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000U -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 Google Patents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000U
KR20140002000U KR2020120008759U KR20120008759U KR20140002000U KR 20140002000 U KR20140002000 U KR 20140002000U KR 2020120008759 U KR2020120008759 U KR 2020120008759U KR 20120008759 U KR20120008759 U KR 20120008759U KR 20140002000 U KR20140002000 U KR 201400020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uct
clip
coupling plate
opening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최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호 filed Critical 최창호
Priority to KR2020120008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000U/ko
Publication of KR20140002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는, 복수개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통구에 각각의 루버가 구비된 결합판;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에 끼움결합되는 연결덕트;상기 결합판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결합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부에 끼워져 상기 연결덕트를 파지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덕트의 외주면에 별도의 걸림돌기를 용접하여 부착하거나 연결덕트를 절개하여 걸림돌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그로 인해 환기구의 제조공정과 제조시간을 단축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VENTILATOR}
본 고안은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덕트의 외주면에 별도의 걸림돌기를 용접하여 부착하거나 연결덕트를 절개하여 걸림돌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며, 그로 인해 환기구의 제조공정과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 사무실, 오피스텔, 아파트 등에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9-00588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관에 환기구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환기구를 포함하는 기존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관이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배기관에 환기구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배기구와 건물의 벽면이 밀착되는 구조이다.
즉, 기존의 환기장치는 배기관에 억지끼움이 되더라도 빠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환기장치는 걸림돌기를 환기구의 연결덕트에 용접하여 부착하거나, 연결덕트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으로 벌려 놓음으로써 배기관에 억지끼움이 되도록 하여 빠지지 않도록 보완하였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를 연결덕트에 용접하여 부착하거나 연결덕트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으로 벌려 놓는 작업을 함으로써,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인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환기장치는 내부 공기가 환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된 물이 그대로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의 환기장치는 상기 발생된 물이 루버 등에 맺힌 후 건물의 벽면을 적시며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건물의 벽이 물에 의한 산화작용 등으로 훼손되고, 벽면의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얼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에 의한 훼손에 의해 건물 벽면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등 건물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벽면을 타고 상승하는 바람이 환기구 안으로 안내되어 유입됨으로써, 내부공기가 환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환기구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덕트의 하단에 끼워지는 클립을 더 포함함으로써, 연결덕트가 배기관 내부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클립이 연결덕트의 하단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파지하도록 연결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 쪽으로 각각 절곡된 내측몸체 및 외측몸체를 구비하고, 외측몸체는 외측으로 골곡되어 돌출되는 만곡부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기를 부착하거나 연결덕트를 절개하여 걸림돌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연결덕트가 배기관에 억지끼움되면서 단단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받침부가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로 실내공기가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물을 받고, 상기 받은 물을 벽으로부터 이격시켜 바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건물 벽의 페인트가 벗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개구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판에 결합되어, 유통구로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개구부에 결합된 물받침부에 의해 벽으로부터 올라오는 외부공기가 개구부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는, 복수개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통구 각각에 루버가 구비된 결합판;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에 끼움결합되는 연결덕트;상기 결합판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결합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하우징;및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부가 끼워져 상기 연결덕트를 파지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립은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파지하도록 연결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 측으로 각각 절곡된 내측몸체 및 외측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몸체에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돌출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에는 일정길이가 내주면 상으로 접힌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상기 클립이 연결덕트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덕트의 외주면에 별도의 걸림돌기를 용접하여 부착하거나 연결덕트를 절개하여 걸림돌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며, 그로 인해 환기구의 제조공정과 제조시간을 단축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걸림돌기를 부착하거나 연결덕트를 절개하여 걸림돌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연결덕트가 배기관에 억지끼움되면서 단단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벽의 페인트가 벗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개구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판에 결합되어, 유통구로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개구부에 결합된 물받침부에 의해 벽으로부터 올라오는 외부공기가 개구부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가 배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연결덕트 내주면의 하단 접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가 배기관(200)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는 복수개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통구 각각에 루버(111)가 구비된 결합판(110)과 상기 결합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200)에 끼움결합되는 연결덕트(120)와 상기 결합판(1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60)가 상기 결합판(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하우징(130)과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부(122)에는 일정길이가 내주면 상으로 접힌 접힘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121)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상기 클립(150)이 연결덕트(120)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15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공간에는 환기시스템이 구비되고, 환기시스템과 외부는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200)에 의해서 연결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는 결합판(110), 연결덕트(120), 하우징(130), 물받침부(140) 및 클립(15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판(110)은 복수개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유통구 각각에 루버(111)가 구비된다.
루버(111)는 유통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기울어져 공기의이동방향을 변경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루버(111)는 유통구에 각각 형성되고 유통구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되어 공기의 이동이 하향하도록 한다.
이때, 후술할 하우징(130)에 형성된 개구부(160)가 하우징(1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판(110)과 결합되기 때문에, 루버(111)는 개구부(160)가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통구를 통해 배출된 실내공기는 루버(111)에 의해 하향되고, 개구부(160)로 빠르게 이동하며 외부로 배출된다.
연결덕트(120)는 결합판(1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200)에 끼움결합된다.
즉, 배기관(200)은 건물의 벽(300)을 관통하여 실내와 실외를 연결하고, 이 벽(300)의 실외 즉, 외부에 연결덕트(120)가 상기 배기관(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이음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관(200)의 내주면에 연결덕트(120)의 외주면이 서로 밀착되며 끼워지는 끼움방식이 적용되고, 연결덕트(120)를 배기관(200)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해서 배기관(200)의 내경보다 연결덕트(120)의 외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30)은 결합판(1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60)가 형성되며, 개구부(160)가 결합판(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물받침부(140)는 하우징(130)의 개구부(160)에 결합되어 개구부(160)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을 받고, 상기 받은 물을 배기관(200)이 설치된 벽(300)으로부터 이격되어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받침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의 개구부(150) 하단부(15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행한 물이 상기 개구부(160) 하단부(154)에서 상기 벽(300)으로부터 이격되어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물받침부(140)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방사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발생한 물이 물받침부(140)에 고이지 않고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되도록 함은 물론, 벽(300)으로부터 올라오는 외부공기가 개구부(16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클립(15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립(150)은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부(122)에 끼워져 상기 연결덕트(120)를 파지한다.
연결덕트의 하단부(122)에 클립(150)이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덕트의 하부가 배기관(200)에 끼워지게 되고, 클립(150)에 의해 연결덕트(120)가 배기관(200)에 억지끼움되어 단단하게 고정된다.
즉, 연결덕트의 외주면과 배기관의 내주면 사이에 클립이 끼워짐으로써 연결덕트를 배기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클립(150)은 내측몸체(151)와 외측몸체(152)를 형성한다.
내측몸체(151)와 외측몸체(152) 각각은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연결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 측으로 절곡된 부분으로써, 상기 연결덕트 하단은 내측몸체와 외측몸체에 의해 파지된다.
이때, 외측몸체(152)에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돌출됨으로써 탄성력이 부가되는 만곡부(153)가 형성된다.
만곡부(153)는 연결덕트가 배기관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덕트의 외주면과 배기관의 내주면 사이에서 압축 함몰됨으로써, 연결덕트가 배기관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연결덕트(120)의 외경이 배기관(200)의 내경보다 작더라도 클립(150)의 만곡부(153)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해 연결덕트(120)가 배기관(2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덕트(120)를 배기관(200)으로부터 잡아당기면 만곡부(153)의 끝단이 배기관(200)의 내주면에 걸리고 연결덕트(120)만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한, 클립(150)은 연결덕트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클립(150)은 연결덕트(120)를 파지할 수 있는 내측몸체(151)와 외측몸체(152)로 구성되고, 외측몸체(152)는 외측으로 굴곡지도록 돌출되는 만곡부(153)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걸림돌기를 부착하거나 연결덕트(120)를 절개하여 걸림돌기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연결덕트(120)가 배기관(200)의 내측으로 억지끼움되어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의 연결덕트 내주면 하단부(154)의 접힘부(12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덕트의 하단부(122)에는 일정길이가 내주면 상으로 접힌 접힘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121)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상기 클립(150)이 연결덕트(120)에 억지끼움된다.
즉, 연결덕트(120)는 약 1mm의 두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클립(150)의 고정이 어려워 연결덕트의 하단부(122)를 내주면 상으로 접음으로써, 클립(150)이 두꺼워진 연결덕트의 하단부(122)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결합판 111: 루버
120: 연결덕트 121: 접힘부
122: 연결덕트의 하단부 130: 하우징
140: 물받침부 150: 클립
151: 내측몸체 152: 외측몸체
153: 만곡부 160: 개구부
200: 배기관 300: 벽

Claims (3)

  1. 복수개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통구 각각에 루버가 구비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관에 끼움결합되는 연결덕트;
    상기 결합판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결합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에 끼워져 상기 연결덕트를 파지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연결덕트를 파지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연결덕트의 내주면과 외주면 측으로 각각 절곡된 내측몸체 및 외측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몸체에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돌출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의 하단에는 일정길이가 내주면 상으로 접힌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힙부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져 상기 클립이 연결덕트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KR2020120008759U 2012-09-27 2012-09-27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KR201400020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59U KR20140002000U (ko) 2012-09-27 2012-09-27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59U KR20140002000U (ko) 2012-09-27 2012-09-27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00U true KR20140002000U (ko) 2014-04-04

Family

ID=5244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59U KR20140002000U (ko) 2012-09-27 2012-09-27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0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935A (zh) * 2019-09-30 2019-12-20 浙江中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别墅的家用新风系统
WO2020116759A1 (ko) * 2018-12-08 2020-06-11 김태현 공조설비의 관 연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759A1 (ko) * 2018-12-08 2020-06-11 김태현 공조설비의 관 연결구조
CN113167499A (zh) * 2018-12-08 2021-07-23 金兑炫 空调设备的管连接结构
CN113167499B (zh) * 2018-12-08 2022-12-06 金兑炫 空调设备的管连接结构
US11913665B2 (en) 2018-12-08 2024-02-27 Tae Hyun Kim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system
CN110594935A (zh) * 2019-09-30 2019-12-20 浙江中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别墅的家用新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08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2759779A1 (en) Ventilation duct coupl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347079B1 (ko)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20140002000U (ko) 클립이 구비된 환기구
JP2009079819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03286718U (zh) 一种空调器的管路压紧装置
JP2007218555A (ja) 換気扇
US8277175B2 (en) Combustion air supply blower with access cover and motor and fan assembly
CN108019834B (zh) 一种护管支架以及空调器
EP2020317A3 (en) Structure for installing an air-conditioning duct to an air-conditioning unit
JP3157093U (ja) パイプ取付部材及びパイプ取付構造
US20220107112A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air-conditioning system
JP5148338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5917189B2 (ja) 換気器具
JP2014122753A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BE1029933B1 (nl) Verbeterde ventilatieluchtslangfitting
CA3111296A1 (en) Water retaining structure and humidifier with water retaining structure
CN105422852B (zh) 密封结构及风门组件
JP2007212001A (ja) 換気装置
CN109611739A (zh) 具有空气净化作用的吊灯
JP2008249290A (ja) 熱交換機器および熱交換機器用フィルター
KR101611269B1 (ko) 방수 팬 케이스의 케이블 고정구조
KR101538269B1 (ko)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2013015260A (ja) 換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