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409A - 우산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물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409A
KR20130143409A KR1020120066945A KR20120066945A KR20130143409A KR 20130143409 A KR20130143409 A KR 20130143409A KR 1020120066945 A KR1020120066945 A KR 1020120066945A KR 20120066945 A KR20120066945 A KR 20120066945A KR 20130143409 A KR20130143409 A KR 2013014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main body
body part
rainwat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717B1 (ko
Inventor
강신유
신애진
오용운
김범준
조중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7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우산의 표면에 고여있는 빗물을 제거해주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본체부와, 물받이와, 수용부 및 터보 팬을 포함한다. 본체부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다. 물받이는 본체부의 배수구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우산 수용부는 본체부의 개구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에 우산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둘레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다. 터보 팬은 본체부와 상기 우산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홀들을 통해 우산 수용부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송출한다.

Description

우산 물기 제거장치{Rainwater removal device of umbrella}
본 발명은 비에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해 주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실내로 들어오는 사람은 통상 젖은 우산을 비닐 커버를 씌워서 들어오거나 별도의 보관장소에 젖은 우산을 그대로 보관한 후 들어와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다수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젖은 우산을 넣으면 비닐 커버가 자동으로 씌워지는 것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사용된 비닐 커버의 회수가 힘들어 상당한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어 왔다.
이에 따라, 최근에 탈수통의 원리를 적용하여 모터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우산에 젖은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도 제시된 바 있으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물방울이나 삽입된 우산이 외부로 튀어 나와 빗물 제거 장치 주변이 물기로 인해 지저분해 지고 안전성 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7570(2012.02.29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우천시 비에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해 줌으로써 실내에 빗물이 고여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의 비닐 커버의 사용을 억제하여 폐비닐의 누적을 막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에 대응되게 배치된 물받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에 우산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둘레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우산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우산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우산 수용부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송출하는 터보 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 실내에 들어오기 전 우산 표면에 고인 빗물을 자동으로 털어줌으로써, 우산에서 흐른 빗물에 의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에 고인 빗물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연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비닐 커버의 사용을 억제하여 폐비닐의 누적을 막음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우산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우산 물기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물기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는 우천시 젖은 우산을 가지고 실내로 들어올 경우, 바닥에 빗물이 고여 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미끄러워지지 않도록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우산 표면에 있는 빗물을 제거해주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는 본체부(110)와, 물받이(120)와, 우산 수용부(130) 및 터보 팬(14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에 우산으로부터 흐른 빗물이 유출되는 배수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구(111)를 감싸고 있는 바닥면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빗물이 경사면을 따라 흐름으로써 바닥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구(111)로 빗물을 원활하게 유출시키기 위함이다. 배수구(111)는 우산이 배수구(111)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홀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 하부에는 바퀴(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112)는 본체부(110)를 지지하며, 회전 동작에 의해 본체부(1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바퀴(112)를 이용하여 본체부(110)가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물받이(120)는 본체부(110)의 배수구(111)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배수구(111)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수집된다. 배수구(111)를 통과한 빗물이 물받이(120)에 수집되면, 작업자는 물받이(120)만 분리시켜 수집된 빗물을 버리면 되므로 따로 바닥 청소를 할 필요가 없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받이(120)는 소재 및 형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부(11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산 수용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에 우산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31)가 형성되고, 둘레에 다수의 홀(132)들이 형성된다.
홀(132)들은 나사선 형상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터보 팬(140)으로부터 가해지는 고압의 공기를 우산 수용부(130) 내부에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우산 수용부(130) 상측에는 살균기(133)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비가 오는 날에는 대기중의 습도가 높아 세균 번식이 잘 일어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우산 수용부(130)에 살균기(133)를 장착함으로써 세균 번식을 막아 보다 청결하게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살균기(133)는 소재 및 형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우산 수용부(130)와 본체부(110) 사이에는 감지 센서(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우산 수용부(130)에 우산이 삽입되면, 감지 센서(150)에 우산이 감지되어 전원이 켜지고 터보 팬(140)과 살균기(133)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터보 팬(140)은 본체부(110)와 우산 수용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홀(132)들을 통해 우산 수용부(13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송출해준다. 그러면, 홀(132)들을 통과한 고압의 공기가 우산 수용부(130) 내부로 가해져 우산 수용부(130) 내부에 위치한 우산의 빗물을 털어내게 된다.
터보 팬(140)은 날개 바퀴에 후곡 날개를 갖춘 원심 송풍기의 일종으로, 효율이 높고, 저소음이며, 강도가 커 고속 회전에 잘 견디는 장치이다. 따라서, 우산에 고인 빗물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털어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는 우산에 고여있는 빗물을 자동으로 털어줌으로써, 바닥에 빗물이 고여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에 고인 빗물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연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비닐 커버의 사용을 억제하여 폐비닐의 누적을 막음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산 수용부(130)의 홀(132)들은 우산 수용부(130)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터보 팬(14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하단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우산에 고여있는 빗물을 배수구(111)로 원활하게 유출하기 위함이다.
홀(132)들은 우산 수용부(130)에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우산 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 수용부(130)는 홀(132)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노즐(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산 수용부(130) 내부에 노즐(134)이 형성됨으로써, 터보 팬(14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노즐(134)을 통과해 보다 강도 높은 공기를 우산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우산 물기 제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100)의 동작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천시 사용한 우산을 말리기 위해 우산 수용부(130) 내부로 우산을 삽입시키면, 본체부(110)와 우산 수용부(130) 사이에 위치한 감지 센서(150)의 동작에 의해 전원이 켜지고, 터보 팬(140)과 살균기(133)가 동작하게 된다.
그러면, 터보 팬(140)으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노즐(134)을 통과하여 우산 수용부(13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에 의해 우산에 고여 있던 물기를 하단으로 털어준다. 이때, 노즐(134)은 우산 수용부(130)에 45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산에 고여 있는 빗물을 배수구(111)로 원활하게 유출할 수 있다. 또한, 살균기(133)에 의해 우산의 손잡이가 살균됨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우산 물기 제거장치 110.. 본체부
111.. 배수구 112.. 바퀴
120.. 물받이 130.. 우산 수납부
131.. 출입구 132.. 홀
133.. 살균기 134.. 노즐
140.. 터보 팬 150.. 감지 센서

Claims (4)

  1.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배수구에 대응되게 배치된 물받이;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부에 우산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둘레에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우산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우산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홀들을 통해 상기 우산 수용부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송출하는 터보 팬;
    을 포함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수용부의 홀들은 상기 우산 수용부에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수용부는 상기 홀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수용부는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20120066945A 2012-06-21 2012-06-21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139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945A KR101397717B1 (ko) 2012-06-21 2012-06-21 우산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945A KR101397717B1 (ko) 2012-06-21 2012-06-21 우산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409A true KR20130143409A (ko) 2013-12-31
KR101397717B1 KR101397717B1 (ko) 2014-05-26

Family

ID=4998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945A KR101397717B1 (ko) 2012-06-21 2012-06-21 우산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785A (ko) 2019-07-29 2021-02-08 박지인 우산물기제거장치
KR20220057104A (ko) 2020-10-29 2022-05-09 박지인 우산 물기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2541A (zh) * 2015-01-04 2016-08-24 吴娟香 一种公交车用雨伞放置盒
KR20200019013A (ko) 2018-08-13 2020-02-21 노홍일 상부 송풍방식의 우산 물기제거기
KR102134426B1 (ko) 2018-10-22 2020-07-15 주식회사 에스아이솔루션 에어 재순환 시스템이 적용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13545B1 (ko) 2019-02-27 2019-10-21 박용현 무동력 우산 물기제거기
KR200490191Y1 (ko) 2019-04-18 2019-10-08 이승훈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10006180A (ko) 2019-07-08 2021-01-18 영신기전공업(주)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0928Y1 (ko) 2019-11-25 2020-02-11 이승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953A (ko) * 2000-02-22 2001-08-31 구자홍 우산 건조기
KR100828410B1 (ko) * 2006-03-06 2008-05-09 송영식 우산 탈수장치
KR20100006488U (ko) * 2008-12-17 2010-06-25 강병호 우산 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785A (ko) 2019-07-29 2021-02-08 박지인 우산물기제거장치
KR20220057104A (ko) 2020-10-29 2022-05-09 박지인 우산 물기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717B1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717B1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1838563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US20170336087A1 (en) Air umbrella device
KR102011662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US7367136B1 (en) Umbrella and shoe drying device
KR20200021157A (ko) 우산 빗물 흡입기
CA2797364A1 (en) Device for cleaning a rain gutter
CN206738030U (zh) 空气过滤装置和具有空气过滤装置的手持工具
US8561573B2 (en) Litter box odor device
KR100463022B1 (ko) 우산 물기 자동 제거기
KR101781595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210608069U (zh) 一种通风防尘的高低压配电柜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KR102194226B1 (ko) 건물 외벽 자동 청소 장치
KR20120061362A (ko) 빗물제거 우산꽂이함
KR20210067528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060098752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우산 탈수기
KR102180100B1 (ko) 친환경 원심 우산 탈수기
KR101354749B1 (ko) 차량용 가스감지장치의 드레인 구조
KR20190002073U (ko) 우산 건조장치
KR102257455B1 (ko) 우산빗물제거장치
KR930007035Y1 (ko) 옷먼지 자동제거기
KR102158570B1 (ko) 자동우산털이
KR960008738Y1 (ko) 우산 탈수기
KR20100096759A (ko) 신발바닥 물기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