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51U -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51U
KR20140000651U KR2020140000226U KR20140000226U KR20140000651U KR 20140000651 U KR20140000651 U KR 20140000651U KR 2020140000226 U KR2020140000226 U KR 2020140000226U KR 20140000226 U KR20140000226 U KR 20140000226U KR 20140000651 U KR20140000651 U KR 20140000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inverted
shaped
ring member
sli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739Y1 (ko
Inventor
최재주
Original Assignee
최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주 filed Critical 최재주
Priority to KR20140000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3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크레인에 의해 안전고리부재를 상부로 인양하지 않았을 경우 임팩트 렌치 또는 멍키 렌치로 작업자가 임의로 앵커볼트를 푸를 수 없고, 갱폼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 브라켓(23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DISENGAGEMENT PREVENT APPARATUS OF ANGKER BOLT FOR PREVENT FALL OF GANG FORM}
본 고안은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크레인에 의해 안전고리부재를 상부로 인양하지 않았을 경우 임팩트 렌치 또는 멍키 렌치로 작업자가 임의로 앵커볼트를 푸를 수 없고, 갱폼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92625호(등록일 ; 2009년 04월 02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92625호에 개시되어 있는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갱폼(10)의 수직부재(11)로부터 인양 고리부(21)가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인양고리부재(20)와, 상기 수직부재(11)의 양측에 설치된 상·하부 가이드부재(11a)(11b)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부재(11a)(11b)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상부의 안전 고리부(31)가 상기 인양 고리부(2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안전고리부재(30)와 상기 수직부재(11)와 교차되게 방향으로 앵커볼트(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안전커버(32)와, 상기 안전커버(32)와 가이드부재(11b)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갱폼(10)은 외부 폼(12)과, 상기 외부 폼(12)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부재(11)와, 상기 수직부재(11)의 상부로 인양 고리부(21)가 돌출되게 설치된 인양고리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가이드 부재(11a)(11b)는 수직부재(11)에 일체로 설치되어 안전고리부재(30)가 크레인의 후크(60)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하부의 가이드 부재(11b)는 스프링부재(50)의 상단부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은 건축물의 층고가 일정할 경우에는 갱폼(10)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10)의 인양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건축물의 층고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경우에는 상기 갱폼(10)의 수직부재(11) 양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상·하부 가이드부재(11a)(11b)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부재(11a)(11b)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상부의 안전 고리부(31)가 상기 인양고리부(21)에 인접되게 위치하는 안전고리부재(30)와, 상기 수직부재(11)와 교차되게 방향으로 앵커볼트(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안전커버(32)와, 상기 안전커버(32)와 가이드부재(11b)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부재(50)를 상기 갱폼(10)으로부터 제거한 후에 건축물의 층고에 맞추어서 상기 상·하부 가이드부재(11a)(11b), 상기 안전고리부재(30), 상기 스프링부재(50)를 상기 갱폼(10)에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상기 갱폼(10)의 인양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많은 노동력을 투입하여야 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9년 11월 03일자 출원번호 제10-2009-0105321호(고안의 명칭 :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갱폼(100)의 수직부재(101)로부터 인양 고리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역 U자 형상의 인양고리부재(110)와, 상기 인양고리부재(110)의 직선부(112)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는 한쌍의 상부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수직부재(101)의 양 외측에 각각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인양고리부재(110)에 각각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가이드 부재(130,131)와,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20),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130,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관통공 내에 직선부(142)의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각각 삽입되는 안전고리부재(140)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130) 하부의 상기 안전고리부재(140)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150)과, 상기 코일 스프링(150) 하부에 노출된 상기 안전고리부재(140)의 직선부(142)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160)와, 상기 안전고리부재(140)의 직선부(142) 상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안전고리부재(140)의 직선부(142) 하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2 가이드 부재(131) 사이에서 일정 길이(L) 상·하동 가능하게 서로 대향해서 각각 설치된 한쌍의 이동 브라켓(170)과, 크레인의 인양고리(200)에 의해 상기 안전고리부재(140)의 하단부를 상기 인양고리부재(110)의 하단부까지 인양하지 않았을 경우 임팩트 렌치 또는 멍키 렌치에 의해 앵커볼트(220)를 푸를 수 없도록 기단부가 상기 이동 브라켓(170)의 내면으로부터 수직되게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며, 선단부가 상부로 절곡되어서 상기 앵커볼트(220)의 헤드부(220a) 외측 상부에 근접되게 뻗은 풀림방지 지지레버(178)와, 상기 이동 브라켓(170)의 상부 평탄면(172)에 각각 형성된 제1 나사공(172a)에 고정볼트(174)에 의해 나합되어 상기 갱폼(100)의 외부 폼(102)을 관통해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시공벽체(210) 내측으로 뻗은 상기 앵커볼트(220)의 헤드부(220a)를 각각 덮는 앵커볼트 덮개(180)와, 상기 이동 브라켓(17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나사공(176a)에 나합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17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1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크레인에 의해 안전고리부재를 상부로 인양하지 않았을 경우 임팩트 렌치 또는 멍키 렌치로 작업자가 임의로 앵커볼트를 푸를 수 없고, 갱폼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은,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 브라켓(232)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여 크레인에 의해 안전고리부재가 상부로 인양되었을 경우 임팩트 렌치 또는 멍키 렌치로 작업자가 임의로 앵커볼트를 쉽게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동 브라켓의 일측에 앵커볼트의 회전을 고정시켜 주는 풀림방지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갱폼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예의 갱폼 인양장치에 있어서 고리부에 후크가 걸리지 않은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고리부에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 안전커버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를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요부 분해도,
도 7은 도 5의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이동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이 외부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이동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200)은,
제1수직부재(202)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수직부재(204)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상부 내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상부 내면 일측 사이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206)와;
상기 제1지지부재(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하부 내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하부 내면 일측 사이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208)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외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직부재(202)와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역 U자 형상의 인양고리부재(212)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1가이드관(214)과;
상기 제1가이드관(2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중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2 및 제3가이드관(도시는 생략함)(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제3가이드관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하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4가이드관(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제1가이드관(2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5가이드관(216)과;
상기 제5가이드관(2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중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6 및 제7가이드관(218)(220)과;
상기 제7가이드관(2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하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8가이드관(222)과;
상기 제1가이드관(214), 제5가이드관(216)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상기 제1수직부재(202)와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와;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및 제3가이드관 그리고 제4가이드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제1슬라이딩봉(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6 및 제7가이드관(218)(220) 그리고 제8가이드관(22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제2슬라이딩봉(226)과;
상기 제3가이드관과 제4가이드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봉을 원위치시켜 주는 제1스프링(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제7가이드관(220)과 제8가이드관(222)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봉(226)을 원위치시켜 주는 제2스프링(230)과;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 브라켓(2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브라켓(232)은,
몸체의 일측에 홈(234)을 갖는 ""자형 덮개(236)와;
상기 ""자형 덮개(236)의 끝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자형 덮개(236)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연결관(238)과;
상기 제1연결관(2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자형 덮개(236)의 끝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 끝단부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자형 덮개(236)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연결관(240)과;
상기 홈(234)과 연통되게 ""자형 덮개(236)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공(500)과;
상기 관통공(500)에 삽입되는 원형스프링(504)과;
상기 관통공(500)에 삽입된 원형스프링(504)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자형 덮개(236)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홈(234)에 앵커볼트(도시는 생략함)의 볼트머리가 위치될 때 상기 앵커볼트를 풀 수 없도록 하는 풀림방지볼트(502)와;
상기 풀림방지볼트(50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풀림방지볼트(502)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너트(5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500)과 원형스프링(504)과 풀림방지볼트(502)와 너트(506)는 풀림방지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200)의 조립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의 조립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그 조립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1수직부재(202)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수직부재(2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수직부재(204)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상부 내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상부 내면 일측 사이에 제1지지부재(206)를 설치한 후, 상기 제1지지부재(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하부 내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하부 내면 일측 사이에 제2지지부재(20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외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외면 일측에 역 U자 형상의 인양고리부재(212)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역 U자 형상의 인양고리부재(212)는 제1수직부재(202)와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제1가이드관(214)을 설치한 후, 상기 제1가이드관(2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중부 외면 일측에 제2 및 제3가이드관(도시는 생략함)(도시는 생략함)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관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하부 외면 일측에 제4가이드관(도시는 생략함)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관(2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 외면 일측에 제5가이드관(216)을 설치한 후, 상기 제5가이드관(2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중부 외면 일측에 제6 및 제7가이드관(218)(220)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7가이드관(2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하부 외면 일측에 제8가이드관(22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관(214), 제5가이드관(216)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는 제1수직부재(202)와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및 제3가이드관 그리고 제4가이드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슬라이딩봉(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6 및 제7가이드관(218)(220) 그리고 제8가이드관(22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2슬라이딩봉(226)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관과 제4가이드관 사이에 제1스프링(도시는 생략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스프링을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7가이드관(220)과 제8가이드관(222) 사이에 제2스프링(230)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스프링을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홈(234)을 갖는 ""자형 덮개(236)와 제1연결관(238)과 제2연결관(240)과 관통공(500)을 구비한 이동 브라켓(232)을 위치시킨 후, 상기 관통공(500)으로 원형스프링(504)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00)에 삽입된 원형스프링(504)의 내부로 풀림방지볼트(502)를 삽입시킨 후, 상기 풀림방지볼트(502)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풀림방지볼트(502)에 너트(506)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관통공(500)과 원형스프링(504)과 풀림방지볼트(502)와 너트(506)가 구비된 풀림방지수단이 이동 브라켓(232)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이동 브라켓(232)을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 브라켓(232)의 제1연결관(238)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 브라켓(232)의 제2연결관(24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 브라켓(232)의 제1연결관(238)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슬라이딩봉을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 브라켓(232)의 제2연결관(24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2슬라이딩봉(226)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238)을 나사로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1연결관(238)을 나사상기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관(240)을 나사로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2연결관(240)을 나사상기 제2슬라이딩(226)봉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시공벽체(도시는 생략함)에 설치된 갱폼(300)의 외면에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200)을 설치한다.
그리고,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200)의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를 상측으로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홈(234)을 갖는 ""자형 덮개(236)와 제1연결관(238)과 제2연결관(240)과 관통공(500)과 원형스프링(504)과 풀림방지볼트(502)와 너트(506)를 포함한 이동 브라켓(232)이 상측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ㄷ"자형 덮개(236)에 덮여 있는 제품(300)의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이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갱폼(300)의 관통공이 노출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301)가 구비된 앵커볼트(302)를 갱폼(300)의 관통공 그리고 콘크리트 시공벽체(400)에 설치한다.
그리고,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200)의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를 하측으로 내린다.
이에 따라, 홈(234)을 갖는 ""자형 덮개(236)와 제1연결관(238)과 제2연결관(240)과 관통공(500)과 원형스프링(504)과 풀림방지볼트(502)와 너트(506)를 포함한 이동 브라켓(232)이 하측으로 내려간다.
상기와 같이 이동 브라켓(232)이 하측으로 내려오면, 이동 브라켓(232)의 홈(234)에 와셔(301)가 구비된 앵커볼트(302)의 볼트머리가 위치됨과 동시에 홈(234)의 내부에, 설치된 풀림방지볼트(502)에 볼트머리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풀림방지볼트(502)에 의해 앵커볼트(302)는 작업자가 임의로 임팩트 렌치 또는 멍키 렌치로 풀 수 없다.
이로 인해, 갱폼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앵커볼트(302)를 풀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를 상측으로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홈(234)을 갖는 ""자형 덮개(236)와 제1연결관(238)과 제2연결관(240)과 관통공(500)과 원형스프링(504)과 풀림방지볼트(502)와 너트(506)를 포함한 이동 브라켓(232)이 상측으로 올라간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202 : 제1수직부재 204 : 제2수직부재
206 : 제1지지부재 208 : 제2지지부재
212 : 역 U자 형상의 인양고리부재 214 : 제1가이드관
216 : 제5가이드관 218 : 제6가이드관
220 : 제7가이드관 222 : 제8가이드관
224 :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 226 : 제2슬라이딩봉
230 : 제2스프링 232 : 이동 브라켓
234 : 홈 236 : ""자형 덮개
238 : 제1연결관 240 : 제2연결관
500 : 관통공 502 : 풀림방지볼트
504 : 원형스프링 506 : 너트

Claims (3)

  1. 제1수직부재(202)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2수직부재(204)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상부 내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상부 내면 일측 사이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206)와;
    상기 제1지지부재(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하부 내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하부 내면 일측 사이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208)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외면 일측과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직부재(202)와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역 U자 형상의 인양고리부재(212)와;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1가이드관(214)과;
    상기 제1가이드관(2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중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2 및 제3가이드관과;
    상기 제3가이드관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수직부재(202)의 하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4가이드관과;
    상기 제1가이드관(2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5가이드관(216)과;
    상기 제5가이드관(2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4)의 중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6 및 제7가이드관(218)(220)과;
    상기 제7가이드관(2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수직부재(202)의 하부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8가이드관(222)과;
    상기 제1가이드관(214), 제5가이드관(216)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되되, 상기 제1수직부재(202)와 제2수직부재(204)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와;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2 및 제3가이드관 그리고 제4가이드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제1슬라이딩봉과;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6 및 제7가이드관(218)(220) 그리고 제8가이드관(22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제2슬라이딩봉(226)과;
    상기 제3가이드관과 제4가이드관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봉을 원위치시켜 주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7가이드관(220)과 제8가이드관(222)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봉(226)을 원위치시켜 주는 제2스프링(230)과;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풀림방지수단이 체결된 이동 브라켓(23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232)은,
    몸체의 일측에 홈(234)을 갖는 ""자형 덮개(236)와;
    상기 ""자형 덮개(236)의 끝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1슬라이딩봉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자형 덮개(236)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연결관(238)과;
    상기 제1연결관(2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자형 덮개(236)의 끝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 끝단부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일측 끝단부와 제2슬라이딩봉(226)의 일측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역 U자 형상의 안전고리부재(22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자형 덮개(236)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연결관(240)과;
    상기 홈(234)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홈(234)에 앵커볼트의 볼트머리가 위치될 때 상기 앵커볼트를 풀 수 없도록 하는 풀림방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홈(234)과 연통되게 ""자형 덮개(236)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공(500)과;
    상기 관통공(500)에 삽입되는 원형스프링(504)과;
    상기 관통공(500)에 삽입된 원형스프링(504)의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자형 덮개(236)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홈(234)에 앵커볼트의 볼트머리가 위치될 때 상기 앵커볼트를 풀 수 없도록 하는 풀림방지볼트(502)와;
    상기 풀림방지볼트(50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풀림방지볼트(502)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너트(50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20140000226U 2014-01-10 2014-01-10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200476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226U KR200476739Y1 (ko) 2014-01-10 2014-01-10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0226U KR200476739Y1 (ko) 2014-01-10 2014-01-10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51U true KR20140000651U (ko) 2014-01-29
KR200476739Y1 KR200476739Y1 (ko) 2015-04-07

Family

ID=5244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0226U KR200476739Y1 (ko) 2014-01-10 2014-01-10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3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023B1 (ko) * 2014-07-10 2015-01-14 정기환 갱폼 인양용 안전장치
KR101492774B1 (ko) * 2014-07-08 2015-02-12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492770B1 (ko) * 2014-06-23 2015-02-12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492769B1 (ko) * 2014-06-23 2015-02-23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2127737B1 (ko) * 2019-09-18 2020-06-29 김성기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705B1 (ko) * 2019-09-16 2021-11-08 (주)케이에스산업 갱폼 안전 인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939B1 (ko) 2009-11-03 2012-01-02 최재주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
KR101140108B1 (ko) 2011-06-21 2012-04-30 최재주 갱폼의 안전인양 및 추락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770B1 (ko) * 2014-06-23 2015-02-12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492769B1 (ko) * 2014-06-23 2015-02-23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492774B1 (ko) * 2014-07-08 2015-02-12 최재주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481023B1 (ko) * 2014-07-10 2015-01-14 정기환 갱폼 인양용 안전장치
KR102127737B1 (ko) * 2019-09-18 2020-06-29 김성기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739Y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651U (ko)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US20230407653A1 (en) Grab plate assembly
KR101616863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KR101101939B1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
KR101310595B1 (ko) 갱폼
KR101124940B1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덮개 상?하동 장치
US10982454B2 (en) Safety fence assembly
KR20090011891U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풀림방지장치
KR20110001119U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
JP7077837B2 (ja) 梯子の掛止補助金具
KR101492774B1 (ko)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JP3130014U (ja) マンホール昇降用補助金具
KR200452337Y1 (ko) A형 안전펜스
JP3185244U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KR20160104536A (ko) 측뇌용 피뢰침
JP5324366B2 (ja) 下水路系内作業安全装置
KR20160001851U (ko) 대리석 경계턱을 가지는 측구 수로관
KR20100118168A (ko)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
KR20170003116U (ko) 안전인양장치를 갖춘 갱 폼
JP6304696B2 (ja) 仮設構造物の床板固定用具
KR101750921B1 (ko) 노벽점검용 크래들 지지구
KR20180002185U (ko) 천장 또는 바닥용 배관고정 브래킷
KR20040087473A (ko) 비계용 발판
JP3193289U (ja) 免震手摺
JP6359293B2 (ja) 親綱張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