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126A -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 Google Patents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126A
KR20140001126A KR1020130071522A KR20130071522A KR20140001126A KR 20140001126 A KR20140001126 A KR 20140001126A KR 1020130071522 A KR1020130071522 A KR 1020130071522A KR 20130071522 A KR20130071522 A KR 20130071522A KR 20140001126 A KR20140001126 A KR 20140001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ers
function
ring
butt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464B1 (ko
Inventor
최유달
Original Assignee
최유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달 filed Critical 최유달
Priority to PCT/KR2013/0055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03390A1/ko
Priority to CN201380034413.5A priority patent/CN104507339A/zh
Publication of KR2014000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64B1/ko
Priority to US14/575,241 priority patent/US2015023053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41F3/02Strips, tongues, or the like, for attaching to the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41F3/04Means for joining the strips, tongues, or the like, to the body of the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5/00Trouser supports attached to the shirt, waistcoa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의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는 멜빵을 상의에 결합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멜빵끈이나 'Y'자형이나 'X'자형의 멜빵이 상의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상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상의에는 상기 멜빵의 움직임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해 일정 범위 내에서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멜빵이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멜빵의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결합되어 상기 멜빵이 상의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바지와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사용하던 멜빵을 하의와는 별개로 상의(윗옷)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의와 멜빵의 일체화를 통해 멜빵 고유의 기능 실현과 아울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멜빵의 분실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멜빵이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의의 세탁 등이 필요한 경우 상의로부터 멜빵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a top combined with suspenders}
본 발명은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멜빵이나 멜빵끈을 상의에 결합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립적으로 착용하도록 제작한 상의(윗옷)에 독립적으로 제작한 멜빵이나 멜빵끈을 다양한 방법과 구성으로 결합하여, 상의 본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멜빵의 근원적인 기능과 속성인 신축성과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멜빵을 상의에 일체화시킴으로써, 형태적으로는 결합하고 있으면서 기능적으로는 본래의 속성과 기능을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멜빵의 착탈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멜빵의 분실 방지는 물론 멜빵이 임의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멜빵”의 의미는 옷으로서의 “상의”의 일부분의 기능과 역할 및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멜빵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함께 가지면서 상의의 옷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옷의 자격을 부여받은 의류부자재라 할 수 있겠으며, 이러한 상기의 기능과 형태를 가진 새로운 기능과 디자인의 상의(top)의 제작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상체에 착용하는 윗옷으로서의 상의(top)는 통상적으로 하의와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착용되어 왔으며, 일부 하의와 재봉하여 만든 원피스 등이 있을 수 있겠으며, 본 출원서의 발명과 같이 상의에 멜빵을 다양한 방법과 구성으로 부착하여 다양한 기능과 형태의 상의를 제작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최초로 시도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종래의 멜빵(suspenders)은 복수의 멜빵끈이나 'Y' 또는 'X'자 형태를 가지도록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집게, 걸고리 단추 등 다양한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멜빵과 바지를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바지와 함께 재봉되어 바지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기능성 보조 끈의 하나로서, 근본 기능인 벨트의 기능을 대신하게 하면서 단순히 여러 다양한 맵시와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래서, 멜빵은 좌우로 벗겨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로 'Y'자 또는 'X'자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좌,우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지 앞과 뒤를 교차하여 착용하도록 하는 단순 기술에 의존하여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멜빵은 일반적으로 상의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됨으로써, 재착용시에는 많은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외부에서 활동시 하의를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멜빵을 옆으로 벗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하의와 분리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멜빵이 벗겨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여러가지 번거롭고 불편한 사용상의 문제점과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멜빵을 활용한 의류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종래의 멜빵은 몸에 착용하였을 때 상,하의 움직임은 멜빵의 신축성을 이용함으로써 극복하였지만, 좌,우로 벗겨지려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Y'자나 'X'자 등의 형태로 제작하거나 또는 하의와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극복하였다.
또한 이러한 좌,우 벗겨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의의 상단이 가슴까지 오도록 연장하고, 그 상단에 멜빵을 재봉하여 만든 "하의 일체형 멜빵옷"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멜빵 사용방법과 "하의 일체형 멜빵옷"은 좌,우로 벗겨지려는 성질을 완전하게 제어하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탈의하였을 때는 상의와 멜빵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보관하게 됨으로써, 상의와 멜빵을 재착용하는 경우에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야기하게 되고, 또한 착용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외부에서 활동시 용변을 보기 위해 벗어야 할 경우가 생겼을 때도 많은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많은 단점과 사용상 불편함은 멜빵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멜빵이 활성화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하의 일체형 멜빵 의류 중에서, 하의가 가슴까지 올라오도록 제작한 후 하의 상단에 멜빵을 재봉하여 만든 옷과 같이 특수 용도로 제작된 옷이나 또는 일부 어린이용으로 제작된 멜빵 일체형의 옷도 외부 활동시 자꾸만 벗겨지려는 성질과 착용 또는 탈의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의 일체형 멜빵 의류나 또는 멜빵을 독립적인 'Y'자 또는 'X'자 형태로 제작하여 상체의 어깨에 걸친 후 다양한 연결부자재로 하의와 결합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기술은 멜빵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것은 물론 다양한 사용상 불편함과 한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첫째, 멜빵이 쉽게 좌,우로 벗겨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멜빵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멜빵을 상의에 일체화시켜 상의와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착용시 번거로움과 불편함 및 시간적 손해가 방지되도록 하며, 셋째, 외부에서 활동할 때 갑자기 벗어야 하는 경우에 착탈의 용이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새로운 형태와 기능 및 패러다임의 의류를 제작함으로써 심미적인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를 창출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멜빵을 상의에 결합하여 상기 멜빵이 상기 상의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멜빵의 위치가 상기 상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멜빵의 좌,우 이동이 결합부재의 길이 또는 크기 만큼 한정되도록 하면서, 결합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상의에 설치 또는 형성시키고, 그리고, 결합부재가 설치되거나 형성된 상의와 멜빵을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시켜 일체형의 "멜빵 기능을 포함하는 상의”를 제작하고, 위 상기의 구성과 방법으로, 상기 멜빵의 위치가 상기 상의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일정거리까지 상,하 또는 좌,우의 이동이 가능하여, 멜빵 고유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상기 상의에 다양한 결합부재를 부착하여, 멜빵의 기능과 상의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특징을 갖도록 제작한 멜빵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의의 옷감 자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뚫어 “멜빵”이 통과하여 위치할 “고리”를 형성시키고, 그리고, “멜빵”을 상의에 형성한 다수개의 관통공의 바깥쪽과 안쪽 또는 안쪽과 바깥쪽으로 교차하도록 통과시켜 위치시켜 “멜빵기능을 포함한 상의”를 제작하고, 위 상기의 구성과 방법으로, 상의의 옷감 자체에 관통공을 형성시킨 특징의 “상의”에 “멜빵”을 바깥쪽과 안쪽 또는 안쪽과 바깥쪽으로 교차하여 위치시켜 제작한다.
또 멜빵이 상의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상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의에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멜빵에는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릿구멍을 설치하여 상기 돌기부재를 상기 슬릿구멍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멜빵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 길이의 고정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멜빵이 관통되어 좌,우 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상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띠의 양단을 상기 상의에 각각 재봉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멜빵이 상기 고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띠의 일단을 상기 상의에 결합하고, 타단에는 상기 상의와 암수 삽입 구조로 착탈시킬 수 있는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띠를 구비하되, 상기 각 연결띠의 일단이 상기 상의에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띠의 타단은 암수 삽입 구조로 착탈시킬 수 있는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링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석재, 경질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일측에는 회동체를 설치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링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석재, 경질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단이 상기 상의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고정띠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멜빵이 관통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띠는 상기 상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후단에 상기 상의와 암수 삽입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는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띠는 일단이 상기 멜빵 또는 상의에 재봉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멜빵 또는 상의와 암수 삽입구조로 착탈 가능하도록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독립적인 멜빵을 독립적인 상의와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첫째, 통상적인 바지의 허리 조임이나 벨트의 무게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멜빵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휴대하고 다닐 필요가 없으며, 둘째, 멜빵이 좌,우로 벗겨지려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멜빵을 하의와 분리 후 다시 재결합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곳에 멜빵의 끝단이 항상 위치하고 있음으로 해서 편리하게 하의와 분리 또는 재결합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셋째, 사용자가 용변을 볼 경우에 하의와 연결된 뒷부분을 분리시키지 않거나 또는 하의와 멜빵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하의를 끌어내려 볼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넷째, 멜빵이 늘 상의와 함께 위치하게 되어 멜빵을 따로 챙기거나 보관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 벨트의 편리성 못지 않게 하의를 착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담보할 수 있어 착용시 실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 있으며, 다섯째, 멜빵에 다른 옷이나 생활품을 결합하여도 옷의 겉면이 주름지거나 당겨지는 언밸런스(unbalance)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여섯째, 상의의 안쪽에도 멜빵을 부착하였을 때는 외관상으로는 일반적인 상의이면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의류의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안쪽의 멜빵은 고무줄을 제거한 팬티에 연결하고, 바깥쪽의 멜빵은 하의를 결합하여 고무줄 밴드의 부작용을 완전히 없앨 수 있으며, 일곱번째, 새로운 디자인의 창조로 인한 미적인 다양성을 획득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기능의 용품들을 고정시킴으로써 분실 방지와 휴대성을 획기적으로 보완할 수가 있으며, 등산용 및 레저용 의류에 적용하여 다양한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재의 다른 예의 배치도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Y'자 멜빵의 장착예의 배면도,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의와 하의의 착용 설명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실시예에 구비된 결합부재로서 고리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도,
도 10과 도 11은 도 2의 실시예에 구비된 결합부재로서 링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16은 도 1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17은 도 1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19는 서로 다른 결합부재가 상의에 혼용된 상태의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재의 부분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멜빵과 하의의 다양한 실시예의 연결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적으로 멜빵(suspenders)은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멜빵끈이나 'Y'자 또는 'X'자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멜빵을 어깨에 걸침으로써 벨트의 기능도 담당하면서 미적 디자인을 살리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멜빵 또는 멜빵끈은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선단에 연결장치를 설치하여 바지 또는 치마와 결합하고 어깨에 걸침으로써 그 기능을 획득하는 것으로서, 의류부자재나 악세사리 또는 벨트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독립적인 의류 보조 용품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멜빵(10)을 상의(100)에 각각 결합하여 멜빵(10)의 적어도 어느 한곳 이상이 상의(100)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의(100)와 멜빵(1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의에 결합되어 활용되는 멜빵이나 멜빵끈에 있어서, 발상과 인식을 전환하여 좀 더 실용적이며 편리함과 활용성을 추구하는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종래의 'Y'자 또는 'X'자 형식으로 착용해온 멜빵을 '11'자 또는 일자형으로 구성하여 상의(윗옷)에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멜빵 또는 멜빵끈과 하의를 분리시켰을 때 좌,우로는 벗겨지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인위적으로 멜빵 또는 멜빵끈을 끌어내리지 않을 때에는 멜빵 또는 멜빵끈이 신축하는 정도의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효과와 기능을 가지도록 만든 새로운 형태와 패러다임의 옷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멜빵'의 의미는 옷으로서의 '상의'의 일부분의 기능과 역할 및 '하의'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멜빵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함께 가질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의류 부자재라 할 수 있겠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상의(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60)가 설치되어 멜빵(10)을 상의(10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재(60)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고정띠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의(100)와 멜빵(10)에 각각 재봉됨으로써, 멜빵(10)이 상의(100)에 부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의(100)의 어깨부(110)에는 고리나 링을 설치하거나 또는 결합부재(60)를 더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재의 다른 예의 배치도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재(20)는 상의(100)의 양측 어깨부(110)와 전면부 및 배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20)는 멜빵(10)을 관통시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나 링(ring) 형태로 상의(100) 외측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멜빵(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연질소재로 제작함과 아울러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지는 띠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의(100)에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링은 금속(metal)이나 플라스틱(plastic), 나무, 석재, 고무(경질) 등과 같은 경질 소재로 제작되어 상의(100)에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멜빵(10)은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있는 직물 소재나 가죽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멜빵(10)의 선단에는 하의(200)(도6에 도시함)에 결합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단추(15)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재(20)는 멜빵(10)의 폭을 고려하여 고리나 링 형상으로 제작한 후, 멜빵(10)이 고리나 링을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상의(100)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때 고리나 링은 멜빵(10)의 단부에 설치된 하의(200)(도6에 도시함) 연결용 단추(15)보다 작게 제작하여 멜빵(10)이 상의(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고리는 멜빵(10)의 끝단에 부착하는 하의(200) 연결용 단추(15)와 같은 체결부재(도22에 도시함)보다 넓이나 크기가 작으면서 멜빵(10)의 폭의 넓이보다는 적어도 작지는 않도록 상의(100)에 재봉하여 부착함으로써 상의(100)와 멜빵(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멜빵(10)과 결합부재(20)의 결합은 먼저 멜빵(10)이 결합부재(20)에 끼워진 상태로 상의(100)를 제작하거나 또는 멜빵(10)을 결합부재(20)에 관통 결합시킨 후 단추(15)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합부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부착 위치와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멜빵(10)의 크기와 특성 또는 상의(100)의 용도와 형태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100)의 전면부 상측에 결합부재(20)를 부착하고, 또한 상의(100)의 배면부에는 상측과 하측에 결합부재(20)를 각각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의(100) 전면에 위치한 멜빵(10)의 하단만 하의(200)와 분리한 상태에서 하의(200)를 끌어내려 용변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의(100)의 전면에 위치한 멜빵(10)이 상측에 부착된 결합부재(20) 위치까지 끌어올려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Y'자 형태의 멜빵을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의에 결합한 상태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Y'자 형태의 멜빵의 경우에는 상의(10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는 멜빵(10')의 하측부에 결합부재(2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의(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멜빵(10)과 결합부재(20)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상의와 하의의 착용 설명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의(200)에는 멜빵(10)의 선단에 구비된 단추(15)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단추구멍(215)이 형성된 연결띠(2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의(100)와 하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멜빵(10)의 단추(15)를 하의(200)의 연결띠(210)에 형성된 단추구멍(215)에 끼워넣어 멜빵(10)과 하의(200)를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멜빵(10)과 하의(200)의 연결은 종래의 통상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멜빵(10)과 하의(200)의 연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추후 도 22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결합부재(20)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결합부재(20)가 직물이나 천, 가죽, 고무 등과 같은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고리 형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의 결합부재(20a)는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양단을 서로 마주보도록 상의(100)에 각각 재봉하여 멜빵(1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는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부착시킨 것이다.
한편 도 8은 결합부재(20b)의 일측에 개폐수단(25b)이 구비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개폐수단(25b)을 이용하여 결합부재(20b)의 일단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개폐수단(25b)은 단추(26b)와 단추구멍(27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부재(20b)는 멜빵(10)과 하의(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도22에 도시함)보다 넓이나 크기가 작으면서 멜빵(10)의 넓이보다 적어도 작지는 않도록 만든 고리의 일단을 상의(100)에 재봉하여 부착하고, 타단에 구비된 단추구멍(27b)을 상의(100)의 단추(26b)에 결합시킴으로써, 상의(100)에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20b)의 일측을 연결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멜빵(10)을 상의(100)에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개폐수단(25b)은 도시된 바와 같은 단순 단추 결합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수 삽입 구조로 서로 끼워서 착탈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부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인 단추 외에 스냅단추, 똑딱단추, 벨크로, 후크와 후크삽입구,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등 의류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연결 부자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결합부재(20c)는 일단이 상의(100)에 재봉되어 결합된 한 쌍의 연결띠(21c,25c)를 구비하고, 이 연결띠(21c,25c)의 타단은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폐수단(25b)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10과 도 11은 도 2의 실시예에 구비된 결합부재로서 링의 실시예의 구성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결합부재가 링 형태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metal)이나 플라스틱(plastic), 나무, 석재, 경질 고무 등으로 제작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결합부재(20d)는 도시된 바와 같은 장공형 링 외에도, 장방형이나 정방형, 또는 원형, 삼각형, D링 형 등 멜빵(10)을 끼워 넣거나 또는 멜빵(10)이 끼워진 상태로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결합부재(20d)는 멜빵(10)과 하의(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도22에 도시함)보다 넓이나 크기가 작으면서 멜빵(10)의 넓이보다 적어도 작지는 않도록 만든 링 형태로 제작하여 별도의 천을 이용하여 상의(100)에 일단부를 재봉함으로써 상의(100)로부터 멜빵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e)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용 회동체(25e)가 설치된 연결고리 형태로 구성하여 멜빵(10)이 상의(1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체(25e)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결합부재(20e)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고리형 결합부재(20)는 상의(100)의 어깨부(110)에 부착하고, 상의(100)의 전면이나 배면에는 일측에 개폐수단(25b)이 구비된 결합부재(20b)를 다수개 부착하여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의(100)의 어깨부(110)에 부착된 단순 링 형태의 결합부재(20)는 멜빵(10)의 좌,우 이동을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으나,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의(100)의 전면과 배면에는 개폐수단(25b)이 구비된 결합부재(20b)를 부착하여 멜빵(1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의(100)의 용도나 형태 등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합부재(20,20a,20b,20c,20d,20e)의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도 13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도 13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구비된 결합부재(30)는 일정 길이의 고정띠(31) 선단에 링(35)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즉 일단이 상의(100)에 결합된 고정띠(31) 선단에 링(35)을 설치하여 멜빵(10)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100) 어깨부(110)에는 단순 고리나 링 형태의 결합부재(20)를 장착하고, 상의(100) 전면이나 배면에는 고정띠(31)와 링(35)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띠(31)의 일단은 상의(100)에 재봉하거나 별도의 고정부자재를 이용하여 상의(100)에 결합하고, 타단에는 링(35)을 설치하여 멜빵(1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링(35)은 금속(metal)이나 플라스틱(plastic), 나무, 석재, 고무(경질) 등의 경질 소재로 제작된 장공형, 정방형, 장방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링(35)은 멜빵(10)의 하단에 구비된 단추(15)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멜빵(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링(35)은 멜빵(10)과 하의(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도22에 도시함)보다 넓이나 크기가 작으면서 멜빵(10)의 넓이보다 적어도 작지는 않도록 만들어 멜빵(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결합부재(30a)는 고정띠(31a)와 링(35a)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링(35a)은 일측에 도 11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회동체(36a)를 설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멜빵(10)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5의 실시예의 결합부재(30b)는 고정띠(31b)와 링(35b)으로 이루어지되, 고정띠(31b)의 후단에는 연결부재(36b)를 설치하여 상의(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36b)는 단추(37b)와 이에 결합될 수 있는 단추구멍(38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띠(31b)는 연결부재(36b)를 이용하여 상의에 착탈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부재(36b)는 상기와 같은 단순 단추 결합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수 삽입 구조로 서로 끼워서 착탈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부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인 단추 외에 스냅단추, 똑딱단추, 벨크로, 후크, 버클, 걸고리 등 의류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연결 부자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재(6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6은 도 1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다른 일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도 1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6의 실시예는 결합부재(70)와 멜빵(10)을 결합시키되, 고정띠(71)의 일단은 상의(100)에 재봉하여 부착하고, 타단은 단추(76)와 단추구멍(77)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75)를 이용하여 멜빵(10)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7의 실시예의 결합부재(80)는 고정띠(81)와 멜빵(10)을 결합시키되, 고정띠(81)의 일단은 멜빵(10)에 재봉하여 부착하고, 타단은 단추(86)와 단추구멍(87)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85)를 이용하여 상의(100)와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연결부재(75,85)는 통상적인 단추를 이용한 결합 구조 외에도 스냅단추, 똑딱단추, 벨크로, 후크, 버클, 걸고리 등 다양한 의류 부자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8의 실시예는 멜빵(10)을 상의(10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의(100)에 다수개의 결합부재(40)를 이격 설치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40)는 상의(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관통공은 멜빵(10)이 상의(100)에 나란하게 병렬 위치할 수 있도록 상의(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을 동일 간격으로 병렬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재(40)는 가로 방향의 장공형 관통공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개수와 크기는 멜빵(10)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의(100)의 어깨부에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고리나 링 형상의 결합부재(20)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결합부재(20a,20b,20c,20d,20e)를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멜빵(10)은 다수개의 관통공에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상의(1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때 멜빵(10)은 선단과 후단이 상의(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관통공에 결합시킨 후 하의(20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결합부재(40)는 멜빵(10)에 부착된 단추(15)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멜빵(10)이 상의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9는 서로 다른 결합부재가 상의에 혼용된 상태의 실시예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서, 도 1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부재(40)를 상의(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이격 설치하고, 멜빵(10)의 각 단부에는 보조 결합부재로서 도 14에 도시된 결합부재(30a)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 결합부재 기능을 하는 결합부재(30a)의 링(35a)에 멜빵(10)을 끼워 넣거나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1은 도 20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재의 부분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20의 실시예는 멜빵(10)의 좌,우 이동은 구속하면서 상,하 이동은 어느 정도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멜빵(10)이 결합되는 결합부재(50)는 상의(100)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51)와 이 돌기부재(51)에 대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멜빵(10)에 관통 설치되는 슬릿구멍(5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기부재(51)는 상의(100)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추나 또는 커프스 단추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슬릿구멍(5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멜빵(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관통 설치된다.
여기서 돌기부재(51)와 슬릿구멍(55)은 상의(100)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복수개가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멜빵(10)을 따라 다수개를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기부재(51)를 슬릿구멍(55)에 끼워넣어 멜빵(10)을 상의(1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때 멜빵(10)은 결합부재(50)에 의해 좌,우 이동은 구속되나, 상,하 이동은 슬릿구멍(55)의 길이 만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멜빵(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구멍(55)의 횡방향으로 소정의 보조띠(5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띠(56)는 멜빵(10)이 신축성이 있는 직물 소재의 경우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멜빵(10)에 횡방향으로 재봉하여 슬릿구멍(55)의 과도한 좌,우 벌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보조띠(56)는 돌기부재(51)의 결합 위치를 고려하여 슬릿구멍(55)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멜빵과 하의의 결합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22의 (a),(b),(c),(d)는 본 발명에 구비된 멜빵과 하의의 다양한 실시예의 연결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a)의 실시예는 멜빵(10)의 선단에 단추(15)를 구비하고, 하의(200)(도4에 도시함)에는 복수의 단추구멍(215)이 있는 연결띠(210)를 구비하여 단추(15)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띠라서 사용자는 단추(15)의 결합위치를 선택하여 멜빵(10)의 길이 조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b)의 예는 멜빵(10)과 하의(200)를 일반적인 벨트체결구(220)로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c)의 경우에는 멜빵(10)과 하의(200)에 후크와 후크삽입체가 각각 설치된 후크체결구(230)로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d)의 경우에는 멜빵(10)의 선단에 단추(15)를 구비함과 아울러 복수의 단추구멍(12)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연결띠(240)에는 소정의 링(242)을 설치함으로써, 멜빵(10)을 연결띠(240)의 링(242)에 관통시킨 후 단추(15)를 단추구멍(12)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멜빵(10)과 하의(200)를 연결하는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도 멜빵(10)의 선단에 집게를 설치한 후 이 집게에 하의를 직접 고정시키는 등 일반적으로 멜빵(10)과 하의(200)를 연결시키는 다양한 체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개폐수단(25b)(도8,9에 도시함)과 연결부재(36b,75,85)(도15,16,17에 도시함)는 도 22에 도시된 다양한 연결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멜빵을 상의에 각각 결합하되, 멜빵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게 상기 멜빵이 관통 또는 체결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구비한 후, 이 결합부재가 멜빵의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멜빵이 쉽게 좌우로 벗겨지거나 또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멜빵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멜빵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뿐 아니라, 재 착용시 번거로움과 불편함 및 시간적 손해가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외부에서 활동할 때 갑자기 벗어야 하는 경우에 착탈성과 신속성이 향상되어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멜빵이 좌,우로 벗겨지려는 성질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곳에 멜빵의 선단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멜빵의 착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용변을 볼 때도 앞쪽의 하의와 결합한 멜빵만 분리하고 뒤쪽은 분리하지 않고도 볼일을 볼 수 있으며, 나아가서 좀 더 길게 멜빵을 만들어 사용한다면 하의와 멜빵을 전혀 분리하지 않고도 하의를 아래로 끌어내어 볼일을 볼 수도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의의 외측부에 멜빵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의의 안쪽에도 똑같은 원리와 방법으로 멜빵을 부착하여 착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의의 겉표면은 일반적 옷이지만, 안쪽으로 멜빵이 위치함으로써 하의와 결합하였을 때 외부에서는 멜빵이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멜빵을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한 상의의 옷감 자체를 고정장치로 활용함으로써 상의를 하의의 바깥으로 위치하도록 멜빵을 착용하거나 반대로 상의를 하의의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착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다양하게 응용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고착화된 고정관념에 의한 멜빵의 기능과 효과를 훨씬 뛰어넘는 다양한 기능과 효과를 갖도록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멜빵 일체형 상의라 할 수 있겠다.
또 멜빵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와 기능 및 패러다임의 의류를 제작함으로써 심미적인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를 창출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멜빵 15,26b,37b,76,86 : 단추
12,27b,38b,77,87,215 : 단추구멍
20,20a,20b,20c,20d,20e,30,30a,30b,40,50,70,80 : 결합부재
21c,25c : 연결띠
25b : 개폐수단 25d : 회동체
31,31a,31b,71,81 : 고정띠
36b,75,85 : 연결부재
35,35a,35b,242 : 링
51 : 돌기부재 55 : 슬릿구멍
56 : 보조띠 100 : 상의
110 : 어깨부 200 : 하의
210,240 : 연결띠 220 : 벨트체결구
230 : 후크체결구

Claims (12)

  1. 멜빵을 상의에 결합하여 상기 멜빵이 상기 상의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멜빵의 위치가 상기 상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멜빵의 좌,우 이동이 결합부재의 길이 또는 크기 만큼 한정되도록 하면서,
    결합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상의에 설치 또는 형성시키고; 그리고,
    결합부재가 설치되거나 형성된 상의와 멜빵을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시켜 일체형의 "멜빵 기능을 포함하는 상의”를 제작하고;
    위 상기의 구성과 방법으로, 상기 멜빵의 위치가 상기 상의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일정거리까지 상,하 또는 좌,우의 이동이 가능하여, 멜빵 고유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상기 상의에 다양한 결합부재를 부착하여, 멜빵의 기능과 상의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특징을 갖도록 제작한 멜빵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2. 상의의 옷감자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뚫어 “멜빵”이 통과하여 위치할 “고리”를 형성시키고;그리고,
    “멜빵”을 상의에 형성한 다수개의 관통공의 바깥쪽과 안쪽 또는 안쪽과 바깥쪽으로 교차하도록 통과시켜 위치시켜 “멜빵기능을 포함한 상의”를 제작하고,
    위 상기의 구성과 방법으로, 상의의 옷감 자체에 관통공을 형성시킨 특징의 “상의”에 “멜빵”을 바깥쪽과 안쪽 또는 안쪽과 바깥쪽으로 교차하여 위치시켜 제작한 특징의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3. 멜빵이 상의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상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의에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멜빵에는 상기 돌기부재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슬릿구멍을 설치하여 상기 돌기부재를 상기 슬릿구멍에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멜빵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 길이의 고정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멜빵이 관통되어 좌,우 이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상의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띠의 양단을 상기 상의에 각각 재봉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멜빵이 상기 고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일정 길이의 띠의 일단을 상기 상의에 결합하고, 타단에는 상기 상의와 암수 삽입 구조로 착탈시킬 수 있는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의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직물이나 천, 가죽, 또는 고무와 같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결띠를 구비하되,
    상기 각 연결띠의 일단이 상기 상의에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띠의 타단은 암수 삽입 구조로 착탈시킬 수 있는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석재, 경질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일측에는 회동체를 설치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석재, 경질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단이 상기 상의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고정띠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멜빵이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는 상기 상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후단에 상기 상의와 암수 삽입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는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는,
    일단이 상기 멜빵 또는 상의에 재봉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멜빵 또는 상의와 암수 삽입구조로 착탈 가능하도록 후크나 후크삽입구, 또는 단추나 단추구멍, 똑딱단추, 암,수의 걸고리, 암,수의 버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결합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KR1020130071522A 2012-06-27 2013-06-21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KR10140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5549 WO2014003390A1 (ko) 2012-06-27 2013-06-24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CN201380034413.5A CN104507339A (zh) 2012-06-27 2013-06-24 以包括背带功能的方式制作的上衣
US14/575,241 US20150230530A1 (en) 2012-06-27 2014-12-18 Top having suspenders coupled integrally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5489 2012-06-27
KR2020120005489 2012-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26A true KR20140001126A (ko) 2014-01-06
KR101400464B1 KR101400464B1 (ko) 2014-06-27

Family

ID=5013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522A KR101400464B1 (ko) 2012-06-27 2013-06-21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30530A1 (ko)
KR (1) KR101400464B1 (ko)
CN (1) CN104507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0297A1 (en) 2014-11-12 2016-05-18 Yong Soo Kim 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565B2 (en) 2014-02-24 2019-03-05 Terry Currie Banta Upper-body garments with integrated waistband positioning systems
US10827791B2 (en) 2014-02-24 2020-11-10 Terry Currie Banta Upper-body garments with integrated waistband positioning systems
FR3068575A1 (fr) * 2017-07-10 2019-01-11 Ladinvest Vetement de haut associable a des bretelles
DE102017009754A1 (de) * 2017-08-12 2019-02-14 Alena Knoepfler Projekt Management Associates Partnerschaft "Verbindbares und einfach lösbares Befestigungsmittel für Kleidungsober- und -unterteil"
USD914328S1 (en) 2019-03-01 2021-03-30 Matthew A Morgan Suspenders
WO2023229291A1 (ko) * 2022-05-26 2023-11-30 문정현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빵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761A (en) * 1904-01-13 1904-09-27 Henry Rowan Lemly Accoutrement.
US1398962A (en) * 1917-06-07 1921-12-06 Executrix Emma L Graves Concealed suspenders
US1335927A (en) * 1919-04-17 1920-04-06 Harry G Ainsworth Trousers-support
US1446948A (en) * 1921-08-04 1923-02-27 James W Taylor Trousers supporter
US1852030A (en) * 1930-10-27 1932-04-05 Frank W Shipman Suspender
US1839143A (en) * 1930-11-05 1931-12-29 Walter J Ellis Suspenders
US2133505A (en) * 1936-10-07 1938-10-18 Frederick M Green Shirt
US2698435A (en) * 1952-01-21 1955-01-04 Florence A Robinson Combined shirtwaist or blouse and suspenders
US3167786A (en) * 1962-12-20 1965-02-02 Jerome E Johnson Concealable trouser support
US3949427A (en) * 1974-05-28 1976-04-13 Sampey Gladys Leblanc Garment with drop seat
US3994026A (en) * 1974-05-28 1976-11-30 Johnny X. Allemand Garment with supported drop seat
US4040147A (en) * 1976-07-19 1977-08-09 Marguerite King Shoulder strap retainer
US4062065A (en) * 1977-03-25 1977-12-13 Irving Gardner Safety shoulder strap holder
US4470174A (en) * 1982-12-10 1984-09-11 Rhea Don E Adjustable fastener
US4668202A (en) * 1983-02-01 1987-05-26 Scheurer Robert S Flotation garment
US4481682A (en) * 1983-03-28 1984-11-13 Hall Bradley G Suspenders
DE3519866A1 (de) * 1984-06-05 1986-01-02 Mario Brescia Vinai Mit einem anzug o.dgl. kleidungsstueck einteiliges gurtwerk
US4832053A (en) * 1988-04-07 1989-05-23 Mccarthy Andrew D Universal tie-less patient torso restraint device
US4947489A (en) * 1989-03-10 1990-08-14 Greenwood Penny R Garment support
US5095549A (en) * 1990-11-29 1992-03-17 Lion Apparel, Inc. Firefighter pant support system
US5117538A (en) * 1991-04-15 1992-06-02 Jesse Henry Device to secure suspenders shoulder straps
US5177814A (en) * 1991-05-10 1993-01-12 Courtney Patricia K Shirt retainer
US5256135A (en) * 1992-01-23 1993-10-26 Medisol U.S.A., Inc. Thoracic-lumbar-sacral corrective orthosis ("TLSO") corrective back supporting brace and chair side support buttress
US5309572A (en) * 1992-02-13 1994-05-10 Seamans Phillip W Garment support apparatus
JPH0630104U (ja) * 1992-09-16 1994-04-19 株式会社千葉港商事 サスペンダー用シャツ
US5560045A (en) * 1994-03-02 1996-10-01 Rockefeller; Tara S. Multi-purpose apparatus braces/suspenders and methods of their use
WO1995035045A1 (en) * 1994-06-17 1995-12-28 Perry Don A Suspenders that support pants with belt
US5575011A (en) * 1995-11-01 1996-11-19 Allen; Todd M. Detachable waist band extender and garment including the same
US5867876A (en) * 1997-05-12 1999-02-09 Petersen; Edward C. Male-to-male connector apparatus having symmetrical and uniform connector matrix
KR200208655Y1 (ko) 2000-07-03 2001-01-15 박태상 옷의 가방멜빵 고정구조
US6892395B2 (en) * 2001-02-14 2005-05-17 James R. Schweer Safety garment having safety harness
US6959455B2 (en) * 2001-02-16 2005-11-01 Hall David R Suspenders
JP4032351B2 (ja) 2002-12-06 2008-01-16 孝重 藤井 ズボン吊り具と、その装着用シャツのホール
US6804834B1 (en) * 2003-03-03 2004-10-19 Peter Mok Suspender set
US6766532B1 (en) * 2003-12-12 2004-07-27 Rooster Products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back support belt brace system and removable, adjustable suspension system
US7398558B1 (en) * 2003-12-18 2008-07-15 Art Kattenhorn Internal suspenders
WO2006007391A1 (en) * 2004-06-16 2006-01-19 Hamlet Richard A Self-tucking shirt mechanism
US20060185056A1 (en) * 2005-02-23 2006-08-24 Zwick Michael L Shirt and suspenders combination wherein suspenders are hidden in use
US7793359B2 (en) * 2005-09-23 2010-09-14 I. Spiewak & Sons, Inc. Performance duty uniform for law enforcement and other uniformed personnel
US7712148B2 (en) * 2005-10-07 2010-05-11 Safariland, Llc Articulated body armor/duty gear support vest
FR2916146A1 (fr) * 2007-05-16 2008-11-21 Tyax Snc Vetement pourvu d'un harnais.
US7845024B2 (en) * 2007-07-16 2010-12-07 Hill Elton N Peace officer's shirt and suspender set for supporting a duty belt
US7891023B1 (en) * 2007-07-16 2011-02-22 Hill Elton N Peace officer's shirt and suspender set for supporting a duty belt
USD581633S1 (en) * 2007-10-02 2008-12-02 Royce Eric Curtin Combined shirt/jacket and suspenders
WO2010008426A2 (en) * 2008-04-08 2010-01-21 Marx Thomas A Load bearing suspension system
US20100037371A1 (en) * 2008-08-13 2010-02-18 George Fernandez Lewis Elastic Belt Suspenders
US20100282803A1 (en) * 2009-05-06 2010-11-11 Terrence Simmons Garment with integrated hidden backpack support
US8899455B2 (en) * 2009-08-24 2014-12-02 Tumi, Inc. Articulable shoulder strap
CN201518729U (zh) * 2009-09-16 2010-07-07 江炼华 一种防滑脱衬衫
US20110083254A1 (en) * 2009-10-13 2011-04-14 Thomas Anthony Trutna Magnetic clasp unit and suspender system
US20110197335A1 (en) * 2010-02-16 2011-08-18 Handy John N Combination shirt and suspenders
US20110233242A1 (en) * 2010-03-23 2011-09-29 Mykeno LLC Ergonomic load bearing garments and garment systems
US20130247282A1 (en) * 2010-08-31 2013-09-26 Sal Herman All non-metallic suspender clip device
US20120090078A1 (en) * 2010-10-15 2012-04-19 Von Olnhausen Diana Suspenders For Women
US20140130224A1 (en) * 2011-07-21 2014-05-15 Elbeco Incorporated Ballistic Vest with Duty Belt Suspension System
US20130247280A1 (en) * 2012-03-20 2013-09-26 Kenrick R. Haggard Shirt Stay
US10219565B2 (en) * 2014-02-24 2019-03-05 Terry Currie Banta Upper-body garments with integrated waistband positioning systems
US20150272249A1 (en) * 2014-03-31 2015-10-01 Justin W. Glenn Garment Belts and Methods of Adjusting a Garment
US9999268B2 (en) * 2014-07-09 2018-06-19 Robert Pagcaliwagan Shirt st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0297A1 (en) 2014-11-12 2016-05-18 Yong Soo Kim 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464B1 (ko) 2014-06-27
CN104507339A (zh) 2015-04-08
US20150230530A1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64B1 (ko)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US8739314B2 (en) Garment with tethering system
US8918915B2 (en) Garment with tethering system
US7757308B2 (en) Clothing with adjustable waist size
US20070028364A1 (en) Clothing with Adjustable Waist Size
US20150007374A1 (en) Transferable garment addition to swimwear
US20140215690A1 (en) Garments
US20090210996A1 (en) Lower garment assembly with suspender device
CZ2007196A3 (cs) Odev zahrnující kalhoty a souprava zahrnující párstulpen a vnitrní kalhoty
US20120260400A1 (en) Attachment system for combination outer pant and liner
US10219565B2 (en) Upper-body garments with integrated waistband positioning systems
US20100235967A1 (en) Waist-Securing Fastener
US20170006939A1 (en) Reconfigurable garment
US20080271223A1 (en) Combination of an undershirt and a four-cornered garment with fringes
US20100313337A1 (en) Trousers
JP3114956U (ja) ウエストサイズ調整可能な衣類
JP3119193U (ja) マタニティ用下半身着衣
JP3197437U (ja) マタニティパンツ
JP4728100B2 (ja) マタニティ用下半身着衣
JP3245020U (ja) エプロン及び三角巾
CN220587539U (zh) 休闲女裤
JP3174928U (ja) スカート付きパンツ
JP3240326U (ja) ズボン
JP3190352U (ja) 結束具付きズボン
JP3119192U (ja) マタニティ用下半身着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