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66A -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 Google Patents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66A
KR20140000666A KR1020137005642A KR20137005642A KR20140000666A KR 20140000666 A KR20140000666 A KR 20140000666A KR 1020137005642 A KR1020137005642 A KR 1020137005642A KR 20137005642 A KR20137005642 A KR 20137005642A KR 20140000666 A KR20140000666 A KR 2014000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in kinase
disease
compound
oxazolone
kin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266B1 (ko
Inventor
마사코 오카모토
기요시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마 디자인
가부시키가이샤 에누비 켄코우겡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마 디자인, 가부시키가이샤 에누비 켄코우겡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마 디자인
Publication of KR2014000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카세인 키나아제 1δ 그리고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옥사졸론 유도체를 제공한다. 또, 카세인 키나아제 1δ 그리고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을 저해함으로써, 그 저해제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을 제공한다. 특히, 그 저해제는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를 위해 유용한 의약을 제공한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Figure pct00015

[식 (1) 중, X 는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INHIBITOR OF CASEIN KINASE 1δ AND CASEIN KINASE 1ε}
본 발명은 옥사졸론 유도체,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의 활성화가 그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에 관한 것이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 활성화가 그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 중, 특히,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하는),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를 포함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카세인 키나아제 1 은 세린 트레오닌 키나아제 (어느 경우에는 티로신 잔기도 인산화한다) 에 속하고, 포유류에서의 그 이소폼 (isoforms) 으로서 α, β, γ1, γ2, γ3, δ 및 ε 의 7 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 이소폼은 여러 가지의 상이한 기질 단백질을 인산화하고, 그 단백질의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혹은 불활성화하거나 혹은 안정화 혹은 불안정화하거나 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상이한 생체 기능의 조절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포유류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은, 그 구조로서 다른 이소폼과 유사한 키나아제 도메인을 갖는데, N 단말 및 C 단말 도메인에 있어서 다른 이소폼과 상이하다. 즉, C 단말 도메인에는 복수의 자기 인산화 부위가 있어 자기 효소 활성의 조절에 관여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 키나아제 도메인에는, 핵내 이행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배열 (NLS : nuclear location signal) 과 키네신형 도메인 (KHD : kinesin ho㏖ogy domain) 이 존재한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이 생체 리듬 주기 장해에, 또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이 중추 신경 변성 질환에, 또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이 암에, 각각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들 병태에 대한 관여의 상세는 대응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한 기질 단백질 등 상호 작용하는 대상 단백질과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상호 작용의 연구에 있어서 알려지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이 인산화하는 기질 단백질로서 예시한다면, 피리어드 단백질 (Per), 타우 단백질 (tau), p53, 베타 카테닌 (β-catenin) 등을 들 수 있다.
생체 리듬 발생 중핵 장치 (central generator of the circadian rhythm) 로서의 중핵 체내 시계 (the core of the biological clock) 는, 대략 10 종의 이른바 시계 유전자 (clock genes) 라고 불리는 유전자의 상호 작용 네트워크로 이루어진다고 오늘날에는 생각되고 있다. 이들 10 종의 유전자 그룹 중, Per 1, 2, 3 (Period 1, 2, 3) 및 Cry 1, 2 (cryptochrome 1, 2) 및 Bmal 1 (brain and muscle ARNT-like 1) 및 Clock (circadian locomotor output cycles kaput) 은 전사 인자를 코드하고, 또, CK 1δ,ε 은 이들 전사 인자를 인산화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을 코드한다. 이들 시계 유전자의 기능적 이상이 인간을 포함한 각종 동물의 생체 리듬 표현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체내 시계의 분자 기구는 종을 넘어 잘 보존되고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서의 생체 리듬 표현형의 이상에 대해 시계 유전자의 연구를 in vitro 시험에서도 실시할 수 있는 유리성이 있다. Clock 은 체내 시계 상호 작용 네트워크 중 활성화 신호를 발하는 경로를 담당하고, Per 나 Cry 그 밖의 하류 표적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한편, 조절성 신호를 발하는 경로를 담당하는 Per 및 Cry 는 Clock 활성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은 Per 및 Cry 를 인산화함으로써 Per 의 세포질내 분해를 촉진한다. 또, 이들 인산화의 결과는, 이들 전사 인자의 핵내 이행 및 핵내에서의 안정성의 제어에 관여한다. 이와 같이, 생체 내에 있어서의 내재성의 분자 진동 리듬이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포유류에 있어서의 중추 체내 시계는 시상교차상핵 (SCN : suprachiasmatic nucleus) 에 있는데, 이 SCN 체내 시계는 SCN 이외의 중추 및 말초 조직의 유전자 발현 체내 시계와 연동되어 있다.
Per 는 생체 내에 있어서의 생체 리듬 조절 단백질로서 알려져 있다. Per 의 mRNA 및 단백질 레벨은 생체 리듬에 응답하여 진동하고, 체내 시계의 제어에 밀접하게 관여한다. 예를 들어 인간 Per2 인산화 부위 변이 (S662G) 를 갖는 유전자 질환에서는, 카세인 키나아제 1ε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에 의한 인산화의 저하에 수반하여 가족성 수면상 전진 증후군 (FASPS : familial advanced sleep phase syndrome) 이 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은 Per 가 수면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er 의 세포 내 단백질 양의 변화는 카세인 키나아제 1ε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에 의한 인산화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이들 키나아제에 의해 Per 가 인산화되면, 현저하게 단백질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Xu, Y. 등에 의해, 인간 Per2 인산화 부위 변이 (S662G) 트랜스 제닉 마우스에서는 인간에게서 확인되는 FASPS 와 동일한 표현형이 확인되었다는 보고가 이루어져 있는데, 동 연구자들은 또한, 이 트랜스 제닉 마우스와 카세인 키나아제 1δWT (WT : wild type, 야생형)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δ +/- (heterozygous knockout) 마우스의 교잡 마우스에 의한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발현량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이 표현형이 영향을 받아, 야생형에서 확인된 생체 리듬 표현형의 이상이, +/- 마우스에서는 시정되었다고 보고하고, Per2 의 인산화 상황과 인산화에 관여한 카세인 키나아제 1δ 의 관여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비특허문헌 5). 또, Badula, Loi 등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화합물 4-[3-cyclohexyl-5-(4-fluoro-phenyl)-3H-imidazol-4-yl]-pyrimidin-2-ylamine (PF-670462) 을 래트에게 피하 투여함으로써, 생체 리듬의 위상을 유의하게 지연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4). 이와 같이 Per 의 인산화의 상황과 생체 리듬이 관계되어 있고,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저해제는, 생체 리듬을 조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생체 리듬의 위상을 시프트시키거나, 혹은 리셋함으로써 여러 가지 수면 장해를 포함하는 생체 리듬 장해의 치료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PF-670462 를 비롯한 종래의 저해제는, 부작용 발현이 염려되는 키나아제 (예를 들어 p38α 등) 에 대해서도 저해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의약품으로서 완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생체 리듬 장해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고,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수면 장해 치료약으로는, 수면 도입제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 (교대 근무 수면 장해, 제트 래그 증후군, 수면상 전진 증후군 및 수면상 지연 증후군) 등을 개선하는 약물의 완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또 그 밖의 수면 장해 (불면증, 수면 관련 호흡 장해, 중추성과면증, 수면시수반증, 수면 관련 운동 장해) 에 있어서의 생체 리듬의 위상을 시프트시키거나, 혹은 리셋하는 것에 기초한 약물 치료에 대해서도 완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이하에,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과 중추 신경 변성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병과의 관련에 대해 서술한다.
알츠하이머병 병변 부위에 있어서의 타우 단백질의 응집은 병태의 중요한 마커인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이 타우 단백질의 과잉된 인산화가 응집에 중요한 관여를 하고 있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타우 단백질을 인산화하는 후보 키나아제로서 당해 병변 부위에 과잉으로 발현하고 있는 효소인 카세인 키나아제 1 패밀리가 생각되기 때문에, 그 중, 카세인 키나아제 1δ 에 대해 Li, Guibon 등은, HEK-293 세포 발현계를 사용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먼저, 카세인 키나아제 1δ 와 타우 단백질은 in situ 에서 회합하여 직접 카세인 키나아제 1δ 가 타우 단백질을 인산화하는 것, 그리고, 카세인 키나아제 1δ 의 과잉 발현에 의해, 타우 단백질의 in vitro 에서 인산화되는 부위와 동일한 부위의 인산화가 증가하는 것 등을, 비선택적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화합물 3-[(2,3,6-trimethoxy phenyl)methylidenyl]-indolin-2-one (IC261) 을 사용하는 등 하여 나타내고 있다 (비특허문헌 6). 한편, Hanger, Diane P. 등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병변 부위에서 얻어진 매우 인산화되어 응집된, 이른바 불용성 타우 : PHF-tau (paired helical filaments-tau) 및 정상 인간의 그것과의 인산화 부위를 질량 분석에 의해 비교를 실시하고,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병변 부위에 특유의 인산화 부위를 동정 (同定) 함과 함께, 그 인산화 부위의 특징으로부터, 대상 후보 키나아제로서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아제 3β (glycogen synthase kinase 3β) 와 함께 카세인 키나아제 1δ 가 병변 발생 과정에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7).
이하에,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과 중추 신경 변성 질환, 특히 알츠하이머병과의 관련에 대해 추가로 서술한다.
알츠하이머병에 있어서는, 신경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아밀로이드 베타 (amyloid-β : Aβ) 의 축적이 그 병변에 관여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동시에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병변 부위에는 카세인 키나아제 1 의 발현이 증가하고 있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Aβ 는 APP (amyloid precursor protein) 가 베타 세크레타아제 (aspartyl protease β-secretase) 및 간마 세크레타아제 (presenin-dependent protease γ-secretase) 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된다고 생각되고 있기 때문에, Flajolet, Marc 등은, in silico 해석에 의해 이들 APP, 베타 세크레타아제, 간마 세크레타아제의 서브 유닛의 배열 중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는 카세인 키나아제 1 에 의해 공통으로 인산화되는 부위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결과를 참고로 하여, APP 를 안정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N2A 세포 (N2A- APP695 cells) 에 대해 항상 안정적으로 활성 (constitutively active)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을 과잉 발현한 결과, Aβ40 및 Aβ42 의 양이 대조에 비교하여, 각각 약 2 배와 2.5 배가 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이 계에, 비선택적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화합물 IC261 을 첨가했을 때 Aβ40 및 Aβ42 의 양이 저하되었다고 여겨지고, 또한, 다른 2 종의 비선택적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화합물, CKI-7 및 D4476 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고 보고를 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8).
이들 보고 (비특허문헌 6, 7 및 8) 는, 알츠하이머병의 발증에 카세인 키나아제 1, 특히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이 관여하고 있고, 그 효소 활성의 저해에 의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크게 시사하는 것이다.
또,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유전자가 존재한다고 상정되는 제 21 염색체가 다운증 환자의 체세포에서 트리소미 (3 배체) 가 되어 있는 것 등에서, 다운증은,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배경 혹은 발증의 연구 등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 특히, 양자에 공통으로 볼 수 있는 특정한 단백질의 이상 축적은, 그 발증 기전에 관계하는 중요한 병리학적, 생화학적 지표 중 하나라고 생각되고 연구되어 왔다. 실제로, 다운증 환자에게는 중년기 (35 세 전후) 이후에 알츠하이머형 뇌병변이 다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사실은, 다운증을 배경으로 하는 신경 변성 질환에 관해서도, 카세인 키나아제 1, 특히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 활성의 저해에 의해, 다운증을 배경으로 하는 신경 변성 질환의 치료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크게 시사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타우 단백질 혹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저해를 작용점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하는 중추 신경 변성 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본 기전에 기초한 중추 신경 변성 질환의 진행을 방해하는 약물 치료에 대해서도 완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이하에,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과 암, 특히 췌암과의 관련에 대해 서술한다.
카세인 키나아제 1 패밀리는 세포 내의 여러 가지 중요한 생리 활성의 조정에 관여하고 있고, 그 인산화되는 기질 단백질은 다방면에 걸쳐 있다. 예를 들어, 암 억제 인자 p53 및 암 유전자 mdm2 는 모두 암화를 제어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며, 동시에 카세인 키나아제 1 의 기질이기도 하다. 이들 인산화의 상황에 따라 세포의 암화가 항진된다고 생각되고 있는데, 카세인 키나아제 1 의 이소폼 중, 그 중에서도 카세인 키나아제 1ε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에 의한 p53 의 인산화, 및 그 결과로서의 p53 과 mdm2 의 상호 작용의 변화 및 p53 의 안정화와 활성화 등에 대해서 많이 주목되고 있다. 나아가서는, 카세인 키나아제 1ε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가, 세포 분열시의 중심체, 방추체 형성시에 관여하는 조정 단백질에 관여하는 사실, 혹은 TRAIL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 inducing factor) 및 Fas 를 개재하는 아포토시스에 관여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췌관선암 (PDACs :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s) 은 난치성암으로 여겨지는데, Brockschmidt, C. 등은, PDACs 에서는 카세인 키나아제 1ε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가 강하게 발현되고 있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비선택적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화합물 IC261 을 인간 췌암 세포주에 in vitro 에서 첨가한 결과, 그 세포 증식의 억제가 확인되었다. 또 동일하게 췌암 세포주를 마우스의 피하에 이식하고, 비선택적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화합물 IC261 을 투여한 결과, gemcitabine 투여군과 동일하게 유의한 종양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9).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카세인 키나아제 1ε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의 저해에 기초한 항암제로서의 의약은 알려져 있지 않고, 또 특히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본 기전에 기초한 난치성 췌암의 약물 치료에 대해서도 완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10712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10704호
Uwe Knippschild et al., Cellular Signaling, 17, 675-689 (2005) Takashi Ebisawa, J. Pharmacol. Sci., 103, 150-154 (2007) Caroline H. Ko et Jpseph S. Takahashi, Hu. Mol. Genetics, 15(2) R271-R277 (2006) Lori Badura et al, J. Pharmacol. Exp. Therapy, 322, 730-738 (2007) Xu, Y. et al., Cell 128, 59-70 (2007) Li, Guibin et al., J. Biol. Chem., 279(16), 15938-15945 (2004) Hanger, Diane P. Et al., J. Biol. Chem., 282(32), 23645-23654 (2007) Flajolet, Marc et al., Proc. Nat. Acad. Sci., 104(10), 4159-4164 (2007) Brockschmidt, C. et al. : Gut, 57, 799-809 (2008) Mashhoon, Neda et al., J. Biol. Chem., 275(26), 20052-20060 (2000) Rena, Graham, et al., EMBO Rep., 5(1), 60-65, (2004) Godl, Klaus, et al., Proc. Nat. Acad. Sci., 100(26), 15434-15439 (2003) Cozza, Giorgio et al., Bioorg. Medicinal Chem. Lett., 18(20), 5622-5675 (2008) Protein Data Bank [online], <URL : http://www.rcsb.org/pdb/>, ID 번호 ; 2CMW (CK1gamma1), 2C47 (CK1gamma2), 2CHL, 2IZR, 2IZS, 2IZT, 2IZU (CK1gamma3), 1CKI, 1CKJ (CK1delta)
본 발명은 옥사졸론 유도체,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선택적 저해제를 의약상의 유효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생체 내에서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 활성화가 병태의 발생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 활성화가 병태의 발생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 중,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약을 사용한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옥사졸론 유도체 및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그리고 그들 수화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카세인 키나아제 1 이소폼에 대해 비특이적인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작용을 갖는 연구용 시약으로서의 화합물은 알려져 있고, 그 대표적인 화합물을 예로서 들자면, IC261, D4476, SB203580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특허문헌 10, 11 및 12). 이들 화합물은 여전히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충분한 성질을 갖고 있지 않다. 이들 화합물은, 당초 단순하게 카세인 키나아제 1 선택적 저해 작용을 기대한 것으로서, 그 이소폼으로서 카세인 키나아제 1δ 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편, 카세인 키나아제 1ε 선택적 저해 작용을 기대한 결과 얻어진 화합물로서, PF-670462 가 있는데, 이 화합물으로서 다른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작용을 갖고 있고, 우연히 그 중에서, 카세인 키나아제 1δ 에 대한 저해 작용도 갖는 것이 약리학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아낸 것에 불과하다 (비특허문헌 4). 또한 동일하게 카세인 키나아제 1ε 선택적 저해 작용을 표방하는 화합물이 나타나 있는데, 그 이소폼 저해의 선택성에 대한 언급은 애매하다 (특허문헌 1, 2). 또, 대상 단백질의 입체 구조 정보에 기초한 모델을 구축한 다음의 소위 버추얼 스크리닝을 실시한 보고가 있는데, 얻어진 화합물의 작용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를 대상으로 한 저해 작용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것에 그친다 (비특허문헌 13). 즉, 지금까지, 본 발명자들과 같이, 카세인 키나아제 1 에 선택성이 높은 저해 작용으로서, 또한, 그 이소폼 저해의 선택성에 대해서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선택적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이 치료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에 주목하고,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실시한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인산화능에 대한 저해 작용을 갖는 각종 화합물을 알아낼 목적으로, 카세인 키나아제 1δ 를 포함하고 그 밖의 유사 단백질의 입체 구조 정보에 기초한 복합체 모델을 구축한 다음, 시판 화합물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 콘센서스 스코어를 도입한 DOCK4 를 사용한 버추얼 스크리닝을 실시하여 (카세인 키나아제 1δ 의 입체 구조 정보에 대해서는, Protein Data Bank 로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등 이미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4)), 화합물을 좁히는 것을 실시하였다. 이들 화합물을 구입, 혹은 신규로 합성하여, 실제로 생물 활성의 스크리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인산화능에 대한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그 화합물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을 정도로 선택성이 높은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그 화합물이 상기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한 것을 명백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한 저해 작용을 갖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및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그리고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수화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X 는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또는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혹은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또는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혹은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 활성화가 병태의 발생 과정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또는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혹은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약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효소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 방법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그리고 카세인 키나아제 1ε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그 결과,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을 치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것을 약학적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것을 약학적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은, 종래의 카세인 키나아제 1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과 비교하여, 보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해 높은 선택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것을 약학적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에 대해, 기존 화합물과 비교하여 보다 임상적인 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화합물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및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그리고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수화물이다. 그 화합물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한 저해 작용을 갖는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신규로 합성된 것이다. 또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활성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신규 옥사졸론 유도체는, 후술하는 실시예로 나타내는 화학적 합성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및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호변이성체, 기하이성체 (예를 들어, E 체, Z 체 등) 도 포함된다. 또, 경상이성체에 대해서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 염 그리고 수화물로는, 한정은 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플루오로-2-티에닐)-5(4H)-옥사졸론 및 그 허용되는 염 그리고 수화물,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클로로-2-티에닐)-5(4H)-옥사졸론 및 그 허용되는 염 그리고 수화물,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브로모-2-티에닐)-5(4H)-옥사졸론 및 그 허용되는 염 그리고 수화물,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요오드-2-티에닐)-5(4H)-옥사졸론 및 그 허용되는 염 그리고 수화물.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또는 그 약제상 허용되는 염 혹은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그 화합물을 약리학적으로 유효한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가 그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 특히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를 위한 의약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란, "카세인 키나아제 1 델타", Casein Kinase 1 delta", "Casein kinase 1 isoform delta", CK1(-)delta", "CK1d", "HCKID", "Casein Kinase 1 δ", "Casein kinase 1 isoform δ", "CK1(-)δ" 등의 유연명 혹은 별명으로 칭해지는 경우도 있고,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이 공개하고 있는 NCBI Reference Sequences (RefSeq) 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어서, 아미노산 배열로서 등록되어 있는 우기 번호의 NP_001884.2, NP_620693.1, NP_620690.1, NP_082150.1 로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란, 상기 RefSeq 번호 NP_001884.2, NP_620693.1, NP_620690.1, NP_082150.1 로 표현되는 아미노산 배열과 약 6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9 % 의 아미노산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고, 또한, 단백질 인산화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혹은, RefSeq 번호 NP_001884.2, NP_620693.1, NP_620690.1, NP_082150.1 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단백질로는, RefSeq 번호 NP_001884.2, NP_620693.1, NP_620690.1, NP_082150.1 로 표현되는 아미노산 배열 중의 1 또는 몇 개 (바람직하게는, 1 ∼ 30 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개) 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단백질 인산화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세인 키나아제 1ε 는, "카세인 키나아제 1 엡실론", Casein Kinase 1 epsilon", "Casein kinase 1 isoform epsilon", "CK1(-) epsilon", "CK1e", "HCKIE", "Casein Kinase 1 ε", "Casein kinase 1 isoform ε", "CK1(-)ε" 등의 유연명 혹은 별명으로 칭해지는 경우도 있고,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이 공개하고 있는 NCBI Reference Sequences (RefSeq) 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어서, 아미노산 배열로서 등록되어 있는 우기 번호의 NP_001885.1, NP_689407.1, NP_038795.3 으로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란, 상기 RefSeq 번호 NP_001885.1, NP_689407.1, NP_038795.3 으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과 약 60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9 % 의 아미노산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고, 또한, 단백질 인산화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혹은, RefSeq 번호 NP_001885.1, NP_689407.1, NP_038795.3 으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배열을 포함하는 단백질로는, RefSeq 번호 NP_001885.1, NP_689407.1, NP_038795.3 으로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 중의 1 또는 몇 개 (바람직하게는, 1 ∼ 30 개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 개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개) 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혹은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단백질 인산화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이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그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으로는, 한정은 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신경 변성 질환, 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체 리듬 주기 장해란, 한정은 하지 않는데, 기분 장해 및 수면 장해를 포함하고, 그 수면 장해가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로서,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가 교대 근무 수면 장해, 제트 래그 증후군, 수면상 전진 증후군 및 수면상 지연 증후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수면 장해가, 불면증, 수면 관련 호흡 장해, 중추성과면증, 수면시수반증, 수면 관련 운동 장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재된 기분 장해가 억울 장해 또는 쌍극성 장해에서 선택되고, 억울 장해가 대우울증성 장해이며, 또, 기분 장해가 억울 장해 또는 쌍극성 장해에서 선택되고, 쌍극성 장해가 쌍극 I 형 장해 및 쌍극 II 형 장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포함한다. 나아가서는, 예를 들어, 불면증, 수면 관련 호흡 장해, 중추성과면증,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 수면시수반증, 수면 관련 운동 장해나 그 밖의 원인에 의한 수면 장해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불면증으로는, 스트레스 등에 의한 정신 생리성 불면, 내과적 질환에 의한 불면 등을 들 수 있다. 수면 관련 호흡 장해로는, 중추성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 폐색성 수면시 무호흡 증후군, 수면 관련 저환기·저산소혈 증후군 등을 들 수 있다. 중추성과면증으로는 나르콜렙시, 특발성 과면증, 반복성 과면증 등을 들 수 있다.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로는, 교대 근무 수면 장해, 제트 래그 증후군, 수면상 전진 증후군 및 수면상 지연 증후군 등을 들 수 있다. 수면시수반증으로는, 수면시 유행증, 렘수면 행동 장해 등을 들 수 있다. 수면 관련 운동 장해로는 하지불안 증후군, 주기성 사지 운동 장해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신경 변성 질환으로는, 한정은 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중추성 신경 변성 질환으로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운증을 배경으로 하는 신경 변성 질환, 신경의 물리적 손상 (뇌좌상 등의 뇌조직 손상, 두부 외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 손상) 에서 기인되는 신경 변성, 허혈 혹은 허혈재관류 후에 있어서의 신경 손상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뇌허혈, 거미막하 출혈, 동맥류 출혈, 심근경색, 저산소증, 무산소증에 의한 외발작/대뇌허혈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 손상) 신경 변성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췌장에서 발생한 암으로는, 한정은 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췌관암 및 침윤성 췌관암, 췌내분비 종양, 췌관내유두 점액성 종양, 점액성 낭포 종양, 선방세포암, 전이성 췌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외에,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사용해도 된다. 염으로는, 예를 들어, 산성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염 ;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L-글루카민 등의 아민의 염 ; 또는 리신, δ-하이드록시리신,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염기성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광산의 염 ;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파라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염,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산, 옥살산, 숙신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계피산, 락트산, 글리콜산, 글루크론산, 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 살리실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 ; 또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용매화물 혹은 수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은, 유효 성분인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 자체를 투여해도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유효 성분인 상기 물질과 1 또는 2 이상의 제제용 첨가물,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의 유효 성분으로는, 상기 물질의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의약 조성물에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그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대한 다른 의약의 유효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그들 질환 중,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대한 다른 의약의 유효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의약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형으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현탁제, 좌제, 연고, 크림제, 겔제, 첩부제, 흡입제, 주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된다. 또한, 액체 제제에 있어서는, 사용할 때, 물 또는 다른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현탁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 정제, 과립제는 주지된 방법으로 코팅해도 된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조제되는데, 필요에 따라 생리 식염수 혹은 포도당 용액에 용해시켜도 되고, 또 완충제나 보존제를 첨가해도 된다.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의 임의의 제제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과립제, 세립제, 산제, 경캡슐제, 연캡슐제, 시럽제, 유제, 현탁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의 경구 투여용 의약 조성물, 정맥내 투여용, 근육내 투여용, 혹은 피하 투여용 등의 주사제, 점적제, 경피흡수제, 경점막 흡수제, 점비제, 흡입제, 좌제 등의 형태의 비경구 투여용 의약 조성물로서 조제할 수 있다. 주사제나 점적제 등은, 동결 건조 형태 등의 분말상의 제형으로서 조제하고, 사용할 때에 생리 식염수 등의 적당한 수성 매체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고분자 등으로 피복한 서방 제제를 뇌 내에 직접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제용 첨가물의 종류, 유효 성분에 대한 제제용 첨가물의 비율, 또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제용 첨가물로는 무기 또는 유기 물질, 혹은 고체 또는 액체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유효 성분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90 중량% 사이에서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같은 물질의 예로서, 유당, 포도당, 만니트,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전분, 자당,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합성 규산알루미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이온 교환 수지,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경질 무수 규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탤크, 트라가칸트, 벤토나이트, 비검, 산화티탄,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지방산글리세린에스테르, 정제 라놀린, 글리세로젤라틴, 폴리소르베이트, 매크로골, 식물유, 납, 유동 파라핀, 백색 바셀린, 플루오로카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프로필렌글루콜, 물 등을 들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고형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과 부형제 성분, 예를 들어 유당,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락트산칼슘, 무수 규산 등과 혼합하여 산제로 하거나, 또한 필요에 따라 백당,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의 붕괴제 등을 첨가하여 습식 또는 건식 조립 (造粒) 하여 과립제로 한다.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들 산제 및 과립제를 그대로 혹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탤크 등의 활택제를 첨가하여 타정하면 된다. 이들 과립 또는 정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메틸 폴리머 등의 장용제 기제로 피복하여 장용제 제제, 혹은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나우바납, 경화유 등으로 피복하여 지속성 제제로 할 수도 있다. 또, 캡슐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산제 또는 과립제를 경캡슐에 충전하거나, 유효 성분을 그대로 혹은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참기름, 올리브유 등에 용해한 후 젤라틴막으로 피복하여 연캡슐로 할 수 있다.
주사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을 필요에 따라 염산, 수산화나트륨, 유당, 락트산, 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등의 pH 조정제, 염화나트륨, 포도당 등의 등장화제와 함께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무균 여과하여 앰플에 충전하거나, 또한 만니톨,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젤라틴 등을 첨가하여 진공 동결 건조하고, 사용 용해형의 주사제로 해도 된다. 또, 유효 성분에 레티신,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을 첨가하여 수 중에서 유화시켜 주사제용 유제로 할 수도 있다.
직장 투여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을 카카오지, 지방산의 트리, 디 및 모노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좌제용 기재와 함께 가습하여 용해하고 형 (型) 에 흘려 넣어 냉각하거나, 유효 성분을 폴리에틸렌글리콜, 대두유 등에 용해한 후, 젤라틴막으로 피복하면 된다.
피부용 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을 백색 바셀린, 밀랍, 유동 파라핀,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첨가하여 필요하면 가습하고 반죽하여 연고제로 하거나, 로신,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중합체 등의 점착제와 반죽한 후 폴리알킬 등의 부직포에 전연하여 테이프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치료 대상 질환의 악화·진전의 방지 및/또는 치료의 목적, 질환의 종류, 환자의 체중이나 연령 등의 조건에 따라, 의사의 판단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경구 투여에 있어서의 성인 하루당의 투여량은 0.01 ∼ 1000 ㎎ (유효 성분 중량) 정도이며, 하루 1 회 또는 몇 회로 나누어, 혹은 몇일마다 투여할 수 있다. 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인에 대해 하루량 0.001 ∼ 100 ㎎ (유효 성분 중량) 을 연속 투여 또는 간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은 식입정 및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된 송달 시스템 등의 서방성 제제로서, 체내로부터 즉시 제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담체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아세트산염, 폴리산무수물, 폴리글리콜산, 콜라겐,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락트산 등의, 생물 분해성, 생물 적합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또, 리포솜의 현탁액도 약제적으로 수용 가능한 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리포솜은, 한정은 하지 않는데, 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및 PEG 유도 포스파티딜에탄올 (PEG-PE) 을 포함하는 지질 조성물로서, 사용에 적합한 사이즈가 되도록, 적당한 포아 사이즈의 필터를 통과하여 조제되고, 역상 증발법에 의해 정제된다.
본 발명의 의약은, 의약 조성물로서 키트의 형태로, 용기, 팩 중에 투여 설명서와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약제 조성물이 키트로서 공급되는 경우, 그 약제 조성물 중 상이한 구성 성분이 개개의 용기 중에 포장되고, 사용 직전에 혼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 성분을 개개로 포장하는 것은, 활성 구성 성분의 기능을 잃지 않고 장기간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키트 중에 포함되는 시약은, 구성 성분이 활성을 장기간 유효하게 지속하고, 용기의 재질에 따라 흡착되지 않고, 변질을 받지 않는 어느 종류의 용기 중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봉착된 유리 앰플은, 질소 가스와 같은 중성으로 부반응성 가스하에서 포장된 버퍼를 포함한다. 앰플은 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등의 유기 폴리머, 세라믹, 금속, 또는 시약을 유지하기 위해서 통상 사용되는 다른 어느 적절한 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다른 적절한 용기의 예로는, 앰플 등의 유사 물질로 만들어지는 간단한 보틀, 및 내부가 알루미늄 또는 합금 등의 호일로 배킹된 포장재가 포함된다. 다른 용기에는, 시험관, 바이알, 플라스크, 보틀, 시린지, 또는 그 유사물이 포함된다. 용기는, 피하용 주사 바늘로 관통 가능한 스토퍼를 갖는 보틀 등의 무균의 액세스 포트를 갖는다.
또, 키트에는 사용 설명서도 첨부된다. 당해 의약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키트의 사용 설명은, 종이 또는 다른 재질 상에 인쇄되고, 및/또는 플로피 (등록상표) 디스크, CD-ROM, DVD-ROM, Zip 디스크,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 테이프 등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공급되어도 된다. 상세한 사용 설명은, 키트 내에 실제로 첨부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키트의 제조자 또는 분배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또는 전자 메일 등으로 통지되는 웹 사이트에 게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 또는 의약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대상의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그 병태에 관련하여 발병하는 질환 또는 질병으로 이환된 포유 동물의 그 질환에 관한 치료 방법이 포함된다.
여기서 「치료」란, 질환에 이환될 우려가 있거나 또는 이환된 포유 동물에 있어서, 그 질환의 병태의 진행 및 악화를 저지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이로 인하여 그 질환의 제증상 등의 진행 및 악화를 저지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적 처치의 의미로서 사용된다.
또, 「질환」이란,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 전반을 의미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불면증, 수면 관련 호흡 장해, 중추성과면증,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 수면시수반증, 수면 관련 운동 장해 등을 포함하고, 생체 리듬 주기 장해의 수면 장해가 생체 리듬성 수면 장해로서, 교대 근무 수면 장해, 제트 래그 증후군, 수면상 전진 증후군 및 수면상 지연 증후군을 포함하고, 생체 리듬 주기 장해의 기분 장해가 억울 장해 또는 쌍극성 장해를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운증을 배경으로 하는 신경 변성 질환, 뇌혈관 장해에서 기인되는 중추 신경 변성 질환, 또한, 암종을 특정하지 않는 암 전반, 및 특히 췌장 유래의 암으로서, 췌관암, 침윤성 췌관암, 췌내분비 종양, 췌관내유두 점액성 종양, 점액성 낭포 종양, 선방세포암, 전이성 췌암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치료의 대상은, 「포유 동물」로, 포유류로 분류되는 임의의 동물을 의미하며, 특별히 한정은 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인간 이외, 개, 고양이, 토끼 등의 애완 동물, 소, 돼지, 양, 말 등의 가축 동물 등의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포유 동물」은 인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예에 의해 설명하는데, 이들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플루오로-2-티에닐)-5(4H)-옥사졸론
[화학식 2]
Figure pct00002
티오펜 고리에 플루오로기를 도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일본 특허출원 2009-245477호의 실시예에 예시한 합성 방법과 비교하여 많은 합성 단계를 포함하는 이하의 스킴 1 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합성을 시도한 결과, 제조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또한,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합성 방법은, 스킴 1 에 나타내는 공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제 1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5-니트로-2-티오펜카르보니트릴 3.0 g (화합물 3, 19.5 m㏖), 불화칼륨 5.66 g (9.75 m㏖), 테트라페닐포스포늄브로마이드 0.82 g (1.95 m㏖), 술포란 70 ㎖, 이염화프탈로일 2.81 ㎖ (19.5 m㏖) 를 순차 첨가하고, 내온 180 ℃ 에서 2 시간 과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 300 ㎖ 를 첨가하여, 디에틸에테르 200 ㎖ 로 3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1N 수산화나트륨 200 ㎖ 로 2 회, 물 200 ㎖, 포화 식염수 100 ㎖ 로 순차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펜탄/디에틸에테르=2/1) 로 정제를 실시하여, 화합물 4 를 150 ㎎ 얻었다.
<제 2 공정> 나스형 플라스크에 화합물 4 138 ㎎ (1.07 m㏖), 1N 수산화나트륨 5 ㎖ 를 첨가하여, 2 시간 외부 온도 100 ℃ 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 5 ㎖ 를 첨가하고, 1N 염산 10 ㎖ 를 첨가하여 pH=1 로 하고, 디클로로메탄 30 ㎖ 로 2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화합물 5 를 110 ㎎ 얻었다.
<제 3 공정> 나스형 플라스크에 화합물 5 100 ㎎ (0.68 m㏖), 염화티오닐 3 ㎖, 포름아미드 50 ㎕ 를 첨가하여, 2 시간 외부 온도 100 ℃ 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염화티오닐을 감압 제거하고 추가로 톨루엔으로 2 회 공비시켜, 화합물 6 을 정량적으로 112 ㎎ 얻었다.
<제 4 공정> 나스형 플라스크에 글리신 51 ㎎ (0.68 m㏖), 6N 수산화나트륨 1 ㎖ 를 첨가하여 빙랭하 교반하고, 화합물 6 의 디에틸에테르 용액 5 ㎖ 를 첨가하여, 3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빙랭하고, 물 10 ㎖ 를 첨가하고, 1N 염산 10 ㎖ 를 첨가하여 pH=1 로 하고, 디클로로메탄 30 ㎖ 로 3 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포화 식염수 30 ㎖ 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화합물 7 을 24 ㎎ 얻었다.
<제 5 공정> 나스형 플라스크에 화합물 7 21.7 ㎎ (0.107 m㏖), 무수 아세트산 200 ㎕, 피리딘 65 ㎕ 를 첨가하여, 1 시간 외부 온도 100 ℃ 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분취 박층 크로마토그래프 (톨루엔/디에틸에테르=5/1) 로 정제하여, 화합물 2 를 14 ㎎ (0.046 m㏖, 총 수율 0.3 %) 얻었다.
MALDI-TOFF MS 계산값 C14H9FN2O3S, 304.03, 실측값, 304.23
또한, 화합물 2 를 합성하기 위한 공정 중, 제 1 공정에서의 티오펜 고리에 대한 플루오로기 도입이 매우 곤란하여, 총 수율 및 순도는 낮은 것이었다. 그 결과, 최종 생성물인 화합물 2 의 순도가 낮아 확도가 높다고는 할 수 없는데, 브루커사 제조 핵자기 공명 장치 AV-500 (500 MHz) 을 사용하여 DMSO-d6 에 화합물 2 를 용해함으로써 관측된 피크에 대해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상기 서술한 스킴 1 에 나타낸 방법으로,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었는데, 생성물의 순도가 낮은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다른 합성 방법도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스킴 2 의 방법에 의해, 생성물의 총 수율 및 순도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5
<제 1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5-플루오로티오펜카르복실산 1.00 g (순도 95 %, 5.91 m㏖), 염화티오닐 1 ㎖ (13.8 m㏖), 벤젠 10 ㎖ 를 첨가하여 2 시간 배스 온도 105 ℃ 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염화티오닐을 증류로 제거, 또한 벤젠, 사염화탄소로 공비시켜, 갈색 유상물을 얻었다. 별도 준비한 3 구 플라스크에 글리신 621.0 ㎎ (8.27 m㏖), 0.5N 수산화나트륨 30 ㎖ 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먼저 얻은 갈색 유상물을 첨가하여, 1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빙욕에서 냉각하고, 6N 염산 1 ㎖ 를 첨가하여 석출한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냉수 30 ㎖ 로 세정하였다. 고형물 중의 물을 아세톤으로 공비 제거한 후, 실온에서 감압 건조하여 화합물 9 를 432.3 ㎎ (2.13 m㏖, 36.0 %)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생성물의 HPLC 분석에 있어서 용리 시간 9.04 분, 순도는 90 % 였다.
<제 2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9 를 100 ㎎ (순도 90.0 %, 0.44 m㏖), 6-메톡시-3-피리딘카르보알데히드 80.9 g (0.59 m㏖), 무수 아세트산 102 ㎕ (1.08 m㏖), 피리딘 100 ㎕ (1.24 m㏖) 를 첨가하여 15 분 오일 배스 100 도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4 ℃ 에서 냉각하고, 석출한 고형물을 에탄올 5 ㎖ 에 녹여, 불용물을 여과 채취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에탄올로 세정하여, 화합물 2 를 40.1 ㎎ (0.13 m㏖, 29.5 %) 황색 고체로 얻었다.
화합물 2 의 HPLC 순도 (254 ㎚ 흡수 파장) 는 98.7 % 였다. 화합물 2 를 HPLC/ESI-LIT-TOF MS 장치 (NanoFrontier LD)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m/z=355.0, 356.0 [M+ CH4O-H]- 가 확인되었다. 또, 화합물 2 를 브루커사 제조 핵자기 공명 장치 AV-500 (500 MHz) 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관측된 피크에 대해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이번에 얻어진 화합물 2 는 HPLC 순도 98.7 %, 질량 분석 및 NMR 스펙트럼 패턴으로부터도, 화합물 2 의 생성이 지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킴 2 의 합성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스킴 1 의 경우와 비교하여, 총 공정수를 5 에서 3 으로 삭감할 수 있었던 것에 더하여, 총 수율은 약 7 배, 최종 생성물인 화합물 2 의 순도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었다. 이들로부터, 화합물의 안정 공급에 대한 가능성도 넓어졌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2]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클로로-2-티에닐)-5(4H)-옥사졸론
[화학식 5]
Figure pct00007
식 (2) 로 나타내는 플루오로기를 도입한 화합물과 함께, 식 (11) 로 나타내는 클로로기를 도입한 화합물에 대해서도 제조를 실시하였다. 또한, 식 (11) 로 나타내는 클로로기를 도입한 화합물의 합성 방법은, 스킴 3 에 나타내는 공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8
<제 1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5-클로로티오펜카르복실산 1.00 g (6.15 m㏖), 염화티오닐 1 ㎖ (13.8 m㏖), 벤젠 10 ㎖ 를 첨가하여, 2 시간 배스 온도 105 ℃ 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여, 염화티오닐을 증류로 제거하고, 추가로 벤젠, 사염화탄소로 공비시켜, 갈색 유상물을 얻었다.
별도 준비한 3 구 플라스크에 글리신 323.2 ㎎ (4.31 m㏖), 0.5N 수산화나트륨 15 ㎖ 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먼저 얻은 갈색 유상물을 첨가하여, 1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빙욕에서 냉각하고, 6N 염산 1 ㎖ 를 첨가하여 석출한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냉수 30 ㎖ 로 세정하였다. 고형물을 실온에서 감압 건조하여 화합물 13 을 386.2 ㎎ (1.76 m㏖, 53 %)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생성물의 HPLC 분석에 있어서 용리 시간 10.06 분, 순도는 99.5 % 이상이었다.
<제 2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3 을 100 ㎎ (0.46 m㏖), 6-메톡시-3-피리딘카르보알데히드 73.9 g (0.54 m㏖), 무수 아세트산 102 ㎕ (1.08 m㏖), 피리딘 48 ㎕ (0.59 m㏖), 1,4-디옥산 1 ㎖ 를 첨가하여, 15 분 오일 배스 100 도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4 ℃ 에서 냉각하여, 석출한 고형물을 에탄올 5 ㎖ 에 녹여, 불용물을 여과 채취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에탄올로 세정하여, 화합물 11 을 10.1 ㎎ (0.031 m㏖, 6.0 %) 황색 고체로 얻었다.
화합물 11 의 HPLC 순도 (254 ㎚ 흡수 파장) 는 99.5 % 였다. 화합물 11 을 HPLC/ESI-LIT-TOF MS 장치 (NanoFrontier LD)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m/z=351.0, 352.0 [M+ CH4O-H]- 가 확인되었다. 또, 화합물 11 을 브루커사 제조 핵자기 공명 장치 AV-500 (500 MHz) 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관측된 피크에 대해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이번에 얻어진 화합물 11 은 HPLC 순도 99.5 % 이상, 질량 분석 및 NMR 스펙트럼 패턴으로부터도, 화합물 2 의 생성이 지지된다.
[실시예 3]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브로모-2-티에닐)-5(4H)-옥사졸론
[화학식 7]
Figure pct00010
식 (2) 로 나타내는 플루오로기를 도입한 화합물과 함께, 식 (14) 로 나타내는 브로모기를 도입한 화합물에 대해서도 제조를 실시하였다. 또한, 식 (14) 로 나타내는 브로모기를 도입한 화합물의 합성 방법은, 스킴 4 에 나타내는 공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11
<제 1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5-브로모티오펜카르복실산 1.00 g (4.83 m㏖), 염화티오닐 5 ㎖ (68.9 m㏖), 벤젠 4 ㎖ 를 첨가하여, 2 시간 배스 온도 105 ℃ 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여, 염화티오닐을 증류로 제거, 추가로 벤젠, 사염화탄소로 공비시켜, 갈색 유상물을 얻었다.
별도 준비한 3 구 플라스크에 글리신 412.9 ㎎ (5.80 m㏖), 6N 수산화나트륨 5 ㎖ 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먼저 얻은 갈색 유상물을 첨가하여, 1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빙욕에서 냉각하고, 6N 염산 1 ㎖ 를 첨가하여 석출한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냉수 30 ㎖ 로 세정하였다. 고형물 중의 물을 아세톤으로 공비 제거한 후, 실온에서 감압 건조하여 화합물 16 을 492.6 ㎎ (0.19 m㏖, 39.0 %)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생성물의 HPLC 분석에 있어서 용리 시간 10.39 분, 순도는 99.7 % 였다.
<제 2 공정> 3 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16 을 242.7 ㎎ (0.92 m㏖), 6-메톡시-3-피리딘카르보알데히드 138.1 ㎎ (1.01 m㏖), 무수 아세트산 1 ㎖ (10.6 m㏖), 피리딘 350 ㎕ (1.24 m㏖) 를 첨가하여, 15 분 오일 배스 100 도에서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4 ℃ 에서 냉각하고, 석출한 고형물을 에탄올 5 ㎖ 에 녹여, 불용물을 여과 채취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에탄올로 세정하여, 화합물 14 를 32.2 ㎎ (0.088 m㏖, 10.0 %) 황색 고체로 얻었다.
화합물 14 의 HPLC 순도 (254 ㎚ 흡수 파장) 는 95.8 % 였다. 화합물 14 를 HPLC/ESI-LIT-TOF MS 장치 (NanoFrontier LD) 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m/z=m/z=396.9, 397.9 [M+ CH4O-H]- 가 확인되었다. 또, 화합물 14 를 브루커사 제조 핵자기 공명 장치 AV-500 (500 MHz) 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관측된 피크에 대해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이번에 얻어진 화합물 14 는 HPLC 순도 95.8 %, 질량 분석 및 NMR 스펙트럼 패턴으로부터도, 화합물 14 의 생성이 지지된다.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11), 식 (14) 에 나타내는 화합물과, 식 (2) 의 티오펜 고리에 할로겐기 등을 도입하고 있지 않은 화합물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2-티에닐)-5(4H)-옥사졸론) 의 DMSO 용액에 대한 용해성을 비교하였다. 식 (2) 의 화합물 및 식 (11), 식 (14) 의 화합물은, 각각 최종 농도 35 mM, 10 mM, 20 mM 에 있어서 용이하게 용해하였다. 한편, 티오펜 고리에 할로겐기 등을 도입하고 있지 않은 화합물에서는 최종 농도 10 mM 에 있어서는 격렬하게 교반함으로써 용해하였다. 이것에 의해, 식 (2) 및 식 (11), 식 (14) 의 화합물이, 종래 기술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선택적 저해제와 비교하여 용해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었다.
[실험예]
1. 옥사졸론 유도체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작용
당해 화합물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활성은, 인간 리컴비넌트 카세인 키나아제 1δ (INVITROGEN 사 Cat No.PV3665) 혹은, 인간 리컴비넌트 카세인 키나아제 1ε (INVITROGEN 사 Cat No.PV3500) 을 효소원으로서 사용하고, Z'-LYTE Ser/Thr 11 Peptide (INVITROGEN 사 Cat No.PV3671) 를 인산화 기질로서 측정하였다. 저해 활성 측정 어세이시의 조성 (최종 농도) 은 하기와 같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의 어세이
카세인 키나아제 1δ 3.0 ㎍/㎖, 혹은 1.0 ㎍/㎖, 당해 화합물 0.3 ㎍/㎖, Peptide 1.0 μM, ATP 20 μM, HEPES (pH 7.4) 50 mM, MgCl2 10 mM, Brij-35 0.01 %, DMSO 0.5 %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어세이
카세인 키나아제 1ε 0.5 ㎍/㎖, 당해 화합물 0.3 ㎍/㎖, Peptide 1.0 μM, ATP 20 μM, HEPES (pH 7.4) 50 mM, MgCl2 10 mM, Brij-35 0.01 %, DMSO 0.5 %
미리 당해 화합물과 효소를 15 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2 시간 후의 잔존하는 인산화 활성을, Z'-LYTE Kinase Assay kit-Ser/Thr 11 Peptide (INVITROGEN 사 Cat No.PV367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는 경우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효소의 인산화 활성에 대한, 당해 화합물에 의한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상기에 나타내는 스킴 1 에 의해 얻어진 식 (2) 의 화합물은 순도가 낮았는데, 상기 서술한 조건하에서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해 유의한 저해 활성이 확인되었다. 스킴 2 에 의해 얻어진 고순도의 식 (2) 의 화합물, 및 식 (11), 식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인 키나아제 1δ,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해 높은 효소 저해 활성이 보였다.
Figure pct00013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화합물의 각종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특이성은, Profiler Pro kit (캐리펄라이프 사이엔스사 제조) 를 사용하고, 첨부 서류의 방법에 따라 조사할 수 있다. 식 (2), (11) 그리고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0 μM, 1 μM, 혹은 0.1 μM 가 최종 농도가 되도록 각종 키나아제와 15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효소 활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효소 저해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 등의 부작용 발현이 염려되는 각종 키나아제 (MAPKAPK2, AurA, PKCζ, RSK1, PRAK, Erk1, PKD2, CHK1, ABL, FYN, LYN, CHK2, MET, LCK, SRC, GSK3β, Erk2, PKA, AKT2, INSR, p38α, AKT1, MSK1, PKCβ2, ROCK2, CDK2, MST2, PKG1α, PAK2, IGF1R, FGFR1, MARK1, CAMK2δ, PIM2, BTK, c-TAK1, CAMK4, AMPK, FLT3, HGK, VEGFR2, KDR, c-RAF, p70S6K, IRAK4, SGK1, SYK) 에 대한 유의한 저해 활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당해 화합물이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에 대해서 보다 선택성이 높은 저해 화합물인 것을 나타낼 수 있었다.
한편, 식 (2), (11) 그리고 (1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Profiler Pro kit (캐리펄라이프 사이엔스사 제조) 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과 비교하여 저해 효과는 약하기는 하지만, Dual specificity tyrosine-phosphorylation-regulated kinase 1A (DYRK1A) 에 대해 화합물 농도 1μM 을 첨가함으로써, 효소 활성을 각각 65 %, 78 %, 85 % 저해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DYRK1A 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와 동일하게, 타우 단백질을 인산화하는 후보 키나아제 그리고 생체 리듬 주기를 제어하는 키나아제로서 알려져 있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과 DYRK1A 를 각각 저해함으로써, 당해 화합물은 보다 효과적인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치료약, 신경 변성 질환 치료약이 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성에 대해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화합물의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치료에 대한 유효성은, 이하의 동물 모델로 증명할 수 있다. 즉, 래트를, 12 시간 명기 : 12 시간 암기의 명암 (light/dark : LD) 조건에 1 주간 이상 순화시킨다. 암기 직전에 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용해 보조제와 혼합하여, 60 ㎎/kg 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였다. 투여 직후부터 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투여한 래트에서는, 화합물 미처치 래트와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한 행동량의 저하 및 논렘 수면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한편, 식 (2) 의 티오펜 고리에 할로겐기 등을 도입하고 있지 않은 화합물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2-티에닐)-5(4H)-옥사졸론)) 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의한 행동량의 저하 및 논렘 수면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티오펜 고리에 할로겐기 등을 도입하고 있지 않은 화합물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2-티에닐)-5(4H)-옥사졸론)) 보다도 보다 비약적으로 약효가 향상되었다. 식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치료에 대해 유효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당해 화합물의 타우를 기질로 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저해 활성은, 인간 리컴비넌트 카세인 키나아제 1δ (Carna Biosciences 사 Cat No. 03-103) 를 효소원으로서 사용하고, 인간 리컴비넌트 타우 (시그마 알드리치사 Cat No. T0576) 를 인산화 기질로서 조사할 수 있다. 저해 활성 검출 어세이시의 조성 (최종 농도) 은 하기와 같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25 ㎍/㎖, 타우 10 ㎍/㎖, 당해 화합물 (25 μM ∼ 1 μM), ATP 200 μM, HEPES (pH 7.4) 50 mM, MgCl2 10 mM, Brij-35 0.01 %, Na3VO4 200 μM, DMSO 0.25 %
미리 당해 화합물과 효소를 15 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타우를 첨가하여 2 시간 인산화 반응을 실시한다. 인산화 반응 후의 반응액을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고, PVDF 막 상에 전사한 인간 리컴비넌트 타우의 인산화를 Phos-tag (나드사 Cat No. BTL-104) 를 사용하여 화학 발광법 (ECL Plus, GE 헬스케어사 Cat No. RPN2132) 에 의해 검출한다. 인산화 반응 검출 후의 PVDF 막은, Phos-tag 의 프로토콜에 따라 탈프로브를 실시한 후, 항체 반응에 따라 전체 타우 단백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일차 항체로서 항타우 항체 (DAKO Cytomation 사, Cat No. A0024) 와 반응시킨 후, IR Dye 680 LT 표지 염소 항 토끼 2 차 항체 (LI-COR 사, Cat No. 926-68021) 와의 반응을 실시하고, 적외 형광을 검출하여 전체 타우 단백질의 시그널로 한다.
화학 발광에 의한 인산화 반응 검출과, 적외 형광에 의한 전체 타우 단백질의 검출에는, 각각 Typhoon (아마샴 바이오 사이언스사, 모델 9400) 과 Odyssey (LI-COR 사, 모델 9120) 를 사용하여, 전체 타우 단백질의 시그널 강도에 대한 인산화 타우의 시그널 강도의 비를 구하여 이것을 타우의 인산화율로 한다.
이 인산화율을, 당해 화합물의 비첨가 반응액과 첨가 반응액으로 비교한 결과, 식 (2),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첨가한 반응액에 있어서, 기질의 인산화에 유의한 저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식 (2), (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알츠하이머병 등) 에 있어서의 병적인 과잉의 타우의 인산화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화합물의 중추 신경 변성 질환의 유효성은, 이하의 동물 모델로 증명할 수 있다. 신경원 섬유 변화를 나타내는 변이 타우 단백질을 뇌 내에 과잉으로 발현하는 트랜스 제닉 마우스를 사용하여, 저해 화합물을 혼이 혹은 음수에 의해 장기 투여한다. 비투여군과 비교하여 시냅스 소실, 신경 탈락이 일어나는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병리학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증명할 수 있다.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 화합물의 췌암의 유효성은, 이하의 동물 모델로 증명할 수 있다. 즉, 인간 췌장암의 세포주를 in vitro 에서 약 500 만개 배양한 후, SCID 마우스의 배면에 피하 주사한다. 14 일 후부터, 저해 화합물을, 용해 보조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와 혼합하여, 경구 혹은 복강 투여한다. 피하의 종양 사이즈를 경일적으로 관찰한다. 추가로 투여 후 10 일째에, 피하로부터 종양을 적출하고, 종양 중량을 계측함으로써 저해제의 유효성을 증명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및 그 저해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은,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카세인 키나아제 1ε 의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련되어 있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의 개발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특히, 생체 리듬 주기 장해 (수면 장해를 포함한다), 중추 신경 변성 질환, 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의 개발에 크게 공헌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옥사졸론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pct00014

    [식 (1) 중, X 는 할로겐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플루오로-2-티에닐)-5(4H)-옥사졸론,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클로로-2-티에닐)-5(4H)-옥사졸론,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브로모-2-티에닐)-5(4H)-옥사졸론,
    4-((6-메톡시-3-피리디닐)메틸렌)-2-(5-요오드-2-티에닐)-5(4H)-옥사졸론 중 어느 하나인 옥사졸론 유도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옥사졸론 유도체,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옥사졸론 유도체,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1ε 의 효소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수면 장해를 포함하는 생체 리듬 주기 장해인 의약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신경 변성 질환인 의약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암인 의약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옥사졸론 유도체, 혹은 그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 혹은 그들의 수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카세인 키나아제 1δ 혹은 1ε 의 효소 활성화 기전이 병태에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수면 장해를 포함하는 생체 리듬 주기 장해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신경 변성 질환인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암인 방법.
KR1020137005642A 2010-08-09 2011-08-08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KR101856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8549 2010-08-09
JP2010178549 2010-08-09
PCT/JP2011/068034 WO2012020726A1 (ja) 2010-08-09 2011-08-08 カゼインキナーゼ1δ及びカゼインキナーゼ1ε阻害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66A true KR20140000666A (ko) 2014-01-03
KR101856266B1 KR101856266B1 (ko) 2018-05-09

Family

ID=4556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642A KR101856266B1 (ko) 2010-08-09 2011-08-08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10231B2 (ko)
EP (1) EP2604606B1 (ko)
JP (1) JP5181156B2 (ko)
KR (1) KR101856266B1 (ko)
CN (2) CN103097380B (ko)
AU (1) AU2011290238B8 (ko)
CA (1) CA2807359C (ko)
HK (2) HK1183874A1 (ko)
IL (1) IL224612A (ko)
RU (1) RU2562833C2 (ko)
WO (1) WO2012020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0231B2 (en) * 2010-08-09 2014-04-29 Pharmadesign, Inc. Inhibitor of casein kinase 1delta and casein kinase 1E
TWI823960B (zh) * 2018-07-05 2023-12-01 德商拜耳廠股份有限公司 經取代之噻吩甲醯胺及類似物
WO2020049190A1 (en) * 2018-09-09 2020-03-12 Qanatpharma Gmbh Use of casein kinase 1 inhibitors for treating vascular diseases
US20230053307A1 (en) * 2021-07-19 2023-02-16 Buddhist Tzu Chi Medical Foundation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9508B1 (fr) 2001-01-12 2005-01-21 Sod Conseils Rech Applic Derives de 2-arylimino-2, 3-dihydorthiazoles,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therapeutiques
FR2796643B1 (fr) 1999-07-22 2005-04-29 Sod Conseils Rech Applic Derives de 2-arylimino-2, 3-dihydrothiazoles,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therapeutique
IL159086A0 (en) 2001-06-08 2004-05-12 Cytovia Inc 3-aryl-5-aryl- [1, 2, 4] -oxadi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MY140489A (en) * 2003-12-26 2009-12-31 Eisai R&D Man Co Ltd 1,2-di (cyclic) substituted benzene compounds
PE20051089A1 (es) * 2004-01-22 2006-01-25 Novartis Ag Derivados de pirazolo [1,5-a] pirimidin-7-il-amina como inhibidores de quinasa de proteina
JO2629B1 (en) 2004-08-19 2012-06-24 افينتيس فارما سوتيكالز انك Branched carboxylic acid amides containing thienobirol, carboxylic acid amides containing pyrolithiazole, and the like as kinase inhibitors casein epsilon
DK1791537T3 (da) * 2004-08-19 2010-03-01 Aventis Pharma Inc 3-arylthioindol-2-carboxamidderivater og analoger deraf som inhibitorer af casein-kinase
US7531539B2 (en) * 2006-08-09 2009-05-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FR2918986B1 (fr) * 2007-07-19 2009-09-04 Sanofi Aventis Sa Derives de 6-cycloamino-3-(pyridazin-4-yl)imidazo[1,2-b]- pyridazi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JP2009245477A (ja) 2008-03-28 2009-10-22 Hoya Corp 垂直磁気記録媒体
US9018238B2 (en) 2009-02-12 2015-04-28 Pharmadesign, Inc. Inhibitor of casein kinase 1δ and casein kinase 1ε
US8710231B2 (en) * 2010-08-09 2014-04-29 Pharmadesign, Inc. Inhibitor of casein kinase 1delta and casein kinase 1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4606A4 (en) 2013-08-07
CA2807359C (en) 2020-07-07
AU2011290238B8 (en) 2015-09-03
CN103097380A (zh) 2013-05-08
RU2013107659A (ru) 2014-09-20
EP2604606A1 (en) 2013-06-19
HK1183874A1 (en) 2014-01-10
US8710231B2 (en) 2014-04-29
HK1211926A1 (en) 2016-06-03
WO2012020726A1 (ja) 2012-02-16
CN103097380B (zh) 2015-06-03
IL224612A (en) 2016-05-31
EP2604606B1 (en) 2014-10-08
RU2562833C2 (ru) 2015-09-10
JPWO2012020726A1 (ja) 2013-10-28
CA2807359A1 (en) 2012-02-16
AU2011290238B2 (en) 2014-07-17
AU2011290238A1 (en) 2013-03-21
KR101856266B1 (ko) 2018-05-09
US20130137730A1 (en) 2013-05-30
CN104803997A (zh) 2015-07-29
JP5181156B2 (ja)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7996B2 (ja) Tead転写因子自己パルミトイル化阻害剤
TWI382984B (zh) 雜環化合物
JP2021001186A (ja) 黒色腫の治療のための組合せ医薬
TWI434842B (zh) Azole compounds
JP5747142B2 (ja) Dyrkを阻害する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6073377B2 (ja) Gsk−3阻害剤としての新規チアジアゾリジンジオン
EA026385B1 (ru) Конденсированные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модуляторов ионных каналов
BR112020026062A2 (pt) derivados de benzodiazepina,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o tratamento de comprometimento cognitivo
BR112014018655B1 (pt) Composto de 1h-indazol-3-carboxamida,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TW200904436A (en) Arylamide pyrimidone derivatives
KR101856266B1 (ko) 카세인 키나아제 1δ 및 카세인 키나아제 1ε 저해제
JP2009524635A (ja) アルツハイマー病および関連する状態の治療
JP4748823B2 (ja) カゼインキナーゼ1δ及びカゼインキナーゼ1ε阻害剤
KR101497577B1 (ko) 2-에톡시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일주기 연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9155223A (ja) DAPKs阻害剤
EA025527B1 (ru)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и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 наруш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