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37B1 -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37B1
KR102127737B1 KR1020190114702A KR20190114702A KR102127737B1 KR 102127737 B1 KR102127737 B1 KR 102127737B1 KR 1020190114702 A KR1020190114702 A KR 1020190114702A KR 20190114702 A KR20190114702 A KR 20190114702A KR 102127737 B1 KR102127737 B1 KR 10212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lifting
bolt
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김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기 filed Critical 김성기
Priority to KR102019011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갱폼에 고정하는 인양 고리수단의 전면에 안전 수단을 볼트 체결에 의해 착탈 결합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인양 고리수단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 하부로 삽입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역 U자 형태의 안전 고리부재와, 상기 안전 고리부재에 삽입 고정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 커버 부재, 결합 부재에 삽입되되 고정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탄발 스프링이 내 삽입되는 안내 볼트 부재로 구성하여 안전 고리부재를 들어 올릴 때 커버 부재가 탄발 승강하면서 갱폼의 앵커 볼트를 노출하도록 하므로 인양 고리수단에서 안전 수단을 볼트 체결에 의해 간단히 결합, 분리 재 사용할 수 있고, 앵커 볼트, 탄성 스프링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 사용 내구성이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Safety apparatus for lift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 안전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양 고리수단 전면에 앵커 볼트를 커버 또는 노출 작동하는 안전 수단을 볼트 체결에 의해 간단히 결합 및 분리 재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앵커 볼트 및 그 밖에 탄성 스프링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에 의해 사용 안전성,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은 외 벽면을 콘크리트 타설 방법으로 시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형 철재 구조물인 갱폼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갱폼은 스틸폼과 작업발판 및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케이지와, 상기 스틸폼을 내부 폼에 고정하는 고정볼트 등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갱폼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을 위해 다수개를 이용하는데, 상기 갱폼은 고층 건물의 각 층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음 층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상부 층으로 인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갱폼의 인양을 위해 갱폼을 고정하고 있는 앵커 볼트 중 하부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를 해체하고, 크레인의 후크를 인양 고리에 건 상태에서 하부의 고정 볼트를 해체한 후 크레인을 작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크레인의 후크를 인양 고리에 걸지 않은 상태에서 갱폼 하부의 앵커 볼트까지 모두 풀어 갱폼이 무너지는 안전 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갱폼 하부의 앵커 볼트 위치에는 안전 인양장치를 설치하여 크레인의 후크에 인양 고리를 걸기 전에 앵커 볼트가 가려져 작업자가 실수로 갱폼 하부의 앵커 볼트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한 종래 안전 인양장치는 공개실용신안 제2011-001119호에서와 같이 갱폼에 고정 설치되는 인양 고리부재의 가이드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역U자형의 안전 고리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안전 고리부재의 중앙에는 앵커 볼트를 커버하는 커버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탄성 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인양 수단의 걸고리에 의해 최초 안전 고리부재를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들어 올리므로 커버가 상승하여 앵커 볼트가 노출되므로 앵커 볼트를 제거하고 다시 인양 수단의 걸고리가 안전 고리부재와 인양 고리부재를 함께 들어 올려 갱폼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안전 인양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인양 고리부재에 안전 고리부재가 가이드 부재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안전 고리부재에 커버가 고정 결합됨과 함께 탄발 부재가 조립되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 설치가 까다롭고, 장치의 보수나 갱폼 해체 후 일부 부품을 분리 재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커버에 의해 앵커 볼트를 완전 커버하는 것이 아니어서 작업자가 실수로 앵커 볼트를 해체할 우려가 있어 여전히 안전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앵커 볼트, 탄발 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이물질이 끼이거나 손상, 파손 우려가 높아 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안전 고리부재가 승하강할 때 인양 고리부재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한하여 상하 안내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안전 고리부재를 들어 올릴 때 흔드리는 유동이 발생할 수 있어 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9-0066241호(2019년06월13일) 등록특허 제10-1616863호(2016년04월25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되 것으로서, 인양 고리수단 전면에 앵커 볼트를 커버 또는 노출 작동하는 안전 수단을 볼트 체결에 의해 간단히 결합 및 분리 재 사용이 간편하고, 상기 앵커 볼트 및 그 밖에 탄성 스프링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 안전성,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앵커 볼트가 외부에서 완전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안전 수단 조작 전에 앵커 볼트를 해체하는 작업자의 오 작동을 확실히 방지함은 물론 점검창을 통해 앵커 볼트의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 수단 조작시 안전 수단의 커버 부재가 고정 부재에서 슬라이드 이송함과 그 밖의 가이드 작동에 의해 일정하게 승하강하도록 안내 작동하면서 작동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갱폼에 고정 설치하고 상단에 인양을 위한 고리부를 형성하는 인양 고리수단과, 상기 인양 고리 수단 전면에 착탈 결합 설치하는 안전 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안전 수단은; 인양 고리수단에 고정 결합하고 상부 양측에 볼트 삽입공을 형성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 슬라이드 홈및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하여 갱폼의 앵커 볼트를 커버 또는 노출하도록 승하강 안내되고, 하부 양측에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볼트 삽입공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와; 역 U자 형태로 상부에 인양 고리수단의 고리부 보다 하부 위치로 고리부를 형성하는 안전 고리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 상부에서 안전 고리부재 양측의 수직부에 삽입하여 높낮이 조절 후 고정 결합하고, 양측에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볼트 삽입공을 형성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 하부의 볼트 삽입공과 고정 부재 상부의 볼트 삽입공과 결합 부재의 볼트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너트 결합에 의해 이탈 방지되게 결합하되 상기 커버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서 탄발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는 안내 볼트 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안전 고리부재를 들어 올릴 때 커버 부재가 탄발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승강되어 앵커 볼트를 노출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의 하부 전면에는 앵커 볼트의 결합 유무를 확인하는 점검창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 수단은 고정 부재의 중앙에 관통공과, 커버 부재의 중앙에 상하 안내 장공을 형성하여 고정 볼트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고정 볼트는 인양 고리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의 나사공에 나사 체결하여 인양 고리수단에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갱폼에 고정하는 인양 고리수단의 전면에 안전 수단을 볼트 체결에 의해 착탈 결합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인양 고리수단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 하부로 삽입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역 U자 형태의 안전 고리부재와, 상기 안전 고리부재에 삽입 고정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 커버 부재, 결합 부재에 삽입되되 고정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의 탄발 스프링이 내 삽입되는 안내 볼트 부재로 구성하여 안전 고리부재를 들어 올릴 때 커버 부재가 탄발 승강하면서 갱폼의 앵커 볼트를 노출하도록 하므로 인양 고리수단에서 안전 수단을 볼트 체결에 의해 간단히 결합, 분리 재 사용할 수 있고, 앵커 볼트, 탄성 스프링 등의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 사용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커 볼트가 커버 부재에 의해 완전 차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때문에 안전 수단의 안전 고리 부재를 들어 올리기 전에는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실수로 앵커 볼트를 해체하는 오 작동을 확실히 방지하게 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점검창을 통해 앵커 볼트의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 수단 조작시 안전 수단의 커버 부재가 고정 부재에서 슬라이드 이송함과 그 밖의 가이드 작동에 의해 일정하게 승하강하도록 안내 작동하면서 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단면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측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장치의 안전 수단을 들어 올려 인장하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2)에 고정 설치하는 인양 고리수단(10)과, 상기 인양 고리 수단 전면에 착탈 결합 설치하는 안전 수단(2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인양 고리수단(10)는 양측에 수직부(11)와 상단에 인양을 위한 고리부(12)를 역 U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11) 내측에 사각 단면의 수직 바(15)를 상하로 결합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전 수단(20)은 고정 부재(30), 커버 부재(40), 안전 고리부재(50), 결합 부재(60) 및 안내 볼트 부재(70)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 부재(30)는 인양 고리수단(10)에 고정 결합하고 상부 양측에 볼트 삽입공(3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커버 부재(40)는 고정 부재의 내부 슬라이드 홈(32) 및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하여 갱폼의 앵커 볼트(5)를 커버 또는 노출하도록 승하강 안내되고, 하부 양측에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볼트 삽입공(4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전 고리부재(50)는 역 U자 형태로 인양 고리 수단 전방에 설치하되, 상부에 인양 고리수단의 고리부(12) 보다 하부 위치로 고리부(52)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 부재(60)는 고정 부재 상부에 설치하되, 안전 고리부재 양측의 수직부(51)에 결합공(62)을 삽입하여 높낮이 조절 후 볼트(63)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하고, 양측에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볼트 삽입공(61)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전 볼트 부재(70)는 커버 부재 하부의 볼트 삽입공(41)과 고정 부재 상부의 볼트 삽입공(31)과 결합 부재의 볼트 삽입공(61)으로 삽입되어 너트(72) 결합에 의해 이탈 방지되게 결합하되 상기 커버 부재(40)와 고정 부재(30) 사이에서 탄발 스프링(75)이 삽입 설치되어 상기 안전 고리부재(50)를 들어 올릴 때 커버 부재(40)가 탄발 스프링(75)을 압축하면서 승강되어 앵커 볼트(5)를 노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커버 부재(40)의 하부는 앵커 볼트(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하되, 전면에 앵커 볼트(5)의 결합 유무를 확인하는 점검창(45)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전 수단(20)은 인양 고리수단(10)의 전면에서 볼트 체결에 의해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 해체하여 간단히 재 활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고정 부재(30)의 중앙에 관통공(37)과, 커버 부재(40)의 중앙에 상하 안내 장공(47)을 형성하여 고정 볼트(80)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고정 볼트(80)는 인양 고리수단(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85)의 나사공(86)에 나사 체결하여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18은 안전 고리부재(50)를 승하강 안내하는 안내구, 57은 이탈방지 단턱, 200은 인양 수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갱폼(2)의 앵커 볼트(5) 위치로 설치하는데, 인양 고리수단(10)에 안전 수단(20)이 결합된 상태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전 수단(20)은 고정 부재(30) 내측에 커버 부재(40)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커버 부재 사이 양측에 탄발 스프링(75)을 위치시켜 안내 볼트 부재(70)를 커버 부재 하부의 볼트 삽입공(41)과 탄발 스프링(75), 고정 부재 상부의 볼트 삽입공(31) 및 결합 부재의 볼트 삽입공(61)으로 삽입한 후 너트 결합에 의해 이탈 방지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의 양 측방에는 안전 고리부재(5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안전 수단(20)은 인양 고리 수단(10)의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 부재(30)의 중앙에 관통공(37)과, 커버 부재(40) 중앙의 안내 장공(47)으로 고정 볼트(80)를 삽입하여 인양 고리수단(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85)의 나사공(86)에 나사 체결하므로 조립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안전 수단(20)을 인용 고리 수단(10)에 결합한 후 갱폼의 앵커 볼트(5) 위치로 설치하되, 상기 인용 고리 수단이 갱폼(2)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안전 수단의 커버 부재(40)가 앵커 볼트(5)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커버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갱폼의 앵커 볼트(5)는 안전 수단의 커버 부재(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갱폼 해체 과정에서 앵커 볼트를 미리 풀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확실히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 하부에 형성된 점검창(45)을 통해 갱폼에 앵커 볼트(5)가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갱폼을 인양하기 위해 앵커 볼트(5)를 해체할 때에는 인양 수단에 의해 안전 수단의 안전 고리 부재(50) 상부에서 고리부(62)를 걸어 인양 고리 수단의 고리부(12) 위치까지 단독으로 들어 올려 주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안전 수단의 안전 수단의 안전 고리 부재(50)와 함께 결합 부재(60), 안내 볼트 부재(70) 및 커버 부재(40)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 부재(40)가 내부의 탄발 스프링(75)을 압축하면서 승강함과 동시에 커버 부재(40) 하부 위치에서 커버하고 있던 갱폼의 앵커 볼트(5)를 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40)는 고정 부재(30) 내부의 슬라이드 홈(32)에서 슬라이드 안내되고, 상기 고정 볼트(80)는 커버 부재의 안내 장공(47), 상기 안내 볼트 부재(70)는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31)에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갱폼의 앵커 볼트(5)가 노출되면, 앵커 볼트(5)를 풀어 해체한 후 인양 수단에 의해 안전 수단의 안전 고리 부재(50)와 갱폼에 결합되어 있는 인양 고리수단(10)을 함께 들어 올려 갱폼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갱폼의 인양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인양 고리수단(10)을 제외한 안전 수단(20)은 간단히 분리하여 재 활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커버 부재(40)와 고정 부재(30)를 관통하여 지지 플레이트(85)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고정 볼트(80)를 풀어 안전 수단(20)을 인양 고리수단(10)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재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10: 인양 고리수단 12: 고리부
20: 안전 수단 30: 고정 부재
31,41,61: 볼트 삽입공 32: 슬라이드 홈
37: 관통공 40: 커버 부재
45: 점검 구멍 47: 안내 장공
50: 안전 고리부재 52: 고리부
60: 결합 부재 70: 안내 볼트 부재
75: 탄발 스프링 80: 고정 볼트
85: 지지 플레이트 86: 나사공

Claims (3)

  1. 갱폼에 고정 설치하고 상단에 인양을 위한 고리부(12)를 형성하는 인양 고리수단(10)과; 상기 인양 고리 수단 전면에 착탈 결합 설치하는 안전 수단(20)으로 구성하되;
    상기 안전 수단(20)은;
    인양 고리수단(10)에 고정 결합하고 상부 양측에 볼트 삽입공(31)을 형성하는 고정 부재(30)와,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 슬라이드 홈(32) 및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하여 갱폼의 앵커 볼트(5)를 커버 또는 노출하도록 승하강 안내되고, 하부 양측에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볼트 삽입공(41)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40)와,
    역 U자 형태로 상부에 인양 고리수단의 고리부(12) 보다 하부 위치로 고리부(52)를 형성하는 안전 고리부재(50)와,
    상기 고정 부재 상부에서 안전 고리부재 양측의 수직부(51)에 삽입하여 높낮이 조절 후 고정 결합하고, 양측에 고정 부재의 볼트 삽입공에 대응되는 볼트 삽입공(61)을 형성하는 결합 부재(60) 및,
    상기 커버 부재 하부의 볼트 삽입공(41)과 고정 부재 상부의 볼트 삽입공(31)과 결합 부재의 볼트 삽입공(61)으로 삽입되어 너트 결합에 의해 이탈 방지되게 결합하되 상기 커버 부재(40)와 고정 부재(30) 사이에서 탄발 스프링(75)이 삽입 설치되는 안내 볼트 부재(70)로 구성하여 상기 안전 고리부재(50)를 들어 올릴 때 커버 부재(40)가 탄발 스프링(75)을 압축하면서 승강되어 앵커 볼트(5)를 노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40)의 하부 전면에는 앵커 볼트(5)의 결합 유무를 확인하는 점검창(45)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수단(20)은 고정 부재(30)의 중앙에 관통공(37)과, 커버 부재(40)의 중앙에 상하 안내 장공(47)을 형성하여 고정 볼트(80)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고정 볼트(80)는 인양 고리수단(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85)의 나사공(86)에 나사 체결하여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20190114702A 2019-09-18 2019-09-18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212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02A KR102127737B1 (ko) 2019-09-18 2019-09-18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02A KR102127737B1 (ko) 2019-09-18 2019-09-18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37B1 true KR102127737B1 (ko) 2020-06-29

Family

ID=7140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702A KR102127737B1 (ko) 2019-09-18 2019-09-18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011B1 (ko) 2020-11-09 2021-02-25 홍종화 갱폼 안전 인양 및 추락 방지 장치
KR102309285B1 (ko) * 2020-09-15 2021-10-07 채선병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20220061601A (ko) * 2020-11-06 2022-05-13 김성기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2549898B1 (ko) 2022-11-01 2023-06-29 김성기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51U (ko) * 2014-01-10 2014-01-29 최재주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616863B1 (ko) 2015-04-07 2016-04-29 유대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KR20170088535A (ko) * 2016-01-25 2017-08-02 이옥순 갱폼 인양 안전 시스템
KR20180070344A (ko) * 2016-12-16 2018-06-26 이옥순 갱폼 안전장치
KR20190066241A (ko) 2017-12-05 2019-06-13 유대식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51U (ko) * 2014-01-10 2014-01-29 최재주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616863B1 (ko) 2015-04-07 2016-04-29 유대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KR20170088535A (ko) * 2016-01-25 2017-08-02 이옥순 갱폼 인양 안전 시스템
KR20180070344A (ko) * 2016-12-16 2018-06-26 이옥순 갱폼 안전장치
KR20190066241A (ko) 2017-12-05 2019-06-13 유대식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285B1 (ko) * 2020-09-15 2021-10-07 채선병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20220061601A (ko) * 2020-11-06 2022-05-13 김성기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2468479B1 (ko) 2020-11-06 2022-11-21 정헌수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2221011B1 (ko) 2020-11-09 2021-02-25 홍종화 갱폼 안전 인양 및 추락 방지 장치
KR102549898B1 (ko) 2022-11-01 2023-06-29 김성기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737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EP2935075B1 (de) Installationsverfahren für einen aufzug
US20110067959A1 (en) System for limiting horizontal movements in a lift
KR100976562B1 (ko) 갱폼 안전 인양 장치
KR20130001947A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KR101963431B1 (ko) 컨베이어 정비용 안전펜스
KR20190066241A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CN109795932B (zh) 卷扬机以及电梯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US20210316959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system
US8312970B2 (en) Elevator arrangement
US11554935B2 (en) Elevator car
KR102309285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120313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분절구조
KR102308112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JP2016050102A (ja) エレベータの仮設作業床装置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JP6218161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KR10121369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2020001853A (ja) 乗客コンベア
KR100653222B1 (ko) 작업대용 가시설 구조물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KR102468479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