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536A - 측뇌용 피뢰침 - Google Patents

측뇌용 피뢰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536A
KR20160104536A KR1020150151291A KR20150151291A KR20160104536A KR 20160104536 A KR20160104536 A KR 20160104536A KR 1020150151291 A KR1020150151291 A KR 1020150151291A KR 20150151291 A KR20150151291 A KR 20150151291A KR 20160104536 A KR20160104536 A KR 20160104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ightning
lightning rod
coupling ho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453B1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102015015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4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뇌용 피뢰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뢰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피뢰침을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 설치하여 구조물의 측방향으로 떨어지는 낙뢰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측뇌용 피뢰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구조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조물의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피뢰침봉(200)이 관통되는 봉결합공(110)이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봉결합공(110)으로 관통되는 피뢰침봉(200)의 나선결합을 위해 몸체나사부(111)가 형성된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100); 상기 봉결합공(110)을 관통하여 옥외로 돌출되고, 단부에는 상기 몸체나사부(111)와 나선결합되도록 봉나사부(210)가 형성된 피뢰침봉(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뇌용 피뢰침 {Lightning Rod For Thunderbolt Prevention}
본 발명은 측뇌용 피뢰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뢰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피뢰침을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 설치하여 구조물의 측방향으로 떨어지는 낙뢰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측뇌용 피뢰침에 관한 것이다.
낙뢰는 뇌운의 발달로 인하여 뇌운과 대지간의 전계강도가 일정치 이상 상승하면 과도적으로 뇌운과 대지간의 방전경로가 형성되어 뇌운이 방전되는 현상이다.
상기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을 포함한 구조물에 피뢰침을 설치하여 피뢰침을 통해 직격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낙뢰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사고 및 통신시설의 파손 등과 같은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피뢰침은 구조물의 최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구조물의 측벽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측방향으로 떨어지는 낙뢰로부터 구조물의 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기존의 측뢰용 피뢰침의 설치는 구조물의 측벽에 베이스판재를 부착시킨 후 그 베이스판재에 피뢰침을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측뢰용 피뢰침은 베이스판재가 불안정하게 고정되면서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어 그 내구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물의 외부에서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의 특성상 고소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이에따른 작업비용과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42호(2011.03.07, 측뇌용 피뢰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건물의 측벽에 설치되면서 측뇌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측뇌용 피뢰침으로, 베이스판재(10)와, 상기 베이스판재의 각 모서리측에 구비된 볼트구멍(10-1)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베이스판재의 수평을 조정하도록 구비되는 수평조절용 볼트(20)와,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면(100)에 고정되면서 중앙홀(10-2)을 통해 삽입된 상기 베이스판재(10)를 나선부(30-1)에 나사결합된 조임너트(35)로 조여서 상기 베이스판재(10)를 수평상태로 고정하는 앵커볼트(30)와, 그 선단부가 상기 베이스판재(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면서 너트구멍(5-1)에 측외피뢰침봉(1)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봉(5)과, 상기 베이스판재(10)에 고정되면서 피뢰도선(50)을 접속하는 피뢰도선 연결부재(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뇌용 피뢰침은 구조물의 외부 측벽에 고정하는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재(10)가 측벽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은 개선되었으나 구조물의 외부 측벽에 피뢰침을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은 불가피하였다.
따라서, 피뢰침의 설치에 따른 고소작업으로 인해 작업자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있고, 또한 설치비용의 증가는 물론,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22142호(2011.03.07, 측뇌용 피뢰침)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시공시 몸체를 매설하여 시공을 완료한 후 옥내에서 피뢰침봉을 끼워넣어 옥외로 돌출되게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측뇌용 피뢰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뇌용 피뢰침은, 구조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조물의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피뢰침봉(200)이 관통되는 봉결합공(110)이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봉결합공(110)으로 관통되는 피뢰침봉(200)의 나선결합을 위해 몸체나사부(111)가 형성된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100); 상기 봉결합공(110)을 관통하여 옥외로 돌출되고, 단부에는 상기 몸체나사부(111)와 나선결합되도록 봉나사부(210)가 형성된 피뢰침봉(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측뇌용 피뢰침에 따르면, 구조물 시공시 매설된 몸체에 피뢰침봉을 끼워 옥외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을 원천 방지함은 물론, 옥내에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고소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측뇌용 피뢰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측뇌용 피뢰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측뇌용 피뢰침의 분리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와이어결합편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측뇌용 피뢰침이 매설된 상태도,
도 7은 보조연결판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7의 보조연결판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한 측뇌용 피뢰침이 매설된 상태도.
낙뢰는 뇌운의 발달로 인하여 뇌운과 대지간의 전계강도가 일정치 이상 상승하면 과도적으로 뇌운과 대지간의 방전경로가 형성되어 뇌운이 방전되는 현상이다.
상기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을 포함한 구조물에 피뢰침을 설치하여 피뢰침을 통해 직격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낙뢰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사고 및 통신시설의 파손 등과 같은 피해를 방지하고 있다.
상기 피뢰침은 구조물의 최상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구조물의 측벽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측방향으로 떨어지는 낙뢰로부터 구조물의 피해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측방향으로 떨어지는 낙뢰 즉, 측뢰로부터 구조물의 피해를 방지하는 측뇌용 피뢰침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뇌용 피뢰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측뇌용 피뢰침은 몸체(100), 피뢰침봉(2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구조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조물의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하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100)는 중공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피뢰침봉(2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봉결합공(110)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피뢰침봉(200)과 나선결합되도록 몸체나사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금속재이며, 상기 몸체나사부(111)는 상기 몸체의 내주연 전체에 형성되거나, 양측 단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측 단부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뢰침봉(200)은 일단이 뾰족한 환봉이며, 상기 봉결합공(110)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나사부(111)와 나선결합되도록 봉나사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뢰침봉(200) 역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몸체(100)와 나선결합하여 낙뢰를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의 것이면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효과적인 설치를 위해, 구조물의 철근 또는 골조에 와이어로 연결하거나 콘크리트 양생 완료된 구조물의 바닥면에 앵커볼트로 고정하도록 연결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몸체(100)의 외주연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고, 구조물의 시공시 몸체와 함께 구조물에 매설되어 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볼트나 너트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주연 일측에 용접하여 그 볼트나 너트에 와이어 또는 철사를 결속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트나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재를 형성하지 않고, 첨부의 도면과 같이 몸체(100)의 외주연을 감싸는 일정 면적으로 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0)를 도면과 같이 판으로 형성하는 경우, 그 판으로 된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구조물의 골조 또는 철근에 철사 등으로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와이어결합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0)의 형상은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300)는 판으로 형성하면서 각 모서리 측에 와이어결합편(320)을 돌출 형성하여 'H'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결합편(320)에 철사를 묶어 구조물의 골조 또는 철근에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100)와 연결부재(300)는 구조물의 시공시 철사 등으로 연결부재를 구조물의 철근 또는 골조에 고정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통해 구조물의 측벽에 매설하여 설치하는 것이고, 이렇게 설치된 몸체의 봉결합공에 피뢰침봉을 관통 결합시켜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는 몸체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연장구(120)를 구비하여 맞대어 설치하거나 몸체에 끼움결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연장구(120)는 구조물의 측벽의 두께가 상기 몸체(100)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연장구(120)는 몸체에 맞대어 설치하는 경우에는 몸체연장구의 내경은 몸체의 내경과 동일하기 보다는 상기 몸체(10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상기 몸체연장구(120)에 몸체를 끼워 설치하는 경우에는 몸체연장구의 내경은 몸체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나사부(111)가 구조물의 옥외방향과 인접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피뢰침봉(200)이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봉결합공(110) 또는 상기 봉결합공(110)과 상기 몸체연장구(120)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은 외부 소음 또는 외풍으로 인한 냉난방에 관련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봉결합공(110)이나 상기 봉결합공(110) 및 상기 몸체연장구(120)의 중공된 공간에는 충진제(400)를 충진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진제(400)는 우레탄 또는 콘크리트 및 시멘트몰탈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재(300)를 구조물의 철근 또는 골조에 연결하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구조물의 바닥면에 고정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0)를 구조물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300)의 하부 일측에는 중앙부에 앵커볼트(332)를 결합하기 위해 장공형의 볼트결합공(331)이 형성된 보조연결판(33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앵커볼트(332)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연결판(330)을 구조물의 바닥면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면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바닥면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측뇌용 피뢰침에 따르면, 구조물 시공시 구조물의 측벽에 피뢰침봉이 설치되는 몸체를 매립하여 설치하게 됨으로써, 구조물의 측벽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구조물의 측벽에 매립된 본체에 상기 피뢰침봉을 결합시키는 설치작업이 구조물의 옥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옥외에서 고소작업을 통해 설치할 때 따르는 작업비용과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몸체 110 : 봉결합공
120 : 몸체연장구 200 : 피뢰침봉
210 : 봉나사부 300 : 연결부재판
310 : 와이어결합공 320 : 와이어결합편
330 : 보조연결판 400 : 충진제

Claims (8)

  1. 구조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조물의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피뢰침봉(200)이 관통되는 봉결합공(110)이 형성되며, 내주연에는 봉결합공(110)으로 관통되는 피뢰침봉(200)의 나선결합을 위해 몸체나사부(111)가 형성된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100);
    상기 봉결합공(110)을 관통하여 옥외로 돌출되고, 단부에는 상기 몸체나사부(111)와 나선결합되도록 봉나사부(210)가 형성된 피뢰침봉(2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외주연 일측에는 구조물의 철근 또는 골조에 와이어로 연결되거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구조물의 바닥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연결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볼트나 너트 또는 일정 면적의 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연결부재가 판으로 형성된 경우, 일측에는 와이어로 결속하여 구조물의 철근 또는 골조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결합공(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판으로 형성되고, 그 판의 각 모서리 측에는 상기 구조물의 철근 또는 골조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의 결합을 위해 와이어결합편(320)이 돌출된 'H'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의 하부 일측에는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구조물의 바닥면에 연결부재(300)를 고정시키도록 중앙부 일측에 장공으로 된 볼트결합공(331)이 형성된 보조연결판(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뢰침봉(200)의 결합 후, 옥내와 인접하는 상기 봉결합공(110)의 중공된 공간에는 충진제(40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는 그 몸체(1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몸체(100)와 끼움 결합되는 중공파이프 형상의 몸체연장구(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연장구(120)의 중공된 공간에는 충진제(40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뇌용 피뢰침.
KR1020150151291A 2015-10-29 2015-10-29 측뇌용 피뢰침 KR10176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91A KR101766453B1 (ko) 2015-10-29 2015-10-29 측뇌용 피뢰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91A KR101766453B1 (ko) 2015-10-29 2015-10-29 측뇌용 피뢰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36A true KR20160104536A (ko) 2016-09-05
KR101766453B1 KR101766453B1 (ko) 2017-08-08

Family

ID=5693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291A KR101766453B1 (ko) 2015-10-29 2015-10-29 측뇌용 피뢰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308A (ko) 2019-10-30 2021-05-10 (주)조인에프에스 측뢰 피뢰침
CN114865459A (zh) * 2022-04-18 2022-08-05 刘建军 一种侧向固定的避雷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56B1 (ko) * 2007-11-16 2008-03-03 선광엘티아이 주식회사 측뇌방지용 피뢰침
KR101022142B1 (ko) * 2009-06-15 2011-03-17 조인현 측뇌용 피뢰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308A (ko) 2019-10-30 2021-05-10 (주)조인에프에스 측뢰 피뢰침
CN114865459A (zh) * 2022-04-18 2022-08-05 刘建军 一种侧向固定的避雷针
CN114865459B (zh) * 2022-04-18 2024-03-08 南阳高新区天成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侧向固定的避雷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453B1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0907863B1 (ko) 가로등 지주 기초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1766453B1 (ko) 측뇌용 피뢰침
JPWO2015025565A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140000651U (ko)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513066B1 (ko) 조적벽체의 보강공법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0763886B1 (ko) 커튼월 고정장치
KR101498485B1 (ko) 펜스용 지주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1009443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슬리브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888822B1 (ko) 측뇌용 피뢰침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97218Y1 (ko) 거푸집의 스라브 설치용 양생 버팀재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270511B1 (ko)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KR101178471B1 (ko) 배수관 클램프의 고정판
KR200437077Y1 (ko) 엘앵커 고정구
KR101973848B1 (ko) 다단식 철근받침대
KR101190279B1 (ko) 가로등 지주 설치용 기초 블록
US20030121231A1 (en) Article of manufacture for centering reinforcing steel in reinforced masonry walls
CN205857883U (zh) 塔体安装台固定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