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029U -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029U
KR20140003029U KR2020130001738U KR20130001738U KR20140003029U KR 20140003029 U KR20140003029 U KR 20140003029U KR 2020130001738 U KR2020130001738 U KR 2020130001738U KR 20130001738 U KR20130001738 U KR 20130001738U KR 20140003029 U KR20140003029 U KR 201400030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plate
frame
tubes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142Y1 (ko
Inventor
친후안 천
홍양 수
치아량 리우
Original Assignee
놈 퍼시픽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놈 퍼시픽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놈 퍼시픽 오토메이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03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는 프레임과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 제 1 유로를 형성한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들이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제 2 유로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이 위치해 있다.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기구는 복수의 제 2 유로와 소통한다.

Description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Desiccant Wheel Dehumidifier and Heat Exchanger thereof}
본 고안은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휠 제습기는 실내 공기가 습기 흡수재를 통과하게 송풍시키기 위한 메인 팬을 포함하는 건조 휠을 사용해 공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제습기로부터 방출된 공기가 건조해져 실내 제습 목표가 달성된다. 건조 휠에 의해 흡수된 습기는 내부 순환공기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이용해 증발된다. 그런 후 증발된 습기는 열교환기로 들어가 물방울로 응축되며, 상기 물방울은 배수구로 방출된다.
종래기술의 건조 휠 제습기의 열 교환기는 복수의 열교환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교환부들은 주로 중공 파이프라인들이다. 그러나 이들 열교환부들은 공정 한계로 인해 가까이 배열될 수 없어, 열교환기의 전반적인 열교환 면적이 작아, 열교환 성능이 떨어진다. 더욱이, 종래 열교환기의 구조에 대해, 열교환부들을 어셈블리하기가 불편해 열교환기들의 생산 단가가 높아진다.
본 고안은 종래 열교환기의 열교환부들이 밀접히 배열될 수 없어 어셈블리가 불편하고 강도가 불충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열교환기는 프레임과 복수의 열교환 판상(板牀) 튜브를 구비한다. 프레임은 공이 유입구와 공기 배기구를 갖는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제 1 유로(流路)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spacing wall)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들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 2 유로들 중 2개의 유로들 사이에 위치해 있다.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기구 모두는 복수의 제 2 유로들과 소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열교환기는 프레임, 상부 그릴, 하부 그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을 구비한다. 프레임은 공기 유입구, 공기 배기구, 및 액체 배수구가 있다. 액체 배수구는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해 있다.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은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 각각은 복수의 포스트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프레임에 고정된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중 2개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각각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에 고정된다. 복수의 포스트들은 각각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중 사이에 위치해 있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제 1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복수의 간격벽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가 있다. 복수의 간격벽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제 2 유로들 중 2개의 유로 사이에 각각 위치해 있다.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기구 모두는 복수의 제 2 유로와 소통한다. 제 1 유로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제 2 유로의 방향에 수직이다. 프레임의 하단에 가까이 있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의 일단은 가이딩 슬로프(guiding slope)를 갖는다. 서로 인접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2개 사이의 거리는 메인 바디의 두께 이상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건조 휠 제습기를 제공한다. 건조 휠 제습기는 건조 휠 모듈, 제 1 기류발생모듈, 순환기류덕트, 제 2 기류발생모듈, 히터, 및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건조 휠 모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선회되는 건조 휠을 포함한다. 제 1 기류발생모듈은 건조 휠을 통과한 제 1 기류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순환기류덕트는 베이스에 고정되고 기류덕트 유입구와 기류덕트 배기구를 갖는다. 제 2 기류발생모듈은 순환기류덕트에 연결되고 제 2 기류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순환기류덕트에 연결된 히터는 제 2 기류가 건조 휠을 통과하게 가열하도록 형성된다. 건조 휠로부터 제 2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에 고정된 열 교환기는 프레임과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를 구비한다. 프레임은 공기 유입구, 공기 배기구, 및 액체 배수구를 갖는다. 액체 배수구는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해 있다. 공기 유입구는 기류덕트 배기구에 연결되고 공기 배기구는 기류덕트 유입구에 연결된다.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제 1 유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들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이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사이에 위치해 있다.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기구 모두는 복수의 제 2 유로와 소통한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건조 휠 제습기와 그 열교환기에 따르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외부 디자인은 벽이 얇은 중공바디이고, 따라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수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판상 형태로 인해 적절한 간격으로 가까이 배열될 수 있어, 제한된 공간내에 큰 열교환 면적을 제공하므로 콘덴싱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간격벽들의 셋팅으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이 벽이 얇은 중공바디의 형태로 더 나은 구조적 내구력을 갖게 보장될 수 있어, 어셈블리동안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게다가,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의 구조 디자인도 또한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어셈블리를 쉽게 하여, 어셈블리 틈새로부터 누수를 방지한다.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됨.
본 고안은 단지 예로써 주어지며 따라서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는 하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휠 제습기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열교환기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2에서 열교환기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열교환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c는 도 5a에서 열교환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열교환기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 분해도이다.
설명을 위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많은 특정 세부 내용들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들 특정한 세부 내용들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도면을 간략히 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장치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휠 제습기의 구조 분해도인 도 1을 참조하라.
이 실시예의 건조 휠 제습기(1)는 건조 휠 모듈(50), 제 1 기류발생모듈(60), 순환기류덕트(70), 제 2 기류발생모듈(80), 히터(90) 및 히터 교환기(10)를 구비한다.
건조 휠 모듈(50)은 베이스(51), 건조 휠(52) 및 휠 모터(53)를 구비한다. 베이스(51)는 실질적으로 홀이 있는 판이고, 건조 휠(52)은 베이스(51)에 회전 어셈블리되게 형성된다. 베이스에 어셈블리된 휠 모터(53)는 건조 휠(52)을 회전 구동시키게 형성된다.
제 1 기류발생모듈(60)은 베이스(51)에 고정되고 건조 휠(52)의 일측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제 1 기류발생모듈(60)은 제 1 팬 블레이드(61)와 제 1 모터(62)를 구비한다. 제 1 모터(62)는 베이스(51)에 어셈블리되고 제 1 팬 블레이드(61)에 연결되어 제 1 팬 블레이드(61)를 회전구동시켜 제 1 기류(A)를 발생한다. 제 1 기류(A)는 열교환기(10) 및 순차적으로 건조 휠(52)을 관통해 그런 후 건조 휠 제습기(1)의 일측으로부터 방출된다.
순환기류덕트(70)는 베이스(51)에 고정되고 제 1 기류발생모듈(60)와 함께 건조 휠(52)의 동일 측에 위치되나, 본 고안에 국한되지 않는다. 순환기류덕트(70)의 마주보는 양단은 기류덕트 유입구(71)와 기류덕트 배기구(72)를 갖는다. 기류덕트 유입구(71)와 기류덕트 배기구(72) 모두가 제 1 기류발생모듈(60)로부터 반대로 대면한 베이스(51)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으나, 상술한 배치 위치는 본 고안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기류발생모듈(80)과 히터(90)는 각각 순환기류덕트(70)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위치해 있고, 히터(90)는 건조 휠(5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기류발생모듈(80)은 제 2 팬 블레이드(81)와 제 2 모터(82)를 구비한다. 제 2 모터(82)는 순환기류덕트(70)내부에 위치된 제 2 팬 블레이드(81)에 연결된다. 제 2 모터(82)는 제 2 팬 블레이드(81)를 회전구동시켜 제 2 기류(B)를 만들게 형성된다. 제 2 기류(B)는 열교환기(10)와 순환기류덕트(70) 내부에 순환해서 흐른다.
열교환기(10)는 베이스(51)에 고정된다. 열교환기(10)와 히터(90)는 각각 건조 휠(52)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위치해 있다.
도 2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의 구조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구조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a는 도 2의 열교환기의 부분 구조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열교환기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열교환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0)는 프레임(11), 상부 그릴(13), 하부 그릴(14) 및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12)를 구비한다.
프레임(11)은 프레임 바디(111)와 2개의 커버(112)를 구비한다. 프레임(11)은 공기 유입구(113), 공기 배기구(114)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배수구(115)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액체 배수구(115)는 프레임(11)의 하단에 위치해 있다. 공기 유입구(113)는 기류덕트 배기구(72)에 연결되고, 공기 배기구(114)는 기류덕트 유입구(71)에 연결된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113)는 프레임(11)의 상단에 가까이 있고, 공기 배기구(114)는 프레임(11)의 하단에 가까이 있으나, 공기 유입구(113)와 공기 배기구(114)의 상대 위치는 본 고안을 국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더욱이, 공기 유입구(113), 공기 배기구(114) 및 액체 배수구(115)는 모두 프레임 바디(111)에 형성된다. 추가로, 프레임 바디(111)는 세퍼레이터(1113)와 개구(1114)를 더 갖는다. 세퍼레이터(1113)는 공기 유입구(113)와 공기 배기구(114)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2개의 커버(112)가 각각 프레임 바디(111)의 상단과 하단에 어셈블리되어, 프레임 바디(111)와 함께, 유입구 유로(1111) 및 배기구 유로(1112)를 형성한다. 유입구 유로(1111)는 개구(1114)와 공기 유입구(113) 사이에 있다. 배기구 유로(1112)는 개구(1114)와 공기 배기구(114) 사이에 있다.
상부 그릴(13)과 하부 그릴(14)은 프레임(11)의 프레임 바디(111)에 모두 고정되고, 개구(1114)의 상단 및 하단 가장자리들에 각각 위치된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은 상부 그릴(13)과 하부 그릴(14)에 나란히(즉,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개구(1114)에 배열된다. 간격은 제 1 유로(128)를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 사이에서 일정하다. 제 1 유로(128)는 관통하는 제 1 기류(A)용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그릴(13)은 복수의 포스트들(131)을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들은 나란히 배열되며, 서로 인접한 2개 포스트들(131) 간에는 틈(132)이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릴(14)은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포스트들(141)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포스트들(141) 간에 틈(142)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판상 튜브들(12) 각각은 메인 바디(121)와 복수의 간격벽들(122)을 포함하다. 메인 바디(121)의 형태는 실질적으로 중공 튜브이다. 메인 바디(121)는 서로 상호간에 맞은 편에 있는 제 1 단부(1211)와 제 2 단부(1212)를 갖는다. 복수의 간격벽들(122)은 같은 간격으로 메인 바디(121)에 어셈블리되고, 복수의 간격벽들(122) 각각은 제 1 단부(1211)에서 제 2 단부(1212)로 뻗어 있어, 메인 바디(212)에 일치하게 복수의 제 2 유로(123)를 형성한다. 제 2 유로(123)는 통과하는 제 2 기류(B)를 위해 형성된다. 더욱이, 제 2 유로(123)는 실질적으로 제 1 유로(128)에 수직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외부 디자인은 벽이 얇은 중공바디이므로, 이들은 수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간격벽들(122)의 셋팅으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이 벽이 얇은 중공바디의 형태로 더 나은 구조적 내구력을 갖게 보장될 수 있어, 어셈블리동안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게다가, 도 5a,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복수의 제 1 단부들(1211) 및 복수의 제 2 단부들(1212)은 각각 틈(132) 및 틈(142)에 어셈블리된다. 즉, 복수의 포스트들(131)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2개의 제 1 단부들(1211)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의 포스트들(141)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2개의 제 2 단부들(1212) 사이에 위치된다. 추가로, 서로 인접한 복수의 포스트들(131) 사이의 거리(즉, 틈(132)의 폭)와 서로 인접한 복수의 포스트들(141) 사이의 거리(즉, 틈(142)의 폭) 모두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두께보다 약간 더 적으므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2개의 마주보는 단부들은 상부 그릴(13)과 하부 그릴(14)에 꽉 결합된다. 그 결과,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과 상부 그릴(13) 또는 하부 그릴(14) 간의 어셈블리 틈에서 제 2 기류(B)가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이 상부 그릴(13) 및 하부 그릴(14) 에 어셈블리될 경우, 프레임(11)의 공기 유입구(113)는 유입구 유로(1111)와 소통하고 제 2 유로(123)의 유입구(1231)에 연결되며, 프레임(11)의 공기 배기구(114)는 배기구 유로(1112)와 소통하고 제 2 유로(123)의 배기구(1232)에 연결된다.
도 1을 또한 참조하면, 제 1 팬 블레이드(61)는 건조 휠 제습기(1)가 작동할 때 제 1 기류(A)를 발생하도록 회전된다. 제 1 기류(A)는 순차적으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과 건조 휠(52) 간의 제 1 유로(128)를 관통하고, 건조 휠(52)은 제 1 기류(A)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건조 휠(52)이 건조된 제 1 기류(A)를 방출한다. 제 2 팬 블레이드(81)는 제 2 기류(B)가 열교환기(10)와 순환기류덕트(70) 내부에 순환하도록 동작한다. 제 2 기류(B)가 히터(90)를 통해 흘러가 고온의 기류가 될 경우, 제 2 기류(B)는 건조 휠(52)을 통고해 내부의 습기를 증발시킬 것이며, 이로써 건조 휠(52)의 습기흡수능력을 복원한다. 다음, 제 2 기류(B)와 함께 수증기는 외부의 찬 공기(예컨대, 제 1 기류(A))와 열교환을 위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내 복수의 제 2 유로(123)를 지나게 되어, 상기 수증기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복수의 제 2 유로(123)에서 물방울(C)로 응축되고, 상기 물방울(C)은 또한 프레임(11)의 하단에 위치된 액체 배수구(115)를 더 통과한 후, 열교환기(10)로부터 방출된다. 따라서, 건조 휠 제습기(1)를 위한 제습 효과가 달성된다.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횡단면은 폭(W)과 두께(T)를 갖고, 2개의 복수의 간격벽들(122) 간의 거리(D)는 두께(T) 이상이며, 상기 거리는 기설정된 크기이며 4밀리미터(mm)보다 클 수 있어, 복수의 제 2 유로들(123)이 적어도 하나의 물방울을 통과시키게 할 정도로 넓어 복수의 제 2 유로들(123)에 응축된 물방울들이 내부에서 막히거나 원활하지 못한 방출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두께(T)는 본 고안에 국한되지 않으며 또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에 물방울들의 표면장력에 따른다.
더욱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열교환기(10)는 프레임 바디(111)의 개구(1114)뿐 아니라 상부 그릴(13)과 하부 그릴(14) 사이에 위치해 있는 중간 그릴(15)을 더 구비한다. 중간 그릴(15)은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과 프레임 바디(111)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중간부를 고정시키게 형성된다.
게다가, 이 실시예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1)의 하단에 가까이 있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 각각의 일단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딩 슬로프(124), 즉, 복수의 제 2 유로들(123) 각각의 개구(1232) 위치를 갖는다. 따라서, 물방울들이 가이딩 슬로프(124)의 설계로 인해 가이드될 수 있어, 복수의 제 2 유로(123)에 응축된 물방울들이 원활히 방출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외부 설계는 벽이 얇은 중공바디이므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이 적절한 간격으로 가까이 배열될 수 있어 제한된 공간내에 큰 열교환 면적을 제공하므로 콘덴싱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열교환기의 구조 분해도인 도 6을 참조하라.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기(20)의 동작 원리는 도 2의 실시예의 원리와 대략 같고 유일한 차이는 하기에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기(20)는 프레임(21), 2개의 상부 그릴(23a 및 23b), 2개의 중간 그릴(25a 및 25b), 2개의 하부 그릴(24a 및 24b), 및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22a 및 22b)를 구비한다.
프레임(21)은 프레임 바디(211)와 2개의 커버(212)를 구비한다. 프레임 바디(21)는 공기 유입구(213), 공기 배기구(214) 및 2개의 액체 배수구(215a 및 215b)를 갖는다. 2개의 액체 배수구(215a 및 215b)는 프레임(21)의 하단에 위치해 있다. 추가로,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213)와 공기 배기구(214) 모두는 프레임(21)의 하단에 가까이 있다. 더욱이, 공기 유출구(213), 공기 배기구(214) 및 2개의 액체 배수구(215a 및 215b)는 프레임 바디(211)에 위치해 있다. 또한, 프레임 바디(211)는 세퍼레이터(2113)와 2개의 개구(2114a 및 2114b)를 갖는다. 세퍼레이터(2113)는 공기 유입구(213)와 공기 배기구(214) 사이에 위치해 있어 이들을 서로 분리한다. 2개의 개구(2114a 및 2114b)는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개구(2114a)의 면적은 개구(2114b) 보다 더 작을 수 있으나, 본 고안에 국한되지 않는다.
2개의 커버(212)가 각각 프레임 바디(211)의 하단에 어셈블리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211)와 함께 유입 유로(2111), 연결 유로(2115) 및 배출 유로(2112)를 형성한다. 상부 그릴(23a), 중간 그릴(25a), 및 하부 그릴(24a)은 프레임(21)의 레임 바디(211)에 고정된다. 상부 그릴(23a) 및 하부 그릴(24a)은 개구(2114a)의 상단과 하단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중간 그릴(25a)은 상부 그릴(23a) 및 하부 그릴(24a)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부 그릴(23b), 중간 그릴(25b), 및 하부 그릴(24b)은 프레임(21)의 레임 바디(211)에 고정된다. 상부 그릴(23b) 및 하부 그릴(24b)은 개구(2114b)의 상단과 하단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중간 그릴(25b)은 상부 그릴(23b) 및 하부 그릴(24b)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a)의 길이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b)보다 더 작을 수 있으나, 본 고안에 국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a)는 상부 그릴(23a), 중간 그릴(25a), 및 하부 그릴(24a)에 나란히 배열되는 반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b)는 상부 그릴(23b), 중간 그릴(25b), 및 하부 그릴(24b)에 나란히 배열된다. 따라서, 기류는 순차적으로 공기 유입구(213), 유입 기류(2111)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a), 연결 유로(2115),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b), 배출 유로(2112) 및 공기 배기구(214)를 통해 열교환기(20)로 들어오거나 나간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22a 및 22b)의 구조는 도 2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12)의 구조와 대략 같은 반면, 2개의 상부 그릴(23a 및 23b), 2개의 중간 그릴(25a 및 25b), 및 2개의 하부 그릴(24a 및 24b)의 구조가 상부 그릴(13), 중간 그릴(15), 및 하부 그릴(14)의 구조와 대략 같으므로, 열교환 판상 튜브(22a 및 22b)의 구조, 2개의 상부 그릴(23a 및 23b), 2개의 중간 그릴(25a 및 25b), 및 2개의 하부 그릴(24a 및 24b)의 구조를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해서 설명할 필요가 없다.
상기 결과,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기(20)와 도 2의 열교환기(10)의 가장 큰 차이는 공기 유입구(213)와 공기 배기구(214)가 모두 프레임(21)의 하단 가까이에 있고, 2개의 액체 배수구(215a 및 215b)를 갖는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구조 분해도인 도 7을 참조하라.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 및 열교환기(30)의 동작 원리는 도 2의 실시예와 대략 같으며 다만 차이점들이 하기에 기술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열교환기(30)는 프레임(31), 상부 그릴(33), 하부 그릴(34) 및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32)를 구비한다.
프레임(31)은 상부 프레임 바디(311)와 하부 프레임 바디(312)를 구비한다. 공기 유입구(313)가 상부 프레임 바디(311)에 위치해 있다. 공기 배기구(314)와 액체 배수구(315)는 하부 프레임 바디(312)에 위치해 있다. 상부 그릴(33)은 상부 프레임 바디(311)에 고정된다. 하부 그릴(34)은 하부 프레임 바디(312)에 고정된다. 열교환 판상 튜브(32)의 2개의 대향 단부들은 각각 상부 그릴(33)과 하부 그릴(3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그릴(33)은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포스트들(331)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스트들(331) 간에 틈(332)이 있다. 하부 그릴(34)은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포스트들(341)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포스트들(331) 간에 틈(342)이 있다. 복수의 포스트들(331)은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32)의 제 1 단부들(321) 사이에 각각 위치해 있는 한편, 복수의 포스트들(341)은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32)의 제 2 단부들(322) 사이에 각각 위치해 있어,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32) 간의 거리를 유지한다.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32)의 구조는 도 2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12)의 구조와 대략 같으므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32)의 구조를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건조 휠 제습기와 그 열교환기에 따르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외부 디자인은 벽이 얇은 중공바디이므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수지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판상 형태로 인해 적절한 간격으로 가까이 배열될 수 있어, 제한된 공간내에 큰 열교환면적을 제공하므로, 콘덴싱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간격벽들의 셋팅으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이 벽이 얇은 중공바디의 형태로 더 나은 구조적 내구력을 갖게 보장될 수 있어, 어셈블리동안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변형을 방지한다.
게다가,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의 구조 디자인도 또한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어셈블리를 쉽게 하여, 어셈블리 틈새로부터 누수를 방지한다.
1. 건조 휠 제습기
10: 열교환기
11: 프레임
12: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13: 상부 그릴
14: 하부 그릴
50: 건조 휠 모듈
51: 베이스
52: 건조 휠
53: 휠 모터
60: 제 1 기류발생모듈
61: 제 1 팬 블레이드
70: 순환기류덕트
71: 기류덕트 유입구
72: 기류덕트 배기구
80: 제 2 기류발생모듈
81: 제 2 팬 블레이드
90: 히터
122: 복수의 간격벽들
123: 제 2 유로
124: 가이딩 슬로프
128: 제 1 유로

Claims (13)

  1.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을 구비하고,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 제 1 유로를 형성하고,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을 포함하며,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들이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은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제 2 유로들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기구 모두가 복수의 제 2 유로들과 소통하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액체 배수구가 있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유로의 방향은 복수의 제 2 유로들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하단에 가까이 있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의 일단은 가이딩 슬로프를 갖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복수의 간격벽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간격들의 간의 거리는 메인 바디의 두께 이상이며, 메인 바디의 두께는 복수의 2개 유로들이 적어도 하나의 물방울을 통과시키게 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2개의 대향 단부들은 각각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가까이 있고, 공기 유입구는 프레임의 상단에 가까이 있으며, 공기 배기구는 프레임의 하단에 가까이 있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2개의 대향 단부들은 각각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가까이 있고,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기구 모두는 프레임의 하단에 가까이 있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을 더 구비하고,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2개의 대향 단부들은 각각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에 고정되며, 각각의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은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포스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프레임 위에 그리고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 사이에 위치된 중간 그릴을 더 구비하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 바디와 하부 프레임 바디를 포함하고, 공기 유입구는 상부 프레임 바디에 위치되며, 공기 배기구는 하부 프레임 바디에 위치되고,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이 상부 프레임 바디와 하부 프레임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바디에 고정된 상부 그릴과 하부 프레임 바디에 고정된 하부 그릴을 더 구비하고,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2개의 대향 단부들은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에 각각 고정되며, 각각의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은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포스트들을 각각 포함하는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12. 공기 유입구, 공기 배기구, 및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된 액체 배수구를 갖는 프레임;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복수의 포스트들을 포함하는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 및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을 구비하고,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의 2개의 대향 단부들은 상부 그릴과 하부 그릴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사이에 복수의 포스트들이 각각 위치되며,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 제 1 유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복수의 간격벽들을 포함하고,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들이 있고, 복수의 간격벽들은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제 2 유로들 사이에 각각 위치해 있으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기구는 복수의 제 2 유로들과 소통하고, 제 1 유로의 방향은 복수의 제 2 유로들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프레임의 하단에 가까이 있는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의 일단은 가이딩 슬로프를 가지며,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간격벽들 간의 거리는 메인 바디의 두께 이상인 건조 휠 제습기의 열교환기.
  13.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선회되는 건조 휠을 포함하는 건조 휠 모듈;
    건조 휠을 지나는 제 1 기류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기류발생모듈;
    베이스에 고정되고 기류덕트 유입구와 기류덕트 배기구를 갖는 순환기류덕트;
    순환기류덕트에 연결되고 제 2 기류를 제공하는 제 2 기류 발생모듈;
    제 2 기류를 가열해 건조 휠을 지나가게 하기 위해 순환기류덕트에 연결된 히터;
    건조 휠로부터 제 2 기류를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에 고정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공기 유입구, 공기 배기구 및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된 액체 배수구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을 포함하고,
    공기 유입구는 기류덕트 배기구에 연결되며 공기 배기구는 기류덕트 유입구에 연결되고,
    서로 인접한 매 2개의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 제 1 기류를 형성하며, 복수의 열교환 판상 튜브들 각각은 메인 바디와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을 포함하고, 메인 바디는 내부에 복수의 제 2 유로들이 있으며, 서로 인접한 2개의 복수의 제 2 유로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간격벽이 위치해 있고,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기구 모두가 복수의 제 2 유로들과 소통하는 건조 휠 제습기.
KR2020130001738U 2012-11-14 2013-03-08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 KR20047414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22058 2012-11-14
TW101222058U TWM460251U (zh) 2012-11-14 2012-11-14 除濕輪式除濕機及其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29U true KR20140003029U (ko) 2014-05-22
KR200474142Y1 KR200474142Y1 (ko) 2014-08-26

Family

ID=4948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738U KR200474142Y1 (ko) 2012-11-14 2013-03-08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4142Y1 (ko)
TW (1) TWM46025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618B1 (ko) 2021-02-02 2021-11-15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광촉매 반응 공기 정화 열교환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9041B1 (it) * 1995-05-03 1997-12-04 Enel Spa Scambiatore di calore a piastre
KR20060125389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판형열교환기
KR20100074436A (ko) * 2008-12-24 2010-07-02 서진욱 판형 열교환기의 구조
KR101218967B1 (ko) * 2010-12-29 2013-01-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초고온가스 원자로용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60251U (zh) 2013-08-21
KR200474142Y1 (ko)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2805U (ja) デシカントホイール除湿機及びその熱交換器
US20140260398A1 (en) Indirect evaporative coolers with enhanced heat transfer
US8069681B1 (en) Dehumidifier, cross-flow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a cross-flow heat exchanger
US20110073290A1 (en) Heat exchanger for dehumidifier using liquid desiccant and dehumidifier using liquid desiccant having the same
JP5261865B2 (ja) 除湿装置
JP4999982B2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除湿機
KR102200379B1 (ko) 제습기
EA201170657A1 (ru) Осушающий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EP3043120A1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0889299B1 (ko) 바닥 상치형 고효율 열교환 환기장치
JP6646805B2 (ja) 除湿装置
KR200474142Y1 (ko) 건조 휠 제습기 및 그 열교환기
JP201522479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80073488A (ko) 환기장치
CN107940624A (zh) 除湿机
US8956447B2 (en) Desiccant wheel dehumidifier and heat exchanger thereof
TWI791060B (zh) 除濕裝置
JP5396580B2 (ja) 冷温水コイルを内蔵した空気熱交換器
JP6305951B2 (ja) 除湿機
JP2019086263A (ja) 除湿装置
CN203010888U (zh) 除湿轮式除湿机及其热交换器
JP4688859B2 (ja) 除湿機
KR100947614B1 (ko) 제습기
GB2509741A (en) Heat exchanger of a desiccant wheel dehumidifier
KR20090028859A (ko) 제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