통구 4: 측면바
5: 삼각패드 6: 가이드봉
8: 연결봉 9: 연결홈
10: 제1세그먼트 17: 조임볼트
20: 제2세그먼트 30, 40: 콘센트 지지대
27: 암나사 100: 하우징
200: 조임부

Claims (7)

  1. 하우징과 조임부로 구성되는 콘센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에 구성된 두 개의 걸림테두리와, 두 개의 상기 걸림테두리 윗면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지지대, 두 개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측면바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부는 삼각패드와 가이드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삼각패드는 상기 가이드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상하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바는 탄성체로서 상기 콘센트 지지대를 벽체 매입구에 매입할 때 구부러지고 매입이 완료되면 원래의 형태로 다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패드는 벽체에 구비된 매입구에 장착 시 방해를 받지 않도록 상기 벽체 쪽으로 가까울수록 낮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6. 삭제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콘센트가 2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1세그먼트를 구성하고, 또 다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조임부로 이루어지는 제2세그먼트로 구성하여, 상기 제1세그먼트와 상기 제2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지지대.

KR1020210114368A 2021-08-11 2021-08-30 콘센트 지지대 KR102582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5759 2021-08-11
KR1020210105759 2021-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78A KR20230024178A (ko) 2023-02-20
KR102582929B1 true KR102582929B1 (ko) 2023-10-05

Family

ID=8532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68A KR102582929B1 (ko) 2021-08-11 2021-08-30 콘센트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9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093A (en) 1994-04-08 1997-02-04 Herth; Greg B. Dual purpose electrical box
JP2013223337A (ja) * 2012-04-16 2013-10-28 Mirai Ind Co Ltd 配線器具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の設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944Y1 (ko) * 1997-06-26 1999-07-15 정철호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0451748Y1 (ko)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박스 지지대
KR200460713Y1 (ko) * 2010-01-21 2012-05-31 권점희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KR20190116603A (ko) * 2018-04-04 2019-10-15 박용래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093A (en) 1994-04-08 1997-02-04 Herth; Greg B. Dual purpose electrical box
JP2013223337A (ja) * 2012-04-16 2013-10-28 Mirai Ind Co Ltd 配線器具取付体及び配線器具取付体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178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8456C (en)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box
US4050603A (en) Clamp for securing bar hanger to electrical wiring box
KR100760639B1 (ko) 건축물용 전기 단자함 고정구
KR102582929B1 (ko) 콘센트 지지대
KR100655881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 고정구 구조
KR10060981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WO2023240964A1 (zh) 电路板固定件、电器盒组件和电器设备
CN207691368U (zh) 一种底盒连接构件
AU2006228079B2 (en) Mounting assembly for an electrical power outlet or alike
CN107461619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KR100396425B1 (ko) 원형 전선관박스
JPH0746201Y2 (ja) 線状コンセント付き棚柱
CN210622234U (zh) 一种具有灯带插槽的踢脚线装饰结构
KR20040081539A (ko) 분전반
KR200338447Y1 (ko) 슬림형 배선덕트에 설치되는 배선기구를 결합하기 위한연결구
CN217036227U (zh) 一种插座墙体预埋件
CN209963675U (zh) 一种组合式线槽
CN115441275A (zh) 一种安装厚度可调的一体墙壁接电系统
CN107461618B (zh) 灯具及其灯具组件
CN107461636B (zh) 灯具
JP2007295732A (ja) 押さえ金具
CN115425448A (zh) 一种一体墙壁接电装置安装系统
KR0123823Y1 (ko) 건물용 형광등 설치장치
KR200258038Y1 (ko) 전선 보호관
JP2005273280A (ja) 間仕切り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