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55U -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55U
KR20140002855U KR2020120010102U KR20120010102U KR20140002855U KR 20140002855 U KR20140002855 U KR 20140002855U KR 2020120010102 U KR2020120010102 U KR 2020120010102U KR 20120010102 U KR20120010102 U KR 20120010102U KR 20140002855 U KR20140002855 U KR 20140002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ard
present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836Y1 (ko
Inventor
임세훈
고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픽스
Priority to KR2020120010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3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45C2011/186Credit card holders with protection from unauthorised reading by remotely readable data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은 일측에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카드가 수납되는 포켓부 및 상기 접착부와 상기 포켓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Card Pocket for Blocking the Electromagnetic Wave}
본 고안은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뒷면에 부착하여 카드의 중복 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중교통에 구비된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함으로써 대중교통 요금의 결재가 이루어진다.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환승할 때마다 지갑을 꺼내어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지갑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휴대폰의 뒷면에 카드 포켓을 부착하거나, 휴대폰 케이스에 교통카드를 삽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결재 등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 포함된 유심(Usim)칩이 사용된다.
때문에, 휴대폰에 부착된 카드 포켓 또는 휴대폰 케이스에 삽입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는 순간 교통카드의 IC칩과 휴대폰의 NFC칩 간의 전자파 간섭이 일어나 교통카드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08-0108634 선행문헌 2: 한국공개특허 10-2011-0080413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뒷면에 부착하여 사용 가능한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고안은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였을 때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교통카드의 IC칩의 중복 인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고안은 교통카드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은 접착부, 포켓부 및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는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는 상기 접착부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부에는 카드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접착부와 상기 포켓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의 면적은 전자기기의 부착면 면적의 3분의 2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부와 상기 차폐부, 상기 차폐부와 상기 포켓부는 서로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는 점착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착부, 포켓부 및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접착부, 포켓부 및 차폐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상기 차폐층의 양 면 또는 상기 차폐층의 일 면은 필름층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층은 전류가 통하지 않으며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의하면 접착부가 구비되어 전자기기의 뒷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의하면 전자기기와 교통카드 사이에 차폐부가 구비되어 전자기기의 뒷면에 부착된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삽입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였을 때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에 의해 교통카드의 IC칩이 중복 인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의하면 접착부와 차폐부, 차페부와 포켓부가 빈 공간 없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어 교통카드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이 휴대폰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차페부의 일 면에 필름층이 코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차페부의 양 면에 필름층이 코팅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이 휴대폰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폐 카드 포켓(100)은 접착부(110), 포켓부(120) 및 차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10)의 일측에는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착부(110)는 점착 시트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의 부착면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부(120)는 접착부(1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포켓부(120)에는 카드(20)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110)와 포켓부(120)는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박음질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폐부(130)는 접착부(110)와 포켓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이 전자기기에 부착되고 포켓부(120)에 카드(20)가 수납된 상태에서 단말기에 카드(20)를 태그하였을 때, 차폐부(130)에 의하여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차단되어 카드(20)가 정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부(130)는 전류를 차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폐부(130)는 전도체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체 금속으로는 금, 은, 동, 철 등이 있으며, 금속 박막의 두께에 비례하여 전류 차단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비용 및 휴대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박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차폐부(1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접착부(110)와 차폐부(130), 그리고 차폐부(130)와 포켓부(120) 사이에는 빈 공간이 없이 서로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접착부(110)와 차폐부(130), 그리고 차폐부(130)와 포켓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전자기기의 전자파가 완전히 차단되지 않아 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였을 때 전자기기의 전자파에 의해 카드의 인식 오류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110)와 차폐부(130), 그리고 차폐부(130)와 포켓부(120) 사이가 서로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카드(20)를 단말기에 태그하였을 때 카드(20)의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차폐부(130)의 면적은 전자기기의 부착면 면적의 3분의 2 이상으로 이루어져 전자기기의 전자파를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이 휴대폰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이 휴대폰(10)의 뒷면에 부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최근에는 버스 또는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중교통에 구비된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함으로써 대중교통 요금의 결재가 이루어진다.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환승할 때마다 지갑을 꺼내어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지갑을 꺼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대인의 필수품인 휴대폰(10)의 뒷면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을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의 접착부(110)의 접착면이 휴대폰(10)의 뒷면에 접착되고, 접착부(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포켓부(120)는 외부로 노출되어 카드(20)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110)와 포켓부(120) 사이에는 차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포켓부(120)에 카드(20)를 삽입하였을 때, 차폐부(130)에 의해 카드(20)와 휴대폰(10) 사이에 차폐부(130)가 위치하여 휴대폰(10)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차단될 수 있다.
최근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결재 등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칩이 포함된 유심(Usim)칩이 사용된다.
만약,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에 차폐부(130)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순간 포켓부(120)에 수납되는 교통카드의 IC칩과 휴대폰(10)의 NFC칩 간의 전자파 간섭이 일어나 교통카드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에 의하면 교통카드(20)와 휴대폰(10) 사이에 차폐부(130)가 구비되어 휴대폰(10)의 NFC칩의 전자파를 차단함으로써 단말기와 접촉되는 교통카드(20)만 정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이 포함되지 않은 유심칩을 사용하는 휴대폰(10)은 모바일 결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휴대폰(10) 뒷면의 배터리 커버 내측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위한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폰(10) 뒷면의 배터리 커버 전반에 걸쳐 전자파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차폐부(130)의 면적은 휴대폰(10) 뒷면의 배터리 커버 면적의 3분의 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접착부(110)의 사이즈도 함께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통카드의 IC칩과 NFC칩 간의 전자파 간섭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교통카드뿐만 아니라 맴버십 카드, 금융 카드 등 IC칩이 포함된 모든 카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차페부의 일 면에 필름층이 코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의 차페부의 양 면에 필름층이 코팅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20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접착부(210), 포켓부(220) 및 차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200)의 접착부(210), 포켓부(220), 차폐부(230)의 기본적인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200)의 차폐부(230)의 일 면 또는 차폐부(230)의 양 면을 코팅하는 필름층(2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이 휴대폰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뒷면의 면적이 일반적인 카드의 면적보다 확연히 큰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폐부(230)의 사이즈는 휴대폰(10) 뒷면 면적의 3분의 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접착부(210)의 사이즈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착부(210)와 차폐부(230)는 서로 결합되어 휴대폰(10)의 뒷면을 완전히 덮는 스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페부가 휴대폰(10) 뒷면을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전류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포켓부(220)의 사이즈는 일반적인 카드 한 장이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접착부(210) 및 차페부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차폐부(2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 또는 차페부의 양 면은 필름층(232)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필름층(232)은 차폐부(23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긁힘이나 구김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스테르필름(PET),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 등의 합성 수지 또는 가죽, 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필름층(232)의 재질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류가 통하지 않으며, 차폐부(230)을 코팅 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필름층(232)은 인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필름층(232)에 다양한 문양, 컬러 등을 인쇄하여 필름층(232)이 외부로 노출되었을 경우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접착부(210)와 차페부가 결합된 스킨은 다양한 휴대폰(10)의 사이즈에 적합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 200)이 휴대폰(10)의 뒷면에 부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100, 200)은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 사용자가 자주 휴대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부착되어 교통카드를 포함한 IC칩이 구비된 카드의 중복 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휴대폰 20: 카드
100: 카드 포켓 110: 접착부
120: 포켓부 130: 차페부
200: 카드 포켓 210: 접착부
220: 포켓부 230: 차페부
232: 필름층

Claims (7)

  1. 일측에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카드가 수납되는 포켓부; 및
    상기 접착부와 상기 포켓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면적은,
    상기 전자기기의 부착면 면적의 3분의 2 이상인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일 면 또는 상기 차폐부의 양 면을 코팅하는 필름층이 형성되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표면에 인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와 상기 차폐부, 상기 차폐부와 상기 포켓부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점착 시트로 이루어지는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KR2020120010102U 2012-11-06 2012-11-06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KR200473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102U KR200473836Y1 (ko) 2012-11-06 2012-11-06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102U KR200473836Y1 (ko) 2012-11-06 2012-11-06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55U true KR20140002855U (ko) 2014-05-14
KR200473836Y1 KR200473836Y1 (ko) 2014-08-21

Family

ID=5198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102U KR200473836Y1 (ko) 2012-11-06 2012-11-06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16Y1 (ko) * 2020-12-17 2022-04-27 현종명 휴대 전자기기 경사 거치 기능을 갖는 카드포켓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75U (ko) * 1999-06-14 2001-01-15 여문수 카드 케이스를 구비한 핸드폰
JP2005277586A (ja) 2004-03-23 2005-10-06 Masatomo Sakurai 携帯電話機用電磁波シールドカバー
KR20110003052U (ko) * 2009-09-18 2011-03-24 장은영 입체감을 느끼는 장식용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16Y1 (ko) * 2020-12-17 2022-04-27 현종명 휴대 전자기기 경사 거치 기능을 갖는 카드포켓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36Y1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0528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5146876B2 (ja) Rfidアンテナ装置、rfidタグ及びrfidタグ機能付きの携帯電子端末
US8422238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KR200473836Y1 (ko) 전자파 차단 카드 포켓
JP2006294016A (ja) カードないし冊子ケース用電磁波遮蔽シート
TW201638829A (zh) 用於安裝先進智慧卡的輔助安裝結構
KR200434239Y1 (ko) 양면 알에프 안테나형 교통카드
JP4256293B2 (ja) Icカード保持具
US20070132652A1 (en) Antenna unit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140110185A (ko) 엔에프씨 통신을 위한 엔에프씨 안테나 모듈이 있는 휴대폰 케이스 내지 휴대폰 보호케이스 내지 스티커
US8687379B2 (en) Signal conversion device with dual chip
JP6154952B1 (ja) 非接触型通信媒体
CN203838739U (zh) 吸附式智能卡
JP5330701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携帯電子機器
US2008030287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actless IC card system
KR20180046660A (ko) Rfid태그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80013638A (ko)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카드
CN213685854U (zh) 吸附式托盘与智能卡和/或手机的组合结构和车载支架结构
KR100988046B1 (ko) 전자파 차폐 카드
JP2009182882A (ja) 携帯端末
CN210901780U (zh) 用于行动装置的具感应功能的保护装置及相应的行动装置
JP2004252804A (ja) 端末装置及び電池パック
CN203338389U (zh) 智能卡片
KR200327318Y1 (ko)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칩이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CN207799728U (zh) 带阻尼结构的指环扣型智能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