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224A -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224A
KR20130143224A KR1020120066558A KR20120066558A KR20130143224A KR 20130143224 A KR20130143224 A KR 20130143224A KR 1020120066558 A KR1020120066558 A KR 1020120066558A KR 20120066558 A KR20120066558 A KR 20120066558A KR 20130143224 A KR20130143224 A KR 20130143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port
branch
pier
precas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004B1 (ko
Inventor
태기호
Original Assignee
태기호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기호, 주식회사 인우 (Inwoo.Co.Ltd) filed Critical 태기호
Priority to KR102012006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4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공정이 단순화되면서도 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만부두의 파일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하측에서 파일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PRECAST STRUCTURE FOR PIER OF HARBOR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공공정이 단순화되면서도 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은 일반적으로 방파제 또는 안벽과 같은 해상 시설을 통해 외해로부터 유입되는 파도를 차단하거나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른 해수 이동의 자연현상을 인공적으로 조절하여 선박의 출입, 정박, 계류 또는 하역작업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항만에는 선박을 정박하고 사람과 물건이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부두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부두는 사용 목적 또는 형식에 따라 잔교식 부두, 돌핀식 부두 및 중력식 부두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강도 및 내구성의 문제와 시공공정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철근콘크리트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부두는 국가사회간접자본시설로서 중요성이 매우 크고, 해상에 설치된다는 시공의 환경으로 인하여 다년의 공기가 소요된다.
도 8은 종래기술의 부두의 한 예로서 잔교식 부두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파일(10)을 해저 지반에 시공하여 상측의 일부분이 수면위로 배치되게 한 후에, 파일(10)의 상측에 브라켓(11)을 배치한다. 상기 브라켓(11)을 상부의 구조물들이 파일(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단턱 역할을 하는 것인데, 상기 브라켓(11)의 상측에는 빔(12)을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 받침(미도시)를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빔(12)과 목재 받침으로 기초가 형성되면 합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미도시)를 시공한 후에 콘트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부두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항만의 부두는 차량의 하중이 상하부로 작용하는 교량구조물에 비하여, 선박의 접안시 횡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이 더욱 크기 때문에 상하방향의 하중은 물론 횡하중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부두 시공 공정에 의하면 목재 받침과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타설까지 공기가 매우 길어지게 된다. 특히 잔교식 교량의 경우는 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작업이 해상 또는 수상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에 다시 빔 등의 구조물을 구조물의 하부에서 해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공기가 더욱 길어지게 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이렇게 시공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경제적인 비용의 증가의 문제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문제가 야기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항만부두의 시공 과정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내구성과 시공의 신뢰성이 향상되면서도 시공의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항만부두의 파일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하측에서 파일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공과정이 단순하고 신속해지며, 횡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가지부의 단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인접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가지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수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상호간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가지부의 내측에 결합된 철근이 단부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의 구조물로서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연결부의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가지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4개가 배치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호간에 종/횡 방향의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하므로 저항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부와 가지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돌설부를 더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가지부의 저부가 상부보다 외주측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부가 형성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다른부재들과의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측연결부와, 상기 가지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하측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구조물 상호간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파일과 결합되는 돌출부와, 파일의 상단부측에 내주측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파일의 상측에서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지부를 외면에서 연결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합구조물 전체적으로 다방향에 대한 하중 저항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이용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파일을 안착하는 단계,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베이스부를 파일의 상단부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들의 가지부들을 상호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육상에서 미리 구조물을 형성하여 해상에서 용이하게 결합하므로 작업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은,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가지부의 단부측에서 돌출되는 연결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타설되는 부위가 최소화되고 복수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이 일체성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은, 상기 가지부들 사이의 공간에 평판 형상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합구조물의 상면이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현장 타설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은,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이 상기 가지부들에 형성되는 단차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은,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프리캐스트 패널의 상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항만부두의 기초구조물이 정확하게 형성되고 콘크리트의 타설이 해상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지상에서 형성되고 각각 베이스부와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호 가지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해상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항만부두의 시공이 용이하고 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횡하중에 강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이용한 항만부두의 복합구조물 시공방법은 해상에 설치되는 기본 골격을 미리 형성되는 각각의 구조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해상에 설치되는 시공의 어려움과 해수의 간섭으로 인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복잡한 방식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타설부의 형성이 용이하고 시공의 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하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상측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결합되는 파일과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이 사용된 항만부두가 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의 항만부두가 시공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하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프리캐스트 구조물은 후술할 바와 같이 해저지반에 소정의 지지부위를 형성한 이후에 그 상측에서 현장 타설의 전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연결 공정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되는 기초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기본적으로 해저지반에 하측이 지지되는 파일(도 6의 400)에 연결되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지부(120) 및 상기 가지부(120)의 단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부(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콘크리트와 철근의 구조물은 해상의 현장에서 타설 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육상에서 미리 소정의 거푸집을 통하여 타설 및 양생의 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현장의 시공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미리 형성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을 상호 간에 연결하고 소정의 구조물들을 결합함으로써 항만부두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가지부(120)는 외면이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장 시공 전에 미리 타설, 양생 및 경화의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베이스부(110)와 가지부(120)는 내측에 철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호간에 압축 및 인장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는 단일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에서 대략 중심부에 배치되고,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지부(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중심부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는 하측에서 파일(400)과 체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400)의 상측의 소정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의 형상은 도면에서는 대략 직사각 기둥인 형상의 예가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1에서는 가지부(120)가 상호간에 대략 90도의 각도로 4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강성의 보장을 위하여 상기 돌출부(130)가 대략 직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6개의 가지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는 수평방향으로 가지부(120)가 연장되는데, 상기 가지부(120)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에 형성되는 가지부(120)는 인접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가지부(120)와 상호 결합되어 해상에서 소정의 복합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지부(120)는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후술될 상측의 구조물의 형성을 위하여 상면은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지부(120)의 내측으로는 철근이 형성되어 인장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바, 가지부(120)는 단부측에서 더욱 연장되는 연결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210)는 가지부(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철근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0)는 인접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가지부(120)에서 돌출되는 연결부(21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는데, 후술할 바와 같이 소정의 연결부재(도 6의 310)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10)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가지부(12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항만부두의 특성상 횡방향 및 종방향의 압력에 저항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더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돌출부(130)에서 경사면을 가지고 상측으로 갈 수록 단면이 넓어지면서 각각의 가지부(120)와 연결되는 경사면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한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베이스부(110)와 가지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지부(120)의 상면은 상측에 추가적인 구조물이 배치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대략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10)는 가지부(120)의 단부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부재로서, 내부의 철근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가지부(120)의 상면 및/또는 측면에는 별도의 구조물이 배치되거나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바, 이하 결합 또는 타설을 위한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지부(120)는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설부(22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돌설부(220)는 연결부(210)와 마찬가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설부(220)는 후술될 구조물의 결합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의 상호간의 결합력 및 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설부(220)는 각각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는 가지부(120)를 따라 열을 지어 배열될 수 있는데 배열되는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고리형상의 돌설부(220)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는 경우 고리형상의 내주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경화되면 내외주측의 콘크리트가 프리캐스트 구조물(100)과 상호간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중심부에 베이스부(110)가 방사상으로 가지부(120)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프리캐스트 구조물(100) 상호간에 가지부(120)의 단부측에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가지부(120)들 사이에 중공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중공의 부위는 후술될 프리캐스트 패널(도 6의 3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결합력의 강화를 위하여 단차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지부(120)는 저부가 상부보다 더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부위에 단차를 이루게 되고, 상기 단차를 이룬 저부의 상면에 소정의 부재가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단차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지부(120)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부의 외주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의 저부로 이루어져, 가지부(120)의 외주측을 둘러싼 형상으로 단차부(121)가 형성된다.
복수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 더욱 정확하게는 네개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121)는 대략 링 형상의 사각형을 이루게 되고, 상기 사각형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는 단차부(121)의 상면에 소정의 부재가 안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10)는 가지부(120)의 상부에서 단부측으로 돌출되는 상측연결부(211)와 저부에서 단부측으로 돌출되는 하측연결부(21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연결부(210)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될 연결부재(도 4의 310)에 의한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상호간에 가지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연결부재(310)는 폭이 대략 가지부(120)의 폭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도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10)는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상면의 위치에 대략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상면부(311)와, 상기 상측결합부(312)가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지부(120)와 결합되는 상측결합부(312) 및, 상기 상측결합부(312)보다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가지부(120)와 연결되는 하측결합부(3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지부(120)가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상측결합부(312)와 하측결합부(313)도 이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310)는 인접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을 상호 가지부(120)에서 결합하되 내측에 연결부(210)가 수용되도록 결합하기 때문에 하중에의 저항력의 향상을 위하여 연결부(210)가 삽입되는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10)는 평단면상 상기 연결부(210)가 배치되는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이루어지도록 융기부(314)가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융기부(314)는 양측에 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부(210)가 내측에 삽입되는 기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배치 상태에서 소정의 콘크리트와 같은 물질이 타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상기한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파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일(400)은 하측이 해저지반에 지지되고 상측이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베이스부(110)와 결합될 수 있는데, 파일(400)의 상단부측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돌출부(130)에 형성되는 체결홀(13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파일(400)은 기둥 형상의 지주부(410)와 상기 지주부(4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철근인 지주연결부(411)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지주연결부(411)는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400)과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체결력의 강화를 위하여 체결부재(42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20)는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부(410)와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돌출부(130) 사이의 체결력을 강화하도록 외주측에 소정의 리브(참조번호 미표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물들이 상호 결합되어 복합구조물인 항만부두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해저지반에 각각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파일(400)이 배치되면, 상기 파일(400)의 상단측에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파일(400)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각각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베이스부(110)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파일(400)의 지주부의 하단부측은 해저지반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단부는 체결부재(420)에 의하여 돌출부(130)에 형성되는 체결홀(13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홀(131) 및 체결부재(420)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이 파일(400)과 결합되면,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가지부(120)가 상호간에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가지부(120)의 단부측에서 돌출된 연결부(210)가 연결부재(3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상호간에 가지부(120)에서 결합하여 결합된 구조의 중심부에 대략 사각의 홀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상측에 바로 별도의 구조물이 배치될 수도 있지만, 횡강성을 강화하고 소정의 안착물의 형성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각의 홀 부위에 또 다른 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가지부(120)들 사이의 공간에는 프리캐스트 패널(3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300)은 판상의 구조물로서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육상에서 타설 및 양생의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고정된 형태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300)은 철판이나 합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설비의 편의성을 위하여 프리캐스트 구조물(100) 사이의 사각의 홀 사이에 복수의 프리캐스트 패널(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구조물(100) 사이에 장방 형상의 낱개의 프리캐스트 패널(300)들이 열지어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300)의 모서리 부위는 상기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가지부(120)에 형성되는 단차부(121)의 상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300)은 단차부(12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지지되고, 외주측이 단차부(121)의 내주면에서 지지되어 위치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치가 완료되면 파일(400), 프리캐스트 구조물(100), 연결부재(310) 및 프리캐스트 패널(300)가 상호간에 결합된 복합구조물이 상면에서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항만부두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도 7은 복수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하측에서 각각의 파일(400)과 결합하여 해저지반에 지지되고, 상호간에 가지부(120)의 연결부(210)에서 연결부재(310)에 의하여 결합되어 소정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기본 골격이 완료되면 가지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프리캐스트 패널(300)이 개재되어 상면이 폐쇄된 형상을 이루게 되고, 복합구조물들이 상호간에 종하중과 횡하중을 분산하여 지탱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복합구조물들의 상면에는 부두의 형성을 위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에는 콘크리트가 현장타설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즉, 타설부(500)는 상기 복합구조물의 상면에 타설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타설되는 높이는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항만부두의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설부(220)는 상기 타설부(500)의 타설과정에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과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항만부두의 시공과정에서 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이용한 항만부두의 복합구조물은 해상에 설치되는 기본 골격을 미리 형성되는 각각의 구조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해상에 설치되는 시공의 어려움과 해수의 간섭으로 인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복잡한 방식으로 거푸집을 형성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타설부의 형성이 용이하고 시공의 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프리캐스트 구조물 110...베이스부
111...경사면부 120...가지부
121...단차부 130...돌출부
131...체결홀 210...연결부
220...돌설부 310...연결부재
311...상면부 312...상측결합부
313...하측결합부 314...융기부
400...파일 410...지주부
411...지주연결부 420...체결부재
500...타설부

Claims (14)

  1. 항만부두의 파일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하측에서 파일에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의 단부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인접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가지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지부의 내측에 결합된 철근이 단부측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4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가지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돌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는, 저부가 상부보다 외주측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측연결부와, 상기 가지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하측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파일과 결합되는 돌출부와, 파일의 상단부측에 내주측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가지부를 외면에서 연결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경사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이용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파일을 안착하는 단계;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베이스부를 파일의 상단부측에 결합하는 단계; 및
    인접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들의 가지부들을 상호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가지부의 단부측에서 돌출되는 연결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들 사이의 공간에 평판 형상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패널은, 상기 가지부들에 형성되는 단차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프리캐스트 패널의 상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KR1020120066558A 2012-06-21 2012-06-21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KR10153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58A KR101532004B1 (ko) 2012-06-21 2012-06-21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558A KR101532004B1 (ko) 2012-06-21 2012-06-21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24A true KR20130143224A (ko) 2013-12-31
KR101532004B1 KR101532004B1 (ko) 2015-07-06

Family

ID=4998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558A KR101532004B1 (ko) 2012-06-21 2012-06-21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9008A (zh) * 2022-09-26 2022-12-0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码头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024B1 (ko) * 2019-08-19 2020-08-06 부산항만공사 항만용 블록 및 항만용 블록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7514A (ja) * 1995-04-05 1996-10-22 Taisei Corp 吊り支保工装置および桟橋の構築方法
JP2000248526A (ja) * 1999-03-03 2000-09-12 Nippon Steel Corp 桟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086646B1 (ko) * 2009-04-24 2011-11-24 주식회사 젬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슬래브교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9008A (zh) * 2022-09-26 2022-12-0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装配码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004B1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29B1 (ko) 캡빔을 이용한 말뚝지지형 조립식 잔교시공방법
KR101297127B1 (ko) 잔교식 부두의 시공방법
CN211849244U (zh) 一种新型装配式高桩梁板式码头结构
US20110299937A1 (en) Pre-stressed concrete foundation for a marine building structure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20130143224A (ko) 항만부두의 프리캐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항만부두의 시공방법
JP6909959B2 (ja) 杭支持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703441B1 (ko) 플로팅 도크를 이용한 상향식 프리캐스트 저판형 케이슨 제작방법, 그 시스템, 그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KR20100006805U (ko) 토류판
US9505468B2 (en) Floating platform
JP2015168946A (ja) 杭式構造物の改修構造および改修工法
US20180202120A1 (en) Boat dock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05264514A (ja) シーバース構造物の基礎スラブ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53954B1 (ko) 부력과 자중을 이용한 임시 물막이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수리구조물 신설 및 보수 방법
JP6641873B2 (ja) 岸壁・護岸の補強構造および岸壁・護岸の補強構築方法
KR101381276B1 (ko) 수상기초 시공을 위한 분할형 pc 하우스 시공 방법 및 분할형 pc 하우스
KR101683216B1 (ko) 잔교 시공 방법
CN218559122U (zh) 一种基于桩基抱箍悬挑定位的梳齿结构浮式平台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JPH08269912A (ja) 鋼製橋脚とフーチングとの固着方法
KR20130027341A (ko) 해양구조물 과 그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JP2019094730A (ja) 軽量盛土構造
JP2012241337A (ja) 水上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構築方法
JP7037825B2 (ja) 水上構造物の構築
JP2001303580A (ja) ケーソンによる仮締切り工法及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