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811U -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 Google Patents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811U
KR20140000811U KR2020120006611U KR20120006611U KR20140000811U KR 20140000811 U KR20140000811 U KR 20140000811U KR 2020120006611 U KR2020120006611 U KR 2020120006611U KR 20120006611 U KR20120006611 U KR 20120006611U KR 20140000811 U KR20140000811 U KR 201400008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flange
belt
contact member
fast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811U/ko
Publication of KR20140000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브 플랜지용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 플랜지에 대한 벨트 고정작업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있도록 한 허브 플랜지용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와, 관로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로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로 구성된 허브 플랜지에 있어서, 일측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관로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재;상기 각각의 밀착부재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상기 밀착부재의 둘레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벨트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걸이공을 형성하는 걸림부;상기 체결부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결합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허브 플랜지용 고정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Lifting band for hub flange}
본 고안은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 플랜지를 리프팅 하기 위한 벨트에 대한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파이프는 하중이나 설치 편의성 및 이동성을 위해 그 길이가 제한적이며, 이러한 파이프의 단부에는 타 부품을 장착하거나, 파이프의 설치위치의 길이에 따라 각 파이프 간의 이음을 위하여 상기 각 파이프의 단부에는 각각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는 상기 각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거나, 부품의 단부를 보완할 때 사용되며, 보통, 파이프와 파이프를 상호 연결할 경우에는 파이프의 내부로 관통되는 연료나 오일, 또는 가스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 가스켓을 개재하여 상호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플랜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 체결에 의해 파이프와 파이프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일반 플랜지 외에 허브 플랜지가 제공된다.
허브 플랜지는 고압의 유체를 압송시키는 관로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선박보다는 해양 구조물에 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허브 플랜지는 용접을 통해 파이프의 단부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이나 지면에 파이프(10)를 세워 놓은 상태에서 허브 플랜지(20)를 리프팅하여 상기 파이프(10)의 단부에 취부한 후 가용접(tack welding)을 실시한다.
이때, 파이프(10)와 허브 플랜지(20) 사이에는 용접비드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소위 갭봉이라 불리우는 간격유지부재(30)가 개재된다.
한편, 파이프(10)의 단부에 허브 플랜지(20)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허브 플랜지(20)의 양단부에 각각 벨트(40)를 묶어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리프팅 하게 된다.
즉, 크레인으로 하여금 벨트(40)를 들어올려 허브 플랜지(20)를 이동시켜가면서 파이프(10)의 단부, 정확하게는 갭봉(30) 위에 상기 허브 플랜지(20)를 안착시키는 것이다.
이후, 용접장비를 이용하여 갭봉(30)의 두께만큼 이격된 허브 플랜지(20)와 파이프(10)의 단부 사이에 가용접을 실시하고, 가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벨트(40)를 풀어 허브 플랜지(2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파이프(10)에 대한 허브 플랜지(20)의 가용접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단부에 허브 플랜지(20)를 취부시키기 위하여 허브 플랜지(20)를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벨트(40)를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를 통과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벨트(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플랜지(20)와 파이프(10) 사이에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갭봉(30)에 의해 허브 플랜지(20)와 파이프(1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간격은 벨트(40)의 두께에 비해 작기 때문에 상기 간격을 통해 벨트(40)가 쉽게 빠지지는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취부작업이 완료된 후 허브 플랜지(20)로부터 벨트(40)를 풀어내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벨트(40)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허브 플랜지(20)가 유동되어 가용접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파이프(10)로부터 허브 플랜지(20)가 낙하되어 허브 플랜지(20)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허브 플랜지(20)에 대한 리프팅 작업시, 허브 플랜지(20)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벨트(40)의 고정 위치를 알맞게 조절해야 한다.
이때, 벨트(40)의 고정 위치는 작업자의 짐작으로 정해지므로, 한번에 맞추기가 어려워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벨트(40)의 위치를 수회 바꿔가면서 허브 플랜지(20)의 균형을 맞춰야 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0-0011180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브 플랜지에 대한 리프팅 작업시 허브 플랜지에 대한 벨트 고정 및 분리 작업은 물론, 허브 플랜지에 대한 균형을 맞추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허브플랜지용 리프팅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와, 관로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로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로 구성된 허브 플랜지에 있어서, 일측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관로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재;상기 각각의 밀착부재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상기 밀착부재의 둘레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벨트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걸이공을 형성하는 걸림부;상기 체결부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결합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허브 플랜지용 벨트 고정 밴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는 각각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밀착부재가 형성하는 밀착부재의 내경은 관로부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걸림부는 복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허브 플랜지를 리프팅하기 위하여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리프팅 밴드가 제공됨으로써, 허브 플랜지에 대한 벨트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벨트를 허브 플랜지의 관로를 통해 직접 고정시킬 필요가 없이 외부로 노출된 리프팅 밴드의 걸림공에 벨트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벨트의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벨트 고정 작업에 대한 용이함은 물론, 벨트 분리시 파이프 상에서 허브 플랜지가 유동 및 낙하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않게 된다.
둘째, 밀착부재의 둘레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브 플랜지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벨트의 위치를 신경 쓸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벨트 위치 선정에 대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에 허브 플랜지를 취부하기 위해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허브 플랜지용 취부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허브 플랜지용 취부 밴드를 이용하여 허브 플랜지를 파이프에 취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이하, '리프팅 밴드'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프팅 밴드는 파이프(10)에 허브 플랜지(20)를 취부하기 위하여 벨트(40)를 이용한 허브 플랜지(20)의 리프팅 작업시 벨트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허브 플랜지(20)에 대한 취부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허브 플랜지(20)가 파이프(10)로부터 낙하되는 일 등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리프팅 밴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00)와, 체결부(200)와, 걸림부(300)와, 결합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착부재(100)는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를 구성하는 관로부(21) 외주면을 감싸는 역할을 하며, 한 쌍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각 밀착부재(100)는 대략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밀착부재(100)의 일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밀착부재(100)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철되면서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를 감싸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밀착부재(100)가 형성하는 내경은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 외경에 대응되되, 상기 관로부(21) 외경에 비해 약간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에 대한 밀착시 밀착부재(100)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밀착부재(100)는 관로부(21)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허브 플랜지(20)의 단차진 부위에 걸리도록 배치됨에 따라 허브 플랜지(20)를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고정부(22)의 단차진 부위에 걸려 허브 플랜지(20)로부터 밀착부재(100)가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체결부(200)는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 외주면에 밀착부재(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부재(40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각 밀착부재(100)의 타측에 형성된다.
체결부(200)는 각 밀착부재(100)의 타측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체결부(200)에는 체결공(210)이 형성된다.
즉, 후술하는 결합부재(400)가 체결공(210)을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에 밀착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걸림부(300)는 벨트(40)가 걸려 고정되는 구성이며, 밀착부재(100)의 둘레에 형성된다.
걸림부(300)는 밀착부재(100)의 내경을 형성하는 통공과 동일한 방향의 걸림공(310)을 형성한다.
걸림부(300)는 서로 밀착부재(100) 상에서 서로 대향된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걸림부(300)는 밀착부재(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결합부재(400)는 각 밀착부재(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20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볼트(410)와 너트(420)로 제공된다.
즉, 체결부(200)의 체결공(210)을 볼트(410)가 통과하여 너트(420)에 체결됨으로써 관로부(21)의 둘레에 밀착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리프팅 밴드를 이용하여 허브 플랜지(20)를 파이프(10)에 취부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지면이나 정반에 파이프(10)가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고,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에 리프팅 밴드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밀착부재(100)를 힌지 중심으로 회전하여 밀착부재(100)의 내경을 형성하는 공간을 확보시킨다.
이후, 허브플랜지(20)의 관로부(21)를 밀착부재(100)가 감싸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관로부(21)의 외경에 비해 한 쌍의 밀착부재(100)가 형성하는 내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밀착부재(10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200)는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밀착부재(100)는 허브 플랜지(20)의 고정부(22)와 관로부(21) 사이에 형성된 단차진 부위에 배치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플랜지(20)를 리프팅 시키더라도의 허브 플랜지(20)로부터 리프팅 밴드가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볼트(410)를 체결부(200)의 체결공(210)에 통과시킨 후, 너트(420)를 체결함으로써 허브 플랜지(20)의 관로부(21)에 밀착부재(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볼트(410) 및 너트(420)를 강하게 조임에 따라, 밀착부재(100)는 관로부(21)의 외주면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크레인에 연결된 벨트(40)를 걸림부(300)의 걸림공(310)을 통과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벨트(40)는 각각의 걸림공(310)을 통과하여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웃하는 걸림공(310)을 서로 연결하면서 고정될 수도 있다.
이후, 걸림부(300)에 대한 벨트(40)의 고정이 완료되면, 크레인을 이용해 허브 플랜지(20)를 들어올려 파이프(10)의 단부에 취부시킨다.
이때, 허브 플랜지(20)가 리프팅되는 과정에서, 리프팅 밴드는 관로부(21)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음과 더불어 단차진 부위에 걸려 있으므로, 허브 플랜지(20)에 대한 리프팅 작업은 리프팅 밴드의 이탈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파이프(10)에 허브 플랜지(20)의 취부 작업이 완료되면, 걸림부(300)로부터 벨트(40)를 분리시킨다.
이때, 허브 플랜지(20)에 대한 유동 없이 벨트(40)만 쉽게 분리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는 허브 플랜지에 대한 리프팅 작업시 벨트와 허브 플랜지 간에 연결 매개체 역할을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벨트를 허브 플랜지에 직접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허브 플랜지의 둘레에 결합된 리프팅 밴드에 결합시킴에 따라 벨트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짐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은 물론, 벨트 분해시 허브 플랜지가 유동되거나 낙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밀착부재 200 : 체결부
210 : 체결공 300 : 걸림부
310 : 걸림공 400 : 결합부재
410 : 볼트 420 : 너트

Claims (3)

  1.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와, 관로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로부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로 구성된 허브 플랜지에 있어서,
    일측은 서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관로부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밀착부재;
    상기 각각의 밀착부재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각각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
    상기 밀착부재의 둘레에 서로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벨트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걸이공을 형성하는 걸림부;
    상기 체결부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결합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허브 플랜지용 벨트 고정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각각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밀착부재가 형성하는 밀착부재의 내경은 관로부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플랜지용 벨트 고정 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부는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플랜지용 벨트 고정 밴드.


















KR2020120006611U 2012-07-25 2012-07-25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KR201400008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611U KR20140000811U (ko) 2012-07-25 2012-07-25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611U KR20140000811U (ko) 2012-07-25 2012-07-25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11U true KR20140000811U (ko) 2014-02-06

Family

ID=5244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611U KR20140000811U (ko) 2012-07-25 2012-07-25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8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9579A (zh) * 2015-11-20 2018-07-17 三星电子株式会社 轮组件和具有该轮组件的机器人清洁器
KR20190083087A (ko) * 2018-01-03 2019-07-11 지씨테크(주) 리프팅 상태로 인양물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리프팅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9579A (zh) * 2015-11-20 2018-07-17 三星电子株式会社 轮组件和具有该轮组件的机器人清洁器
KR20190083087A (ko) * 2018-01-03 2019-07-11 지씨테크(주) 리프팅 상태로 인양물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리프팅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7761B1 (en) Fastening-type pipe supporting apparatus for curved pipe
JP6723364B2 (ja) 足場用仮設足場板固定装置
JP2014535015A (ja) 建設機械の油圧配管固定装置
KR20140000811U (ko) 허브 플랜지용 리프팅 밴드
JP2016180452A (ja) フランジ補強具
JP4664442B2 (ja) つば出し管用管継手
JP2012210089A (ja) 落下防止具
JP4648959B2 (ja) 鋼管支持具及び鋼管の連結方法
CN203230953U (zh) 一种带垫片卡箍
KR20150001074U (ko) 슬링벨트 보호용 패드
CN209380188U (zh) 一种大口径管道管件组对装置
US20150267855A1 (en) Installation aid for water pipeline repair clamp
TWI649511B (zh) Tube bundle
KR101331816B1 (ko)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EP3631274B1 (en) A device for operation on a pressurized bolt connec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flanged tubulars, corresponding method and corresponding use
KR20070044886A (ko) 풀링 헤드 장치
KR20160004355U (ko) 파이프 설치용 커버 플랜지
JP6254773B2 (ja) 分岐管の閉止装置
JP2013194455A (ja) 斜杭の振れ止め治具
KR200462293Y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JP5389466B2 (ja) 排水管用支持冶具
JP7054518B2 (ja) 離脱防止管継手、及び、管継手の離脱防止方法
JP3179848U (ja) フィラーホルダー
KR20140004157U (ko) 슬링벨트용 리프팅 기구
TW201839304A (zh) 管件固定裝置、防旋轉鏈扣及其連接套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