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886B1 -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 Google Patents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886B1
KR101675886B1 KR1020150083371A KR20150083371A KR101675886B1 KR 101675886 B1 KR101675886 B1 KR 101675886B1 KR 1020150083371 A KR1020150083371 A KR 1020150083371A KR 20150083371 A KR20150083371 A KR 20150083371A KR 101675886 B1 KR101675886 B1 KR 10167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body
hot
cold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
Original Assignee
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 filed Critical 곽영
Priority to KR1020150083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차량용 냉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면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팬이 내장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온풍이나 냉풍을 토출하는 냉온풍기 본체;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한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재;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이나 상기 온도조절부재 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스위치에 의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차량의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냉온풍기 본체를 차량의 내부에 거치시키는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ITH NEGATIVE ION GENERATOR}
본 발명은 차량용 냉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온도 제어가 가능한 냉풍이나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살균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 차량의 윈드실드나 백밀러 등에 발생한 성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공조기는 엔진룸의 열기를 이용하여 온풍을 차내로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엔진룸의 오염된 공기가 차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오염된 공기 내에 있는 세균 및 바이러스가 차내에 있는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감기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탁한 공기로 인한 두통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절기에는 차량의 앞유리나 백미러에 성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와 같이 성애가 발생할 경우에는 시야가 방해되므로 성애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때, 기존에는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의 히터를 가동하여 엔진이 웜업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207호에 제안된 차량용 헤어드라이기가 있다.
선행기술은 통상의 헤어드라이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면서 차량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하우징의 토출구에 결합되어 온풍을 토출하는 동시에 유리의 성애를 긁어내는 긁개판이 구비되어 성애를 제거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단순히 차량의 전원을 통해 온풍만을 제공하면서 성애 제거에만 활용될 뿐, 평상시 차량의 실내에 거치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 온풍 및 냉풍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음이온과 같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배출할 수 없으며, 작동상태나 차내의 온도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취약점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DC 12V로는 온풍을 발생시키기에 부족해서 온풍효과가 아주 미미하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2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평상시 차량에 착탈가능하게 거치된 상태로 음이온과 함께 온풍이나 냉풍을 제공하여 쾌적한 차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는 거치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윈드실드나 백미러 등에 발생한 성애를 온풍으로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젖은 머리, 옷 등을 쉽게 건조할 수 있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거치된 상태로 현재의 작동상태와 함께 차내의 온도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거치된 상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온풍이나 냉풍의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 본 발명은 인버터기능을 이용하여 DC전원을 AC로 전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온풍발생에 필요한 충분한 전원을 확보 및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는,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면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팬이 내장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온풍이나 냉풍을 토출하는 냉온풍기 본체;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한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재;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이나 상기 온도조절부재 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스위치에 의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차량의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냉온풍기 본체를 차량의 내부에 거치시키는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도조절부재는, 상기 송풍팬에 인접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면서 고열을 제공하는 전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온도조절부재는, 상기 송풍팬에 인접상태로 설치되고,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흡열하거나 발열하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한 바람을 냉각시키거나 가열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치부재는, 차량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판;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면서 상기 지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그립기둥; 및 상기 그립기둥과 상기 지지판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플러는, 상기 그립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스냅돌기; 및 상기 지지판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냅돌기가 스냅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스냅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기둥은, 상하 분할형성된 상태로 상하좌우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가압에 의해 각도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설치되어 차량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에 따르면, 냉온풍기 본체가 거치부재를 구성하는 지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므로 평상시 음이온발생기 및 온도조절부재를 통해 음이온이 포함된 바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는 지지판에서 분리된 상태로 온풍을 제공하여 윈드실드나 백미러 등의 성애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젖은 머리, 옷 등을 쉽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조절부재가 전열선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온풍이나 상온의 바람을 공급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부재가 열전소자로 구성될 경우에는 전류공급방향에 따라 흡열하거나 발열하므로 제어스위치의 제어를 통해 온풍은 물론 냉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재를 구성하는 그립기둥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온풍이나 냉풍의 송풍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 온도조절부재(200), 음이온발생기(300), 제어스위치(400), 디스플레이(500), 전원커넥터(600) 및 거치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온풍기 본체(100)는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토출구(100a)가 형성된 관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내부에 송풍팬(110)이 내장되어 후술되는 전원커넥터(600)에 의해 공급되는 차량의 전원을 통해 작동하면서 토출구(100a)로 온풍이나 냉풍을 음이온과 함께 토출한다.
또한, 냉온풍기 본체(100)는 후방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100b)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토출구(100a)로 토출한다.
송풍팬(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의 공기유입구(100b) 측에 내장되며, 전원에 의한 팬구동부(110a)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바람을 토출구(100a)로 토출시킨다.
이러한 냉온풍기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그립기둥(720)이 손잡이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에 파지될 수도 있다.
한편, 냉온풍기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온도센서(800)가 설치되어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온도조절부재(200)는 송풍팬(110)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여 냉온풍기 본체(100)의 토출구(100a)로 온풍이나 냉풍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온도조절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면서 온풍을 제공하는 전열선(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열선(210)의 작동을 통해 온풍을 공급하고, 전열선(210)의 미작동시에는 송풍팬(110)에 의한 상온의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온도조절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210)을 대신하여 송풍팬(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열전소자(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열전소자(220)는 알려진 바와 같이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한 것으로,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일측면이 흡열하거나 발열하고, 타측면이 일측면과 상반된 상태로 발열하거나 흡열하면서 냉각모드 또는 히팅모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열전소자(220)는 후술되는 제어스위치(400)에 의해 냉각모드나 히팅모드로 작동하면서 송풍팬(110)의 바람을 냉각시켜 냉풍을 제공하거나 송풍팬(110)의 바람을 가열하여 온풍을 제공한다.
음이온발생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에 내장되어 작동하면서 음이온을 발생시켜 토출구(100a)를 통해 공급하거나 자연 발생시킨다.
이러한 음이온발생기(3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음이온발생기(300)는 고전압발생부, 내부전극을 통해 고전압발생부와 연결되는 세라믹판, 외부전극을 통해 고전압발생부와 연결되는 금속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전압발생부에서 내부전극 및 외부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세라믹판 및 금속망이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서 음/양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와 달리, 음이온발생기(300)는 음이온이 영구적으로 발생하는 특수 물질로 구성되어 음이온을 토출구(100a)로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음이온발생기(300)는 io2, Ai203, Fe203, CaO, Na2O, Tio2, lg.loss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바이오 소재로 구성되면서 몰드ㆍ성형시켜 제조될 수 있다.
제어스위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300)나 온도조절부재(200) 또는 송풍팬(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스위치(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식으로 구성되어 각 구성의 작동을 선택이나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스위치(400)는 리모컨 식으로 구성되어 각 구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제어스위치(400)에 의한 작동상태나 온도센서(800)에 의한 차내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500)는 차내 온도표시와 함께 히팅모드 또는 냉방모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송풍팬(110)의 작동속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전원커넥터(600)는 차량의 전원을 냉온풍기 본체(100)에 공급하여 전술한 음이온발생기(300)나 온도조절부재(200) 또는 송풍팬(110)을 작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전원커넥터(600)는 차량의 시거잭에 연결되는 플러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에스비플러그 형태로 구성되어 냉온풍기 본체(100)를 분리한 후 유사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이 아닌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원커넥터(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인버터제어부(600a)를 통해 연결되어 차량의 DC전원을 AC로 전환하여 제공할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버터제어부(600a)에 의한 AC전원을 통해 온풍이나 냉풍발생이 필요한 충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커넥터(600)는 차량에 연결된 상태로 백미러나 윈드실드의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재(700)는 냉온풍기 본체(100)를 평상 시 차내에 거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거치부재(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710), 그립기둥(720) 및 커플러(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710)은 차량의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이루어져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710)은 하단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흡착판을 통해 차량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갤패드와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지지판(710)은 차량의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립기둥(7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풍기 본체(100)의 하부에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면서 지지판(7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커플러(730)는 그립기둥(720)과 지지판(710)을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냉온풍기 본체(100)를 거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커플러(7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돌기(731) 및 스냅홀더(7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냅돌기(731)는 그립기둥(720)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면서 링형태로 돌출형성된다.
스냅홀더(7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710)의 중앙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스냅돌기(731)가 스냅결합된다.
즉, 그립기둥(720)은 스냅돌기(731)를 통해 지지판(710)의 스냅홀더(732)에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냉온풍기 본체(100)는 평상시 지지판(710)에 고정된 상태로 거치되며, 동절기에 백미러나 윈드실드의 성애 제거시 지지판(71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온풍을 통해 성애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그립기둥(7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형성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그립기둥(7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721)와 하부부재(722)로 구성되면서 서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723)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체결되어 각도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그립기둥(720)은 상부부재(721)가 볼헤드 형태로 구성되면서 하부부재(722)가 볼홀더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723)의 체결에 의해 볼헤드가 가압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00a)에 설치되는 송풍블레이드(9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송풍블레이드(900)는 토출구(100a)로 토출되는 온풍이나 냉풍의 송풍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송풍블레이드(9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로 형성되어 링크를 통해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어스위치(400)에 의해 작동하는 미도시된 구동모터를 통해 작동하면서 송풍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는, 냉온풍기 본체(100)가 거치부재(700)를 구성하는 지지판(710)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므로 평상시 음이온발생기(300) 및 온도조절부재(200)를 통해 음이온이 포함된 바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는 지지판(710)에서 분리된 상태로 온풍을 제공하여 윈드실드나 백미러 등의 성애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젖은 옷 등을 쉽게 건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냉온풍기 본체
100a : 토출구
100b : 공기유입구
110 : 송풍팬
110a : 팬구동부
200 : 온도조절부재
210 : 전열선
220 : 열전소자
300 : 음이온발생기
400 : 제어스위치
500 : 디스플레이
600 : 전원커넥터
700 : 거치부재
710 : 지지판
720 : 그립기둥
721 : 상부부재
722 : 하부부재
723 : 체결부재
730 : 커플러
731 : 스냅돌기
732 : 스냅홀더
800 : 온도센서
900 : 송풍블레이드

Claims (7)

  1.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면서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팬이 내장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온풍이나 냉풍을 토출하는 냉온풍기 본체;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한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재;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내장되어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이나 상기 온도조절부재 또는 상기 음이온발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스위치에 의한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차량의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커넥터; 및
    상기 냉온풍기 본체를 차량의 내부에 거치시키는 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차량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판;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손잡이를 제공하면서 상기 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그립기둥; 및
    상기 그립기둥과 상기 지지판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그립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스냅돌기; 및
    상기 지지판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냅돌기가 스냅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스냅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풍기 본체의 토출구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온풍이나 냉풍의 송풍각도를 조절하는 송풍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재는,
    상기 송풍팬에 인접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면서 고열을 제공하는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재는,
    상기 송풍팬에 인접상태로 설치되고, 전류의 인가방향에 따라 흡열하거나 발열하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한 바람을 냉각시키거나 가열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기둥은,
    상하 분할형성된 상태로 상하좌우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가압에 의해 각도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기 본체에 설치되어 차량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KR1020150083371A 2015-06-12 2015-06-12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KR10167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371A KR101675886B1 (ko) 2015-06-12 2015-06-12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371A KR101675886B1 (ko) 2015-06-12 2015-06-12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886B1 true KR101675886B1 (ko) 2016-11-14

Family

ID=5752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371A KR101675886B1 (ko) 2015-06-12 2015-06-12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4787A (zh) * 2018-08-16 2019-01-01 广东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负离子风口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50Y1 (ko) * 2002-09-17 2002-12-20 백태우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0726847B1 (ko) * 2006-03-20 2007-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 온풍기
KR100832799B1 (ko) * 2006-11-28 2008-05-27 이용덕 차량용 실내 제습 장치
KR20140000207U (ko) 2012-07-02 2014-01-10 (주)경성프라텍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50Y1 (ko) * 2002-09-17 2002-12-20 백태우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0726847B1 (ko) * 2006-03-20 2007-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 온풍기
KR100832799B1 (ko) * 2006-11-28 2008-05-27 이용덕 차량용 실내 제습 장치
KR20140000207U (ko) 2012-07-02 2014-01-10 (주)경성프라텍 차량용 다목적 헤어드라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4787A (zh) * 2018-08-16 2019-01-01 广东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负离子风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7632A1 (en) Heated air blower
US20140325880A1 (en) Apparatus for removing snow/ice from an object
ES2747180T3 (es) Vehículo con una carcasa para el alojamiento y la regulación de temperatura de un dispositivo electrónico
JP2000107545A (ja) 活性炭フィルタを備えた空調装置
KR101675886B1 (ko)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차량용 냉온풍기
CN109875217A (zh) 智能控温型吹风机
CN210363728U (zh) 一种车窗玻璃用除雾装置
US5781695A (en) Remote car heating system with heater remote control sensor removably attached to the rear view mirror
CN210821749U (zh) 一种多功能空调出风口
GB2390118A (en) Electrical heating and demisting device for a vehicle
CN211308498U (zh) 一种车用除霜器
KR20090042415A (ko) 차량용 보조난방장치
KR200274960Y1 (ko) 욕실 거울의 김서림 제거 장치
BR202014011965U2 (pt) disposições introduzidas em climatizador para cabines de caminhões, ônibus, máquinas agrícolas e utilitários
CN212386462U (zh) 一种便携式车窗除霜装置
CN219029357U (zh) Adas模组和挡风玻璃的吹风除雾装置
KR20070114903A (ko) 차량 유리의 성애제거 방법
CN207931601U (zh) 汽车外后视镜雨雪阻隔器及带有雨雪阻隔器的外后视镜
ES2268976A1 (es) Sistema calefactor de parabrisas de automoviles.
CN205871996U (zh) 汽车雾霜清除器
KR200338412Y1 (ko) 자동차용 윈도우 성에 제거장치
CN204296588U (zh) 一种汽车中央后视镜
KR200200289Y1 (ko) 자동차의 다목적 전기 청소기 시스템
KR940000675Y1 (ko) 자동차의 앞유리 성애 및 습기 제거장치
KR200196376Y1 (ko) 차량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