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045A -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045A
KR20130142045A KR1020120065289A KR20120065289A KR20130142045A KR 20130142045 A KR20130142045 A KR 20130142045A KR 1020120065289 A KR1020120065289 A KR 1020120065289A KR 20120065289 A KR20120065289 A KR 20120065289A KR 20130142045 A KR20130142045 A KR 2013014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block wall
ground
cover plat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805B1 (ko
Inventor
오주
오주신
오주영
윤진숙
Original Assignee
윤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숙 filed Critical 윤진숙
Priority to KR10201200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805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박스 및 라멘교 형태의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하고 프리캐스트 도는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가설토류벽 기능을 겸비한 측벽부재를 구축한 후에 상부 덮개판을 가설한 후 조기에 지상부를 완성시키고, 내부를 굴착하고 구축하는 지하구조물 급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 방법은, 단위 벽체가 좌우 대칭으로 교대로 반복해서 일렬로 연결되며, 강재 지보공이 결합된 단위블록벽체를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두고 양측으로 상부가 지면과 같거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삽입 설치하는 제1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부 덮개판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를 부착하고,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하는 제3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또는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하는 제4단계와; 토사가 제거된 후 지반을 정지하는 제5단계와; 보강재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과 중첩하는 제6단계와; 정지된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6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을 시공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단위블록벽체의 이음부에 시일재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WITH UNIT WALL BLOCK}
본 발명은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스트레스 형식의 상부 덮개판과 하부 단위블록벽체를 일체화하여 지하구조물을 조성하고, 상부를 바로 복토하여 상부의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재개한 후, 하부 단위블록벽체 사이의 토사를 굴착하고 구축하는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은 박스 또는 라멘교의 형태로 시공되어지며, 특히 라멘교는 주교체에 라멘구조를 시공한 다리로서, 보통 다리는 상부구조와 이를 받치는 하부구조로 되어 있으나, 라멘교나 박스교는 이것을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역학적 성상은 아치교와 유사하다. 지점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몇 개의 경간을 하나로 연결시킨 연속 라멘교 또는 박스고 등의 특수한 것도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교량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하나로 강결됨으로서, 전체 구조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지간내에 발생하는 휨 모멘트의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이를 교대가 부담하게 하는 교량의 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물은 횡단육교 및 소하천에 적용되는 교량으로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구조물이다.
다시 말해서, 종래 구조물의 시공은 다수의 거푸집과 동바리를 현장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하고 어려우며, 동바리 및 거푸집의 장기 사용과 상부 교통을 오랜 시간동안 통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직접공사비 뿐만 아니라 간접공사비가 증가하고 한 경간의 길이가 짧게 시공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벽체블록과 단위 상부 덮개판으로 구조를 일체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조속한 시일내에 상부를 복토하여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며, 공사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으로서, 단위 벽체가 좌우 대칭으로 교대로 반복해서 일렬로 연결되며, 강재 지보공이 결합된 단위블록벽체를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두고 양측으로 상부가 지면과 같거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삽입 설치하는 제1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부 덮개판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를 부착하고,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하는 제3단계와; 단위블록벽체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또는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하는 제4단계와; 토사가 제거된 후 지반을 정지하는 제5단계와; 보강재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과 중첩하는 제6단계와; 정지된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6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을 시공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5단계 이후 단위블록벽체의 이음부에 시일재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벽체블록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형태의 단위벽체블록과 상부 덮개판을 이용하여 일체로 급속시공 한 후, 바로 상부에 토사를 복토하여 상부의 차량 및 사람 등의 통행을 재게하고, 단위벽체블록과 상부 덮개판 사이의 토사를 굴찰하고 구조물을 구축함으로써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따른 상부 교통체증의 해소와 이에 따른 간접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형태의 단위벽체블록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급속시공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일체화 시공함으로서 공정을 단순화하고, 지하구조물 시공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단위블록벽체의 주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단위블록벽체의 보호쉬트의 적용 예,
도 5는 정착수단 적용 예,
도 6은 지반보강매트 적용 예,
도 7은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의 급속시공방법을 단계별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형태의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은, 벽체와 상부, 하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벽체를 단위블록벽체(100), 상부를 상부 덮개판(200), 하부를 하부 바닥판(300)이라 할 수 있다.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은 분리되지 않고 라멘 또는 박스형식으로 일체화됨으로서 시공된다.
상부 덮개판(200)이 단위블록별체(100)와 일체 시공된 후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면과 측면에는 지반보강매트(400)를 설치하고, 지반보강매트(400)를 고정하기위한 별도의 정착고리(410) 또는 정착바(420)에 의해 구조물과 일체화 된다.
지반보강매트(400)는 단위블록벽체의 최 상단부 또는 상부 덮개판(200)의 하단부의 일단에 부착고정하고, 지반보강매트(400) 상부에 토사를 덮고 다짐기구를 이용하여 밀실하게 다짐을 실시한다.
지반보강매트(400)와 토사 보강 및 다짐시공은 계획 도로면까지 반복적으로 시공하여 구축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지반보강매트(400)에 토사를 쌓아올려 다짐하는 작업을 반복수행하여 지반침하를 방지하는 기능한다.
지반보강매트(400)은 지오그리드와 구속부재를 이용한 복합 강성층을 노상에 구축하는 공법으로서, 지진에 의한 포장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아스팔트 포장 노면에서의 균열이나 단차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지반보강매트(400)는 지진직후라도 긴급 차량 등의 통행이 가능하여 인명구조나 구조물자 운반 등의 초동 대응이 가능하다.
지반보강매트(400)은 지오 그리드의 부설과 구속 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고, 복합 강성층을 노상에 노출할 뿐 이므로, 단기간에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철거가 용이하고 사용한 입상재의 재이용도 가능하며 시공비가 저렴하다.
지반보강매트(400)의 주요 기능으로는 절토 및 성토경계부의 붕괴방지, 구조물 전후 또는 매설물 주위의 함몰 및 단차발생을 억제하고, 연약지반 성토 및 절토 경계부의 부동침하를 방지한다.
단위블록벽체(100)는 내부에 강재 지보공(500)이 삽입되어 일체화 구축되고, 단위블록벽체(100)와 강재 지보공(500)의 경계부분에는 단위블록벽체(100)가 지반에 삽입될 때 파손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강부재(130)가 일체화 구축된다.
단위블록벽체(100)하단에는 지반 근입을 용이하게 하고 단위블록벽체(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부재(130)가 설치되고, 보강부재(130)와 서로 연결되며 단위블록벽체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를 부착한다.
단위블록벽체(100)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는 내부 쉬트(150) 및 외부 쉬트(170)로 구분되고, 내부 쉬트(150)과 외부 쉬트(170) 사이에는 철근이나 강재 또는 아라미드와 같은 복합재료로 구성된 봉 형태의 로드(161)와 그물망(162) 형태의 강재 와이어 메쉬 또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그리드 형태의 보강재(160)가 구비된다.
내부 쉬트(150)의 일정 면에는 절취부(151)이 형성되어 절취가 가능하다.
보강재(160)는 내부 쉬트(150)를 절취 후 상기 하부 바닥판(300)용 연결부(310)와 중첩되도록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 되어진 보강재(160)는 하부 바닥판(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00과 도 00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위블록벽체(100)는 콘크리트와 강재의 합성벽체로서 H-Pile, 쉬트파일과 강관파일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이 부착되는 면의 사이에는 탄성재(600)를 설치된다.
탄성재(600)를 이루는 주요 구성 재료로는 고무(610) 및 폴레우레탄(620)을 이용하고, 탄성재(600)는 순수 단위 재료로 구성된 일반패드(630) 및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판(631)이 하나 이상 탄성재 내부에 삽입어 일체화된 복합패드(64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보강 판(631)은 두께가 얇은 강재판(632) 또는 복합재료판(633)을 사용한다.
단위블록벽체(100)는 가로길이(L)가 세로길이(H)보다 짧은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는 강재 지보공(500)이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되고, 강재 지보공(500)의 설치 개수는 지반의 수평지지력에 따라 그 개수가 달라진다.
하나 이상으로 연속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하 벽체부(110)를 구성하기 위한 요홈부(120)가 형성된다. 요홈부(120)의 형상은 요철형상(121), 원호형상(122), 사각형(123) 등 다양한 형상의 요홈부(120)가 구축될 수 있다.
요홈부(120)의 측면과 끝단에는 단위블록벽체(100)의 근입시 수직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방수 등을 목적으로 고무와 같은 재질의 탄성쉬트(124)가 부착되며, 요홈부(120)의 하부 끝단에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이 주 재료인 완충수단(125)이 설치된다.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부면은 탄성재(600)가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610)이 형성되고, 탄성재를 관통하며 상부 덮개판(200)과 체결하기 위한 수직 체결공(710)이 형성된다.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을 연결하기 위한 정착수단(700)이 구성된다. 여기서, 정착수단(700)은 수직 체결공(710)이 포함되며, 그 수단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너트의 일종인 앵커 바(720) 또는 다월 바, 사전에 매입된 쉬스관에 케이블을 삽입 연결하여 외부에서 긴장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서로 연속하게 밀착되어 지반에 근입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수단(800)이 설치된다. 단위블록벽체(100)의 측면에 연속된 단위블록벽체를 일체시키기 위한 수평 체결공(810)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수평 체결공(810) 내부에 삽입되어 단위블록벽체를 일체 거동하도록 하는 케이블(820) 및 정착바(830)가 설치되어 정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수단(800)은 상기 정착수단(7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가능하다.
단위블록벽체(100)와 일체화 되는 강재 지보공(500)의 일면에 작은 구멍이 다수 뚫린 파형강판을 절곡한 강재 지보공(500)이 설치된다. 강재 지보공(500)의 종류로는 파형절곡강판(510), 강재 유공관(52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강재 지보공(500)은 단위블록벽체(100)까지 일체로 부착되어 연약지반에서의 지하수 배수 및 지반 그라우팅을 통해 지반을 개량이 가능하다.
상부 덮개판(200)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210) 형식 및/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20) 형식으로 별도의 제작장에서 사전에 제작된다. 단위블록벽체(100)와 부착되는 상부 덮개판(200) 양 단면 하단부에는 단위블록벽체(1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수직 체결공(710)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체결공(710)는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바(720) 및 너트(730)의 체결에 의한 정착수단(700)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다른 체결수단으로 다월바, 프르스트레싱 방법 등이 있다.
수평 체결공(710)의 상부 외주변과 내부면에는 그라우팅재(900)로 충전되어 일체로 구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단위블록벽체 설치
지하구조물의 위치 및 지간이 결정되면 지간의 양쪽 끝에 단위블록벽체(100)를 설치한다.
단위블록벽체(100)는 H-pile, 강관파일 및 쉬트파일 등에 의해 지중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파일의 길이를 단위블록벽체보(100)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파일과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단부가 일치되도록 서로 고정한다. 따라서 파일의 하부가 단위블록벽체(100)의 하부보다 아래쪽으로 배치될 것이며, 파일의 일부분이 지중에 삽입될 때까지 단위블록벽체(100)를 매설한다.
단위블록벽체(100)의 설치개소는 지간 및 통행공간 또는 경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지하구조물의 지하공간이 2경간일 경우에는 단위블록벽체(100)는 서로마주보는 양쪽면에 각각 설치되고, 그 중간에 단위블록벽체(100)가 두개 더 실치될 수 있다.
단위블록벽체(100)의 시공시 단위블록벽체(100)의 밀림을 막기위하여 전단용 앞굽(23)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르게 단위블록벽체(100)를 복수열로 설치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단위블록벽체(100)를 지반에 모두 연속적으로 매설한 경우 단위블록벽체(100)가 연속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 연결수단(800)을 통해 일체로 연결한다.
단위블록벽체(100)가 단수 또는 복수열로 설계깊이까지 매설되면 단위블록벽체(100)의 두부(10)를 정리하고, 탄성재(600) 설치홈에 탄성재(600)를 설치한다.
(S20) 상부 덮개판 설치
단위블록벽체(100)들 사이에 상기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200)을 설치한다.
상부 덮개판(200)을 단위블록벽체(100)에 설치한 후 단위블록벽체(100)와 일체화 하기 위해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에 미리 정착부를 설치하여, 해당 정착부에 긴장선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볼트와 너트 또는 프리스트레싱법 등의 정착수단(700)으로 일체화 한다.
(S30) 지반보강매트(400) 설치 및 복토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400)를 부착하고, 토사를 덮어 다짐하여 기존 지반면과 평행하게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한다.
지반보강매트(400)는 각 위치별로 단위블록벽체(100) 최 상단 또는 상부 덮개판(200)의 최하단, 중간단, 최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위치에서 지반보강매트(400)를 설치하고 토사를 일정두께만큼 성토하고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반복다짐하여 밀실하게 한다.
지반보강매트(400)의 종류로는 지오그리드(430), 와이어 매쉬(450), 복합재료를 이용한 매쉬(460) 등이 사용되고, 지반보강매트(400)는 구속 부재(440)를 이용하여 정착된다.
(S40) 지반굴착
상부 지반이 복토된 후 상기 제1단계(S10)에서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삽입 설치된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또는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900)한다.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의 지반을 굴착할 경우에는 각종 굴삭장비(910)를 이용하여 굴착하고, 구축한다.
(S50) 지반정지
지반굴착(S40)단계에 의해 양측 단위블록벽체(100) 사이에 있던 토사가 제거된 후 단위블록벽체(100)의 일면에 부착된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반을 정지한다.
(S60) 내부 보강재 변형
지반정지단계(S50)에 의해 토사가 제거된 단위블록벽체(100)의 일면에 부착된 내부 쉬트(150)의 절취부(151)를 따라 절취하고, 내부의 보강재(160)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500)과 중첩가능 하도록 한다.
(S70) 하부 바닥판(500) 시공
지반정지 되어진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내부 보강재 부착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160)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500)을 시공한다.
하부 바닥판(500)은 현장에서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하는 현장타설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덮개판(200)과 동일하게 현장인근 제작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방법으로 제작된 하부 바닥판(500)을 제작할 수 있다.
(S80) 마감
단위블록벽체(100) 및 상부 덮개판(200) 등의 이음부(1000)에 시일재(1100)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한다.100: 단위블록벽체
100: 단위블록벽체
200: 상부 덮개판
300: 하부 바닥판
400: 지반보강매트
500: 강재 지보공
600: 탄성재
700: 정착수단
800: 연결수단

Claims (11)

  1. 지중의 양측면에 연속지하 벽체부(110)를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일정깊이까지 근입되는 단위블록벽체(100)와;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단에 상부 덮개판(200)이 구성되고;
    단위블록벽체(100)의 하단에 하부 바닥판(300)이 구성되며;
    상부 덮개판(200)의 상면 및 측면에 부착되는 지반보강매트(400)가 설치되고;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와 결합되고 지반에 근입되어 수평 및 수직 지지기능을 하는 강재 지보공(500)과;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및 양쪽 측면에 탄성재(600)를 설치하고;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을 연결하기 위한 정착수단(700)이 구성되며;
    서로 연속하게 밀착되어 지반에 근입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8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벽체(100)는 가로길이(L)가 세로길이(H)보다 짧은 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는 강재 지보공(500)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단위블록벽체(100)의 양 측면에는 인접한 단위블록벽체를 서로 연결하여 연속지하 벽체부(110)를 구성하기 위한 요홈부(120)와 요홈부(120)의 하부 끝단에는 단위블록벽체(100)의 수직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완충재(150)가 구성되며; 단위블록벽체(100)하단에는 지반 근입을 용이하게 하고 단위블록벽체(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부재(130)가 설치되고; 보강부재(130)와 서로 연결되며 단위블록벽체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의 상부면은 탄성재(600)가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610)이 형성되고; 탄성재(600)를 관통하며 상부 덮개판(200)과 체결하기 위한 수직 체결공(710)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의 측면에 연속된 단위블록벽체를 일체시키기 위한 수평 체결공(8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강재 지보공(500)의 일면에 구멍이 뚫린 파형절곡 강재판(510)과 같은 유도공이 강재 지보공(500) 및 단위블록벽체(100)까지 일체로 부착되어 유도공을 통해 연약지반에서의 지하수 유도배수 및 지반 그라우팅을 통해 연약지반의 개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판(200)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210) 형식 및/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20) 형식으로 별도의 제작장에서 사전에 제작되고; 단위블록벽체(100)와 부착되는 상부 덮개판(200)에서 서로 대칭되는 양 단면에는 단위블록벽체(1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수직 체결공(710)가 형성되어 있고; 수직 체결공(710)은 나사산이 형성된 앵커 바(720) 또는 다월 바 등으로 구성된 정착수단(700)에 의하여 결합되며; 수평 체결공(710) 상부 외주변과 내부에는 정착수단(700)에 의해 고정 후 그라우팅재(900)로 충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반보강매트(400)는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면 및 상부 덮개판(200)의 양쪽 측면에 부착 설치되고; 지반보강매트(400)는 부착 설치 후 지반보강매트(400) 상부 및 하부에는 토사를 쌓아올려 다짐하는 작업을 반복수행하여 지반침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벽체(100)에 부착되는 보호 쉬트(140)는 내부 쉬트(150) 및 외부 쉬트(170)로 구분되고, 내부 쉬트(150)과 외부 쉬트(170) 사이에는 로드 또는 그리드 형태의 보강재(160)가 구비되며; 내부 쉬트(150)의 일정 면에는 절취부(151)가 형성되어 절취가 가능하고; 상기 보강재(160)는 내부 쉬트(160)를 절취 후 상기 하부 바닥판(300)용 연결부(310)와 중첩되도록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 되어진 보강재(160)는 하부 바닥판(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600)는 고무(610) 및 폴레우레탄(620)을 재료를 사용하고; 탄성재(600)는 순수 단위 재료로 구성된 일반패드(630) 및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판(631)이 탄성재 내부에 삽입어 일체화된 복합패드(64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하시설물.
  9. 일측을 향해 개방 형성되는 단위 벽체(110a)가 좌우 대칭으로 교대로 반복해서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단위 벽체(110a)의 안쪽에 교대로 하여 강재 지보공(500)이 결합된 단위블록벽체(100)를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두고 양측으로 상부가 지면과 같거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삽입 설치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단계에 의해 설치된 단위블록벽체(100)들 사이에 상기 단위블록벽체 상단부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부 덮개판(200)을 설치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2단계에 의해 설치된 상부 덮개판(200)의 상부 및 측면에 지반보강매트(400)를 부착하고, 다시 토사를 덮어 다짐하여 기존 지반면과 평행하게 복토하여 차량 및 사람이 통행가능토록 하는 제3단계(S30);
    상기 제3단계에 의해 상부 지반이 복토된 후 상기 제1단계에서 지중에 일정간격으로 삽입 설치된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의 토사를 차량 및/또는 사람이 통행이 가능한 깊이까지 지반굴착(900)하는 제4단계(S40);
    상기 제4단계에 의해 양측 단위블록벽체(100) 사이에 있던 토사가 제거된 후 단위블록벽체(100)의 일면에 부착된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지반을 정지하는 제5단계(S50);
    상기 제5단계에 의해 토사가 제거된 단위블록벽체(100)에 부착된 내부 쉬트(150)의 절취부(151)를 따라 절취하고, 보강재(160)를 적정 각도로 절곡하여 하부 바닥판(300)과 중첩가능 하도록 하는 제6단계(S60);
    상기 제5단계에 의해 정지된 지반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제6단계에서 절곡된 보강재(160)와 일체로 부착하여 하부 바닥판(300)을 시공하는 제7단계(S70); 그리고,
    상기 제5단계 이후 단위블록벽체(100) 및 상부 덮개판(200)에 이음부(150)에 시일재(160)를 부착하여 방수기능을 강화하는 제8단계(S80);
    상기 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후 단위블록벽체(100)가 연속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 연결수단(80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단위블록벽체(100)와 상부 덮개판(200) 사이에 탄성재(600)를 정착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시공방법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내부 통행공간(10)은 단위블록벽체의 설치개소에 따라 연속적으로 통행공간(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벽체(100)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20065289A 2012-06-18 2012-06-18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6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289A KR101364805B1 (ko) 2012-06-18 2012-06-18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289A KR101364805B1 (ko) 2012-06-18 2012-06-18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045A true KR20130142045A (ko) 2013-12-27
KR101364805B1 KR101364805B1 (ko) 2014-02-19

Family

ID=4998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289A KR101364805B1 (ko) 2012-06-18 2012-06-18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8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38A (ko) * 2014-12-29 2016-07-08 금호산업주식회사 조립 구조를 가지는 저심도 박스형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15171A (ko) * 2018-04-02 2019-10-11 유병훈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WO2021088279A1 (zh) * 2019-11-08 2021-05-14 南京联众工程技术有限公司 支护桩与管道墙体合二为一的地下管道及施工方法
KR20210154337A (ko) * 2020-06-12 2021-12-21 정하동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115478563A (zh) * 2022-09-13 2022-12-16 西安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地铁车站地下抗震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6790B (zh) * 2014-03-26 2016-08-24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地梁式沟道
KR101710075B1 (ko) 2014-06-13 2017-02-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지용 강빔이 적용된 pc벽체를 이용한 모듈식 지하구조물의 탑 다운 시공방법과,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KR101664103B1 (ko) 2014-06-13 2016-10-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지용 강빔을 이용한 pc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KR101696282B1 (ko) 2015-04-22 2017-01-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KR101710716B1 (ko) 2017-01-19 2017-03-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지용 강빔이 적용된 pc벽체를 이용한 모듈식 지하구조물
KR101710718B1 (ko) 2017-01-19 2017-03-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c 벽체와 pc슬래브의 연결방법과, 그 연결방법이 적용되어 시공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338B1 (ko) * 2002-07-03 2005-07-04 (주)세일엔지니어링 Phc 말뚝을 이용한 암거
JP4881555B2 (ja) * 2004-11-08 2012-02-22 戸田建設株式会社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041363B1 (ko) * 2009-04-14 2011-06-15 (주)유니트엔지니어링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18263B1 (ko) 2011-06-28 2012-03-20 주식회사 인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38A (ko) * 2014-12-29 2016-07-08 금호산업주식회사 조립 구조를 가지는 저심도 박스형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15171A (ko) * 2018-04-02 2019-10-11 유병훈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WO2021088279A1 (zh) * 2019-11-08 2021-05-14 南京联众工程技术有限公司 支护桩与管道墙体合二为一的地下管道及施工方法
KR20210154337A (ko) * 2020-06-12 2021-12-21 정하동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115478563A (zh) * 2022-09-13 2022-12-16 西安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地铁车站地下抗震结构
CN115478563B (zh) * 2022-09-13 2024-03-01 西安市轨道交通集团有限公司 地铁车站地下抗震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4805B1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805B1 (ko)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302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CN110924450B (zh) 一种基坑开挖条件下坑内既有高架桥摩擦桩的保护方法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JP6543176B2 (ja) 躯体構築方法
KR10116751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JP3855198B2 (ja) 杭基礎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KR100603888B1 (ko) 포스트 텐션을 통한 보강토 교대 축조공법
KR20110052360A (ko) 띠장을 설치하지 않고 슬래브의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구조물 하향 시공방법
JP4226954B2 (ja) アンダーピニング方法および高架橋
KR20120122024A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JP5773755B2 (ja) 外構構造物の杭基礎構造、及び外構構造物の杭基礎構造の施工方法
JP5184393B2 (ja) 防護壁及び防護壁形成方法
CN111827303B (zh) 免回填基坑永久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JP5021526B2 (ja) アンダーパスの造成方法及び上部工桁と地中壁との結合構造
JP4680676B2 (ja) 流動化処理土の埋め戻し材及び施工材を使用した立体交差施工方法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JP3132876U (ja) 建築物の補強基礎構造
CN110847227A (zh) 一种路堤支挡结构
KR102658393B1 (ko) 지하차도 공사용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JP4332651B2 (ja) 基礎補強装置及び基礎施工方法
JP7438441B1 (ja) 橋梁の更新方法
JP7050300B2 (ja) 建て替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