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013A - 탄환 결합기 - Google Patents

탄환 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013A
KR20140001013A KR1020120069234A KR20120069234A KR20140001013A KR 20140001013 A KR20140001013 A KR 20140001013A KR 1020120069234 A KR1020120069234 A KR 1020120069234A KR 20120069234 A KR20120069234 A KR 20120069234A KR 20140001013 A KR20140001013 A KR 2014000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bullet
unit
shel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569B1 (ko
Inventor
이영모
최경환
김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산
주식회사 대한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산, 주식회사 대한신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to KR102012006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5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01Devices or processes for assembling ammunition, cartridges or cartridge elements from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F42B33/02Filling cartridges, missiles, or fuzes; Inserting propellant or explosive charges
    • F42B33/0285Measuring explosive-charge levels in containers or cartridge cases; 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material fed or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5/00Testing or checking of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피에 탄자를 결합시켜 탄환을 제조하는 탄환 결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탄피가 동시에 1열로 직선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레일(10)과; 이송레일(10) 상의 탄피를 동시에 직선 이송시키는 탄피 이송부(20)와; 이송레일(10)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공급하는 탄피 공급부(30)와;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추진제를 동시에 장입하여 주는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와; 탄피에 장입된 추진제의 양을 동시에 검사하는 추진제 정량 검사부(50)와;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각각 탄자를 공급하고 다수의 탄피에 탄자를 각각 결합시키는 탄자 공급부(60) 및 탄자 결합부(70)와; 탄피와 탄자의 결합부에 조임을 형성하는 크림핑을 통해 탄자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크림핑부(80)와; 크림핑이 완료된 다수의 탄환에 대하여 탄피와 탄자의 결합상태를 동시에 검사하는 탄환 윤곽검사부(90);를 포함하고,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와 추진제 정량 검사부(50) 및 크림핑부(80)는 각각 다수의 탄피에 대하여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며, 탄피 공급부(30)와 추진제 정량 공급부(40), 추진제 정량 검사부(50), 탄자 공급부(60), 탄자 결합부(70), 크림핑부(80) 및 탄환 윤곽검사부(90)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인라인 방식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환 결합기{Cartridge Loading & Assembly Machine}
본 발명은 탄피에 탄자를 결합시켜 탄환을 제조하는 탄환 결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한 번에 다수의 탄피에 탄자를 동시에 결합시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탄피 및 탄자의 공급과 추진제의 장입 등 일련의 작업이 자동화되고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탄환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환은 총기에 장전된 후 격발에 의해 점화된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발사되어 탄자가 총구를 벗어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탄환은 후미에 뇌관이 장착된 탄피와, 상기 탄피의 내부에 충전되며 뇌관에 의해 연소되어 연소압력을 발생시키는 추진제와, 상기 탄피의 입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탄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탄환에 있어서 탄자가 유효 사거리까지 발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피에 충전되는 추진제의 양이 정확하여야 하며, 휴대시 추진제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탄자가 탄피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함은 물론 추진제의 연소압력에 의해 탄자가 원활하게 분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탄피에 추진제를 충전할 경우 충전된 추진제의 양이 정확한지 검사함은 물론, 탄피에 탄자가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피에 탄자를 결합시키는 공정은 매우 다양하며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각각의 공정이 자동화되어야 한다. 그런데, 탄피에 탄자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공정은 자동화되어 있지만, 이들 자동화된 공정이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아 탄환 생산의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탄피와 탄자의 공급은 물론 추진제의 장입 작업, 탄피와 탄자의 결합 공정, 추진제량의 검사 및 탄환의 검사 등과 같은 탄환 결합에 따른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고 이들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과 탄환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대량 생산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탄환 결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탄피가 동시에 1열로 직선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 상의 탄피를 동시에 직선 이송시키는 탄피 이송부와; 상기 이송레일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공급하는 탄피 공급부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추진제를 동시에 장입하여 주는 추진제 정량 공급부와; 복수의 탄피에 장입된 추진제의 양을 동시에 검사하는 추진제 정량 검사부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각각 탄자를 공급하고 다수의 탄피에 탄자를 각각 결합시키는 탄자 공급부 및 탄자 결합부와; 탄피와 탄자의 결합부에 조임을 형성하는 크림핑을 통해 탄자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크림핑부와; 크림핑이 완료된 다수의 탄환에 대하여 탄피와 탄자의 결합상태를 동시에 검사하는 탄환 윤곽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와 크림핑부는 각각 다수의 탄피에 대하여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탄피 공급부와 추진제 정량 공급부, 추진제 정량 검사부, 탄자 공급부, 탄자 결합부, 크림핑부 및 탄환 윤곽 검사부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인라인 방식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한 각부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한 각부 구성의 작동 상태를 보여줌과 아울러 각부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레일 상에 위치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이송 바와, 상기 이송 바를 상기 이송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좌우 이송용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이송 바를 상기 이송레일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 바의 홈에 탄피가 수용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송 바의 홈으로부터 탄피가 이탈되도록 하는 전후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바에 의한 탄피 이송시 끼임 현상을 비롯한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탄피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탄피 공급부는 다수의 탄피를 다수의 열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파츠 피더와, 상기 파츠 피더로부터 공급된 다수 열의 탄피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적재 슈트와, 상기 적재 슈트의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피를 동시에 분리하여 상기 이송레일 상으로 공급하는 공급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는 상기 이송레일 상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피에 동시에 추진제를 공급하는 추진제 호퍼와, 상기 추진체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후 슬라이더에 부착되어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추진제 호퍼로부터 추진제를 정량 분리하여 탄피의 내부에 장입하는 다수열의 피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는 상기 피드 바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추진제 정량 검사부는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직접 접촉되는 측정자와, 상기 측정자의 변위를 판독하는 전자 프로브와, 상기 측정자 및 전자 프로브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측정자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자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측정자가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상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탄자 공급부는 다수의 탄자를 다수의 열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파츠 피더와, 상기 파츠 피더로부터 공급된 다수 열의 탄자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적재 슈트와, 상하 슬라이더에 부착되어 승강되며 하강시 탄피의 입부분 상측에 위치되어 탄자를 안내하는 압입 가이드와, 상기 적재 슈트의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자를 동시에 분리하여 상기 압입 가이드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탄자 결합부는 상기 탄자 공급부의 상하 슬라이더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압입 가이드를 통과하면서 탄자를 탄피에 압입하는 탄자 압입 푸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크림핑부는 탄피의 입부분을 외측에서부터 가압하여 조임이 형성되도록 하는 크림핑 푸셔와, 상기 크림핑 푸셔를 승강시키는 상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탄환 윤곽검사부는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피에 탄자가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윤곽검사부와,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피에 결합된 탄자에 접촉되어 탄환의 길이를 검사하는 전체길이 검사부와, 상기 윤곽검사부와 전체길이 검사부를 각각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윤곽 검사부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하면에 탄자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챔버가 형성되며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 다수의 챔버 게이지와, 상기 챔버 게이지 내에 탄자의 상단부가 수용되는지를 확인하여 비정상 탄환인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에 따르면, 상기 전체길이 검사부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자의 상단에 접촉되며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 다수의 측정자와, 상기 측정자의 변위를 판독하는 전자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는 탄피의 공급과 추진제의 장입, 추진제량의 검사, 탄자의 공급, 탄피와 탄자의 결합 및 탄환의 결합상태 검사 등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의 탄피에 대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제작 공정이 자동화를 통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탄환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탄환 결합기가 도시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가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이송레일과 이송 바가 도시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탄피 이송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탄피 이송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탄피 공급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추진제 정량 공급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추진제 정량 공급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추진제 정량 검사부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추진제 정량 검사부의 측정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탄자 공급부 및 탄자 결합부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클림핑부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탄환 윤곽검사부의 구성도,
도 14는 탄환 윤곽검사부 중 윤곽 검사부의 구성도.
도 15는 탄환 윤곽검사부 중 전체길이 검사부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탄환 결합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탄피가 동시에 1열로 직선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레일(10)과; 상기 이송레일(10) 상의 탄피를 동시에 직선 이송시키는 탄피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레일(10)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공급하는 탄피 공급부(30)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추진제를 동시에 장입하여 주는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와; 탄피에 장입된 추진제의 양을 동시에 검사하는 추진제 정량 검사부(50)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각각 탄자를 공급하고 다수의 탄피에 탄자를 각각 결합시키는 탄자 공급부(60) 및 탄자 결합부(70)와; 탄피와 탄자의 결합부에 조임을 형성하는 크림핑을 통해 탄자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크림핑부(80)와; 크림핑이 완료된 다수의 탄환에 대하여 탄피와 탄자의 결합상태를 동시에 검사하는 탄환 윤곽검사부(90)와; 상기한 각부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한 각부 구성의 작동 상태를 보여줌과 아울러 각부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와 추진제 정량 검사부(50) 및 크림핑부(80)는 각각 다수의 탄피에 대하여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탄피 공급부(30)와 추진제 정량 공급부(40), 추진제 정량 검사부(50), 탄자 공급부(60), 탄자 결합부(70), 크림핑부(80) 및 탄환 윤곽검사부(90)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인라인 방식으로 공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20)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블록(11)에 고정된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위치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이송 바(21)와, 상기 이송 바(21)를 상기 이송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좌우 이송용 슬라이드 레일(22)과, 상기 이송 바(21)를 상기 이송레일(10)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 바(21)의 홈에 탄피가 수용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송 바(21)의 홈으로부터 탄피가 이탈되도록 하는 전후 슬라이드 레일(23)과, 상기 이송레일(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바(21)에 의한 탄피 이송시 끼임 현상을 비롯한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탄피 감지 센서(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탄피 공급부(30)는 도 2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탄피를 다수의 열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파츠 피더(31)와, 상기 파츠 피더(31)로부터 공급된 다수 열의 탄피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적재 슈트(32)와, 상기 적재 슈트(32)의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피를 동시에 분리하여 상기 이송레일(10) 상으로 공급하는 공급 푸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피에 동시에 추진제를 공급하는 추진제 호퍼(41)와, 상기 추진체 호퍼(41)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후 슬라이더(43)에 부착되어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추진제 호퍼(41)로부터 추진제를 정량 분리하여 탄피의 내부에 장입하는 다수열의 피드 바(42)와, 상기 피드 바(42)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생성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추진제 정량 검사부(50)는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직접 접촉되는 측정자(53)와, 상기 측정자(53)의 변위를 판독하는 전자 프로브(51)와, 상기 측정자(53) 및 전자 프로브(5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55)과, 상기 측정자(53)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자(53)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리턴 스프링(54)과, 상기 측정자(53)가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55)을 승강시키는 상하 슬라이더(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자 공급부(60)는 도 2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탄자를 다수의 열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파츠 피더(61)와, 상기 파츠 피더(61)로부터 공급된 다수 열의 탄자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적재 슈트(62)와, 상하 슬라이더(63)에 부착되어 승강되며 하강시 탄피의 입부분 상측에 위치되어 탄자를 안내하는 압입 가이드(64)와, 상기 적재 슈트(62)의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자를 동시에 분리하여 상기 압입 가이드(64)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푸셔(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자 결합부(70)는 상기 탄자 공급부(60)의 상하 슬라이더(63)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압입 가이드(64)를 통과하면서 탄자를 탄피에 압입하는 탄자 압입 푸셔(71)를 포함한다.
또, 상기 크림핑부(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피의 입부분을 외측에서부터 가압하여 조임이 형성되도록 하는 크림핑 푸셔(81)와, 상기 크림핑 푸셔(81)를 승강시키는 상하 슬라이더(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환 윤곽검사부(90)는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피에 탄자가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윤곽검사부(90a)와,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피에 결합된 탄자에 접촉되어 탄환의 길이를 검사하는 전체길이 검사부(90b)와, 상기 윤곽검사부(90a)와 전체길이 검사부(90b)를 각각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 슬라이더(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윤곽 검사부(90a)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91)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하면에 탄자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챔버가 형성되며 리턴 스프링(92') 구비된 다수의 챔버 게이지(92)와, 상기 챔버 게이지(92) 내에 탄자의 상단부가 수용되는지를 확인하여 비정상 탄환인지를 감지하는 센서(9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체길이 검사부(90b)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91)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자의 상단에 접촉되며 리턴 스프링(95')이 구비된 다수의 측정자(95)와, 상기 측정자(95)의 변위를 판독하는 전자 프로브(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탄환 결합기는 탄피를 1열로 정렬한 상태로 이송하면서 다수의 탄피에 대하여 동시에 추진제를 장입하고 탄자를 결합시켜 탄환을 제조하게 된다.
탄피 공급부(30)는 파츠 피더(31)를 사용하여 탄피를 다수의 열로 정렬시킨 후 적재 슈트(32)에 다수의 열로 대기시키게 되고, 공급 푸셔(33)가 작동되어 상기 적재 슈트(32)에 대기 중인 탄피 중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의 탄피를 분리하여 이송 레일(1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 레일(10)에는 다수의 탄피가 1열로 늘어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20)의 전후 슬라이드 레일(22)을 작동시켜 이송 바(21)를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이송바(21)의 홈에 탄피가 하나씩 수용된다. 이때, 상기 이송레일(10)의 상측에 설치된 탄피 감지 센서(24)는 탄피의 끼임 현상 등과 같은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며,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장치부(1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이송바(21)가 연결된 좌우 이송용 슬라이드 레일(23)을 작동시켜 상기 이송바(21)를 이송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의 탄피가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의 아래쪽에 위치한 이송레일(10) 상에 위치하도록 탄피를 이송한다. 탄피의 이송이 끝나면 상기 전후 슬라이드 레일(22)과 좌우 이송용 슬라이드 레일(23)이 순차적으로 작동되며, 그로 인해 상기 이송 바(2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탄피가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의 하측으로 이송되면, 일측에 위치된 전후 슬라이더(43)가 작동되어 다수열의 피드 바(42)가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추진제 호퍼(41) 내의 추진제가 일정량씩 탄피에 장입되며, 다수의 탄피의 내부에 추진제가 동시에 장입된다. 이때, 외주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된 원판에 상기 피드 바(42)의 후단이 접하도록 구성된 진동 생성부(44)가 상기 피드 바(42)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게 되므로, 상기 추진제 호퍼(41)로부터 탄피에 장입되는 추진제가 탄피 내부에 고르게 장입된다. 그리고,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에서 탄피에 추진제가 장입되는 동안 상기 탄피 공급부(30)에서는 이송레일(10)로 탄피를 공급하여 이송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탄피에 대한 추진제의 장입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탄피가 추진제 정량 검사부(50)로 이송되고, 상기 탄피 공급부(30)에 의해 이송레일(10)로 공급된 탄피는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로 이송된다.
상기 추진제 정량 검사부(50)는 상하 슬라이더(52)에 의해 상하로 이송되는 전자 프로브(51) 및 측정자(53)를 이용하여 탄피 내부에 장입된 추진제의 적재량을 검사한다. 즉, 상기 측정자(53)가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접촉되면 상기 측정자(53)는 하강하지 않지만 상기 전자 프로브(51)는 프레임(45)과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이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프로브(51)가 측정자(53)의 변위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51)에 의해 판독된 측정자(53)의 변위를 통해 탄피 내에 추진제가 적정하게 적재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추진제량 검사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탄피가 탄자 공급부(60)로 이송되고,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의 탄피는 상기 추진제 정량 검사부(50)로 이송되며, 상기 탄피 공급부(30)에 의해 이송레일(10)로 공급된 탄피는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로 이송된다. 즉, 하나의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탄피가 이송될 때 이전 공정의 탄피가 현재의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는 공정의 연속성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나,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고 이하에서는 이전 공정이 진행되는 것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탄피가 상기 탄자 공급부(60)로 이송되면 탄자 공급부(60)의 파츠 피더(61)로부터 공급되어 적재 슈트(62)에 적재된 다수의 탄자가 탄피의 상측으로 이송된 후, 탄자 결합부(70)에 의해 탄피의 상단부에 삽입 및 결합된다.
탄피가 상기 탄자 공급부(60)로 이송되면, 상하 슬라이더(63)가 작동되어 압입 가이드(64)를 탄피의 바로 위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 푸셔(65)가 작동되어 상기 적재 슈트(62)에 다수의 열로 대기 중인 탄자 중 최하단의 탄자들을 분리하여 상기 압입 가이드(64)의 상면으로 밀어줌으로써 탄자가 탄피의 입부분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상하 슬라이더(63)가 상기 탄환 결합부(70)의 압입 푸셔(71)를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압입 푸셔(71)는 상기 압입 가이드(64)를 통과하면서 탄자를 탄피의 입부분에 압입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탄자는 상기 압입 가이드(64)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 이동하면서 탄피에 결합되므로, 탄피의 중심선과 탄자의 중심선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상의 탄자 결합 공정을 통해 탄피와 탄자가 조립되어 형성된 탄환은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크림핑부(80)로 이송된다. 상기 크림핑부(80)는 한 쌍의 상하 슬라이더(82)에 의해 승강되는 크림핑 푸셔(81)를 이용하여 탄피의 입부분을 외측에서부터 조여줌으로써 탄피의 입부분에 조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피의 입부분에 조임이 형성됨에 따라 탄피의 입부분에 탄자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며, 탄피의 탄자 견인력이 향상됨은 물론 탄피 내부의 추진제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크림핑 공정이 완료되면 탄환이 완성되고, 완성된 탄환은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탄환 윤곽검사부(90)로 이송된다. 상기 탄환 윤곽검사부(90)는 탄자가 탄피에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윤곽검사와 탄피의 하단으로부터 탄자의 끝단까지의 길이인 탄환의 전체 길이를 실측하는 전장 검사를 수행한다.
윤곽검사는 챔버 게이지(92)와 센서(93)를 이용하여 탄피의 중심선과 탄자의 중심선이 일치되는지를 검사하는 것으로, 상하 슬라이더(91)에 의해 승강되는 챔버 게이지(92)의 챔버에 탄자의 상단 부분이 수용될 경우 정상 탄환으로 판정하고, 상기 챔버 게이지(92)의 챔버에 탄자의 상단 부분이 수용되지 않을 경우 비정상 탄환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전장 검사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91)에 의해 승강되는 전자 프로브(94)가 탄환의 탄자 상단에 접촉되는 측정자(95)의 변위를 판독함으로써 탄환의 전체 길이를 실측하게 된다. 만약, 탄환의 전체 길이가 규정 이하이면 탄자가 너무 많이 삽입되어 유효 사거리가 저하될 수 있고, 탄환의 전체 길이가 규정 이상이면 탄자가 너무 적게 삽입되어 탄피의 탄자 견인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탄환의 전체 길이가 규정을 벗어나면 비정상 탄환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탄환의 제조에 있어서 탄피와 탄자의 공급 및 추진제의 장입과 검사, 탄피와 탄자의 결합 및 탄환 검사와 같은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각의 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자동화 및 연속 작업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효과가 탁월하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에서 다수의 탄피에 대하여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이송레일
11...서포트 블록
20....이송부
21...이송바
22...좌우 이송용 슬라이드 레일
23...전후 슬라이드 레일
24...탄피 감지 센서
30...탄피 공급부
31...파츠 피더
32...적재 슈트
33...공급 푸셔
40....추진제 정량 공급부
41...추진제 호퍼
42...피드 바
43...전후 슬라이더
44...진동 생성부
50...추진제 정량 검사부
51...전자 프로브
52...상하 슬라이더
53...측정자
54...리턴 스프링
60...탄자 공급부
61...파츠 피더
62...적재 슈트
63...상하 슬라이더
64...압입 가이드
65...공급 푸셔
70...탄자 결합부
71...탄자 압입 푸셔
80...크림핑부
81...크림핑 푸셔
82...상하 슬라이더
90...탄환 윤곽검사부
90a...윤곽 검사부
91...슬라이더
92...챔버 게이지
92'...리턴 스프링
93...센서
90b...전체길이 검사부
91...슬라이더
94...전자 프로브
95...측정자
95'...리턴 스프링

Claims (14)

  1. 다수의 탄피가 동시에 1열로 직선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레일(10)과;
    상기 이송레일(10) 상의 탄피를 동시에 직선 이송시키는 탄피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레일(10)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공급하는 탄피 공급부(30)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추진제를 동시에 장입하여 주는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와;
    탄피에 장입된 추진제의 양을 동시에 검사하는 추진제 정량 검사부(50)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이송중인 탄피에 각각 탄자를 공급하고 다수의 탄피에 탄자를 각각 결합시키는 탄자 공급부(60) 및 탄자 결합부(70)와;
    탄피와 탄자의 결합부에 조임을 형성하는 크림핑을 통해 탄자 견인력을 향상시키는 크림핑부(80)와;
    크림핑이 완료된 다수의 탄환에 대하여 탄피와 탄자의 결합상태를 동시에 검사하는 탄환 윤곽검사부(90);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와 추진제 정량 검사부(50) 및 크림핑부(80)는 각각 다수의 탄피에 대하여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탄피 공급부(30)와 추진제 정량 공급부(40), 추진제 정량 검사부(50), 탄자 공급부(60), 탄자 결합부(70), 크림핑부(80) 및 탄환 윤곽검사부(90)가 상기 이송레일(10)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인라인 방식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부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한 각부 구성의 작동 상태를 보여줌과 아울러 각부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부(1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위치된 다수의 탄피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된 이송 바(21)와, 상기 이송 바(21)를 상기 이송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좌우 이송용 슬라이드 레일(22)과, 상기 이송 바(21)를 상기 이송레일(10)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 바(21)의 홈에 탄피가 수용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송 바(21)의 홈으로부터 탄피가 이탈되도록 하는 전후 슬라이드 레일(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이송레일(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바(21)에 의한 탄피 이송시 끼임 현상을 비롯한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탄피 감지 센서(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피 공급부(30)는 다수의 탄피를 다수의 열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파츠 피더(31)와, 상기 파츠 피더(31)로부터 공급된 다수 열의 탄피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적재 슈트(32)와, 상기 적재 슈트(32)의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피를 동시에 분리하여 상기 이송레일(10) 상으로 공급하는 공급 푸셔(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는 상기 이송레일(10) 상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피에 동시에 추진제를 공급하는 추진제 호퍼(41)와, 상기 추진체 호퍼(41)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후 슬라이더(43)에 부착되어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추진제 호퍼(41)로부터 추진제를 정량 분리하여 탄피의 내부에 장입하는 다수열의 피드 바(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제 정량 공급부(40)는 상기 피드 바(42)에 미세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 생성부(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제 정량 검사부(50)는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직접 접촉되는 측정자(53)와, 상기 측정자(53)의 변위를 판독하는 전자 프로브(51)와, 상기 측정자(53) 및 전자 프로브(5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55)과, 상기 측정자(53)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자(53)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리턴 스프링(54)과, 상기 측정자(53)가 탄피 내부의 추진제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55)을 승강시키는 상하 슬라이더(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자 공급부(60)는 다수의 탄자를 다수의 열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파츠 피더(61)와, 상기 파츠 피더(61)로부터 공급된 다수 열의 탄자가 적재되어 대기하는 적재 슈트(62)와, 상하 슬라이더(63)에 부착되어 승강되며 하강시 탄피의 입부분 상측에 위치되어 탄자를 안내하는 압입 가이드(64)와, 상기 적재 슈트(62)의 최하단에 위치한 다수열의 탄자를 동시에 분리하여 상기 압입 가이드(64)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공급 푸셔(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자 결합부(70)는 상기 탄자 공급부(60)의 상하 슬라이더(63)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압입 가이드(64)를 통과하면서 탄자를 탄피에 압입하는 탄자 압입 푸셔(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부(80)는 탄피의 입부분을 외측에서부터 가압하여 조임이 형성되도록 하는 크림핑 푸셔(81)와, 상기 크림핑 푸셔(81)를 승강시키는 상하 슬라이더(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환 윤곽검사부(90)는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피에 탄자가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윤곽검사부(90a)와,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피에 결합된 탄자에 접촉되어 탄환의 길이를 검사하는 전체길이 검사부(90b)와, 상기 윤곽검사부(90a)와 전체길이 검사부(90b)를 각각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 슬라이더(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검사부(90a)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91)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하면에 탄자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챔버가 형성되며 리턴 스프링(92') 구비된 다수의 챔버 게이지(92)와, 상기 챔버 게이지(92) 내에 탄자의 상단부가 수용되는지를 확인하여 비정상 탄환인지를 감지하는 센서(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길이 검사부(90b)는 상기 상하 슬라이더(91)에 의해 승강되는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자의 상단에 접촉되며 리턴 스프링(95')이 구비된 다수의 측정자(95)와, 상기 측정자(95)의 변위를 판독하는 전자 프로브(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결합기.
KR1020120069234A 2012-06-27 2012-06-27 탄환 결합기 KR10139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234A KR101390569B1 (ko) 2012-06-27 2012-06-27 탄환 결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234A KR101390569B1 (ko) 2012-06-27 2012-06-27 탄환 결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13A true KR20140001013A (ko) 2014-01-06
KR101390569B1 KR101390569B1 (ko) 2014-05-27

Family

ID=5013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234A KR101390569B1 (ko) 2012-06-27 2012-06-27 탄환 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5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033B1 (ko) *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이송 중인 탄환의 측정과 수정을 연속 수행하는 탄환검사장치
KR101924968B1 (ko) * 2017-11-13 2019-02-27 주식회사 한화 추진제 자동 계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제 자동 계량 방법
IT201800003209A1 (it) * 2018-03-02 2019-09-02 S E P A Snc Di A Ing Mestriner E C Unità di azionamento di una macchina transfer lineare e macchina transfer lineare per l’assemblaggio di cartucce comprendente tale unità di azionamento
KR102171895B1 (ko) * 2019-12-24 2020-10-30 주식회사 풍산 예광탄 장약 자동화 시스템
CN112361900A (zh) * 2020-11-02 2021-02-12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含能药剂加注装置
KR102259273B1 (ko) * 2020-02-21 2021-06-01 국방과학연구소 뇌관탄피 분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38B1 (ko) 2016-06-20 2016-09-22 주식회사 풍산 방향정렬판 및 그것을 이용한 낙하식 탄피정렬공급 장치
KR101666215B1 (ko) 2016-06-20 2016-10-14 주식회사 풍산 도료 자연배출 방식을 이용한 탄자도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7538B1 (fr) 1983-12-29 1986-05-23 Manurhin Dispositif de dosage volumetrique d'une poudre et d'introduction de doses predeterminees de celle-ci dans des objets
US7032492B2 (en) 2003-09-11 2006-04-25 Milton S. Meshirer Ammunition articles comprising light-curable moisture-preventative sea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70105760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유한플랜트 음용수 제조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033B1 (ko) * 2015-12-28 2016-07-11 주식회사 풍산 이송 중인 탄환의 측정과 수정을 연속 수행하는 탄환검사장치
US9863747B2 (en) 2015-12-28 2018-01-09 Poongsan Corporation System for inspecting, fixing, or screening ammunition
KR101924968B1 (ko) * 2017-11-13 2019-02-27 주식회사 한화 추진제 자동 계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진제 자동 계량 방법
IT201800003209A1 (it) * 2018-03-02 2019-09-02 S E P A Snc Di A Ing Mestriner E C Unità di azionamento di una macchina transfer lineare e macchina transfer lineare per l’assemblaggio di cartucce comprendente tale unità di azionamento
KR102171895B1 (ko) * 2019-12-24 2020-10-30 주식회사 풍산 예광탄 장약 자동화 시스템
KR102259273B1 (ko) * 2020-02-21 2021-06-01 국방과학연구소 뇌관탄피 분리기
CN112361900A (zh) * 2020-11-02 2021-02-12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 一种含能药剂加注装置
CN112361900B (zh) * 2020-11-02 2022-09-27 中国兵器装备集团自动化研究所有限公司 一种含能药剂加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569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569B1 (ko) 탄환 결합기
KR101482449B1 (ko) 플레이트식 탄환 결합장치
CN105490473B (zh) 转子自动装配系统
CN106425468A (zh) 弹簧插板自动化装配机及其操作方法
CN102240644A (zh) 电池产品测试分选机和测试分选机的分选方法
KR101479857B1 (ko) 자동차 부품용 자동화 검사장치
US10222413B2 (en) IC handler
CN106493566B (zh) 一种插座自动组装机
KR10105218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패드의 악세서리 조립장치
JP7445469B2 (ja) 小型二次電池の搬送トレイ及びその搬送方法
CN109937492A (zh) 多品种盖组装体的制造装置及其方法
KR101667686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마킹 및 맵 형성 장치
CN111266859A (zh) 滤波器自动组装生产线
KR101638033B1 (ko) 이송 중인 탄환의 측정과 수정을 연속 수행하는 탄환검사장치
CN109932612A (zh) 一种移动通讯应用接口测试装置
JP5015161B2 (ja) 核燃料ペレットを生産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のような装置に適用される製造方法
TWI638160B (zh) Gland module, test device with gland module and test classification device thereof
KR101970603B1 (ko) 피스톤 이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스톤 조립 장치
CN106358438A (zh) 检查装置
CN107971720A (zh) 一种自动化挂勾送料组装装置
KR102503239B1 (ko) 커넥터 자동 조립장치
KR19980040980A (ko)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단자 직립정렬장치.
CN105880176B (zh) 一种分油泵组件/总成气密性检测机及其使用方法
CN104754980B (zh) 拉链拉头组装机的锁针装配装置
CN109470295B (zh) 拉头罩的嵌塞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