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01A -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01A
KR20140000001A KR1020120052223A KR20120052223A KR20140000001A KR 20140000001 A KR20140000001 A KR 20140000001A KR 1020120052223 A KR1020120052223 A KR 1020120052223A KR 20120052223 A KR20120052223 A KR 20120052223A KR 20140000001 A KR20140000001 A KR 20140000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call
telephone
emergency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송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태 filed Critical 송종태
Priority to KR102012005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001A/ko
Publication of KR2014000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방법은, 승강기 카내 폰박스에서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는 비상호출단계와; 비상호출 발생이 검출되면, 구내전화의 전화번호로 비상호출을 하는 구내호출단계와; 상기 구내 호출단계에서 상기 구내전화에서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 그 호출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중망을 통하여 외부전화로 비상호출을 하는 외부호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A System For Emergency Call And A Linking Method For Emergency Call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내 비상호출시 구내전화 호출에 의한 응답이 없는 경우 차순위 구내전화 호출 또는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선순위 구내전화 호출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차순위 구내전화 호출 또는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을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수직 이동수단인 승강기는 밀폐된 좁은 공간으로, 승강기 카내 승객이 갇히게 되면 카내 승객은 극심한 공포감을 느끼게 되므로, 카내 승객갇힘 사고에 대비하여 각국은 승강기 관련 규정을 통하여 카내 비상통화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국가에 따라 비상통화장치는 구내전화 외에 외부 유지보수업체 콜센터, 유지보수요원 전화, 119 등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한 연결을 강제하는 규정을 두는 경우도 있으므로 비상통화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 내지 3에 의하는 종래 비상통화 시스템에서는 승강기 카에 승객이 탑승하여 목적층으로 이동중 승강기 고장과 같은 이상이 발생하여 카내 승객 갇힘이 발생하면, 승객은 카내 폰박스(100)의 비상통화버튼(110)을 눌러서 비상호출을 하게 된다(제10단계).
주장치(140)는 카내 폰박스(100)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검출되면, 메모리에 기록된 구내전화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다이얼링을 하고 링신호를 송출하여 비상호출을 시도하게 된다(제11단계).
한편, 호출 가능한 구내전화(150)가 2 이상인 경우에는 구내전화(150) 전화번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어느 구내전화에서든 응답이 있을 때까지 순차로 비상호출을 시도하며, 이 경우 기존 비상호출을 끊고 후순위 전화번호에 다이얼링을 하고 링신호를 송출한다.
구내전화(150)에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구내전화(150)와 비상통화연결을 하고 다른 모든 비상호출을 중단한다(제12단계,제13단계).
모든 구내전화(150)에 대한 호출에 의해 비상통화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 주장치(140)는 구내전화 호출을 끊고 원격지 외부전화(170)에 대한 비상호출을 시도하며, 원격지 외부전화(170)가 2 이상이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순환하며 비상호출을 시도하게 된다(제14단계,제15단계,제16단계,제18단계).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비상통화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 비상통화시스템은 구내전화 호출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순차 비상호출을 시도하며 기존 비상호출을 끊고 후순위 구내전화(150)의 전화번호로 비상호출을 하기 때문에 승객갇힘 사고가 발생한 승강기와 근거리의 담당자가 잠시 부재중이다가 다시 돌아온 경우에 이미 다음 순위로 비상호출이 전환되어 권한이 넘어가므로 신속대응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원격지 외부전화(170)로 비상호출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구내전화에 대한 호출을 모두 끊은 상태에서 외부전화에 대한 비상호출 시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내의 어느 누구도 비상호출을 받지 못하고 원격지 담당자에게 권한이 넘어가므로 구내 담당자의 승객구출과 같은 신속 적절한 대응조치 가능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갇힘과 같은 승강기 카내 사고로 인한 비상호출시, 구내전화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어 차순위 구내전화 또는 원격지 외부전화로 비상호출을 할 때, 기존 구내전화 호출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차순위 구내전화 호출 또는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을 행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방법은, 승강기 카내 폰박스에서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는 비상호출단계와; 비상호출 신호가 검출되면, 구내전화의 전화번호로 비상호출을 하는 구내호출단계와; 상기 구내호출단계에서 상기 구내전화에서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그 호출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외부전화로 비상호출을 하는 외부호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내호출단계에서 호출대상 전화번호가 복수 개인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호출을 수행하며, 후순위 호출시 기존 선순위 구내전화 호출을 모두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내호출단계에서 호출대상 전화번호가 복수 개인 경우에 응답이 있을 때까지 모든 호출대상 전화번호에 대하여 비상호출을 하여 그 호출을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호출단계에서는 상기 구내전화에 대한 비상호출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해 우선순위에 따라 호출을 시도하며, 후순위의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시에는 기존 선순위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을 끊고 비상호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은, 승강기 카내 사고 발생시 비상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카내 폰박스와; 승강기 카내 사고 발생시 비상호출 응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구내전화와; 승강기 카내 사고 발생시 비상호출 응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외부전화와; 상기 구내전화 및 상기 원격지 외부전화의 전화번호에 순위를 부여한 상태로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카내 폰박스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순위에 따라 상기 구내전화의 전화번호로 순차 비상호출을 시도하며, 그 구내전화에서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 그 호출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순위 구내전화 또는 공중망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원격지 외부전화로 비상호출을 하는 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기존 구내전화에 대한 1차적인 비상호출에 실패하여 차순위 구내호출 또는 원격지 외부호출을 하는 경우에도 비상상황이 발생한 승강기와 가까운 곳에 있는 관리인은 언제라도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비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가까운 곳에 있는 관리인에 의한 대처 가능성이 커지므로 비상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비상통화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종래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한 비상통화 연결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3은 종래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한 비상통화연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한 비상통화 연결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방법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비상통화시스템은, 승강기 승객에게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승강기 카내 폰 박스(100)와, 비상호출 발생시 비상호출 응답이 가능한 구내전화(150)와, 비상호출 발생시 비상호출 응답이 가능한 원격지 외부전화(170)와, 상기 카내 폰박스(100)와 상기 구내전화(15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구내전화(150)에 대한 비상호출 및 비상통화 연결을 하며,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한 비상호출 및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주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카내 폰 박스(100)는 카내 승객이 탑승하여 목적층으로 이동중에 고장 등 이상 발생으로 승객이 카내에 갇혔을 때나 기타 긴급사항이 있는 경우 비상호출 및 통화를 하기 위한 장치로, 스피커(120)와 마이크(130) 및 비상통화버튼(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구내전화(150)는 상기 주장치(200)에 의해 카내 폰 박스(100)와 전화연결되며, 카내 폰 박스(100)에서 비상호출 신호 발생시 구내 관리자와 카내 승객의 비상통화가 가능하도록 구내 경비실(151), 관리실(152), 기계실(153) 등 구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원격지 외부전화(170)는 승강기 카내에 갇힌 승객과 비상통화를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콜센터(171), 119 소방서(172) 및 유지보수요원의 전화(173) 등을 포함하며, 주장치(200) 및 공중망(160)을 경유하여 카내 폰박스(10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주장치(200)는, 승강기 카내에 승객갇힘 사고 발생시 카내 폰 박스(100)로부터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비상호출 수신부(210)와, 비상호출을 수신한 경우 1차적으로 구내전화(150)로 비상호출을 하기 위한 구내전화 연결수단(230)과, 2차적으로 그 구내전화(150)에 대한 호출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중망(160)을 통하여 원격지 외부전화(170)로 비상호출을 하기 위한 공중망 연결수단(250)과, 비상호출을 위한 구내전화(150) 및 외부전화(170)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240)와, 각부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주장치(200)는 1 차적으로 구내전화(150)로 비상호출을 하는데, 호출대상 구내전화(150)가 2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280)는 메모리(240)의 구내전화 번호를 독출하며, 구내전화 연결수단(230)은 우선순위에 따라 구내전화 번호로 다이얼링을 하여 비상통화를 시도한다.
일정시간 링신호 송출을 유지하고 응답이 없어서 후순위 호출을 하는 경우에는 기존 모든 우선순위 호출을 유지한 상태에서 순차 후순위 호출을 하며, 어느 구내전화(150)에서든 응답이 있을 때까지 링신호 송출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내전화(150)에 우선순위를 두지않고 전체 구내전화(150)에 대하여 다이얼링을 하고 응답이 있을 때까지 모든 호출대상 전화번호에 대하여 링신호 송출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주장치(200)는 전체 구내전화(150)에 대한 비상호출을 하고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전체 구내전화(150)에 대한 비상호출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공중망 연결수단(250)이 원격지 외부전화(170)로 다이얼링하고 링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담당자와 비상통화를 시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원격지 외부전화(170)가 2 이상인 경우, 제어부(28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원격지 외부전화의 전화번호를 독출하며, 공중망 연결수단(250)은 우선순위에 따라 원격지 외부전화로 다이얼링을 하고 링신호를 송출하여 비상통화를 시도한다. 일정시간 경과시도 응답이 없을 때는 선순위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한 신호연결을 끊고 후순위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여 링신호를 송출하고 비상통화를 시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격지 외부전화(170)에 대한 비상통화를 순차 시도하는 전체 과정 중에도 구내전화(150)에 대한 비상호출은 계속하여 진행되며, 구내전화(150)나 원격지 외부전화(170)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 그 전화와 비상통화 연결을 하며 다른 모든 전화에 대한 비상호출은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갇힘이 발생한 승강기와 가까운 곳에 있는 관리인은 언제라도 비상호출에 응답하여 비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지며, 구내전화와 끝내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한 비상호출에 의하여 비상통화가 가능하므로 비상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비상통화시스템에 의하여 비상통화연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승객이 승강기에 탑승하여 이동중 승강기 고장 등으로 인하여 승객갇힘이 발생한 경우 탑승한 승객은 카내 폰박스(100)의 비상통화버튼(110)을 눌러 비상통화를 시도한다(제20단계).
카내 폰박스(100)로 입력된 비상호출 신호가 주장치(200)로 입력되면, 주장치 제어부(28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구내전화(150)의 전화번호를 독출하며, 구내전화 연결수단(230)은 전화번호 우선순위에 따라 다이얼링을 하고 링신호를 송출한다(제21단계).
어느 하나의 구내전화(150)를 통해 구내 담당자에 의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고 링신호 송출을 중단한다(제22딘계,제23단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우선순위 구내전화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의 비상호출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차순위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고 링신호 송출을 하게 된다.
또한, 차순위 구내전화(150)에서도 일정시간이 경과하도록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다음 순위로 다이얼링 및 링신호 송출을 하며 우선순위에 따라 동일한 과정을 순차로 진행하며, 메모리(240)에 기록된 모든 구내전화(150)에 동시 링신호 송출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과정을 진행한다(제21단계,제22단계).
상기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구내전화(150)에서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그 구내전화(150)와 비상통화 연결을 하고 다른 모든 구내전화(150)에 대한 링신호 송출을 중단한다(제22단계,제23단계).
상기 구내전화(150) 호출과정 중 메모리(240)에 기록된 모든 구내전화(150)에 대한 동시 링신호 송출이 이루어진 후에도 일정시간 경과하도록 응답이 없는 경우, 모든 구내전화(150)에 대한 호출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외부전화(170)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비상통화를 시도한다(제22단계,제24단계).
이 경우 원격지 외부전화(170)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구내전화(150)에 대한 호출은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원격지 외부전화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원격지 외부전화(170)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응답이 없으면 그 전화번호에 대한 연결을 끊고 차순위 원격지 외부전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비상호출을 시도한다(제24단계,제26단계,제24단계).
한편, 원격지 외부전화(170)에 대한 비상호출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구내전화(150)나 원격지 외부전화(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응답이 있으면 비상통화를 연결하며, 다른 구내전화(150) 및 원격지 외부전화(170)에 대한 모든 비상호출을 중단한다(제25단계,제28단계).
메모리(240)에 저장된 모든 원격지 외부전화(170)에 대한 비상호출을 시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정시간 경과해도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한 최초의 우선순위로 복귀하여 비상호출을 순차로 반복하며, 이 과정에도 구내전화(150)에 대한 비상호출은 계속 유지한다(제26단계,제24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100......카내 폰박스 110......비상통화 버튼
150......구내전화 170......원격지 외부전화
200......주장치

Claims (5)

  1. 승강기 카내 폰박스에서 비상호출 신호가 발생하는 비상호출단계와;
    비상호출 신호가 검출되면, 구내전화의 전화번호로 비상호출을 하는 구내호출단계와;
    상기 구내호출단계에서 상기 구내전화에서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그 호출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공중망을 통하여 원격지 외부전화로 비상호출을 하는 외부호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내호출단계에서 호출대상 전화번호가 복수 개인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호출을 수행하며, 후순위 호출시 기존 선순위 구내전화 호출을 모두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내호출단계에서 호출대상 전화번호가 복수 개인 경우에 응답이 있을 때까지 모든 호출대상 전화번호에 대하여 비상호출을 하여 그 호출을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호출단계에서는 상기 구내전화에 대한 비상호출을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원격지 외부전화에 대해 우선순위에 따라 호출을 시도하며, 후순위의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시에는 기존 선순위 원격지 외부전화 호출을 끊고 비상호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 방법.
  5. 승강기 카내 사고 발생시 비상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카내 폰박스와;
    승강기 카내 사고 발생시 비상호출 응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구내전화와;
    승강기 카내 사고 발생시 비상호출 응답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외부전화와;
    상기 구내전화 및 상기 원격지 외부전화의 전화번호에 순위를 부여한 상태로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카내 폰박스로부터 비상호출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순위에 따라 상기 구내전화의 전화번호로 순차 비상호출을 시도하며, 그 구내전화에서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 그 호출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순위 구내전화 또는 공중망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원격지 외부전화로 비상호출을 하는 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KR1020120052223A 2012-05-16 2012-05-16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KR20140000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223A KR20140000001A (ko) 2012-05-16 2012-05-16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223A KR20140000001A (ko) 2012-05-16 2012-05-16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01A true KR20140000001A (ko) 2014-01-02

Family

ID=5013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223A KR20140000001A (ko) 2012-05-16 2012-05-16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0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716A (ko) 2020-06-22 2021-12-29 한상관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716A (ko) 2020-06-22 2021-12-29 한상관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6199B (zh) 电梯系统
JP4369253B2 (ja) エレベータ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1250690B2 (en) Security system for buildings with elevator installations
KR101855364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
CN106586758A (zh) 一种电梯报警系统
KR20170133595A (ko) 센서 값을 이용한 승강기 car의 운행 정지층을 학습하여 결정하는 방법
JP2003300679A (ja) 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40000001A (ko) 승강기 비상통화 시스템 및 비상통화 연결방법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KR102418980B1 (ko) 감시 시스템
KR101631126B1 (ko) 운행모드에 대응하는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원격지 비상통화 시스템
KR20070116758A (ko) 엘리베이터의 응급 호출 시스템
KR20140144531A (ko) 승강기 비상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71688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KR20150060148A (ko) 유무선 하이브리드 방식의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41820B1 (ko) 주파수편이변조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호출/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9195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JP5651028B2 (ja) エレベータの通報システム
KR20190037450A (ko) 비상통화 시 승강기 인식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KR101362536B1 (ko) Sip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1067A (ko) 승강기 비상통화 인터폰 모기
KR102072305B1 (ko) 승강기용 비상 전화기의 설정값 모니터링 방법
CN109789991B (zh) 电梯系统
JP2013052975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8063084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