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38U -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 Google Patents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38U
KR20140000638U KR2020120006472U KR20120006472U KR20140000638U KR 20140000638 U KR20140000638 U KR 20140000638U KR 2020120006472 U KR2020120006472 U KR 2020120006472U KR 20120006472 U KR20120006472 U KR 20120006472U KR 20140000638 U KR20140000638 U KR 201400006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plate
lunch box
side di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748Y1 (ko
Inventor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원 filed Critical 정태원
Priority to KR2020120006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4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6Picnic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회용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밥과 반찬을 함께 담아 보관함에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반찬의 신선도를 유지하며 또한 반찬의 무게에 의해 반찬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는 상부로 개방되며 내부에 제1음식물을 담는 본체와,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2음식물들을 나눠 담을 수 있게 복수 개의 오목부들이 형성된 부식판과,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본체와 결속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A Disposable Lunch Box}
본 고안은 1회용 도시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밥과 반찬을 함께 담아 보관함에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반찬의 신선도를 유지하며 또한 반찬의 무게에 의해 반찬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1회용 도시락 용기의 경우 무독성 합성수지 재질을 진공성형하여 제작하는데, 종래의 1회용 도시락 용기는 밥과 반찬을 별도의 용기에 담도록 구성되거나, 넓은 1단 용기를 구획하여 한 칸에는 밥을 담고 나머지 다른 칸에는 반찬을 담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밥과 반찬을 별도의 용기에 담을 경우에는 도시락 용기를 제작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비싸지고 밥과 반찬을 각각 챙겨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밥과 반찬을 하나의 용기에 담는다 하더라도 종래의 1단 용기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여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고 도시락을 들고 먹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39(공고일; 1993.01.30)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밥과 반찬을 2단으로 함께 담을 수 있으며 반찬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반찬의 무게에 의해 반찬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시락 용기는 상부로 개방되며 내부에 제1음식물을 담는 본체와,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2음식물들을 나눠 담을 수 있게 복수 개의 오목부들이 형성된 부식판과,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본체와 결속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내측면에는 부식판이 안착되도록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와 뚜껑의 가장자리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고, 본체의 절곡된 부위와 뚜껑의 절곡된 부위 중 어느 한 쪽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돌기와 억지끼움되어 정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의 가장자리와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외측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며, 뚜껑에 형성된 손잡이와 본체에 형성된 손잡이는 대응하지 않는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식판의 오목부들에 의해 형성된 격벽은 부식판의 중심에서 방사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을 형성하는 양 측벽들의 간격은 5 내지 10mm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과 부식판에는 각각 절개부가 형성되고, 절개부에 힘을 주어 가압하면 절개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변형되어 뚜껑과 부식판에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마주하는 두 측벽 중간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부위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는 밥을 담는 본체 위에 반찬을 담는 부식판을 올려 둔 상태로 뚜껑을 덮는 구조로서, 밥과 반찬을 함께 담을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는 밥의 열기에 의해 부식판에 올려진 반찬의 신선도가 떨어질 수 있으나, 부식판 및 뚜껑에 배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열기가 뚜껑 밖으로 배출됨에 따라 반찬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는 한 손으로 본체를 파지하기 쉽도록 구성됨으로써, 본체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 즉 본체를 테이블에 내려놓지 않고 서서 먹더라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는 부식판의 격벽을 형성하여 다양한 반찬을 종류별로 담더라도 섞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공성형방식으로 도시락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 용이하며 또한 많은 양의 반찬을 부식판에 담더라도 반찬이 흘러 떨어지지 않도록 격벽을 구성함으로써, 반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는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된 뚜껑을 오른손잡이든 왼손잡이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단 도시락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2단 도시락 용기에 밥과 반찬을 담은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식판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찬의 무게에 의해 부식판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단 도시락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2단 도시락 용기에 밥과 반찬을 담은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식판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반찬의 무게에 의해 부식판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100)은 밥(1)을 담는 본체(110)와, 밥(1)이 담긴 본체(110) 위에 올려지는 부식판(120)과, 본체(110)를 덮는 뚜껑(130)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구조로서, 특히 가로 측벽의 길이 중간은 오목한 부위(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는 확장되는 구조의 단차(115)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단차(115)는 부식판(120)을 올려둘 수 있는 걸림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117)가 본체(1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으로 절곡된 부위의 한 지점에는 손잡이(113)가 평편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체(110)는 밥을 담는 용기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체(110)에는 부식판(120)이 놓여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식판(120)은 본체(110)의 단차(115)에 올려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판(120)에는 복수의 오목부(121)가 형성되며, 오목부(121)가 형성됨에 따라 오목부(121)와 오목부(121)의 사이에는 격벽(123)이 형성되는데, 격벽(123)은 오목부(121)에 담긴 반찬(3)이 섞이지 않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부식판(120)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식판(120)은 진공성형방식에 의해 제작되는데, 1~2mm의 무독성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격벽(123)을 형성하는 양 측벽(123W)의 두께 또한 부식판(120)의 두께와 동일한 1~2mm이며, 격벽(123)을 형성하는 양측 측벽(123W) 사이의 간격은 5~10mm이다.
여기에서 격벽(123)을 형성하는 양 측벽(123W)의 간격이 5mm 미만일 경우에는 협소하여 진공성형으로 제작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1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목부(121)에 반찬(3)을 담았을 때에 반찬(3)의 무게에 의해 부식판(120)의 기울어짐이 크게 된다. 이와 같이 부식판(120)에 담긴 반찬(3)의 무게에 의해 부식판(120)의 일부가 기울어지게 되면 오목부(121)에 담긴 반찬(3)이 쏟아져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격벽(123)을 구성하는 양 측벽(123W) 사이에 간격이 5~10mm일 때에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반찬(3)의 무게에 의해 부식판(120)의 일부가 기울어지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측벽(123W)과 간섭되어 기울어짐이 덜하게 되어 반찬(3)의 쏟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식판(120)의 격벽(123)은 부식판(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격벽(123)이 부식판(120)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오목부(121)에 반찬(3)을 담더라도 무게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식판(120)을 손으로 파지함에 있어서, 부식판(120)의 저면에 형성된 격벽(123)의 양 측벽(123W) 사이로 손가락을 넣어 안정적으로 부식판(120)을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밥(1)이 담긴 본체(110)에 부식판(120)을 올리면, 부식판(120)의 가장자리는 본체(110)의 단차(115)에 안착되어 본체(110)의 안쪽에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한편, 부식판(120)이 안착된 본체(110)의 상면에는 뚜껑(130)이 결합된다. 뚜껑(130)은 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구조로서, 본체(110)의 상면에 위치하였을 때에 본체(110)의 돌기(117)와 정합하는 홈(131)이 뚜껑(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된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상면에 뚜껑(130)을 위치하고 뚜껑(130)의 가장자리와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본체(110)의 돌기(117)가 뚜껑(130)의 홈(131)에 억지끼움되어 견고하게 결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뚜껑(130)에 있어서, 뚜껑(130)의 가장자리에는 측방향으로 평편한 손잡이(131)가 형성되는데, 뚜껑(130)에 형성된 손잡이(131)는 본체(110)에 형성된 손잡이(113)와 다른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뚜껑(130)의 손잡이(133)와 본체(110)의 손잡이(113)가 상호 접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왼손잡이든 오른손잡이든 편한 쪽에 위치한 손잡이(113, 133)를 잡고 뚜껑(130)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과 부식판(120)에는 'U'자 형태의 절개부(125, 135)가 형성된다. 뚜껑(130)과 부식판(120)에 형성된 절개부(125, 135)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면 뚜껑(130)과 부식판(120)에 구멍(127, 137)이 형성된다. 구멍(127, 137)은 본체(110)에 담긴 밥(1)의 열기가 부식판(120) 및 뚜껑(130)의 구멍(127, 137)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반찬(3)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습기의 발생을 줄여 반찬이 눅눅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 : 밥
3 : 반찬
100 : 도시락 용기
110 : 본체
111 : 오목한 부위
113, 133 : 손잡이
115 : 단차
117 : 돌기
120 : 부식판
121 : 오목부
123 : 격벽
125, 135 : 절개부
127, 137 : 구멍
130 : 뚜껑
131 : 홈

Claims (8)

  1. 상부로 개방되며 내부에 제1음식물을 담는 본체(110)와,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며 제2음식물들을 나눠 담을 수 있게 복수 개의 오목부(121)들이 형성된 부식판(120)과,
    본체의 상부를 덮으며 본체와 결속되는 뚜껑(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내측면에는 부식판이 안착되도록 단차(1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와 뚜껑의 가장자리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고, 본체의 절곡된 부위와 뚜껑의 절곡된 부위 중 어느 한 쪽에는 돌기(117)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돌기와 억지끼움되어 정합하는 홈(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뚜껑의 가장자리와 본체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외측으로 손잡이(113, 133)가 형성되며, 뚜껑에 형성된 손잡이와 본체에 형성된 손잡이는 대응하지 않는 다른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부식판의 오목부들에 의해 형성된 격벽(123)은 부식판의 중심에서 방사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격벽을 형성하는 양 측벽(123W)들의 간격은 5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뚜껑과 부식판에는 각각 절개부(125, 135)가 형성되고, 절개부에 힘을 주어 가압하면 절개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변형되어 뚜껑과 부식판에 구멍(127, 13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마주하는 두 측벽 중간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부위(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락 용기.
KR2020120006472U 2012-07-20 2012-07-20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KR200471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72U KR200471748Y1 (ko) 2012-07-20 2012-07-20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72U KR200471748Y1 (ko) 2012-07-20 2012-07-20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38U true KR20140000638U (ko) 2014-01-29
KR200471748Y1 KR200471748Y1 (ko) 2014-03-11

Family

ID=5148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72U KR200471748Y1 (ko) 2012-07-20 2012-07-20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88Y1 (ko) 2017-12-11 2019-08-26 황영희 내용물의 보관 및 음용이 가능한 다단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9727U (ko) * 1979-03-28 1980-10-06
JPS5882115U (ja) * 1981-11-30 1983-06-03 中国パ−ル販売株式会社 簡易弁当箱
JP4469384B2 (ja) * 2006-12-06 2010-05-26 エフピコチュ−パ株式会社 果物収納容器
KR200454232Y1 (ko) * 2009-09-01 2011-06-23 이용재 도시락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48Y1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530B2 (en) 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system
US8777043B2 (en) 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system
USD539541S1 (en) Three level nesting/stacking containers
US20080000795A1 (en) Stackable containers
US20220089324A1 (en) Bin with flip lid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US20070289939A1 (en) Plastic container with separately formed handle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KR200471748Y1 (ko)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US20120048821A1 (en) Nestable container
KR200453733Y1 (ko)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CN216003697U (zh) 一种用于包装容器的盖体
US20210163179A1 (en) Food container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3183850U (ja) 容器
JP2017149462A (ja) 食品包装用容器
US20180319543A1 (en) Container
JP3202018U (ja) 食品収容容器
CN214904384U (zh) 一种便于叠放的快餐饭盒
US20170101228A1 (en) Food Storage Unit
US20180079546A1 (en) Container
JP3118788U (ja) ランチボックス
KR200338981Y1 (ko) 물품 보관용 다용도 용기
KR200318858Y1 (ko) 중간덮개를 갖는 다단 적층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