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785A - 우산물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물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785A
KR20210013785A KR1020190091389A KR20190091389A KR20210013785A KR 20210013785 A KR20210013785 A KR 20210013785A KR 1020190091389 A KR1020190091389 A KR 1020190091389A KR 20190091389 A KR20190091389 A KR 20190091389A KR 20210013785 A KR20210013785 A KR 2021001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p body
lower side
hoo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423B1 (ko
Inventor
박지인
Original Assignee
박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인 filed Critical 박지인
Priority to KR102019009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4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26B23/06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천(42)이 씌워져 있고 상단에 꼭지(46)를 갖는 우산(44)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는 하부개방형이고 벽면(10)에 지지대(12)로 지지되며 상측 주연에 다수의 흡기구(18)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을 향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확개된 후드(16)가 일체로 구성된 캡체(14), 상기 캡체(14)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송풍팬(20), 상기 캡체(14)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20)의 하류측에 배치된 삿갓형의 디퓨저(28), 상기 디퓨저(28)내에 배치된 진동모터(32). 상기 진동모터(32)의 하측에 축(34)을 통하여 연장되고 하부에 상기 우산(44)의 꼭지(46)가 삽입되는 삽입구(36)를 갖는 진동패드(38), 상기 후드(16)에 배치된 근접센서(40)를 포함한다. 상기 캡체(14)의 내부에서 송풍팬(20)의 하측에 환상의 전열히터(24)가 착설된다. 상기 캡체(14)의 내주면에 상기 송풍팬(20)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를 소용돌이의 기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와류보조핀(26)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우산물기제거장치 {UMBRELLA DRYER}
본 발명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산을 전개한 상태에서 우산의 방수천에 회오리 열풍을 송풍하고 우산을 진동시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우산의 방수천으로부터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산을 사용한 후 우산을 들고 실내로 입장하는 경우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이 바닥에 고여 출입하는 사람들이 자칫 미끄러져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실내의 입구에서 접은 우산을 집어넣을 수 있는 기다란 비닐봉투를 준비하였다가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봉투에 집어넣어 휴대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모으는 것에 불과하다. 실제로는 우산을 실내로 휴대하기 위하여서는 우산의 방수천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우산물기제거장치는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물기흡수효과가 좋은 흡수지사이로 방수천을 접촉시키는 것을 수 회 반복함으로써 방수천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우산 방수천으로부터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또한,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케이스내에 우산을 집어넣어 압축공기로 우산의 물기를 날려 보내고자 한 우산물기제거기가 알려져 있으나,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므로 물기제거의 효율이 낮은 점이 있다.
1.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143409 (2013.12.31 공개) 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10560 (2014.01.27 공개) 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07779 (2015.01.21 공개) 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90310 (2017.10.25 공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하 것으로, 우산을 전개한 상태에서 우산의 방수천에 회오리 열풍을 송풍하고 우산을 진동시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우산의 방수천으로부터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수천이 씌워져 있고 상단에 꼭지를 갖는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바,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는 하부개방형이고 벽면에 지지대로 지지되며 상측 주연에 다수의 흡기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을 향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확개된 후드가 일체로 구성된 캡체, 상기 캡체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캡체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의 하류측에 배치된 삿갓형의 디퓨저, 상기 디퓨저 내에 배치된 진동모터. 상기 진동모터의 하측에 축을 통하여 연장되고 하부에 상기 우산의 꼭지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는 진동패드, 상기 후드에 배치된 근접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체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하측에 환상의 전열히터가 착설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체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히터의 하측에서 상기 캡체의 내주면에 상기 송풍팬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를 소용돌이의 기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캡체의 직경방향에 대하여 부분나선형으로 경사진 각도로 다수의 와류보조핀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우산의 물기제거를 위하여 상기 우산을 삽입하는 상기 후드의 방사상 외측 변부에 내측으로 만곡된 환상의 홈통이 일체로 형성되고 홈통의 일측에 이러한 홈통으로부터 수집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우산을 전개한 상태에서 우산의 방수천에 회오리 열풍을 송풍하고 우산을 진동시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우산의 방수천으로부터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VI-V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우산물기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는 실내 시설물의 벽면(10)에 지지대(12)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개방형의 캡체(14)가 주요 구성요소이다. 이 캡체(14)는 벽면(10)에 지지되는 지지대(12)에 대하여 그 중심축선의 각도가 수직 또는 이러한 수직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캡체(14)의 하부에는 하측을 향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확개된 후드(16)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캡체(14)의 상측 주연에는 다수의 흡기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캡체(14)의 내부 상측에는 송풍팬(20)을 갖는 팬모터(22)가 착설되어 있고, 송풍팬(20)의 하측으로 캡체(14)의 내주연에 환상의 전열히터(24)가 착설된다.
캡체(14)의 내부에서, 하측위치에는 내주면에 송풍팬(20)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를 소용돌이의 기류, 즉, 와류(渦流)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캡체(14)의 직경방향에 대하여 부분나선형으로 경사진 각도로 다수의 와류보조핀(26)이 배치된다.
한편, 캡체(14)의 내부에서, 하측위치의 중앙부분에는 하측으로 향하는 와류를 방사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삿갓형의 디퓨저(diffuser)(28)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디퓨저(28)는 수개의 방사상의 브라킷(30)으로 캡체(14)의 내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은 삿갓형 디퓨저(28)의 내부하측에는 편심체(도시하지 않았음)의 회전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터(32)가 배치딘다. 이와 같은 진동모터(32)의 하측으로 연장된 축(34)에는 하측에 삽입구(36)를 갖는 탄성고무재질의 진동패드(38)가 착설된다.
한편, 캡체(14)의 후드(16)에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에 두개의 근접센서(4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는 통상적인 구조로 방수천(42)이 씌워진 우산(44)에서 방수천(42)에 묻어 있거나 이에 흡수되어 있는 물기, 즉 남아 있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44)을 펼친 상태에서 상단의 꼭지(46)를 디퓨저(28)내에 배치된 진동패드(38)의 삽입구(36)에 삽입하여 우산(44)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캡체(14)는 적당한 높이에서 실내 시설물의 벽면(10)에 지지대(12)로 고정된다. 이러한 캡체(14)는 벽면(10)에 지지되는 지지대(12)에 대하여 그 중심축선의 각도가 수직 또는 이러한 수직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우산(44)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우산물기제거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산(44)을 펼친 상태 그대로 우산(44)의 꼭지(46)를 디퓨저(28)의 진동패드(38)에 형성된 삽입구(36)에 삽입하면서 캡체(14)의 하측으로 연장된 후드(16)내에 근접시킨다. 우산(44)을 후드(16)내에 근접시킬 때 후드(16)에 배치된 근접센서(40)의 동작으로 캡체(14)내의 팬모터(22)가 구동하고, 전열히터(24)가 발열하며, 디퓨저(28)내의 진동모터(32)가 구동한다.
따라서, 캡체(14)의 흡기구(18)를 통하여 흡기되는 기류가 송풍팬(20)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추진되고 전열히터(24)의 발열에 의하여 기류는 가열된 상태가 되며 와류보조핀(26)에 의하여 소용돌이의 기류, 즉, 와류의 형태로 바뀌어 하측으로 향한다. 이러한 와류는 디퓨저(28)이 도달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확산하여 후드(16)의 하측에 놓인 우산(44)의 방수천(42)에 묻은 물기를 뜨거운 공기로 말려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디퓨저(28)의 내부에 배치된 진동모터(38)가 구동하여 축(34)을 통해 진동패드(40)를 진동시킨다. 따라서, 진동패드(40)의 삽입구(36)에 꼭지(46)가 삽입된 우산(44)도 그 전체가 진동함으로써, 방수천(42)의 물기는 뜨거운 와류의 공기와 진동에 의하여 단시간내에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우산(44)의 물기가 제거되어 우산(44)을 후드(16)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경우, 후드16)의 근접센서(40)가 이를 검출하여 팬모터(22), 전열히터(24) 및 진동모터(32)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우산(44)의 물기, 예를 들어 우산(44)의 방수천에 남아 있는 빗물이 우산의 물기제거를 위한 과정에서 우산(44)으로부터 분리된 빗물이 실내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된 빗물을 후드(16)의 변부하측에 수집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산(44)의 물기제거를 위하여 우산(44)을 삽입하는 후드(16)의 방사상 외측 위치의 변부에 내측으로 만곡된 환상의 홈통(48)을 일체로 형성하고 홈통(48)의 일측에 이러한 홈통(48)으로부터 수집된 물기, 즉, 빗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50)을 배치한다. 이러한 배출관(50)에는 적당한 위치에 배출관(50)의 개폐를 위한 배수코크(도시하지 않았음)가 착설될 수 있다.
우산(44)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우산(44)을 후드(16) 내측으로 삽입하고 우산(44)의 가장자리가 후드(16)의 홈통(4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우산(44)을 진동시키고 우산(44)에 열풍을 공급할 때 우산으로부터 분리된 물기, 즉, 빗물이 우산(44)의 가장자리로부터 홈통(48)으로 낙하하여 홈통(48)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홈통(48)에 수집된 물은 배출관(50)의 개폐를 위한 적당한 배수수단, 예를 들러 배수코크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10: 벽면, 12: 지지대, 14: 캡체, 16: 후드, 18: 흡기구, 20: 송풍팬, 22: 팬모터, 24: 전열히터, 26: 와류보조핀, 28: 디퓨저, 30: 브라킷, 32: 진동모터, 34: 축, 36: 삽입구, 38: 진동패드, 40: 근접센서, 42: 방수천, 44: 우산, 46: 꼭지.

Claims (4)

  1. 방수천(42)이 씌워져 있고 상단에 꼭지(46)를 갖는 우산(44)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우산물기제거장치에 있어서, 우산물기제거장치가
    하부개방형이고 벽면(10)에 지지대(12)로 지지되며 상측 주연에 다수의 흡기구(18)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측을 향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확개된 후드(16)가 일체로 구성된 캡체(14),
    상기 캡체(14)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송풍팬(20),
    상기 캡체(14)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20)의 하류측에 배치된 삿갓형의 디퓨저(28),
    상기 디퓨저(28)내에 배치된 진동모터(32).
    상기 진동모터(32)의 하측에 축(34)을 통하여 연장되고 하부에 상기 우산(44)의 꼭지(46)가 삽입되는 삽입구(36)를 갖는 진동패드(38),
    상기 후드(16)에 배치된 근접센서(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체(14)의 내부에서 송풍팬(20)의 하측에 환상의 전열히터(24)가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체(14)의 내부에서 상기 전열히터(24)의 하측에서 상기 캡체(14)의 내주면에 상기 송풍팬(20)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를 소용돌이의 기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캡체(14)의 직경방향에 대하여 부분나선형으로 경사진 각도로 다수의 와류보조핀(26)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44)의 물기제거를 위하여 상기 우산(44)을 삽입하는 상기 후드(16)의 방사상 외측 변부에 내측으로 만곡된 환상의 홈통(48)이 일체로 형성되고 홈통(48)의 일측에 이러한 홈통(48)으로부터 수집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관(50)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물기제거장치.
KR1020190091389A 2019-07-29 2019-07-29 우산물기제거장치 KR10232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89A KR102324423B1 (ko) 2019-07-29 2019-07-29 우산물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89A KR102324423B1 (ko) 2019-07-29 2019-07-29 우산물기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785A true KR20210013785A (ko) 2021-02-08
KR102324423B1 KR102324423B1 (ko) 2021-11-09

Family

ID=7456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389A KR102324423B1 (ko) 2019-07-29 2019-07-29 우산물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4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452U (ko) * 1978-09-13 1980-03-21
JPH02137692U (ko) * 1989-04-24 1990-11-16
KR19990045925A (ko) * 1999-02-13 1999-06-25 기택범 우산탈수기
JP2005133962A (ja) * 2003-10-28 2005-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傘除水機
KR20130143409A (ko) 2012-06-21 2013-12-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20140010560A (ko) 2012-07-13 2014-01-27 이병우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20150007779A (ko) 2013-07-12 2015-01-21 한종화 우산 건조기
KR101790310B1 (ko) 2017-03-10 2017-10-25 이철 에어분사기구를 이용한 우산 물기제거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452U (ko) * 1978-09-13 1980-03-21
JPH02137692U (ko) * 1989-04-24 1990-11-16
KR19990045925A (ko) * 1999-02-13 1999-06-25 기택범 우산탈수기
JP2005133962A (ja) * 2003-10-28 2005-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傘除水機
KR20130143409A (ko) 2012-06-21 2013-12-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20140010560A (ko) 2012-07-13 2014-01-27 이병우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20150007779A (ko) 2013-07-12 2015-01-21 한종화 우산 건조기
KR101790310B1 (ko) 2017-03-10 2017-10-25 이철 에어분사기구를 이용한 우산 물기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423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780B1 (ko) 공기청정기
CN104771108B (zh) 一种空气自循环干手器
KR101676966B1 (ko) 우산 탈수장치
CN106196927A (zh) 雨伞速干机
WO2017028677A1 (zh) 一种风道的导流结构及包括该导流结构的空调器
KR20210013785A (ko) 우산물기제거장치
CN103882922B (zh) 具有自动洗衣功能的洗脸池
JP4692395B2 (ja) 生ごみ処理機
KR101249900B1 (ko) 우산 건조기
CN109594511A (zh) 一种带有红外线检测的吹风装置
JP6464807B2 (ja) 送風装置
KR101307885B1 (ko) 다단 접이식 우산 건조장치
JP5201901B2 (ja) 手乾燥装置
CN206001820U (zh) 一种雨伞速干机
JP2008032248A (ja) 風路における異物除去装置
JP2961526B2 (ja) 集塵装置
KR20180075087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우산꽂이
CN208545585U (zh) 一种带有提示的可加温甩干机
CN206979036U (zh) 一种自动洗澡机用头发烘干装置
CN106418948A (zh) 空气雨伞
CN207031419U (zh) 一种dna快速风干仪
US1577674A (en) Kitchen ventilator
CN216448546U (zh) 一种带风干离心式的雨伞除湿装置
JPS6318445Y2 (ko)
JP3084950U (ja) 傘の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