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207U -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207U
KR20140000207U KR2020120005726U KR20120005726U KR20140000207U KR 20140000207 U KR20140000207 U KR 20140000207U KR 2020120005726 U KR2020120005726 U KR 2020120005726U KR 20120005726 U KR20120005726 U KR 20120005726U KR 20140000207 U KR20140000207 U KR 201400002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charge port
ice
hair dry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규
Original Assignee
(주)경성프라텍
최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프라텍, 최덕규 filed Critical (주)경성프라텍
Priority to KR2020120005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207U/ko
Publication of KR20140000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2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20/00Type of materials or objects being removed
    • B08B2220/01Adhesiv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서 직류전원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헤어드라이기로서, 모발 관리에 뿐만 아니라, 차량의 윈도우 등에 형성된 얼음이나 스티커의 잔존 접착제 등을 제거하는 용도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는, 일측에 열기를 방출하는 토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고열을 발생하는 전열선(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20)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상기 토출구(11)로 송풍하는 송풍팬(30); 상기 전열선(20)과 상기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및 상기 토출구(11)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탈착식 제거대(50); 을 포함한다. 상기 제거대(50)는, 상기 토출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51), 상기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열기를 집중 분사하는 노즐부(52), 및 상기 노즐부(52)와 나란히 설치되어 차량의 빙면과 해빙수 또는 잔존 접착제를 긁어내는 긁개판(5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Multipurpose Hair Drier for Car}
본 고안은 차량용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에서 직류 전원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차량용 헤어드라이기로서, 모발 관리에 뿐만 아니라, 차량의 윈도우 등에 형성된 얼음이나 스티커의 잔존 접착제 등을 제거하는 용도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기는 젖은 머리카락을 상온 또는 따뜻한 공기로 말리거나 헤어스타일을 세팅하는 것 등 모발 관리에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전기기구이다.
자동차문화의 급속한 보급으로, 차량에 공급되고 있는 직류전원을 시거소켓과 시거잭을 통해 공급받아 차량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헤어드라이기도 개발되어 있다.
차량용 헤어드라이기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7502호(2000. 07. 12. 등록)의 자동차용 헤어드라이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33629호(1998. 10. 14. 등록)의 교류/직류전원 이용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기 등이 있다.
한편, 겨울철에 노지에 장시간 주차를 한 경우에, 눈이나 성에가 차량의 윈도우 표면에 동결되어 빙면(氷面)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차량 윈도우의 빙면은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안전운전을 방해하게 되므로,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후방 윈도우의 빙면은 윈도우에 배선된 열선을 이용해서 해빙 및 제거하는 바, 후방 윈도우에는 빙면이 존재하여도 룸미러에 의한 후방 관찰이 어려울 뿐 운전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므로, 빙면이 완전히 제거되기 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전방 윈도우에 있는 빙면은,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제거하여야 안전운전을 할 수 있다. 전방 윈도우의 빙면은 차량의 히터로 해빙하여 제거할 수 있으나, 오랜 시간 동안 엔진을 가동하지 아니한 차량의 경우는 히터의 온도가 빙면을 녹일 수 있을 정도로 상승하기 까지 짧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히터를 사용한 제빙은 장시간의 엔진 공회전을 수반하게 되고, 히터로 빙면을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의 운전자들은, 히터가 가열되기 이전에, 와이퍼를 작동하여 빙면을 제거하기도 하고, 빙면 제거용으로 만들어진 긁개를 사용하여 빙면을 제거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자의 와이퍼 사용은 빙면이 얇고 기온이 낮지 않은 경우에만 가능할 뿐, 빙면이 두껍거나 기온이 매우 낮을 때에는 효과를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와이퍼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긁개 사용은 가열에 의한 해빙 없이 단지 물리적인 힘만으로 빙면을 제거하야야 함으로 빙면이 효과적으로 잘 제거되지 아니하는 불편이 있다.
전열기구를 이용한 차량 윈도우의 빙면 제거장치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593호(2001. 07. 25. 등록)의 자동차 비상램프 겸용 열풍기가 있다.
겨울철 차량 운전과 관련하여 겪게 되는 또 다른 불편으로서는, 타이어에 체결했던 스노체인을 분리하고자 할 때, 체인의 결속부에 동결된 얼음으로 인해 결속부를 푸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아울러, 차량을 관리함에 있어서, 부착되어 있던 스티커를 떼어 내었을 때 일부 접착제(또는 점착제)가 윈도우 등에 남아 있을 경우가 있는 바, 이런 잔존 접착제는 단지 닦아 내는 것만으로는 잘 제거가 되지 않는 어려움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윈도우에 결빙된 빙면, 스노체인의 결속부에 동결되어 있는 얼음, 윈도우 등에 남아 있는 잔류 접착제(점착제) 등을 제거하는 용도로서도 겸용할 수 있는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는, 하우징, 전열선, 송풍팬, 전원공급부, 및 제거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열기를 방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열선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상기 토출구로 송풍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은, 바라직하게 차량의 시거소켓에 삽입하여, 상기 전열선과 상기 송풍팬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거대는, 상기 토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거대는, 상기 토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열기를 집중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와 나란히 설치되어 차량의 빙면과 해빙수 또는 잔존 접착제를 긁어내는 긁개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거대는 차량에 묻어 있는 물기를 닦아 내기 위한 와이퍼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는, 평상시에는 차량용 헤어드라이기로 사용하지만, 동절기에는 차량의 윈도우에 형성된 빙면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노체인의 결속부에 동결된 얼음을 녹이는 용도와, 차량에 남아 있는 잔존 접착제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는, 차량 윈도우 등의 빙면이나 잔존 접착제를 제거함에 있어서 열기에 의한 해빙(또는 유연화)과 물리적인 긁어냄을 동시에 적용함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빙면이나 잔존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의 개략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1)는, 하우징(10), 전열선(20), 송풍팬(30), 전원공급부(40) 및 제거대(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핸드 드라이어기로서, 하우징(10), 전열선(20), 송풍팬(30) 및 전원공급부(40)는 종래의 차량용 헤어드라이기와 그 실질적인 구성이 동일하며, 이들 구성들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기술을 본 고안에 맞게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통상적인 헤어드라이기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일측에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토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는 차량에서의 모발 관리에 사용하면서도, 차량 윈도우 등에 형성된 빙면이나 스티커를 떼어낸 곳에 남아 있는 잔존 접착제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하는 것이므로, 하우징(10)은, 도1 내지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헤어드라이기와 마찬가지로 손잡이(12)를 권총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를 직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량 윈도우의 빙면이나 접착제를 제거할 때 보다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12)의 각도를 사용 용도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게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전열선(20)은, 일반적인 헤어드라이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 받아 고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송풍팬(30)은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 받아 전열선(20)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토출구(11)로 강제 송풍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전열선(20)과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0)로는 건전지나 충전식 배터리 등 외부 직류전원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 차량에 공급되고 있는 직류전원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40)로서는 통상의 차량용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의 시거소켓에 삽입하여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거잭(40)을 적용한다.
전원공급부(40)로서의 시거잭(40)을 차량의 시거소켓에 삽입하면 전열선(20)과 송풍팬(30)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시거잭(40)과 하우징(10) 사이는 긴 전선(41)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는 차량 내에서 뿐만 아니라 차량 밖으로 이동하여 윈도우 등의 빙면이나 잔존 접착제에 열기를 가하거나 타이어의 스노체인에 열기를 가하는 것 등에도 사용되므로, 상기 전선(41)은 시거소켓과 실외의 필요한 위치까지 자유롭게 도달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로 형성한다,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에서 전기를 소모하는 전열선(20)과 송풍팬(30)은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회로가 구축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하우징(10)에 마련된 스위치(42)를 통해 전열선(20)과 송풍팬(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체로 또는 선택적으로 단속한다.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1)에 다른 추가의 기능이 부여된 경우 전열선(20)과 송풍팬(30) 이외에 추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기기들이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는 탈착식 제거대(50)를 포함한다.
제거대(50)는 본 고안을 헤어드라이어기로 사용할 때에는 하우징(10)의 토출구(11)로부터 분리하고, 본 고안을 제빙이나 잔존 접착제 제거에 사용할 때에는 토출구(11)에 조립하는 탈착식 부속품이다.
제거대(50)는, 구조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부품이지만, 기능적으로 결합부(51), 노즐부(52) 및 긁개판(5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51)는 제거대(50)를 토출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토출구(11)와 그 주변의 하우징(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1)에 대한 결합부(51)의 탈착 결합은, 탄성적인 걸림턱, 나사 결합, 강제적인 타이트한 끼워맞춤 등,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노즐부(52)는,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를 제빙이나 접착제 제거에 사용할 때,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열기를 가열하고자 하는 윈도우 등의 빙면(또는 접착제 부착면)에 집중적으로 분사하여 빙면(또는 접착제)이 보다 신속하게 해빙(또는 유연하게) 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열기의 집중성과 방향성을 확보하도록 길게 신장된 좁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긁개판(53)은 노즐부(52)와 나란히 형성되어 차량 윈도우의 빙면과 해빙수 또는 잔존 접착제를 긁어내는, 바람직하게 끝면이 직선인 평평한 판상의 부분이다.
바람직하게, 도3과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대(50)는 와이퍼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부재(54)는, 마치 차량의 원도브러시로 윈도우의 물기를 제거하듯이, 노즐부(52)를 통해 분사된 열기에 의해 빙면이 해빙된 후 긁개판(53)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차량 윈도우 등에 남아 있게 되는 물기를 닦아 내기 위한 부재이다. 와이퍼부재(54)로 물기를 제거하면, 윈도우를 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빙된 물이 윈도우 등에 다시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퍼부재(54)는 제거대(50)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마모되었을 때 교체할 수 있도록 탈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탈착식의 경우 제거대(50)에 장착슬롯(54a)을 형성하고 장착슬롯(54a)에 와이퍼부재(54)를 측면에서 끼워 장착하는 방식으로 장착 및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는, 이를 윈도우 등의 빙면이나 접착제 제거용으로 사용할 경우, 노즐부(52)를 통해 분사되는 열기로 빙면을 해빙하거나 잔존 접착제를 유연하게 함과 아울러, 녹기 시작하는 빙면과 녹은 해빙수 또는 유연해진 잔존 접착제를 긁개판(53)으로 긁어내고, 부가적으로 남아 있는 물기를 와이퍼부재(54)로 닦아내는 방식으로, 빙면이나 잔존 접착제를 제거하는 것이므로, 단지 열기만을 가하거나 단지 긁어내기만 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빙면 또는 잔존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1)로 스노체인 결속부의 동결 얼음을 제거할 경우에는, 제거대(50)를 결합하여 얼음을 해빙하면 족하고, 긁개판(53)에 의한 긁어내는 작업은 불필요하다.
1: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10: 하우징 11: 토출구
12: 손잡이 20: 전열선
30: 송풍팬 40: 전원공급부(시거잭)
41: 전선 42: 스위치
50: 제거대 51: 결합부
52: 노즐부 53: 긁개판
54: 와이퍼부재

Claims (2)

  1. 일측에 열기를 방출하는 토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고열을 발생하는 전열선(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선(20)에 의해 발생된 고열을 상기 토출구(11)로 송풍하는 송풍팬(30); 상기 전열선(20)과 상기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및 상기 토출구(11)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탈착식 제거대(50); 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대(50)는, 상기 토출구(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51), 상기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열기를 집중 분사하는 노즐부(52), 및 상기 노즐부(52)와 나란히 설치되어 차량의 빙면과 해빙수 또는 잔존 접착제를 긁어내는 긁개판(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대(50)는, 차량에 묻어 있는 물기를 닦아 내기 위한 와이퍼부재(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KR2020120005726U 2012-07-02 2012-07-02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KR201400002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726U KR20140000207U (ko) 2012-07-02 2012-07-02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726U KR20140000207U (ko) 2012-07-02 2012-07-02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207U true KR20140000207U (ko) 2014-01-10

Family

ID=5244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726U KR20140000207U (ko) 2012-07-02 2012-07-02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2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886B1 (ko) 2015-06-12 2016-11-14 곽영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886B1 (ko) 2015-06-12 2016-11-14 곽영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25880A1 (en) Apparatus for removing snow/ice from an object
CN205378251U (zh) 一种清除车挡风玻璃上冰霜的装置
KR20140000207U (ko)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CN204659671U (zh) 一种汽车玻璃除霜器
GB2328734A (en) Car windscreen de-icer/demister
US4404705A (en) Car window defroster
US20130000802A1 (en) Windshield Wiper Sleeve
CN103754194A (zh) 一种电热风除雪铲
KR101130269B1 (ko) 서리 및 기름 제거장치
CN202863401U (zh) 多功能洗车器
KR20150129385A (ko) 자동차 유리의 서리방지용 히터
KR101627923B1 (ko) 차량용 다목적 휴대형 서리제거장치
WO2007003673A2 (es) Sistema calefactor del parabrisas de automóviles
KR20170136339A (ko) 핸디형 차량 유리창 클리너
KR200241593Y1 (ko) 자동차 비상램프 겸용 열풍기
KR20080006408U (ko) 열풍을 이용한 차량용 스티커 제거기.
CN212073982U (zh) 车用清霜除冰器
KR101675886B1 (ko)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CN203832451U (zh) 一种带加热装置的汽车清洁用除雪工具
CN205186103U (zh) 一种除冰装置
CN204488745U (zh) 多功能汽车电动除霜器
CN109910828A (zh) 一种汽车除霜除雾装置
CN204356725U (zh) 一种多功能清洁车
KR100273106B1 (ko) 온풍기겸용성에제거장치
KR200170231Y1 (ko) 헤어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