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279U -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279U
KR20140001279U KR2020120007493U KR20120007493U KR20140001279U KR 20140001279 U KR20140001279 U KR 20140001279U KR 2020120007493 U KR2020120007493 U KR 2020120007493U KR 20120007493 U KR20120007493 U KR 20120007493U KR 20140001279 U KR20140001279 U KR 20140001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ortable
debit
pedestal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279U/ko
Publication of KR20140001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2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below, e.g. by floor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터블 데빗 아암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를 데크의 하방에 설치하여 데크의 외부로 받침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한 포터블 데빗 아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데크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봉과, 지지대에 설치되어 장비를 리프팅하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데빗 아암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도록 하여 포터블 데빗 아암을 고정시키는 받침대로 구성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유지 보수를 위한 장비 주변의 데크에 설치홈이 타공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봉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된 소켓부;상기 소켓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소켓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Install structure of portable davit arm}
본 고안은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포터블 데빗 아암을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대가 데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 등을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권취수단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 로프 단부에 훅(hook)을 장착하여 화물등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들어올린 상태에서 타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조작되는 일련의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이중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전도기, 행성 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때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 브레이크 등을 좁은 공간에 집중시켜서 되는 소형 권상기라 할 수 있으며, 지브 끝에 붙이거나 또는 에이치(H)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권상 또는 횡행에 필요한 전동기, 감속기, 드럼, 브레이크 등을 간단하게 일체로 조립한 권상 장치인 호이스트는 사용하는 장소와 기계의 구조에 따른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간결하고 경제적이므로 고속성이나 조작성 등을 중요시하지 않는 용도에 많이 쓰이는 호이스트식 천정크레인, 모노레일에 매달려 주행하는 서스펜션형의 와이어로프 호이스트와 체인 호이스트로 구성되며 커브가 가능한 모노레일형 크레인, 크래브식 천정크레인의 크래브 대신에 전동호이스트 등을 올려놓은 형식으로 2개의 레일을 이용하는 더블레일형 크레인 및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는 싱글레일형 크레인 등이 있다.
호이스트는 공장이나 기타 구조물 등의 최상측에 구비되는 H빔 또는 I빔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이러한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리프팅하는 종래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호이스트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잇는 공간에 제한되므로, 중량물을 리프팅 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장비를 리프팅 하는 과정에서, 호이스트를 운용하기 위한 여러 부재들이 추가로 제공되고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장비 보수를 위한 준비 과정이 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이동용 기중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기중기에는 포터블 데빗 아암(portable davit arm)이 있다.
포터블 데빗 아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받침대(10) 위에 설치된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지지되면서 중량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아암부(30)로 구성된다.
이때, 받침대(10)에는 지지부(20)가 상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삽입공(1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10)는 데크 위의 일정 장소마다 복수로 설치되어 포터블 데빗 아암을 이용한 리프팅 작업이 요구될 때마다 지지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지부(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받침대(10)의 삽입공(11)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부(20)가 받침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봉(21)이 설치된다.
이때, 고정봉(21)의 직경은 지지부(2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20)와 고정봉(21)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터블 데빗 아암을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데크에 받침대(10)를 고정시킨다.
받침대(10)의 위치는 리프팅 하기 위한 장비가 설치된 근처이며, 데크에 대한 결합방식은 볼팅 또는 용접을 통해 설치된다.
이후, 지지부(20)의 고정봉(21)을 받침대(10)의 삽입공(11)에 삽입하여 지지부(20)를 받침대(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받침대(10)에 지지부(20)가 고정된 후에는 아암부(30)로 하여금 유지 보수를 위한 장비를 리프팅 한다.
한편, 리프팅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받침대(10)로부터 지지부(20)를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거나 추가 작업을 위한 다른 작업 장소에 설치된 받침대(10)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 데빗 아암은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호이스트와는 달리 복잡한 구성의 별도 설치 구조물이 필요치 않으므로 설치 장소에 크게 제한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포터블 데빗 아암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받침대(10)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포터블 데빗 아암이 운용되지 않는 장소에도 항상 받침대가 데크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람들의 통행에 장애가 되었던 것이다.
나아가, 보행자 통행시 받침대(10)에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191027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터블 데빗 아암이 설치되는 받침대가 데크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한 포터블 데빗 아암용 받침대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크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봉과, 지지대에 설치되어 장비를 리프팅하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데빗 아암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도록 하여 포터블 데빗 아암을 고정시키는 받침대로 구성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유지 보수를 위한 장비 주변의 데크에 설치홈이 타공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봉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된 소켓부;상기 소켓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소켓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을 개폐하는 덮개가 더 제공되며, 상기 덮개는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차폐부와, 차폐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포터블 데빗 아암이 설치되기 위한 받침대가 데크의 상방이 아닌 데크의 하방으로 심어진 상태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포터블 데빗 아암이 운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도 받침대가 데크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홈을 개폐하는 덮개가 제공됨으로써, 평상시에는 결합홈을 차폐하여 보행자의 통행시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는 포터블 데빗 아암이 설치되기 위한 받침대를 데크의 하방으로 설치하여 받침대가 데크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시 받침대에 부딪혀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일을 예방할 수 있다.
포터블 데빗 아암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에 형성된 설치홈(100)과, 소켓부(200)와, 플랜지부(300)와, 덮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치홈(100)은 받침대(S)가 데크(D)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지 않도록 데크(D)의 하방을 향해 형성된다.
즉, 타공 작업을 통해 데크(D)의 하방으로 설치홈(100)을 형성함으로써 받침대(S)를 구성하는 소켓부(200)가 데크(D)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설치홈(100)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소켓부(200)는 포터블 데빗 아암이 설치되는 받침대(S)를 구성하며, 설치홈(10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소켓부(200)는 설치홈(1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홈(100)의 형태에 대응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켓부(200)의 외경은 설치홈(100)의 내경에 대응되며, 소켓부(200)는 설치홈(100)에 용접을 통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켓부(100)의 중앙에는 포터블 데빗 아암의 고정봉(21)이 삽입되는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210)의 내경은 고정봉(21)의 외경에 대응되며, 결합홈(210)의 깊이는 고정봉(21)의 길이보다 깊게만 형성되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플랜지부(300)는 받침대(S)의 상부를 구성하며, 소켓부(10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플랜지부(300)는 결합홈(210)에 고정봉(21) 삽입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데빗 아암의 지지부(20)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하여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가 안정감이 있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덮개(400)는 소켓부(200)에 형성된 결합홈(21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플랜지부(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덮개(400)는 플랜지부(300)에 대응되는 차폐부(410)와, 결합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420)로 구성된다.
차폐부(410)는 결합홈(210)을 차폐하며, 플랜지부(30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삽입부(420)는 플랜지부(300)에 안착되는 차폐부(410)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차폐부(4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된다.
즉, 삽입부(420)가 결합홈(210)에 삽입됨으로써 차폐부(410)는 플랜지부(300) 상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타공 작업을 통해 데크(D)에 설치홈(100)을 형성한다.
이때, 설치홈(100)은 데크(D) 곳곳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데크(D) 상에 받침대(S)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터블 데빗 아암에 대한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설치홈(100)의 위치는 유지 보수를 위한 장비 주변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설치홈(100)에 대한 타공 작업이 완료되면, 소켓부(200)와 플랜지부(300)로 이루어진 받침대(S)를 설치홈(100)에 삽입시킨다.
이때, 소켓부(200)는 설치홈(100)에 삽입되어 데크(D)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플랜지부(300)는 플랜지부(300)의 두께만큼 데크(D)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후, 용접을 통해, 설치홈(100)에 소켓부(200)를 완전히 고정시키게 되며, 덮개(400)를 덮어 결합홈(210)을 차폐시킨다.
이로써, 데크(D) 상에 받침대(S)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데크(D)에 설치된 받침대(S)에 포터블 데빗 아암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플랜지(300)로부터 덮개(400)를 들어올려 소켓부(200)의 결합홈(210)을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지지부(20)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봉(21)을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시킨다.
이때, 포터블 데빗 아암의 고정봉(21)은 결합홈(210)에 삽입되며, 포터블 데빗 아암의 지지부(20)는 플랜지부(30))에 밀착된다.
이로써,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데크의 외부로 덮개(400) 및 플랜지부(300)가 돌출되어 있는 구성인데, 플랜지부(300) 및 덮개(400) 모두 데크(D)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데크(D) 상에 타공되는 설치홈(100)의 상부에 플랜지부(300)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부(500)를 더 형성한다.
즉, 안착부(500)의 내경은 플랜지부(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것이다.
이때, 안착부(500)의 높이는 플랜지부(300) 및 덮개(400)의 두께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D)의 외부로 덮개(400) 및 플랜지부(300)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는 포터블 데빗 아암이 설치되는 받침대(S)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는 포터블 데빗 아암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게 되며, 보행자가 부딪힐 염려가 없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설치홈 110 : 결합홈
200 : 소켓부 300 : 플랜지부
400 : 덮개 410 : 차폐부
420 : 삽입부 500 : 안착부

Claims (2)

  1. 데크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와, 지지대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봉과, 지지대에 설치되어 장비를 리프팅하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데빗 아암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도록 하여 포터블 데빗 아암을 고정시키는 받침대로 구성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유지 보수를 위한 장비 주변의 데크에 설치홈이 타공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봉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된 소켓부;
    상기 소켓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소켓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을 개폐하는 덮개가 더 제공되며, 상기 덮개는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차폐부와, 차폐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KR2020120007493U 2012-08-23 2012-08-23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KR20140001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93U KR20140001279U (ko) 2012-08-23 2012-08-23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493U KR20140001279U (ko) 2012-08-23 2012-08-23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79U true KR20140001279U (ko) 2014-03-05

Family

ID=5244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493U KR20140001279U (ko) 2012-08-23 2012-08-23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2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4743B (zh) 跃层电梯和跃层方法
CN103303771B (zh) 建造电梯的方法和电梯配置
EP3450752B1 (en) Wind turbine having an access arrangement for a nacelle
JPH07100582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プラッ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2010105805A (ja) 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KR100901181B1 (ko)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브레이크 장치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JP200723066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据付工法
KR20140001279U (ko) 포터블 데빗 아암의 설치구조
JP2006225158A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JP6936610B2 (ja) 仮設養生体の昇降機構及び昇降方法
JP621815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0628236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9149393A (ja) エレベータ吊りロッド防振装置の取付け方法
JP6272406B2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ロープの保持具及び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取り替え方法
JP2007210708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揚重装置及び揚重方法。
JP2006143445A (ja)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JP2005212941A (ja) エレベータ主索の連結装置
WO201716869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011890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616886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137991A (ja) ワイヤロープの巻上げ装置
JP2007186274A (ja) エレベーター用昇降路頂部機器の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