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846A - 광섬유 융착 접속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융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846A
KR20130140846A KR1020137025290A KR20137025290A KR20130140846A KR 20130140846 A KR20130140846 A KR 20130140846A KR 1020137025290 A KR1020137025290 A KR 1020137025290A KR 20137025290 A KR20137025290 A KR 20137025290A KR 20130140846 A KR20130140846 A KR 2013014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amp
opening
covering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241B1 (ko
Inventor
요시노리 이와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8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20912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6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6483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72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512786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3014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融着) 접속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에 장착되고, 개폐되는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가지는 피복 클램프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진시키기 위해 및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동력원을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동력원을 이용하여,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융착 접속기{OPTICAL FIBER FUSION SPLICER}
본 발명은, 광섬유 융착(融着) 접속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 접속하는 가열 융착부를 통하여 양측에 가열 융착부를 향해 진퇴 이동하는 피복 클램프(clamp) 설치대를 가지고, 이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광섬유를 파지(把持) 고정시키기 위한 피복 클램프가 설치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3월 29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78259호, 2012년 9월 19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206309 및 2012년 12월 13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272849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 융착 접속기로서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심(單心) 광섬유를 한 쌍의 전극봉의 사이에서 방전 가열함으로써 융착 접속하는 장치[단심기(單心機)], 또는 다심(多心) 광섬유(테이프 섬유)끼리를 한 쌍의 전극봉의 사이에서 방전 가열함으로써 일괄하여 융착 접속하는 장치[다심기(多心機)]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이하, 단지 융착 접속기라고도 함)로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 구성을 가지는 장치가 널리 제공되어 있다(특허 문헌 1).
(1) 광섬유를 2개의 조명 광원을 사용하여 2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照射)하고, 2개의 렌즈와 2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2방향으로부터 광섬유를 2축으로 촬상(2축 관찰)한다.
(2) 한 쌍의 전극봉의 사이의 공간인 가열 융착부의 양측에, 한 쌍의 V홈을 가진다. 이 한 쌍의 V홈은, 융착 접속되는 광섬유의 선단을 한 쌍의 전극봉의 사이에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V홈은, 가열 융착부를 통하여, 한 쌍의 전극봉이 배치되는 장치 본체 상면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또한 한 쌍의 전극봉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수직 방향(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광섬유로서는, 광섬유 심선(心線), 또는 광섬유 소선(素線) 등의 피복 광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광섬유(피복 광섬유) 선단의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 유리부는, V홈 상에 배치되고, 위쪽으로부터 광섬유 유리부를 V홈에 가압하는 섬유 클램프 부재와 V홈과의 사이에 파지된다.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광섬유에 대응하여, V홈과 섬유 클램프 부재와의 조(組)는 2조 설치된다.
(3) 좌우의 광섬유의 피복 부분을 파지하기 위해,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가동의 피복 클램프를 설치하거나, 또는 섬유 홀더를 좌우 방향으로 1개씩,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한다.
(4) 전극봉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은 바람에 대하여 민감하고, 근소한 바람을 받는 것에 의해서도 방전의 요동(搖動)이 발생한다. 거기서 융착 접속기로서는, 전극봉, V홈, 섬유 클램프 부재, 및 피복 클램프, 또는 섬유 홀더를 덮는, 개폐 가능한 방풍 커버를 설치한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방풍 커버는, 전극봉 등을 덮음으로써, 바람이 한 쌍의 전극봉의 사이의 방전부에 도달하지 않는 밀폐 구조로 되도록 구성된다. 방풍 커버는, 수동으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 광섬유를 장착하는 조작은 하기와 같다.
(a) 피복 클램프 방식: 장치(융착 접속기)에 장착되어 있는 피복 클램프의 개폐 가능한 커버부를 폐쇄하여, 단심 광섬유를 피복 클램프로 협지(sandwich)하여 파지한다. 피복 클램프는 장치(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고정된 베이스판에 커버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대형의 피복 클램프는 다양한 피복 직경의 단심 광섬유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클램프는, 장치(융착 접속기)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우려가 없다.
(b) 섬유 홀더 방식: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피복 클램프(이하, 섬유 홀더라고도 함)를 사용한다.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이탈시킨 섬유 홀더에 광섬유를 파지 고정한 후, 섬유 홀더를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탑재한다. 섬유 홀더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 가능한 커버부를 가진다. 섬유 홀더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폐쇄된 커버부와의 사이에 광섬유를 파지한다.
섬유 홀더는, 피복 제거, 절단, 및 융착의 각각의 단계에서 광섬유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 홀더 방식에서는, 피복 직경 또는 심선의 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섬유 홀더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융착 접속기를 사용한 광섬유의 융착 접속 작업은, 먼저, 방풍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선단의 피복 제거[광섬유 유리부의 노출, 즉 리드 아웃(lead out)], 청소, 및 정척(正尺) 절단을 행한 광섬유를 융착 접속기에 장착하는 섬유 세팅 작업을 행한다.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의 섬유 세팅 작업은, 피복 클램프에 광섬유의 피복부를 끼워넣는 작업을 가리킨다. 섬유 홀더 방식의 융착 접속기의 섬유 세팅 작업은, 광섬유의 피복부를 끼워넣은 섬유 홀더를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탑재하는 것을 가리킨다.
융착 접속기로의 광섬유의 장착이 완료되었으면 방풍 커버를 닫고, 이어서, 융착 접속기의 접속 개시 스위치를 온 조작한다. 이로써, 융착 접속기는,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극봉 사이의 가열 융착부를 향해 전진시킨다.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진시키는 구조는, 모터(설치대 전진용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 기어 및 구동 기구 기어를 통하여 구동 기구의 이동 구동축을 이동(전진) 구동하고, 이동 구동축에 의해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가열 융착부를 향해 가압 이동하여 전진시킨다. 이로써, 광섬유를 소정의 위치로 전진시킨다. 이어서, 전극봉 사이의 방전에 의해 좌우의 광섬유(광섬유 유리부)의 선단을 녹인다. 그리고, 녹여진 광섬유를 방전에 의한 가열을 계속하면서 더욱 축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융착 접속한다. 전극봉 사이의 방전은 소정 시간 행해진 후, 자동으로 정지한다. 융착 접속기는, 방전 정지 후에, 접속부의 검사를 위하여, 인장(引張) 시험을 자동으로 행한다. 이하, 이 인장 시험을, 프루프(proof) 테스트라고도 한다. 융착 접속의 완료 후, 방풍 커버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광섬유를 인출한다.
프루프 테스트는, 설치대 전진용 모터를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전진 시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구동 기구의 이동 구동축을 후퇴시킨다. 그 결과, 융착 접속기의 베이스 부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사이에 설치된 프루프 테스트용 스프링이,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가열 융착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후퇴시킨다. 피복 클램프 설치대는, 서로 접속되어 한 개에 연결된 광섬유에, 프루프 테스트용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일정한 장력이 작용함으로써 후퇴를 정지한다. 구동 기구의 이동 구동축은, 서로 접속된 광섬유에 장력이 작용하여 후퇴를 정지한 피복 클램프 설치대에 접하지 않는 위치까지 후퇴한다. 구동 기구의 이동 구동축과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된다. 그 결과, 프루프 테스트용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광섬유끼리의 접속부의 인장 시험이 행해진다.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의 커버부는,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판을 베이스판에 폐쇄되었을 때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광섬유를 파지 고정시키기 위한 파지용 고무 부재와, 상기 커버판에 설치되고, 상기 파지용 고무 부재를 베이스판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클램프용 스프링을 가지는 구성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 피복 클램프는, 베이스판에 내장한 자석이 커버판에 설치된 철 등의 강자성체(强磁性體)를 자기(磁氣) 흡인하는 흡인력에 의해, 베이스판에 대하여 커버판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석의 흡인력은, 베이스판에 대하여 폐쇄된 커버판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개방 가능한 정도로 조정된다.
본 발명자는,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피복 클램프에 대하여,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파지용 고무 부재와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광섬유를 파지하는 힘(이하, 클램프 하중이라고도 함)과, 파지용 고무 부재 및 베이스판에 대한 광섬유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규제력(이하, 섬유 파지력이라고도 함)과의 관계를 검증했다. 그 결과를 도 30에 나타낸다. 도 30은, 일반적인 피복 클램프에 대하여, 다양한 광섬유를 사용하여, 클램프 하중과, 상기 클램프 하중을 작용시켰을 때의 섬유 파지력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프루프 테스트는, 광섬유에 1.96∼2.26 N의 인장 하중을 작용시켜 실시한다.
도 30으로부터, 피복 클램프는, 광섬유에 1.96∼2.26 N의 인장 하중을 작용시켜도 광섬유의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아 파지 고정 상태를 안정 유지하기 위해서는, 클램프 하중을 2.94 N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피복 클램프의 클램프용 스프링으로서는, 2.94 N 이상의 클램프 하중을 얻기 위하여, 3.43 N정도의 압압력(押壓力)을 발생하는 클램프용 스프링이 채용된다. 또한, 피복 클램프로서는, 베이스판에 커버판이 폐쇄된 상태의 안정 유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베이스판과 커버판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파지력(이하, 커버 폐쇄력이라고도 함)이 3.43 N 이상의 피복 클램프가 채용된다.
그러나, 커버 폐쇄력이 3.43 N 이상의 피복 클램프는, 베이스판에 대하여 폐쇄된 커버부를 수동으로 개방할 때, 커버판을 손가락으로 자석의 흡인력에 저항하여 베이스판에 대하여 강하게 끌어올려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프루프 테스트의 완료 후에, 피복 클램프를 개방하여 광섬유를 인출하는 작업에 수고를 요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하루에 수백개의 광섬유의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작업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리고, 섬유 홀더는, 베이스판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자기 흡착 가능한 커버판 자체가, 베이스판에 광섬유를 압입(押入)하는 압력 부재로서 기능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섬유 홀더는, 커버판에 의해 커버부 전체가 구성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에 사용되는 피복 클램프와 마찬가지로, 섬유 홀더에 대해서도, 베이스판에 대하여 폐쇄된 커버부의 수동 개방 시에, 커버판을 손가락으로 자석의 흡인력에 저항하여 베이스판에 대하여 강하게 끌어올려 개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와 마찬가지로, 섬유 홀더 방식의 융착 접속기에 대해서도, 프루프 테스트의 완료 후에, 피복 클램프를 개방하여 광섬유를 인출하는 작업에 수고를 요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감안하여, 피복 클램프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단락 (0013)∼(0018),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판[가동측 클램프(22)]이, 피복 클램프 설치대[융착 접속기의 기대(基臺](17)에 설치된 모터(25)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베이스판[고정측 클램프(18)]에 대하여 개폐되는 구성이 제안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피복 클램프(파지 장치)는, 가동측 클램프(22)(커버판)가 커버부 전체로서 기능한다. 이 피복 클램프는, 고정핀(22)을 통하여 가동측 클램프(22)에 연결 고정된 랙(rack)(21)을, 융착 접속기의 기대(17)에 모터(25)의 출력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24)에 서로 맞물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피복 클램프는, 모터(25)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랙(21)을 승강시킴으로써, 커버판을 베이스판에 대하여 개폐한다.
이하, 이 피복 클램프를,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라고도 한다.
일본공개특허 평6-160662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는, 융착 접속기의 내부에 커버판의 개폐 구동용의 모터(이하, 커버판 개폐용 모터라고도 함)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경우, 융착 접속기는, 그 내부에,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진퇴 동작을 위한 모터, 광섬유 촬상용의 카메라의 포커스 동작용 모터, 이들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용 부품 등의 기기가 고밀도로 설치된다. 또한, 자동 조심(調心) 기능을 가지는 융착 접속기의 경우에는, 좌우 양측의 V홈에 세팅된 광섬유의 조심용 모터도 융착 접속기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융착 접속기의 내부에는 모터 등의 기기가 고밀도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의 내부에 커버판 개폐용 모터를 내장하는 경우, 장치 설계에 주는 영향이 크므로, 융착 접속기의 대형화,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다.
또한,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베이스판과 커버판과의 사이에 광섬유를 파지하므로, 광섬유의 피복부의 파지 고정을 유지하기 위해 모터에 전력을 계속 공급할 필요가 있어, 전력 사용량이 많다. 그러므로,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를 옥외에 의해 배터리 구동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교환까지의 융착 접속 횟수가 적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작업성 향상을, 장치 사이즈에 대략(거의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력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는 융착 접속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은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 접속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로서,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에 장착되고, 개폐되는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가지는 피복 클램프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진시키고, 또한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동력원을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동력원을 이용하여,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한다.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상기 제1 동력원의 동력에 의해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진시키는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분리 후의 상기 구동 기구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제1 동력원의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해도 된다.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피복 클램프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의 일부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분리되어 후퇴하면, 링크 부품을 통하여 밀어올려지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이 밀어올려지면, 상기 핀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밀어올려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상기 동작을 행해도 된다.
상기 제1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제2 동력원과, 상기 제2 동력원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폐하는 방풍 개폐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과, 상기 제2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 접속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로서,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제2 동력원과,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에 장착되고, 개폐되는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가지는 피복 클램프와, 상기 제2 동력원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폐하기 위해 및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기 위한 방풍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한다.
적어도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 또는 상기 방풍 커버의 한쪽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와 상기 방풍 커버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경우, 상기 방풍 커버가 개방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되어도 된다.
상기 연결부가,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와 상기 방풍 커버를 자기 흡착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마그넷이어도 된다.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방풍 커버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상기 방풍 커버에 연결하는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이어도 된다.
상기 피복 클램프는,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가 쉽게 개방되도록,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를 장착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피복 클램프의 고정,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개폐하는 커버판을 가지는 섬유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복 클램프와 상기 섬유 홀더가 교환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섬유 홀더를 탑재했을 때,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기구와 같은 기구로 상기 섬유 홀더의 커버판이 개방되어도 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전진 방향에 있어서, 방전부를 통하여 상기 피복 클램프에 대향하는 제2 피복 클램프 커버와,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에,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제2 피복 클램프 커버 중 양쪽을 동시에 개방하거나,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제2 피복 클램프 커버 중 다른 한쪽만을 개방하거나 하는 것의 설정을 전환하는 소프트웨어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전진용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되는 동작을 자동으로 행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융착 접속의 완료 후의 피복 클램프 커버의 개방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간편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작업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피복 클램프 설치대 전진용의 동력원을, 피복 클램프 커버 개방용 동력원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별도로 피복 클램프 커버 개방 전용의 동력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동력원의 설치수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의 단축, 작업성 향상을, 장치 사이즈에 거의(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동력원의 설치수의 절약에 의해, 소비 전력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는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의 수동 개방을, 피복 클램프 설치대 전진용의 구동력 전달계의 구성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가열 융착부의 좌우 양측에 피복 클램프를 배치한 구성의 융착 접속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우측면도)로서,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부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우측 단면도)로서,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방풍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방풍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라인 A)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라인 A)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a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전진하고, 이에 따라 전진한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라인 B에 도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로부터 전진하고, 이에 따라 전진한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라인 B에 도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보다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한 클램프 개방 기구가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회전 상승시켜, 광섬유의 파지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보다 후방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한 클램프 개방 기구가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회전 상승시켜, 광섬유의 파지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a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도 8a, 도 8b의 상태로부터,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더 후퇴하고,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보다 후방측(라인 D)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의 관계에 대하여, 도 8a, 도 8b의 상태로부터,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더 후퇴하고,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보다 후방측(라인 D)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전진 기구(설치대 구동 기구를 포함함)와, 클램프 개방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피복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설치대 구동 기구의 가동축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가 초기 위치, 피복 클램프 설치대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설치대 전진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0의 설치대 전진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의 슬리브형 기어 본체의 외주 기어부와 전진 기구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1c는 도 10의 설치대 전진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설치대 구동 기구(마이크로미터)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의 후방측 벽부에 대한 가동축의 고정 구조의 일례[압입(壓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설치대 전진 기구와, 클램프 개방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피복 클램프를, 경사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a, 도 8b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설치대 전진 기구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피복 클램프를, 그 경사 후방의 시점(視点)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설치대 전진 기구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피복 클램프를, 그 경사 후방의 도 13과는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상태에서의, 설치대 전진 기구의 설치대 구동 기구와,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피복 클램프를, 그 경사 후방의 도 13과는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도 14a와는 상이한 시점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a는 클램프 개방 기구의 링크 부품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와, 개방 레버축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클램프 개방 기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클램프 개방 기구의 링크 부품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와, 개방 레버축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클램프 개방 기구의 링크 부품이 도 15a의 상태와 비교하여 후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전진 기구(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전진 기구 동력원)의 구동 제어의 설정 전환(소프트웨어의 설정 전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의 한쪽만을 자동 개방하는 한쪽 자동 개방을 나타낸다.
도 16b는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설치대 전진 기구(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전진 기구 동력원)의 구동 제어의 설정 전환(소프트웨어의 설정 전환)을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를 동시에 자동 개방하는 양쪽 동시 개방을 나타낸다.
도 17은 도 1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 별개의 개폐용 동력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2분할형 방풍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예시한 방풍 커버의 한 쌍의 커버 부재의 다른 한쪽의 내측에,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의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자기 흡인하는 자석을 장착한 구성의 방풍 커버를 채용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 피복 클램프의 부근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방풍 커버가 폐쇄 상태, 또한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밀어올림핀에 의해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의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 피복 클램프의 부근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방풍 커버의 한 쌍의 커버 부재가 개방됨으로써, 다른 한쪽의 커버 부재를 그 내측의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유지한 피복 클램프 커버와 함께 개방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방풍 커버 및 피복 클램프의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예시한 방풍 커버의 한 쌍의 커버 부재의 다른 한쪽에 연결 수단(연결부)으로서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을 설치한 구성의 방풍 커버를 채용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 피복 클램프의 부근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방풍 커버가 폐쇄 상태, 또한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밀어올림핀에 의해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21의 피복 클램프의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방풍 커버 및 피복 클램프의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설치되는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변형예, 및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와, 설치대 전진 기구와 클램프 개방 기구로 구성되는 진퇴 이동 유닛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진퇴 이동 기구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피복 클램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진퇴 이동 기구의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섬유 홀더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6은 방풍 커버에 설치한 클램프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클램프 유닛의 클램프 지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a는 도 1의 융착 접속기를 그 앞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하는 진퇴 이동 유닛에 대하여 클램프 개방 기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퇴 이동 유닛을 그 경사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8b는 도 1의 융착 접속기를 그 앞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하는 진퇴 이동 유닛에 대하여 클램프 개방 기구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8a와는 다른 각도에서 진퇴 이동 유닛을 그 경사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9a는 도 28a 및 도 28b의 진퇴 이동 유닛에 대하여, 클램프 개방 기구의 밀어올림핀이,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밀어올려 클램프 하측 부재에 대하여 약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퇴 이동 유닛을 그 경사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9b는 도 28a 및 도 28b의 진퇴 이동 유닛에 대하여, 클램프 개방 기구의 밀어올림핀이,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를 밀어올려 클램프 하측 부재에 대하여 약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9b와는 다른 각도에서 진퇴 이동 유닛을 그 경사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0은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피복 클램프에서의, 파지용 고무 부재와 베이스판과의 사이에 광섬유를 파지하는 힘과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베이스판과 커버판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파지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기(이하, 단지 융착 접속기라고도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는 이 융착 접속기(20)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도 5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도면 중 부호 “20A”를 부기함)는,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이다.
도 1에 있어서, 이 융착 접속기(20A)에 의해 융착 접속하는 한 쌍의 광섬유(9)의 한쪽에 부호 “9A”, 다른 쪽에 부호 “9B”를 부기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광섬유(9)로서는, 광섬유 심선, 광섬유 소선 등의, 광섬유 유리부(9a)(누드 광섬유)의 외주에 합성 수지제의 피복재(9c)(코팅 피복)가 피착, 일체화된 구성의 피복 광섬유를 사용한다.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융착 접속기(20A)는, 외관이 상자형의 장치 본체(21)와, 이 장치 본체(21) 상부에 내장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를 가진다. 또한, 이 융착 접속기(20A)는, 장치 본체(21) 상에, 한 쌍의 전극봉(24)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상에 하나씩 장착된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과, 방풍 커버(60)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20A)는, 한 쌍의 전극봉(24)의 서로 대향하는 첨예한 선단 사이의 방전에 의해, 광섬유(9A, 9B)의 선단끼리를 가열 융착할 수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봉(24)은, 서로 대향하는 선단 사이의 영역(공간)인 방전부(24a)를 통하여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는, 한 쌍의 전극봉(24)의 간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봉(24)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간격 방향, 한 쌍의 전극봉(24)의 양쪽의 선단을 포함하는 선분], 및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은, 장치의 상하 방향(도 1∼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그리고, 「장치의 상하 방향」은, 전극봉(24)이 배치되어 있는 상면(21a)을 상측, 상기 상면(21a)과는 반대의 하면측을 하측으로 하는 장치 본체(21)의 상하 방향(도 1∼도 3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일치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융착 접속기(20)에 대하여, 한 쌍의 가동 스테이지(22)의 간격 방향(도 1의 좌우 방향, 도 2, 도 3의 지면 안길이 방향, 도 4, 도 5의 상하 방향)을 좌우 방향, 한 쌍의 전극봉(24)의 간격 방향(도 1, 도 19의 지면 안길이 방향, 도 2∼도 5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는, 장치 본체(21)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모니터 장치(31) 및 보강 슬리브 가열기(32)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20)에 대하여, 모니터 장치(31) 측(도 2, 도 3에 있어서 좌측)을 전, 보강 슬리브 가열기(32) 측(도 2, 도 3에 있어서 우측)을 후로 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에 있어서는, 좌측이 전, 우측이 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도 3, 도 20에 있어서 상측을 상하측을 아래, 도 4, 도 5에 있어서 지면 바로 앞쪽을 위, 지면 안쪽을 아래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 장치(31)는 패널형으로 구성된다.
장치 본체(21)의 상부 앞쪽에는, 모니터 장치(31)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핀(31b)이 장착되어 있다. 힌지핀(31b)은,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21)의 전면(前面)(21b)[하우징(29)의 전면] 상부로부터 접속기 앞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c)에 지지되어 있다.
모니터 장치(31)의 기단부(基端部)(31a)는, 힌지핀(31b)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장치(31)는, 기단부(31a)로부터 힌지핀(31b)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모니터 장치(31)는, 힌지핀(31b)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접속기 좌우 방향의 축선 주위로 장치 본체(21)에 대한 방향을 변경 가능하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에 대한 회전 저항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접촉하여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회전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을 때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강도(크기)로 조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융착 접속기(20)의 장치 본체(21)에는, 방전부(24a)(또는 방전부에 가까운 위치도 포함함)에 배치된 광섬유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71)가 내장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카메라(71)가 촬상한 화상을 모니터 장치(31)(도 2 참조)의 표시면(31c)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71)는, 장치 본체(21)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난 2개소(箇所)에 내장되어 있다. 2개소의 카메라(71) 중, 앞쪽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에 도면 중 부호 “71A”,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카메라에 도면 중 부호 “71B”를 부기한다.
또한, 장치 본체(21)에는, 각 카메라(71a, 71b)의 방전부(24a) 측에 배치된 렌즈(73a, 73b)도 내장되어 있다. 각 카메라(71a, 71b)는, 방전부(24a) 및 방전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광섬유(9)를, 장치 본체(21)에 설치된 렌즈(73a, 73b)를 통하여 촬상한다.
방풍 커버(60)의 내측에는, 방전부(24a) 및 방전부에 가까운 위치에, 카메라(71)로 촬상할 때 광을 조사하기 위한 촬상용 광원(72a, 72b)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융착 접속기(20)는, 광섬유(9)를 2개의 촬상용 광원(72a, 72b)으로 2방향으로부터 조사(照射)하고, 2개의 렌즈(73a, 73b)와 2개의 카메라(71a, 71b)로, 각각의 방향으로부터 광섬유(9)를 2축으로 촬상하는 2축 관찰을 실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융착 접속기(20)는, 방풍 커버(60)가 폐쇄되었을 때, 방풍 커버(60) 내측의 촬상용 광원(72a)과 제2 카메라(71b)가 방전부(24a)를 통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촬상용 광원(72b)과 제1 카메라(71a)가 방전부(24a)를 통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촬상용 광원(72a, 72b)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용 광원(72a, 72b)는, 적어도, 카메라(71)로 광섬유를 촬상할 때 점등하면 된다. 그러므로, 촬상용 광원(72a, 72b)은, 예를 들면, 카메라(71)에 의한 광섬유의 촬상 시만 점등하고, 그 이외는 소등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슬리브 가열기(32)는, 장치 본체 상면(21a) 후단부 상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 슬리브 가열기(32)는, 광섬유(9A, 9B)의 융착 접속 및 접속부 검사의 완료 후에, 광섬유(9A, 9B)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가열하여 수축시킨 열수축성의 보강 슬리브로 덮음으로써, 광섬유(9A, 9B)끼리의 융착 접속부를 보강하는 장치이다.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20)를 사용하여 광섬유(9)끼리의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할 때는, 융착 접속기(20)를, 그 전면측(앞쪽)이 작업자 측으로 되는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의 전면(21b)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전면(21b)을 따르는 방향 으로 했을 때, 표시면(31c)과는 반대측의 배면이 장치 본체 전면(21b)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모니터 장치(31)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전면(21b)을 따르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작업자가 융착 접속기(20)의 앞쪽으로부터 표시면(31c)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는, 피복 클램프(50)[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클램프 하측 부재(51)]를 장착하기 위한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서 기능한다.
피복 클램프(50)는, 가동 스테이지(22) 상에 고정된 판형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와, 이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상면(51a)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판형의 클램프 상측 부재(52)(이하, 피복 클램프 커버라고도 함)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장치 후방측(접속기 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추축(53)을 통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6a, 도 14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는, 판형의 설치대 본체(22a)와, 설치대 본체(22a)의 접속기 전후 방향의 한쪽(도시한 예에서는 접속기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를 가진다.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는, 구체적으로는,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의 상면(22b)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의 설치대 본체(22a)에 대한 돌출 위치는, 설치대 본체(22a) 상 이외에서, 또한 가동 스테이지(22)를 방전부(24a)를 향해 전진시키는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가 접촉되어 접할 수 있는 위치이면 되고, 설치대 본체(22a)의 접속기 전후 방향의 한쪽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의 설치대 본체(22a)에 대한 돌출 위치는, 예를 들면, 설치대 본체(22a)의 하부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와 피복 클램프 커버(52)와의 사이에 광섬유(9)를 파지 고정 가능하다. 피복 클램프(50)는, 구체적으로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와 피복 클램프 커버(52)와의 사이에, 광섬유 유리부(9a)의 외주가 피복재(9c)에 의해 덮힌 부분인 피복부(9d)를 파지 고정시킨다.
또한, 피복 클램프(50)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에 대한 개폐에 의해, 광섬유(9)의 파지와 파지 해제를 전환 가능하다.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금속부를 자기 흡착하는 영구 자석(55)(커버 폐쇄용 자석; 도 10 참조)을 내장한 구성을 가진다. 영구 자석(55)은, 클램프 커버 유지 수단이며,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유지하여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클램프 커버 유지 수단으로서는, 수동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하는 것만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유지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수동으로 유지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 접속기(20A)의 피복 클램프(50)는, 영구 자석(55)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광섬유에 1.96∼2.26 N의 인장 하중을 작용시켜도 광섬유의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아 클램프 하측 부재(51)와 피복 클램프 커버(52) 사이에서의 파지 고정 상태를 안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클램프(50)는, 영구 자석(55)의 자기 흡인력이, 작업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조작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개폐 조작을 수동으로 실행 가능하게 하는 강도로 설정된다.
클램프 커버 유지 수단으로서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금속부를 자기 흡착하는 영구 자석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램프 커버 유지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동으로 분리 조작 가능한 걸어맞춤 클로우(claw)를 이용한 유지 수단 등도 채용 가능하다. 클램프 커버 유지 수단으로서는, 융착 접속기의 피복 클램프에 대하여 종래 주지의 유지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0,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탄성 가압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 한계 위치[도 10에 나타낸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56)(이하, 개방 보조 탄성 부재라고도 함)를 가지고 있다. 도 10은,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 한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한 예의 피복 클램프(50)에 있어서,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는 구체적으로는 추축(樞軸)(53)이 내부에 삽입된 토션 스프링이다. 이하,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가 토션 스프링을 가리키는 경우,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를 토션 스프링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영구 자석(55)의 자기 흡인력은,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을 가미하여, 광섬유에 1.96∼2.26 N의 인장 하중을 작용시켜도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아 피복 클램프(50)에서의 광섬유의 파지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을 실행 가능한 범위로 설정된다.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로서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개방 한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면 되고, 토션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방 한계 위치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폐쇄 상태)로부터 90° 보다 크고 120° 이하의 각도로 회전했을 때의 위치이다.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 한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고, 또한 개방 한계 위치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되는 조작을 수동으로 편하게 행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된다.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방 한계 위치를,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로부터 90°초과 또한 120° 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설정하는 것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그 자중에 의해 클램프 하측 부재(51) 측으로 넘어져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 한계 위치에서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클램프 하측 부재(51)로부터 상에 기립하고 있다.
예를 들면,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된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추축(53)을 통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51)와는 반대의 측으로 넘어져 장치 본체 상면(21a)에 접촉되어 접하는 경우에는, 이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할 때,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장치 본체 상면(21a)으로부터 일으킬 필요가 있다. 또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180° 정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방 한계 위치를,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로부터 90° 초과 또한 120° 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에 설정한 경우에는, 개방 한계 위치에 있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을 향해 넘어뜨리도록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간단하게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로부터 90°초과 또한 120° 이하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개방 한계 위치를 설정한 구성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폐쇄하는 조작을 효율적으로 편하게 행할 수 있다.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55)의 흡인력은,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영구 자석(55)과의 거리의 증대에 의해 급격하게 저하되어 간다.
피복 클램프(50)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약간 부상한 정도이며, 예를 들면,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회전 각도가 30° 미만으로,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과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55)의 흡인력이 같아지는 구성을 들 수 있다.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과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55)의 흡인력이 같아질 때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위치[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회전에 의한 위치]를, 이하,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흡인·개방 동작력 밸런스 위치)라고도 한다.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열 때,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를 넘으면,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이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55)의 흡인력을 상회한다. 그러므로,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를 초과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그 이후,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개방 한계 위치까지 회전된다.
따라서, 이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 한계 위치까지 개방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9)는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체결 고정됨으로써, 융착 접속기(20A)에 장착된다.
피복 클램프(50)는, 융착 접속기(20A)에 광섬유(9)를 장착하기 위한 섬유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융착 접속기(20A)를 사용하여 광섬유(9A, 9B)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작업에서는, 도 2의 가상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를 개방한 상태에서,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개폐 조작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51)와 피복 클램프 커버(52)와의 사이에 광섬유(9)[피복부(9d)]를 끼워넣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시키는 광섬유(9)로서는, 미리 그 선단부의 피복재(9c)를 제거하여 광섬유 유리부(9a)를 노출시킨 광섬유를 사용한다. 또한, 광섬유(9)는, 광섬유 유리부(9a)를 노출시킨 선단측을 피복 클램프(50)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돌출시키고, 광섬유 유리부(9a)를 홈 형성 기판(23) 상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23a) 상에 탑재하여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시킨다.
광섬유(9)의, 피복 클램프(50)[구체적으로는 클램프 하측 부재(51)]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이하, 돌출부(90b)라고도 한다.
도 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 형성 기판(23)은, 방전부(24a)와 그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와의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다.
좌우 양측의 홈 형성 기판(23)은,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하여 융착 접속기(20A)에 장착한 한 쌍의 광섬유(9A, 9B) 선단[구체적으로는 광섬유 유리부(9a) 선단]을, 위치 결정홈(23a)에 의해, 접속기 좌우 방향의 동일 직선(가상 직선)에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맞춤시키는 기능을 행한다.
도 6a, 도 6b, 도 16a, 도 16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1)는, 그 하우징(29)에 고정하여 하우징(29) 상부 내측에 배치한 상부 지지 부재(21d)를,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에 가진다.
상부 지지 부재(21d)는, 도시하지 않은 부품을 통하여 하우징(29)에 고정된 베이스부(21e)와, 이 베이스부(21e) 상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입벽부(立壁部)(21f)를 가진다.
도 6a, 도 6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 형성 기판(23)은, 상부 지지 부재(21d)의 입벽부(21f)의 상단으로부터 오목한 상단 오목홈(21h)에 내장되어 입벽부(21f)에 고정되어 있다. 홈 형성 기판(23)은, 상부 지지 부재(21d)를 통하여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지지 부재(21d)의 상단 오목홈(21h)은, 상부 지지 부재(21d)의 입벽부(21f) 상단부를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홈 형성 기판(23)의 상면(23b)(기판 상면)은, 상부 지지 부재(21d)의 입벽부(21f) 상단으로부터 하방(도 6a의 지면 안쪽, 도 6b의 하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 결정홈(23a)은, 홈 형성 기판(23)의 상면(23b)(기판 상면)에, 접속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융착 접속기(20A)의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 결정홈(23a)은 V홈인 것을 나타낸다. 단, 위치 결정홈(23a)으로서는, 광섬유(9) 선단부에 노출시킨 광섬유 유리부(9a)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 가능한 것이면 되고, V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결정홈(23a)으로서는, 예를 들면, 환형(丸形) 홈[단면(斷面) 반원형의 홈], U홈, 사다리꼴 홈 등도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20A)의 홈 형성 기판(23)은, 방전 가열의 열에 견디기 위해 세라믹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의 축 조심 기구를 가지는 장치(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는, 좌우 각각의 홈 형성 기판(23)을 좌우의 광섬유 축 조심 기구 상에 각각 고정시킨다. 한편, 광섬유의 축 조심 기구를 가지지 않는 융착 접속기의 경우에는, 홈 형성 기판(23)을 장치 본체(21)에 직접 고정시켜도 된다.
도 6a∼도 10, 도 12∼도 14b는, 도 1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의 다른 한쪽의 부근을 나타낸다.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고정하여 그 상부의 내측에 설치된 레일(21r)에 안내되어, 장치 본체 하우징(29)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일(21r)은,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고정되고,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16a,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1r)은,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는, 각각, 레일(21r)에 안내되어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 즉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전진·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는, 각각, 그 대략 전체가 장치 본체(29)의 천정판부(29a)의 상면인 장치 본체 상면(21a) 상에 위치하도록, 가동 스테이지(22)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위치는, 각각, 장치 본체 하우징(29)의 천정판부(29a)에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늘고 긴 창공(窓孔)(29b)의 위치와 맞고 있다. 피복 클램프(50)는 가동 스테이지(22)와 함께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한다. 장치 본체 하우징(29)의 천정판부(29a)는, 피복 클램프(50) 및 가동 스테이지(22)의 방전부(24a)에 대한 진퇴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6a, 도 11a∼도 14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는, 가동 스테이지(22)를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방전부(24a)를 향해 이동(전진)시키는 설치대 전진 기구(80)를 가진다. 또한,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는, 설치대 전진 기구(80)에 의해 전진된 가동 스테이지(22)를 탄성 가압하여 방전부(24a)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후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프루프용 스프링(83)과,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하기 위한 클램프 개방 기구(90)를 가진다.
설치대 전진 기구(80), 프루프용 스프링(83), 및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접속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방전부(24a)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6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루프용 스프링(83)은,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 후단부의 하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돌기형의 설치대 스프링 받이 부재부(22d)와, 레일(21r)의 방전부(24a) 측의 전단(前端)과는 반대의 후단에 고정된 스프링 받이부재 부재(27)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대 스프링 받이 부재부(22d)는, 스프링 받이부재 부재(27)로부터 방전부(24a)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프루프용 스프링(83)은 구체적으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이 프루프용 스프링(83)은, 그 축선 방향을, 설치대 스프링 받이 부재부(22d) 및 스프링 받이부재 부재(27)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정렬하여, 설치대 스프링 받이 부재부(22d)와 스프링 받이부재 부재(27)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대 전진 기구(80)는, 동력원(81)(제1 동력원)과, 이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를 가진다.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는,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2)를 압압하여 가동 스테이지(22)를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방전부(24a)를 향해 이동(압력 이동)하는 전진 이동과, 상기 전진 이동과는 역방향의 이동인 후퇴 이동을 행한다. 가동 스테이지(22)는, 방전부(24a)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부터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에 의해 압력 이동됨으로써 방전부(24a)를 향해 전진한다. 도 6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는, 구체적으로는,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를 방전부(24a)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부터 압압하여, 가동 스테이지(22)를 압력 이동, 전진시킨다.
도 6a,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설치대 전진 기구(80)는, 구체적으로는, 동력원(81)과, 이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가동 스테이지(22)를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방전부(24a)를 향해 이동(전진)시키는 구동 기구(82)(이하, 설치대 구동 기구라고도 함)를 가진다. 설치대 구동 기구(82)는,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가동축)를 가진다.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는,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이 가능하다. 설치대 구동 기구(82)는,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82b)의 전진 이동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2)를 방전부(24a)를 향해 압력 이동, 전진시킨다.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력원(81)을, 이하, 전진 기구 동력원이라고도 한다.
전진 기구 동력원(81)으로서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전동 모터, 전자석, 또는 솔레노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도 6a, 도 11a∼도 14b 등에 예시한 전진 기구 동력원(81)은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 설치대 구동 기구(82)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미터이다. 이하, 전진 기구 동력원(81)을 전동 모터, 설치대 구동 기구(82)를 마이크로미터라고도 한다.
도 11a는, 설치대 구동 기구(82)(마이크로미터)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마이크로미터(82)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 부재를 통하여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고정된 보디 튜브(body tube)(82a)와, 이 보디 튜브(82a)의 내측에 삽입된 가동축(82b)과, 가동축(82b)에 고정된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구비한다.
마이크로미터(82)는, 보디 튜브(82a)의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82n)를 하우징(29)에 형성된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삽입되어 하우징(29)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9)의 암나사부는 하우징(29)의 내측의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 보디 튜브(82a)는, 수나사부(82n)를 하우징(29)에 나사삽입되어 하우징(29)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 튜브(82a) 선단부 외주의 수나사부(82n)는, 도 11a에만 도시하고,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가동축(82b)은, 그 길이 방향(축선 방향)의 중앙부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82h)를, 보디 튜브(82a)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82g)에 서로 맞물리게 하여 보디 튜브(82a)에 나사장착되어 있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가동축(82b)의 보디 튜브(82a) 후단부(기단부)로부터 돌출된 단부(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원통형의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와, 이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의 축선 방향 편단부(片端部)의 내측에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재부(82e)를 통하여 지지된 후방측 벽부(82k)를 가진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는 그 내측에 보디 튜브(82a)의 후단부(기단부)를 수용하고 있다.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는 보디 튜브(82a) 후단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후방측 벽부(82k)는, 가동축(82b)의 축선 방향 일단부(후단부)에 고정되고, 보디 튜브(82a)의 후방측(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축(82b)은, 그 후단부(기단부)를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방측 벽부(82k)에 고정하고,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와 일체로 되어 있다.
지지재부(82e)는 후방측 벽부(82k)로부터 가동축(82b)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보디 튜브(82a)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후방측 벽부(82k)와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의 후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후방측 벽부(82k)로부터 가동축(82b)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돌출된 압압용 돌출부(82f)를 가진다.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가동축(82b)은, 그 일단부(후단부)를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방측 벽부(82k)에 형성된 결합공(82m)에 압입되고,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에 고정시켜,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축(82b)의 일단(후단)을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방측 벽부(82k)에 고정시켜, 일체화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나사고정 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로미터(82)로서는, 가동축(82b)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에 일체로 형성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도 11a에 있어서,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는, 보디 튜브(82a)와 동축(同軸)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축(82b) 및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는,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보디 튜브(82a)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축(82b)은,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 결과, 가동축(82b)은, 그 수나사부(82h)의 보디 튜브(82a) 내측의 암나사부(82g)에 대한 나사 결합 위치가 변동되어,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보디 튜브(82a)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또한, 가동축(82b)이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보디 튜브(82a)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에 따라,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도 가동축(82b)과 일체로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보디 튜브(82a)의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도 6a, 도 11a에 있어서, 가동축(82b)은, 보디 튜브(82a)의 내측을 관통하고 있다. 도 6a, 도 11a에 있어서, 가동축(82b)은,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방측 벽부(82k)에 고정되어 있는 기단측과는 반대의 선단측이, 보디 튜브(82a)의 선단(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미터(82)는,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동축(82b)의 보디 튜브(82a)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82)는, 보디 튜브(82a) 및 가동축(82b)의 중심축선과 접속기의 좌우 방향이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미터(82)는, 접속기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디 튜브(82a)의 선단이 방전부(24a) 측,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방측 벽부(82k) 및 압압용 돌출부(82f)가 배치되어 있는 측이 방전부(24a)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의 방향으로 장치 본체(21) 내[하우징(29) 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치대 구동 기구(82)에 대하여, 접속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방전부(24a) 측(도 11a의 좌측)을 전, 방전부(24a)와는 반대의 측(도 11a의 우측)을 후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가동 스테이지(22), 피복 클램프(50), 설치대 전진 기구(80) 전체, 프루프용 스프링(83), 및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대해서도, 접속기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방전부(24a) 측을 전, 방전부(24a)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을 후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치대 전진 기구(80)에 대하여 앞쪽을 구동 기구 앞쪽, 후방측을 구동 기구 후방측이라고도 한다.
도 11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방측 벽부(82k) 및 압압용 돌출부(82f)는, 보디 튜브(82a)의 후단(82o)의 후방측(구동 기구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압용 돌출부(82f)의 구동 기구의 전후 방향으로 수직의 단면(斷面) 중앙부는,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한다.
도 11a,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부(82i)(이하, 외주 기어부라고도 함)를,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축(81a)에 고정된 기어(81b)(이하, 구동 기어라고도 함)에 서로 맞물리게 하고 있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축(81a)의 회전 구동에 의해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축 주위로 회전된다.
도 6a, 도 11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모터(81)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고정된 외장(外裝) 케이스(81d)를 가진다. 이 전동 모터(81)는, 외장 케이스(81d)로부터 돌출하는 구동축(81a)의 돌출부(이하, 축 돌출부라고도 함)에, 구동축(81a)과 동축의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 기어(81b)가 고정되어 있다.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축(81a) 및 구동 기어(81b)는 접속기의 좌우 방향의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전동 모터(81)의 외장 케이스(81d)는,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고정된 보조 지지 부재(21g)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모터(81)[구체적으로는 외장 케이스(81d)]는, 보조 지지 부재(21g)를 통하여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장착되어 있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의 외주 기어부(82i)는, 슬리브형 기어 본체(82d)의 축 주위 방향의 복수 개소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톱니부(82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톱니부(82j)는, 접속기 좌우 방향(구동 기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형(突條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외주의 복수 개소에는, 접속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형의 톱니부(81c)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외주 기어부(82i)의 톱니부(82j)와,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톱니부(81c)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외주 기어부(82i)에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톱니부(81c)가 맞물려 있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축(81a) 및 구동 기어(81b)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전진 기구 동력원(81)은, 구동 기어(81b)의 회전 방향의 정역(正逆) 전환이 가능하다.
도 6a, 도 7a, 도 8a,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가동축(82b)과 함께 보디 튜브(82a)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 및 가동축(82b)을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그 앞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회전을, 이하, 정회전, 상기 정회전과는 반대 방향의 구동 기어(81b)의 회전을, 이하, 역회전이라고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외주 기어부(82i)의 톱니부(82j)와,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톱니부(81c)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에 대하여 구동축(81a) 축선 방향(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보디 튜브(82a) 축선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했을 때, 구동 기어(81b)에 대하여 구동축(81a)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구동 기구 앞쪽을 향해 상대 이동한다.
또한,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 기어(81b)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했을 때, 구동 기어(81b)에 대하여 구동축(81a)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구동 기구 후방측을 향해 상대 이동한다.
도 6a,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가동축(82b)은,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정회전)했을 때,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구동 기구 앞쪽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보디 튜브(82a) 선단(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증대한다. 그리고, 가동축(82b)은, 보디 튜브(82a)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전단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2)[구체적으로는 그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를 압압하여, 가동 스테이지(22)를 방전부(24a)를 향해 전진(압력 이동)시킨다.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가동축(82b)은, 가동 스테이지(22)를 가압 이동하여 전진시키는 설치대 압력 이동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6a,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했을 때,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가동축(82b)은, 그 선단측이 보디 튜브(82a)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 때,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보디 튜브(82a)에 대한 축 주위 회전에 의해,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구동 기구 앞쪽을 향해 이동 가능한 위치로서, 또한 구동 기구 후방측을 향해 이동 가능한 위치(도 6a, 도 11a에 나타낸 위치; 이하, 초기 위치라고도 함)에 있다.
또한, 이 때, 도 6a,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는,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그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초기 위치에 있는 가동축(82b)의 선단에 그 구동 기구 앞쪽[방전부(24a) 측]으로부터 압압되고,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가동축(82b)의 선단과 맞닿도록 접한다.
이 때의 접속기 좌우방향에서의 장치 본체 하우징(29)에 대한 가동 스테이지(22)의 위치를 섬유 장착 시의 위치라고도 한다. 섬유 장착 시의 위치는,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구동에 의한, 가동 스테이지(22)의 방전부(24a)에 대한 전진 한계 위치(도 7a, 도 7b에 나타낸 위치)보다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 피복 클램프(50)에 대해서도,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있을 때의 위치를 섬유 장착 시의 위치라고도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했을 때,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때, 프루프용 스프링(83)은, 설치대 스프링 받이 부재부(22d)와 스프링 받이부재 부재(27)와의 사이에서, 약간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0, 도 12∼도 14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링크 부품(91)과, 개방 레버축(92)(도 10, 도 13 참조)과, 이 개방 레버축(92)에 고정되어 개방 레버축(92)과 일체로 회전하는 개방 레버(93)를 가진다.
개방 레버축(92)은, 도 10, 도 13, 도 15a, 도 15b, 도 16a, 도 16b, 도 29a에만 도시하고, 다른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b, 도 7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밀어올림핀(54)을 가진다. 도 8b, 도 9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밀어올림핀(54)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상승시킴으로써,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밀어올려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다.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개방 레버(93)는, 링크 부품(91)을 통하여 전달된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개방 레버축(92)과 함께 회전되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린다.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회전 구동된 개방 레버(93)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다.
개방 레버(93)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는 핀 밀어올림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6a, 도 7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링크 부품(91)은, 접속기(20A)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棒形) 본체(91a)와, 이 봉형 본체(91a)의 방전부(24a) 측의 전단과는 반대의 후단으로부터 접속기(20A)의 전후 방향의 한쪽(도시한 예에서는 접속기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봉형의 가로재부(橫材部)(91b)와, 이 가로재부(91b)의 돌출단으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돌출하는 구동력 받이부(91c)를 가진다.
링크 부품(91)의 구동력 받이부(91c)의 돌출단은,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 후단의 압압용 돌출부(82f)의 후방측(구동 기구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a에 있어서, 구동력 받이부(91c)의 돌출단은, 마이크로미터(82)의 초기 위치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압압용 돌출부(82f) 후단에 접촉되어 접하고 있다.
도 10, 도 12∼도 14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레버축(92)은, 장치 본체 하우징(29)에 고정하여 하우징(29) 내에 설치된 통형의 브래킷(921) 내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921) 및 개방 레버축(92)은, 레일(21r)의 아래쪽에서 접속기(20A)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브래킷(921)은, 장치 본체 하우징(29)에 고정하여 하우징(29)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개방 레버축(92)은, 브래킷(921)에 의해, 그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921)은, 개방 레버축(92)을 그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은 통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방 레버축(92)은, 예를 들면, 그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를 링형의 브래킷(921)에 의해, 접속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방 레버축(92)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도 10,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레버(93)는, 가늘고 긴 형상의 완부(腕部)(93a)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상기 완부(93a)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밀어올림 편부(93b)가 일체로 설치된 부재이다.
개방 레버(93)는, 완부(93a)의,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밀어올림 편부(93b)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선단부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기단부를 개방 레버축(92)의 연장 방향의 한쪽 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개방 레버(93)의 완부(93a)는, 개방 레버축(92)의 브래킷(921)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개방 레버(93)의 완부(93a)는, 개방 레버축(92)으로부터 개방 레버축(92)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6a, 도 16b에 있어서,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우측(도 16a, 도 16b에 있어서 우측)의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개방 레버(93)의 완부(93a)의 기단부는 개방 레버축(92)의 접속기 앞쪽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우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는,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우측의 가동 스테이지(22)보다 접속기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8a, 도 28b, 도 29a, 도 29b는,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좌측(도 16a, 도 16b에 있어서 좌측)의 가동 스테이지(22)와 설치대 전진 기구(80) 및 클램프 개방 기구(90)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a, 도 16b, 도 28a, 도 28b, 도 29a,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좌측의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개방 레버(93)의 완부(93a)의 기단부는 개방 레버축(92)(도 29a 참조)의 접속기 앞쪽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좌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는, 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좌측의 가동 스테이지(22)보다 접속기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의 밀어올림핀(54)은, 판형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두께를 관통하는 핀 삽통공(揷通孔)(51b)(도 6b 참조)에 삽입되고,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 삽통공(51b)은 도 6b에만 도시하고, 다른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핀(54)은, 핀 삽통공(51b)에 삽입 가능한 굵기로 형성되는 핀 본체(54a)의 길이 방향의 편단에, 핀 삽통공(51b)에 삽입 불가능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헤드부(54b)를 가지고 있다. 밀어올림핀(54)은, 핀 본체(54a)를 핀 삽통공(51b)에 삽입하고, 헤드부(54b)를 클램프 하측 부재(51) 상에 배치하여 피복 클램프(50)에 설치되어 있다. 핀 본체(54a)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핀 삽통공(51b)의 축선 방향의 길이에 비해 길다.
도 6b, 도 10에 있어서, 밀어올림핀(54)의 헤드부(54b)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그 상면(51a)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헤드부 수용 오목부(51c)에 수용되고, 헤드부 수용 오목부(51c)의 바닥면(51d)(수용 오목부 바닥면)에 접촉되어 접하고 있다. 또한, 핀 본체(54a)는 핀 삽통공(51b)에 수용된 부분으로부터 하측의 부분이 클램프 하측 부재(51)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b, 도 10에 나타낸 밀어올림핀(54)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위치를, 이하, 승강 하한 위치라고도 한다.
밀어올림핀(54)이 승강 하한 위치에 있을 때, 밀어올림핀(54)의 헤드부(54b)는 그 전체가 헤드부 수용 오목부(51c)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승강 하한 위치의 밀어올림핀(54)의 헤드부(54b)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접촉되지는 없고,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폐쇄맞춤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핀 삽통공(51b)은,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접속기 앞쪽 단부[설치대 전진 기구(80)가 배치되어 있는 접속기 후방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밀어올림핀(54)은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접속기 앞쪽의 단부에 승강 가능하게[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삽통공(51b)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밀어올림핀(54)은, 접속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개방 레버축(92)으로부터 방전부(24a) 측(개방 기구 앞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6b,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레버(93)의 완부(93a)는, 접속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개방 레버축(92)으로부터 방전부(24a) 측(개방 기구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는, 완부(93a)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6b, 도 10에 있어서,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는, 승강 하한 위치의 밀어올림핀(54)의 하단(54c)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대하여, 도 6b, 도 10에 나타낸 상태를 초기 상태라고도 한다.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초기 상태에 있을 때, 링크 부품(91)의 구동력 받이부(91c)의 돌출단이 마이크로미터(82)의 초기 위치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압압용 돌출부(82f)의 후단에 접촉되어 접하여,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가 승강 하한 위치의 밀어올림핀(54)의 하단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초기 상태로서는, 링크 부품(91)의 구동력 받이부(91c) 돌출단이, 마이크로미터(82)의 초기 위치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압압용 돌출부(82f)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측(구동 기구 후방측)으로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라도 된다.
또한, 도 6b, 도 10에 있어서,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의 돌출단은 밀어올림핀(54)의 하단(54c)에 접촉되어 접하고 있지만,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초기 상태로서는,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의 돌출단이, 밀어올림핀(54)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상태라도 된다.
도 8a, 도 9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동 모터(81)의 구동축(81a)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기구 후방측으로 이동 가능하다.
초기 상태에 있는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링크 부품(91)은,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초기 위치보다 구동 기구 후방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 후단의 압압용 돌출부(82f)에 의해,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개방 기구 후방측)으로 압력 이동된다(도 8a, 도 9a 참조).
그리고, 링크 부품(91)은, 장치 본체 하우징(29)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안내 부재에 안내되면서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링크 부품(91)은, 안내 부재에 안내되면서, 봉형 본체(91a)가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가로재부(91b)가 봉형 본체(91a)의 후단으로부터 접속기 전후 방향의 한쪽(도시한 예에서는 접속기 후방측)으로의 돌출을 유지한 채,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4a, 도 14b, 도 15a,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부품(91)의 봉형 본체(91a)의 방전부(24a) 측(도 15a, 도 15b에 있어서는 우측)의 전단부에는, 봉형 본체(91a) 외주의 측면으로부터 오목한 걸어맞춤 오목부(91d)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 부품(91)은, 봉형 본체(91a)의 전단부의 걸어맞춤 오목부(91d)에, 개방 레버축(92)의 개방 레버(93)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 외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걸어맞춤 돌출부(92a)를 수용하고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92a)는, 개방 레버축(92)의 브래킷(921) 단부로부터 돌출된 부분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초기 상태로부터, 링크 부품(91)이 압압용 돌출부(82f)에 의해 가압 이동되었을 때, 봉형 본체(91a)의 걸어맞춤 오목부(91d) 전단 위치의 단차(段差)(91e)(도 15a, 도 15b 참조; 이하, 앞쪽 단차라고도 함)가 개방 레버축(92)의 걸어맞춤 돌출부(92a)를 방전부(24a) 측으로부터 가압 이동하여, 개방 레버축(92)을 회전시킨다. 이로써, 개방 레버(93)는 개방 레버축(92)과 함께, 도 6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6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개방 레버축(92)과 함께 회전한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의 상승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릴 수 있다.
이 융착 접속기(20A)는, 설치대 구동 기구(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링크 부품(91)을 압력 이동시킨다. 이로써, 개방 레버(93)가 밀어올림핀(54)을,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로부터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의 위치까지 회전시켜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 상에 지지된 회전축(61)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접속기 좌우 방향의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 내에 내장된 전동 동력원(69)(도 2 참조; 방풍 개폐용 동력원 또는 제2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6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다.
도시한 예의 전동 동력원(69)은,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이다. 방풍 커버(6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력 전달계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동 모터(69)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도면 중, 접속기 좌우 방향 우측(접속기 앞쪽에서 볼 때 우측)의 회전축(61)에 부호 “61A”, 좌측의 회전축(61)에 부호 “61B”를 부기하고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단면 U자형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구조의 커버 본체(62)와, 그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커버 본체(62)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단벽부(端壁部)(63a, 63b)(도 5 참조)를 가지는 가늘고 긴 용기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62)의 길이 방향 양측의 단벽부(63a, 63b)는, 커버 본체(62) 내측의 홈형 공간의 연장 방향 양단을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5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방풍 커버(60)의 커버 본체(62)는, 가늘고 긴 판형의 천정벽부(天壁部)(64)와, 천정벽부(64)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천정벽부(64)의 한쪽 면 측에 상기 천정벽부(64)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리브형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측벽부(65a, 65b)를 가진다.
커버 본체(62)와 그 길이 방향 양측의 단벽부(63a, 63b)로 에워싸인 내측 공간(66)[이하, 커버 내측 공간(66)이라고도 함]은, 커버 본체(62)에서의 천정벽부(6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커버 본체(62)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다.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커버 본체(62)의 단면(斷面) 개구측(도 2, 도 3에 있어서 하측)의 양 단부(端部)(단면 양 단부)의 다른 한쪽이, 회전축(61)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방풍 커버(60)는, 그 길이 방향을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정렬하여 장치 본체(2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과, 한 쌍의 전극봉(24)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상의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은,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앞쪽의 힌지핀(31b)과 후방측의 보강 슬리브 가열기(3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스테이지(22)도,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힌지핀(31b)과 보강 슬리브 가열기(3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되었을 때, 커버 본체(62) 및 단벽부(63a, 63b)의, 커버 내측 공간(66)의 개구부 측의 단부가 장치 본체의 상면(21a)에 접촉되어 접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되었을 때, 그 내측에, 장치 본체(21)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봉(24)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상의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을 수용한다.
또한,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했을 때, 가동 스테이지(22)는, 그 상측 전체가 방풍 커버(60)에 의해 덮힌다.
이 융착 접속기(20)를 사용한 광섬유(9)끼리의 융착 접속은,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한 상태로 행해진다.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방풍 커버(60)는, 전극봉(24)과 함께 전극봉(24) 사이의 방전부(24a)도 덮어, 방풍 커버(60) 외측의 바람이 광섬유(9)끼리의 융착 접속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길이 방향 양측의 단벽부(63a, 63b)에는, 커버 내측 공간(66) 개구부 측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오목한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切缺部)(섬유 삽통용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했을 때,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된 광섬유(9)의 장치 본체 상면(21a) 상에 배치된 부분을 섬유 삽통용 절결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방풍 커버(60)는, 광섬유(9)를, 섬유 삽통용 절결부를 통하여 상기 방풍 커버(60)의 내외로 통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방풍 커버(60)는, 광섬유(9)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섬유 삽통용 절결부에 수용함으로써, 광섬유(9)를 단벽부(63a, 63b)와 장치 본체 상면(21a)과의 사이에 강하게 끼워넣어 광섬유가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3, 도 5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의 회전축(61a, 61b)은, 융착 접속기(20)의 전극봉(24), 피복 클램프(50), 홈 형성 기판(23)보다 접속기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61a, 61b)은, 융착 접속기(20)의 가동 스테이지(22)보다 접속기 앞쪽에 설치되어 있다.
방풍 커버(60)는,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했을 때, 한 쌍의 측벽부(65a, 65b)가, 전극봉(24), 피복 클램프(50), 홈 형성 기판(23), 가동 스테이지(22)(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접속기 전후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회전축(61)은, 한 쌍의 측벽부(65a, 65b) 중,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의 상면(21a)에 폐쇄했을 때 커버 내측 공간(66)에 대하여 접속기 앞쪽에 위치하는 측벽부(65a)의 천정벽부(64)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장치 본체(21)의 하우징(2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로 했을 때, 가동 스테이지(22)가 전술한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상태(이하, 비사용 시 상태라고도 함)로 된다.
비사용 시 상태의 융착 접속기(20)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었던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되고, 방풍 커버(60)가 개방되어 있는,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 된다. 도 1, 도 6a, 도 11a는 섬유 세팅 대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 있어서,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보디 튜브(82a)에 대한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 있어서,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도 6b, 도 10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된다. 밀어올림핀(54)은 승강 하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 있어서,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되어 있어도,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융착 접속기(20A)를 사용하여 광섬유(9A, 9B)끼리를 융착 접속하는 작업은, 먼저, 전술한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도 1 참조)의 각각에 광섬유(9)를 파지 고정시킨다.
피복 클램프(50)에서의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은,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클램프 하측 부재(51) 상에 광섬유(9)를 탑재한 후,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51)와 피복 클램프 커버(52)와의 사이에 광섬유(9)를 파지 고정시킨다.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서,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수동으로 개방하고 나서, 클램프 하측 부재(51) 상에 광섬유(9)를 탑재하고,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한다.
도 6a,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는, 그 방전부(24a) 측의 단부 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벽부(51h)를 가진다. 이 돌출벽부(51h)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섬유홈(51i)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섬유홈(51i)은, 돌출벽부(51h)를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시키는 광섬유(9)는,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한 개방 상태에 의해, 피복부(9d)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돌출벽부(51h)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상면(51a) 상에 탑재한다. 또한, 광섬유(9)는, 개방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폐쇄하기 전에, 그 선단부의 피복재가 제거됨으로써 노출된 광섬유 유리부(9a)를 섬유홈(51i)에 삽입하고,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광섬유 유리부(9a)의 선단부를, 홈 형성 기판(23) 상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23a) 상에 탑재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9)의 피복부(9d)가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 상에 탑재되고, 광섬유 유리부(9a)의 선단부를 홈 형성 기판(23) 상의 위치 결정홈(23a) 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폐쇄하여 피복부(9d)를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시킨다.
도 6a, 도 10에 있어서, 광섬유(9)는, 피복부(9d)의 선단을, 돌출벽부(51h)의 후단면(51j)[돌출벽부(51h)의 피복 클램프(50)전후 방향에서의 후방측의 단면]에 위치맞춤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 상에 탑재하고 있다.
도시한 예의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는,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 전단부 상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를 가진다.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는, 돌출벽부(51h)의 후단면(51j)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의 사이에는, 섬유홈(51i)의 피복 클램프(50)의 전후 방향의 가상 연장 상에 위치하는 홈형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섬유홈(51i)의 양측의 내측면의 연장 상에 위치한다.
도 6a, 도 10에 있어서, 광섬유(9)는,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의 사이의 홈형 공간에 수용한 피복부(9d)의 선단을 돌출벽부(51h)의 후단면(51j)에 위치맞춤하여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 상에 탑재하고 있다. 광섬유(9)로서는, 그 피복부(9d)의 외경이,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의 간격 및 섬유홈(51i)의 홈 폭과 동등 또는 약간 작은 광섬유를 사용한다. 광섬유(9)의 피복부(9d)는 섬유홈(51i)에 삽입 가능하다.
그리고,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되었을 때, 돌출벽부(51h) 및 섬유 가이드 돌기(51k)를 피해 그 후방측의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에 폐쇄맞춤된다.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돌출벽부(51h) 및 섬유 가이드 돌기(51k)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
도 6a, 도 10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돌출벽부(51h)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한 쌍의 섬유 가이드 돌기(51k)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돌출벽부(51h)로부터 그 후방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도 6a, 도 10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섬유홈(51i)은,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과 연속하는 홈바닥면을 가진다. 단, 섬유홈(51i)의 홈바닥은, 클램프 하측 부재 상면(51a)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의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의 상면(22b)은,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측(도 1, 도 6a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상면(51a) 및 섬유홈(51i)도,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측(도 1, 도 6a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9)에서의, 광섬유 유리부(9a)(도 1 참조)를 노출시킨 선단측이 피복 클램프(50)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돌출하고, 광섬유 유리부(9a)를 홈 형성 기판(23) 상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23a) 상에 탑재하여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시킨다.
광섬유(9A, 9B)를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에 파지 고정시킬 때, 각각의 광섬유(9)의 광섬유 유리부(9a) 선단끼리가,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도록, 피복 클램프(50)로부터의 돌출부(90b)의 길이가 조정된다. 또한, 광섬유(9A, 9B)는, 돌출부(90b)의 길이 조정에 의해, 각각의 광섬유(9)의 광섬유 유리부(9a) 선단이, 한 쌍의 전극봉(24)의 선단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을 통하여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는, 모니터 장치(31)의 표시면(31c) 측의 외주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가진다.
이 융착 접속기(20A)는, 피복 클램프(50)로의 광섬유(9A, 9B)의 파지 고정이 완료된 후, 커버 폐쇄 스위치(31d)가 압입 조작에 의해 온됨으로써, 전동 동력원(69)(도 2 참조)을 구동하여, 개방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하는 커버 폐쇄 동작(방풍 커버 폐쇄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이 융착 접속기(20A)는,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도 5 참조)가 검지했을 때, 커버 폐쇄 검지기(33)로부터 얻어지는 검지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융착 접속 동작을 자동으로 개시한다.
이 융착 접속기(20)는, 그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20)는, 제어 장치가 커버 폐쇄 검지기(33)로부터 검지 신호를 취득했을 때,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방풍 커버 폐쇄 동작으로부터 융착 접속 동작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커버 폐쇄 스위치(31d)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압입 조작에 의해 스위치 온되는 압입식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폐쇄 스위치(31d)로서는, 회전 조작에 의해 스위치 온(온 조작)되는 다이얼식 스위치라도 된다. 또한, 커버 폐쇄 스위치(31d)로서는, 예를 들면, 모니터 장치(31)로서 사용한 터치 패널에 표시한 표시 버튼이어도 된다.
또한, 융착 접속기에서의 커버 폐쇄 스위치(31d)의 설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장치 본체(21)에 설치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융착 접속기에 대하여, 방풍 커버(60)가 폐쇄 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주지의 검지기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 방풍 커버(60)에 장착된 자성체[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마그넷(12a, 12b)]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 자기 센서는,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을 비접촉으로 검지하고(검지 상태로 되는), 방풍 커버(60)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어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을 때 무검지 상태로 된다.
도 5에 나타낸 마그넷(12a, 12b)는, 장치 본체(21) 상부에 장치 본체 상면(21a)에 노출시켜 장착한 철 등의 강자성체인 마그넷 캐치(13a, 13b)를 자기 흡인하여,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를 장치 본체 상면(21a)에 확실하게 닿아서 접촉시키는 기능을 행한다. 마그넷(12a, 12b)가 마그넷 캐치(13a, 13b)를 흡인하는 흡인력은,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수동 개방이 가능한 강도로 설정된다.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개방 동작 시에 전동 동력원(69)으로부터 방풍 커버(60)에 작용하는 구동력은, 마그넷(12a, 12b)이 마그넷 캐치(13a, 13b)를 흡인하는 흡인력에 비해 현저하게 강하다. 그러므로, 마그넷(12a, 12b)가 마그넷 캐치(13a, 13b)를 흡인하는 흡인력은, 전동 동력원(69)의 구동력에 의한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의 개방 동작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전술한 자기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폐쇄 검지기(33)로서는, 예를 들면, 포토 센서 등의 비접촉 센서나, 방풍 커버가 접촉하거나, 이격되거나 함으로써 방풍 커버의 개폐를 검지하는 터치 센서 등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커버 폐쇄 검지기로서는, 방풍 커버의 회전축의 연장 상 또는 방풍 커버의 주위에 형성된 부분(검지용 회전부)에서의 방풍 커버의 회전 각도를 계측하는 인코더 또는 각도 센서 등도 채용 가능하다. 인코더, 각도 센서라고 하는 회전 각도 계측 센서의 경우에는, 방풍 커버(60)가 폐쇄 위치에 배치된 것의 검지 외에, 방풍 커버(60)가 전개 위치에 배치된 것의 검지가 가능하고, 또한 방풍 커버(60)가 상기 전개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 있는 것의 검지도 가능하다.
융착 접속기(20)는,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했을 때, 이것을 통지하는, 커버 폐쇄 완료 통지 수단을 가지고 있다.
방풍 커버(60)가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했을 때 커버 폐쇄 완료 통지 수단으로부터 통지 정보(커버 폐쇄 통지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은, 융착 접속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에게 있어, 방풍 커버(60)의 개폐 상황의 파악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되면, 광섬유(9)의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 결정홈(23a) 상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광섬유 유리부(9a)]를 위치 결정홈(23a) 홈바닥을 향해 압입한다. 이로써, 광섬유(9)의 광섬유 유리부(9a)가 위치 결정홈(23a)에 의해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좌우 양측의 홈 형성 기판(23)에 대응시켜, 방풍 커버(60)의 길이 방향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도 5 중 도 4에 있어서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 도 5, 도 26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방풍 커버(60)에는, 그 천정벽부(64) 내면에 고정된 클램프 지지 부재(26a)와, 2개의 섬유 클램프 부재(25)와, 2개의 스프링(26b)을 가지는 클램프 유닛(25A)이 장착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26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한 예의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통형(도시한 예는 원통형)의 보디부(25c)와, 이 보디부(25c)의 축선 방향 편단을 막는 선단 벽부(25a)와, 선단 벽부(25a)로부터 보디부(25c)와는 반대의 측으로 돌출하는 섬유 가압구 돌출부(25b)를 가진다.
도 3, 도 5, 도 26, 도 27등에 있어서, 클램프 지지 부재(26a)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 지지 부재(26a)는, 방풍 커버(60)의 천정벽부(64)에 내면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클램프 지지 부재(26a)는,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에 나사(25f)를 사용하여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의 클램프 지지 부재(26a)는, 접속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보디부(25c)의 섬유 가압구 돌출부(25b)가 형성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기단부)를 수용하는 클램프 수용공(26c)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수용공(26c)은,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개소에, 각각 클램프 지지 부재(26a)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수용공(26c)은,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에 대면하는 이면(裏面)(26f)과, 상기 이면(26f)과는 반대의 앞면(26g)에 개구되어 있다.
도 3,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보디부(25c)의 기단부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이탈 방지 돌기(25d)를 가진다. 도 3, 도 26,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이탈 방지 돌기(25d)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 절결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수용 절결부(26d)는, 클램프 수용공(26c)의 방풍 커버 천정벽부(64) 측의 단부(기단부) 내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돌기 수용 절결부(26d)는, 클램프 수용공(26c) 기단부 내면으로부터 클램프 지지 부재(26a) 단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26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보디부(25c)를 클램프 수용공(26c)에 삽입하여, 섬유 가압구 돌출부(25b)가 보디부(25c)를 통하여 방풍 커버 천정벽부(6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이탈 방지 돌기(25d)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돌기 수용 절결부(26d)에 삽입되어 있다.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앞면(26g)로부터 방풍 커버 천정벽부(64)까지의 거리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보디부(25c)의 그 축선 방향 치수보다 작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앞면(26g) 측, 즉 클램프 지지 부재(26a)를 통하여 방풍 커버 천정벽부(6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보디부(25c) 및 이탈 방지 돌기(25d)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클램프 수용공(26c)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클램프 수용공(26c)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클램프 수용공(26c) 내면에 의해, 섬유 가압구 돌출부(25b)가 보디부(25c)를 통하여 방풍 커버 천정벽부(6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위치한 채,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클램프 수용공(26c)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클램프 수용공(26c) 축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램프 지지 부재(26a)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변동된다.
이탈 방지 돌기(25d)는, 섬유 클램프 부재(25)가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클램프 수용공(26c)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 클램프 수용공(26c)의 내면 주위 방향에서의 돌기 수용 절결부(26d) 양측의 내면으로 안내되면서, 돌기 수용 절결부(26d)를 클램프 수용공(26c)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탈 방지 돌기(25d)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축 주위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방지 돌기의 기능도 행한다.
도 3, 도 2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6b)은,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와 섬유 클램프 부재(2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26b)은, 섬유 클램프 부재(25)를 클램프 지지 부재(26a)를 통하여 방풍 커버 천정벽부(64)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도시한 예의 클램프 유닛(25A)의 스프링(26b)은, 구체적으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이 스프링(26b)(압축 코일 스프링)은, 그 축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를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보디부(25c) 내측에 삽입하고, 축선 방향을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보디부(25c)의 축선 방향으로 정렬하여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선단 벽부(25a)와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26,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돌기 수용 절결부(26d)의 클램프 지지 부재 앞면(26g) 측의 끝에는 단차면(26h)이 형성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클램프 부재(25)에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한 압입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을 때,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이탈 방지 돌기(25d)는, 섬유 클램프 부재(25)에 작용하는 스프링(26b)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단차면(26h)에 클램프 지지 부재 이면(26f) 측으로부터 닿아서 접촉[(압접(壓接)]한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그 이탈 방지 돌기(25d)가, 클램프 지지 부재(26a)의 단차면(26h)에 닿아서 접촉되었을 때, 클램프 지지 부재(26a)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최대가 된다. 이 때의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한 위치, 즉 도 26에 나타낸 섬유 클램프 부재(25)의 위치를, 이하, 클램프 부재 초기 위치라고도 한다.
클램프 부재 초기 위치에 있는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방풍 커버 천정벽부(6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 초기 위치에 있는 섬유 클램프 부재(25)로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와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 초기 위치에 있는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섬유 가압구 돌출부(25b)가 위치하는 선단측과는 반대의 기단이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에 닿아서 접촉하는 압입 한계 위치까지,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압입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그 선단의 섬유 가압구 돌출부(25b)의 돌출단면(25e)에 의해, 홈 형성 기판(23)의 위치 결정홈(23a) 상에 배치된 광섬유 유리부(9a)를 위치 결정홈(23a) 홈바닥을 향해 위쪽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다.
도 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방전부(24a)를 통하여 접속기 좌우 방향 양측의 홈 형성 기판(23)에 대응하여,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홈 형성 기판(23)과의 사이에 광섬유 유리부(9a)를 끼워넣었을 때, 클램프 지지 부재(26a)에 대하여 클램프 부재 초기 위치로부터 약간 압입된다.
광섬유(9)로서는, 광섬유 유리(9a)의 직경이, 클램프 부재 초기 위치에 있는 섬유 클램프 부재(25)로 방풍 커버 천정벽부(64)와의 이격 거리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광섬유를 채용한다. 이로써,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섬유 클램프 부재(25)로 홈 형성 기판(23)과의 사이에 광섬유 유리부(9a)를 끼워넣었을 때,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전술한 압입 한계 위치에 달하지 않는다. 또한,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섬유 클램프 부재(25)와 홈 형성 기판(23)과의 사이에 광섬유 유리부(9a)를 끼워넣었을 때, 스프링(26b)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광섬유 유리부(9a)를 위치 결정홈(23a) 홈바닥을 향해 압입한다.
융착 접속기(20A)의 융착 접속 동작은, 커버 폐쇄 동작이 완료되고,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함으로써, 전진 기구 동력원(81)을 구동(전동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를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부터 전진시켜(도 7a, 도 7b 참조), 방전부(24a)에 근접시킨다.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는, 그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전진된 마이크로미터 가동축(82b)의 선단(전단)으로 압력 이동됨으로써 전진한다. 융착 접속기(20A)는,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에 의해, 광섬유(9A, 9B)의 선단[광섬유 유리부(9a)의 선단]을 소정 위치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20A)는, 전극봉(24) 사이의 방전에 의해, 좌우의 광섬유를 방전하면서 접합하여, 융착 접속한다. 한 쌍의 전극봉(24) 사이의 방전은 소정 시간 행해진 후, 자동으로 정지한다.
도 6a∼도 9b에 있어서, 라인 A∼D는,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전단의, 가동 스테이지(22)의 이동에 따른 위치(접속기 좌우방향에서의 위치)의 변동을 나타낸다.
도 6a,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있을 때,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전단은 라인 A에 위치하고 있다.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는, 방전부(24a)에 대한 가동 스테이지(22)의 진퇴 이동에 따라 가동 스테이지(22)와 일체로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한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20A)가 커버 폐쇄 동작을 완료하고, 방풍 커버(60)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것을 커버 폐쇄 검지기(33)가 검지한 후, 가동 스테이지(22)가 전진하면,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도 가동 스테이지(22)와 일체로 방전부(24a)를 향해 전진한다.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 동작이 완료(방전 정지)했을 때,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전단이 라인 B에 위치하는 곳에 배치된다.
그리고, 섬유 클램프 부재(25)가 광섬유 유리부(9a)를 위치 결정홈(23a)에 압입하는 힘은,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에 따른 광섬유 유리부(9a)가 홈 형성 기판(23)에 대하여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접한 상태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강도로 조정된다. 이로써, 융착 접속기(20)는, 가동 스테이지(22)를 전진시켰을 때, 광섬유 유리부(9a)가 가동 스테이지(22)와 일체로 전진한다.
융착 접속기(20A)는, 융착 접속의 완료[전극봉(24) 사이의 방전 정지] 후, 접속부의 검사를 행한다. 융착 접속기(20A)는, 접속부 검사(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 전동 동력원(69)을 구동하여 방풍 커버(60)를 개방하는 커버 개방 동작(방풍 커버 개방 동작)과 접속부 인장 검사를 자동으로 행한다.
방풍 커버(60)는, 커버 폐쇄 스위치(31d)의 온 조작에 의한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로부터 커버 개방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 폐쇄된 상태(폐쇄 상태)대로 되어 있다.
접속부 인장 검사의 개시 타이밍은, 커버 개방 동작의 개시와 관계없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 인장 검사의 완료 타이밍은,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와 관계없이 설정할 수 있다. 접속부 인장 검사는, 커버 개방 동작의 개시 전에 완료해도 되고,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에 완료해도 된다.
융착 접속기(20A)는, 접속부 인장 검사의 완료 후, 전진 기구 동력원(81)을 구동하여, 가동 스테이지(22)를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킨다.
융착 접속기(20A)는,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을 서로 동기시켜,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의 방전부(24a)에 대한 진퇴 이동을 서로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20A)는,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하고 있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를, 각각,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방 동작]할 수 있다(후술함). 융착 접속기(20A)에 의한 접속부 인장 검사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가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써 완료한다.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자동 개방은,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가 서로 마찬가지로 방전부(24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함으로써, 서로 동시에 실현된다(양쪽 동시 개방).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는, 접속부 인장 검사의 완료 후, 양쪽 모두,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 한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된다.
단, 융착 접속기(2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피복 클램프 커버(52) 및 제2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동시에 자동 개방(양쪽 동시 개방)하는 프로그램 동작(이하, 양쪽 동시 개방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설정을 전환함으로써,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피복 클램프 커버(52) 및 제2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한쪽만을 자동 개방(한쪽 자동 개방)하는 프로그램 동작(이하, 한쪽 자동 개방 동작)도 실행 가능하다. 융착 접속기(20A)는,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설정 전환에 의해, 양쪽 동시 개방 동작과 한쪽 자동 개방 동작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커버 소프트웨어의 설정 전환에 의해, 피복 클램프 커버(52) 및 제2 피복 클램프 커버(52) 중 양쪽을 동시에 개방하거나,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52) 및 상기 제2 피복 클램프 커버(52) 중 한쪽만을 개방하거나 하는 것의 설정을 전환해도 된다. 여기서,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제2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전진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커버 폐쇄 스위치(31d)의 온 조작으로부터 융착 접속 동작의 완료까지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작과, 그에 따른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의 방전부(24a)에 대한 진퇴 이동이란, 양쪽 동시 개방 동작과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 공통된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은, 접속부 인장 검사 및 그 이후의 동작이 양쪽 동시 개방 동작과 상위하다.
여기서는, 먼저, 양쪽 동시 개방 동작에서의 융착 접속 동작 완료 후의 융착 접속기(20A)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접속부 검사 동작 및 그 이후의 동작에 있어서,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작은 서로 같으며, 방전부(24a)의 좌우 양측의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동작도 서로 같다. 설치대 전진 기구(80) 및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동작은, 좌우 양쪽에서 서로 동기시켜 서로 마찬가지로 실현된다.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의 방전부(24a)에 대한 진퇴 이동, 피복 클램프(50)의 자동 개방도, 좌우 양쪽에서 서로 동기시켜 서로 동일하게 실현된다.
접속부 검사(접속부 검사 동작)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1)에 내장된 카메라(71)에 의해 융착 접속부를 촬상하고, 촬상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에서 해석하고, 접속된 광섬유(9)의 접속 손실을 자동 계측하고, 접속 상태의 이상(異常)을 자동 판정한다. 계측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융착 접속기는 알람을 작업자에게 발하지만, 정상(正常)인 경우에는 알람되지 않고, 작업자가 검사 완료의 조작을 행하지도 않고 다음의 단계로 자동 이행한다.
도 8a,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 인장 검사는,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 전동 모터(81)를 역회전 구동하여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을 보디 튜브(82a)에 대하여 후방측(구동 기구 후방측)을 향해 이동(후퇴 이동)시켜,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광섬유(9A, 9B)의 융착 접속부에 인장 하중을 작용하게 한다.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을 도 7a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후퇴 이동하면, 가동축(82b) 선단(전단)이 가동 스테이지(22)[구체적으로는 그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광섬유(9A, 9B)의 융착 접속부에 인장 하중을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전동 모터(81)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초기 위치보다 구동 기구 후방측으로 어긋난 위치까지 이동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은, 접속부 인장 검사의 완료 후, 전동 모터(81)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되어, 도 6a에 나타낸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이하, 도 7a에 나타낸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위치를 최전진 위치, 도 9a에 나타낸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위치를 최후퇴 위치라고도 한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 동작이 완료(방전 정지)했을 때, 가동 스테이지(22)는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부터 방전부(24a) 측으로 어긋난 곳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프루프용 스프링(83)은,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있을 때 비해 압축 변형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는, 융착 접속 동작의 완료 후, 접속부 인장 검사의 개시까지,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전단이 라인 B에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접속부 인장 검사에 의해,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을 도 7a에 나타낸 최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이동시키면,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광섬유(9A, 9B)의 융착 접속부에 인장 하중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전단이 라인 B에 있을 때의 위치가 전진 한계 위치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구체적으로는 그 후부의 압압용 돌출부(82f)]는,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을 초기 위치로부터 최전진 위치를 향해 전진시킴으로써,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링크 부품(91)의 구동력 받이부(91c)로부터 이격된다.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의 후퇴 이동에 의해 최전진 위치로부터 최후퇴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링크 부품(91)의 구동력 받이부(91c)에 접촉되어 접하여, 링크 부품(91)을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력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는, 구체적으로는, 그 후부의 압압용 돌출부(82f)가 링크 부품(91)의 구동력 받이부(91c)에 접촉되어 접하여 링크 부품(91)을 압력 이동시킨다.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링크 부품(91)을 압력 이동하는 결과, 개방 레버(93)가 회전하여, 승강 하한 위치의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린다.
개방 레버(93)는, 후퇴 이동하는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최후퇴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고,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로부터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위치하도록,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회전시킨다. 밀어올림핀(54)에 밀어올려져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으로 회전된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전술한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된다.
융착 접속기(20A)는,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퇴 이동에 의해, 피복 클램프(5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동시 개방 동작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구동은 서로 동기시켜 서로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자동 개방은 서로 동시에 실현된다.
도 8b, 도 13, 도 14a, 도 14b는,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개방 레버(93)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고,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로부터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까지 밀어올린 상태를 나타낸다.
피복 클램프(50)에 의한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은,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밀어올림핀(54)에 밀어올려져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에 해제된다. 접속부 인장 검사는, 피복 클램프(50)에 의한 광섬유(9)의 파지 고정된 해제에 의해 완료된다.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는,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을 해제하면,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2)와 함께 방전부(24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후퇴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9)의 피복부(9d)는 섬유홈(51i)에 삽입 가능하다. 그러므로,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을 해제한 피복 클램프(50)는, 광섬유(9)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는,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을 해제하면, 그 한쪽 또는 양쪽이 광섬유(9)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후퇴 이동한다. 융착 접속을 완료한 광섬유(9A, 9B)는,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을 해제한 피복 클램프(50)의 후퇴 이동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는,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최후퇴 위치의 마이크로미터 가동축(82b) 선단에 접촉함으로써 후퇴 이동을 정지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최후퇴 위치의 마이크로미터 가동축(82b) 선단에 접촉되었을 때의,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의 위치를, 이하, 후퇴 한계 위치라고도 한다.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D는,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가 후퇴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전단 위치를 나타낸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어올림핀(54)에 밀어올려져 회전하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피복 클램프(50)에 의한 광섬유(9)의 파지 고정된 해제 후,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가 전진 한계 위치(라인 A)로부터 약간 후퇴한 위치에서,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한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 C는, 밀어올림핀(54)에 밀어올려져 회전하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전단 위치를 나타낸다. 라인 C는 라인 D보다 방전부(24a) 측으로 어긋나 있다.
이어서, 융착 접속기(20A)는, 전진 기구 구동원(81)을 구동(전동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여,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도 9a의 최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 결과,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는,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 복귀한다. 피복 클램프(50)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 복귀한다(도 16b 참조).
융착 접속기(20A)는,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최후퇴 위치보다 구동 기구 앞쪽으로부터 이동하여, 최후퇴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이하, 최후퇴 위치 센서라고도 함)를 가진다.
여기서,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최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진 기구 구동원(81)의 구동은, 예를 들면,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도 9a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후퇴 이동하여 최후퇴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최후퇴 위치 센서가 검지)하고나서 미리 설정하여 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20)로서는, 최후퇴 위치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최후퇴 위치 센서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융착 접속기(20)로서는,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최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진 기구 구동원(81)의 구동을, 예를 들면,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접속부 인장 검사의 개시[도 9b에 나타낸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퇴 이동의 개시]로부터 미리 설정해 둔 소정 시간(이하, 인장 검사 개시 후 경과 시간이라고도 함) 경과 후에 자동으로 실행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인장 검사 개시 후 경과 시간은, 도 9b에 나타낸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후퇴 이동에 의해,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최후퇴 위치에 도달하는 데 요하는 소요 시간과 동등, 또는 이 소요 시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융착 접속기(20A)는, 접속부 인장 검사가 완료[피복 클램프(50)에 의한 광섬유(9)의 파지 고정의 해제]했을 때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후퇴 이동되는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최후퇴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마이크로미터 가동축(82b)의 선단에 접촉되어 접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20A)는, 접속부 인장 검사가 완료했을 때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후퇴 이동되는 가동 스테이지(22)의 전진력 받이 돌출부(22c)가, 최후퇴 위치에 도달 전의 후퇴 이동 중의 마이크로미터 가동축(82b)의 선단에 접촉되어 접하여, 가동축(82b)이 최후퇴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마이크로미터 가동축(82b)과 함께 후퇴 이동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개방 레버(93)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도 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6b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피복 클램프(50)의 밀어올림핀(54)은, 도 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자중에 의해 승강 하한 위치까지 하강한다.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개방 레버축(92)은, 개방 레버(93)가 도 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6b에 나타낸 상태까지 회전함에 따라, 개방 레버(93)와 일체로 회전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링크 부품(91)은, 개방 레버축(92)의 회전에 의해, 개방 레버축(92)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걸어맞춤 돌출부(92a)가, 링크 부품(91)의 봉형 본체(91a)의 전단부의 앞쪽 단차(91e)를 방전부(24a) 측으로 압력 이동시킴으로써 전진한다. 그리고, 링크 부품(91)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력 받이부(91c) 돌출단이 마이크로미터(82)의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압압용 돌출부(82f)의 돌출단(후단)으로 접촉되어 접함으로써 전진을 정지하고,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낸 위치로 복귀한다.
개방 레버(93)의 도 9b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6b에 나타낸 위치까지의 회전의 실현에는, 개방 레버(93)의 자중 외에,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밀어올림핀(54)의 중량도 기여한다.
도 16b는, 융착 접속기(20A)가,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 복귀하고,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밀어올림핀(54)이 승강 하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융착 접속기(20A)는,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됨으로써, 전술한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20A)의 피복 클램프(50)는, 접속부 인장 검사의 완료 후,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의 후퇴 이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피복 클램프(50)의 자동 개방 및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한 후에, 작업자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로부터 광섬유(9A, 9B)를 융착 접속부와 함께 인출하는 작업(섬유 인출 작업)을 수작업으로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섬유 인출 작업을 행할 때, 피복 클램프(50)는 이미 개방이 끝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를 개방하는 작업은 불필요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양쪽 동시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가 동시에 개방되므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광섬유(9)를 파지하고 있으면, 피복 클램프(50)의 개방 및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에 섬유 인출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한 광섬유(9)의 파지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자동 개방 시, 또는 그보다 전부터, 섬유 인출 작업의 완료까지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동시 개방 동작은, 피복 클램프(50)의 개방 및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에, 다음 단계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데 유리하다. 따라서, 양쪽 동시 개방 동작은, 광섬유의 융착 접속을 반복 복수 회 실행하는 경우의 작업 효율 향상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다음에,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융착 접속기(20A)가 실행하는 한쪽 자동 개방 동작은, 커버 폐쇄 스위치(31d)의 온 조작으로부터 융착 접속 동작의 완료까지,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작을 양쪽 동시 개방 동작과 마찬가지로 행한다. 또한, 이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작에 의한,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의 방전부(24a)에 대한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의 진퇴 동작도 양쪽 동시 개방 동작의 진퇴 동작과 같다.
양쪽 동시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를 서로 마찬가지로 동기 구동하여,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의 접속부 인장 검사를 행한다. 그 이후,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를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 복귀시키기까지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한쪽만을 구동하여,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의 접속부 인장 검사를 행한다. 그 이후,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를 섬유 장착 시의 위치로 복귀시키는까지의 동작을 실행시켜, 다른 쪽의 설치대 전진 기구(80)는 정지한 상태로 하여 둔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 의해 구동하는 설치대 전진 기구(80)는,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에 의해, 마이크로미터(82)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를 도 6b에 나타낸 최전진 위치로부터 도 9a에 나타낸 최후퇴 위치로 이동하여, 이어서, 최후퇴 위치로부터 전진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 의해 구동하는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작은, 양쪽 동시 개방 동작에서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은, 환언하면, 좌우 양측의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한쪽만을 양쪽 동시 개방 동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하고, 다른 쪽의 설치대 전진 기구(80)를 정지한 채로 해 두는 동작이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는, 접속부 인장 검사 및 그 이후의 동작에 의해,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의 다른 한쪽만이,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구동에 의해 방전부(24a)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여,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복귀)된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 중, 접속부 검사 동작의 완료 후에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구동에 의해 방전부(24a)에 대하여 진퇴 이동되는 가동 스테이지(22)에 장착되어 있는 피복 클램프(50)만이 개방(자동 개방)된다.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한쪽만이 자동 개방되고, 다른 쪽의 피복 클램프(50)는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20A)는, 자동 개방된 피복 클램프(50)가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구동에 의해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복귀)되면, 도 16a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한쪽의 자동 개방 및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폐쇄된 상태의 피복 클램프(50)가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이 끝난 광섬유(9A, 9B)가 좌우의 피복 클램프(50)로부터 뜻하지 않게 탈락할 염려가 없어, 피복 클램프(50)의 자동 개방 시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광섬유(9)를 파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이 한쪽 자동 개방 동작에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한쪽의 자동 개방 및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후, 폐쇄된 상태의 피복 클램프(50)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섬유 인출 작업을 행한다.
융착 접속기(20)는,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양쪽 또는 다른 한쪽에 대하여,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자동으로 개방한다.
융착 접속기(20)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양쪽 또는 다른 한쪽에 대하여, 융착 접속의 완료 후에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20)는, 융착 접속의 완료 후에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양쪽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를 개방할 수 있다. 융착 접속기(20)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융착 접속 후의 섬유 인출 작업을 포함하는 토탈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20A)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을 피복 클램프 커버(52)개방용의 동력원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별도로 피복 클램프 커버 개방 전용의 동력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융착 접속기(20A)는 동력원의 설치수를 절약할 수 있어 장치 사이즈의 대형화를 회피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20A)는, 광섬유의 융착 접속의 작업 시간 단축, 작업성 향상을, 장치 사이즈에 대략(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력원의 설치수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은, 소비 전력의 증대를 회피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고,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한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밀어올림핀(54)에 의해 밀어올려 개방한다. 이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수동 개방의 장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개폐했을 때,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종동(從動)하는 구성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다. 융착 접속기(20)는,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수동 개폐를,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구성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수동 개폐는, 설치대 전진 기구(80)의 구성 부품에 영향을 주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전술한 특허 문헌 1의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는, 폐쇄 상태의 커버판을 작업자가 무리하게 수동으로 개방한 경우에 기어 등이 파손된다. 그러므로,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는, 광섬유의 파지 후에 커버판을 수동으로 일단 개방하여 광섬유를 고쳐서 파지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없다. 모터 구동 형태 피복 클램프는, 예를 들면, 모터의 정역 회전 구동을 적절히 스위치 전환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광섬유를 고쳐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광섬유의 고쳐서 파지하는 작업에 수고를 요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개폐했을 때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종동하는 구성 부품이 존재하지 않아,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수동 개폐에 의한 파손의 걱정이 없다. 융착 접속기(20A)는, 광섬유(9)를 파지 후에 피복 클램프(50)를 수동으로 일단 개방하여 광섬유를 고쳐서 파지하는 작업을,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다.
(분할형 방풍 커버의 예)
방풍 커버로서는, 도 2∼도 5에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풍 커버로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도 5에 예시한 방풍 커버(60)를 접속기 전후 방향으로 2분할한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7은, 2분할형 방풍 커버(60A)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방풍 커버(60A)의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는, 접속기 전후 방향(도 17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의 설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다. 이하, 접속기 앞쪽의 커버 부재(610)를 제1 커버 부재, 접속기 후방측의 커버 부재(620)를 제2 커버 부재라고도 한다.
도 17에 나타낸 방풍 커버(60A)는,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 사이의 개폐에 의해 개폐된다.
방풍 커버(60A)는,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의 폐쇄맞춤 단면(611, 621)끼리를 서로 닿게하여 접촉시켜 폐쇄맞춤함으로써, 접속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용기형으로 구성된다. 방풍 커버(60A)는,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를 폐쇄맞춤하는 것에 의해, 장치 본체(21) 상의 한 쌍의 전극봉(24)과, 각 가동 스테이지(22) 상의 피복 클램프(50)와, 한 쌍의 홈 형성 기판(23)을 덮는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610)는, 가늘고 긴 판형의 측벽부(612)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폭 방향 편단의 전체로부터, 상기 측벽부(612)에 대하여 경사지는 천정벽부(613)가 돌출된 구성의 커버 부재 본체(614)와, 이 커버 부재 본체(61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커버 부재 본체(614)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단벽부(615)를 가진다. 제1 커버 부재(610)는, 커버 부재 본체(614)와 그 양단의 단벽부(615)에 의해 에워싸인 부분의 내측에, 방풍 커버(60A)의 내측 공간(601)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공간이 가늘고 긴 용기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620)는, 가늘고 긴 판형의 측벽부(622)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폭 방향 편단의 전체로부터, 상기 측벽부(622)에 대하여 경사지는 천정벽부(623)가 돌출된 구성의 커버 부재 본체(624)와, 이 커버 부재 본체(624)의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커버 부재 본체(624)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단벽부(625)를 가진다. 제2 커버 부재(620)는, 커버 부재 본체(624)와 그 양단의 단벽부(625)에 의해 에워싸인 내측에, 방풍 커버(60A)의 내측 공간(601)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공간이 가늘고 긴 용기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커버 부재(610, 620)의 천정벽부(613, 623)는, 커버 부재(610, 620)끼리의 폐쇄맞춤에 의해 서로 닿아서 접촉하여, 방풍 커버(60A)의 천정벽부(602)를 구성한다. 또한, 각각의 커버 부재(610, 620)의 단벽부(615, 625)는, 커버 부재(610, 620)끼리의 폐쇄맞춤에 의해 서로 닿아서 접촉하여, 방풍 커버(60A)의 길이 방향 양측의 단벽부(603)를 구성한다.
제1 커버 부재(610)의 폐쇄맞춤 단면(611)은, 천정벽부(613)의 측벽부(612)가 형성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면과, 단벽부(615)의 측벽부(61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면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커버 부재(620)의 폐쇄맞춤 단면(621)은, 천정벽부(623)의 측벽부(622)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면과, 단벽부(625)의 측벽부(622)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10, 620)는, 각각, 장치 본체(21) 상에 지지된 회전축(616, 626)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접속기 좌우 방향의 회전축선을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커버 부재(610)는, 측벽부(612)의 천정벽부(613)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회전축(616)을 통하여 장치 본체(21)[구체적으로는 그 하우징(29)]에 장착하여, 장치 본체(2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커버 부재(620)는, 측벽부(622)의 천정벽부(623)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를 회전축(626)을 통하여 장치 본체(21)[구체적으로는 그 하우징(29)]에 장착하여, 장치 본체(21)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커버 부재(610, 620)는, 장치 본체(21) 내에 설치된 방풍 개폐 기구의 방풍 개폐용 동력원(619, 629)(제2 동력원)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616, 626)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커버 부재(610, 620)는, 방풍 개폐 기구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방풍 커버(60A)는,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가 서로 폐쇄맞춤됨으로써 폐쇄 상태로 되고, 이 폐쇄 상태로부터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서로 이격됨으로써 개방 상태[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커버 부재(610, 620)]로 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A)가 폐쇄 상태일 때,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는 서로 폐쇄맞춤되는 동시에, 각각의 길이 방향 양측의 단벽부(615, 625)가 장치 본체 상면(21a)에 닿아서 접촉하고, 장치 본체(21)[상세하게는 그 상면(21a)]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폐쇄 상태)로 된다. 커버 부재(610, 620)의 단벽부(615, 625)는, 방풍 커버(60A)가 폐쇄 상태로 되었을 때, 장치 본체 상면(21a)에 닿아서 접촉하는 접촉 단면(617, 627)을 가진다.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방풍 커버(60A)가 개방 상태일 때,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는, 각각의 회전축(616, 626)을 통하여, 장치 본체(21)에 폐쇄되었을 때의 위치[도 17에 실선으로 나타낸 커버 부재(610, 620)의 위치]와는 반대의 측으로 배치된다.
이 때의 각각의 커버 부재(610, 620) 상태를 개방 상태라고 한다.
또한,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가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되었을 때를, 이하, 전개 상태라고도 한다.
방풍 개폐용 동력원(619, 629)로서는, 도 2에 예시한 방풍 개폐용 동력원[전동 동력원(69)]과 같아도 된다.
그리고, 도 17에 예시한 구성에 있어서, 장치 본체(21) 내에는, 2개의 커버 부재(610, 620)의 각각 대응하여 2개의 방풍 개폐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는, 각각의 커버 부재(610, 620)의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방풍 개폐 기구에 의해 별개로 회전 구동된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제2 커버 부재(620)에만 설치되어 있다.
섬유 클램프 부재(25)는, 제2 커버 부재(620)의 천정벽부(623)의 내면[방풍 커버(60A)의 내측 공간(601) 측의 면] 측에 설치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를 가지는 방풍 커버의 예)
도 18∼도 20은,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자기 흡인하기 위한 자석(67)(영구 자석)을 가지는 방풍 커버(60B)를 채용한 융착 접속기(20)(도 18∼20 중, 부호 “20B”를 부기함)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도 20에 나타낸 방풍 커버(60B)에 있어서는, 2분할형 방풍 커버의 커버 부재 내측에 자석(67)이 설치되어 있다. 도 18∼도 20에 있어서, 도 17에 예시한 방풍 커버(60A)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18∼도 20에 나타낸 방풍 커버(60B)에 있어서는, 2분할형 방풍 커버(60A)의 제2 커버 부재(620)의 천정벽부(623) 내면측에 자석(67)이 장착되어 있다. 자석(67)은, 제2 커버 부재(62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도 20에 있어서는, 섬유 클램프 부재(25) 및 방풍 개폐용 동력원(619, 629)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융착 접속기(20B)의, 방풍 커버(60B), 및 방풍 커버(60B)의 커버 부재(610, 620)를 회전 구동시키는 방풍 개폐 기구 이외의 구성은, 도 1∼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A)와 같다.
이 융착 접속기(20B)의 섬유 세팅 대기 상태는, 2분할형의 방풍 커버(60B)의 개방(전개) 이외에는, 도 1∼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A)의 섬유 세팅 대기 상태와 마찬가지이다.
섬유 세팅 대기 상태의 융착 접속기(20B)는, 가동 스테이지(22)가 섬유 장착 시의 위치에 배치되고, 방풍 커버(60B)가 개방되고, 마이크로미터(82)(도 6a, 도 6b 참조)의 가동축(82b) 및 압압부를 가지는 기어(82c)가 보디 튜브(82a)에 대한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도 6b, 도 10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되어, 밀어올림핀(54)이 승강 하한 위치에 배치(도 6b 참조)된다.
여기서, 방풍 커버(60B)가 개방된 상태란, 전개 상태, 즉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가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상태를 가리킨다.
융착 접속기(20B)를 사용한 광섬유의 융착 접속은,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에 광섬유(9)를 파지 고정시키는 섬유 세팅 작업을 행한 후, 커버 폐쇄 스위치(31d)(도 2 참조)를 온 조작한다.
융착 접속기(20B)는, 커버 폐쇄 스위치(31d)의 온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를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폐쇄하여 서로 폐쇄맞춤하는 커버 폐쇄 동작을 행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20B)는, 커버 폐쇄 동작의 완료 후, 방풍 커버(60B)를 폐쇄된 상태로 융착 접속 동작 및 접속부 검사를 실행한 후, 접속부 인장 검사를 개시한다.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온 조작한 후의 융착 접속기(20B)의 설치대 전진 기구(80) 및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동작은, 도 1∼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A)와 같다.
융착 접속기(20B)는, 접속부 인장 검사의 개시 후, 전진 기구 동력원(81)의 구동력에 의해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려(도 18 참조),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위쪽으로 회전시킨다. 단,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융착 접속기(20B)는, 방풍 커버(60B)가 폐쇄된 상태에서,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려,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제2 커버 부재(620) 내측의 자석(67)에 접촉 또는 접근 배치(도 18에서는 접근 배치)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20B)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제2 커버 부재(620) 내측의 자석(67)에 접촉 또는 접근 배치한 후에, 방풍 개폐용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를 각각 회전시켜 방풍 커버(60B)를 개방하는(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커버 개방 동작을 개시한다.
여기서,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은,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 및 자석(67)의 흡인력에 의해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회전 상승력이,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영구 자석(55)의 흡인력을 상회하는 위치까지,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회전 상승시킨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커버 부재(620)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하면,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제2 커버 부재(620)의 자석(67)의 흡인력에 의해 제2 커버 부재(620)에 흡인 유지된 상태로 제2 커버 부재(620)와 함께 개방된다.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말하자면, 제2 커버 부재(620)의 자석(67)의 흡인력에 의해 제2 커버 부재(620)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한 채, 제2 커버 부재(620)와 함께 개방된다.
자석(67)은,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제2 커버 부재(620)에 연결 상태로 하기 위한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연결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하, 제2 커버 부재(620)의 자석(67)을 커버 유지용 자석이라고도 한다.
추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 및 자석(67)의 흡인력에 의해 작용하는 회전 상승력과,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작용하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영구 자석(55)의 흡인력이 같아지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위치를, 이하, 흡인·상승력 밸런스 위치(흡인·개방 동작력 밸런스 위치)라고도 한다.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 동작에서는,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흡인·상승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으로 회전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낸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전술한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B)에 있어서는,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의 탄성 가압력에 더하여, 방풍 커버(60B)의 커버 유지용 자석(67)의 흡인력도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그 회전 상승력으로서 작용한다. 도 18에 나타낸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는, 흡인·상승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 피복 클램프 커버(52) 회전 방향에 있어서 개방 한계 위치 측에 위치한다.
이 융착 접속기(20B)는,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 동작의 결과,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커버 개폐용 동력원(619, 629)(도 17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를 각각 회전시켜 방풍 커버(60B)를 개방하는(개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커버 개방 동작을 개시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회전 중심은, 제2 커버 부재(6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접속기 전후 방향(도 18∼도 20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제2 커버 부재(620)의 개방 동작 개시에 따라, 커버 유지용 자석(67)의 흡인력에 의해 제2 커버 부재(620)에 유지된 상태로 제2 커버 부재(620)와 함께 개방하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제2 커버 부재(620)가 개방되는 것에 따라 커버 유지용 자석(67)으로부터의 거리가 증대한다(도 20 참조).
도 20은,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그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하고, 방풍 커버(60B)의 양측의 커버 부재(610, 620)가 개방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개방 동작에 의해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그 이상의 개방 동작이 규제된다. 한편, 제2 커버 부재(620)는, 장치 본체의 상면(21a)에 폐쇄된 상태로부터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626)을 통하여 반대측에 배치되는 곳까지 개방된다. 방풍 커버(60B)는, 양측의 커버 부재(610, 620)를 개방함으로써, 전개 상태[양측의 커버 부재(610, 620]가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된 상태)로 된다.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한 제2 커버 부재(620)의 개방 동작과 함께 개방 동작 한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했을 때는, 제2 커버 부재(620)의 계속되는 개방 동작에 의해, 제2 커버 부재(620)의 커버 유지용 자석(67)에 의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흡인 유지가 해제된다.
융착 접속기(20B)는, 커버 개방 동작의 완료 시, 또는 그 후에,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커버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섬유 세팅 대기 상태의 융착 접속기(20B)의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에 광섬유(9)를 파지 고정시키는 섬유 세팅 작업은, 예를 들면,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하여 개방 상태로 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 상에 광섬유(9)를 배치한 후,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수동으로 폐쇄함으로써 실현한다.
융착 접속기(20B)가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 있을 때,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된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커버 유지용 자석(67)의 흡인력에 의한 제2 커버 부재(620)에 대한 유지가 해제되어 있다. 섬유 세팅 대기 상태에서의 섬유 세팅 작업에 있어서,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된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실질적으로 커버 유지용 자석(67)의 흡인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동으로 클램프 하측 부재(51)를 향해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회전시켜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폐쇄 스위치(31d)를 온 조작한 후의 융착 접속기(20B)의, 설치대 전진 기구(80), 클램프 개방 기구(90), 커버 부재(610, 620)의 동작은, 도 17에 나타낸 2분할형 방풍 커버(60A)를 채용한 융착 접속기(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1, 도 22는, 방풍 커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1, 도 22에 나타낸 방풍 커버(60C)는, 도 17에 예시한 방풍 커버(60A)에 대하여, 제2 커버 부재(620)에, 피복 클램프(50)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출편(68)(이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이라고도 함)이 돌출하도록 설치된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를 채용한 방풍 커버이다. 이 방풍 커버(60C)는,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를 채용한 점만이 도 17에 예시한 방풍 커버(60A)와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도 17에 예시한 방풍 커버(60A)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1, 도 22에 나타낸 방풍 커버(60C)는, 도 18∼도 20에 예시한 방풍 커버(60B)의 커버 유지용 자석(67)을 가지는 제2 커버 부재(620) 대신에, 제2 커버 부재(620)에 전술한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이 돌출하도록 설치된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가 채용된다.
이 방풍 커버(60C)는,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를 채용한 점만이, 도 18∼도 20에 예시한 방풍 커버(60B)와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도 18∼도 20에 예시한 방풍 커버(60B)와 같다.
또한, 도 21, 도 22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20)(도면 중, 부호 “20C”를 부기함)는, 도 18∼도 20에 예시한 융착 접속기(20B)의 방풍 커버(60B)를 도 21, 도 22 중에 있어서 전술한 방풍 커버(60C)로 변경한 구성이다.
이 융착 접속기(20C)는,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을, 제2 커버 부재(620)에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연결하기 위한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연결부)로서 사용하는 점만이 도 18∼도 20에 예시한 융착 접속기(20B)와 다르다.
융착 접속기(20C)의, 설치대 전진 기구(80), 클램프 개방 기구(90), 및 커버 부재(610, 620)는, 도 18∼도 20에 예시한 융착 접속기(20B)의, 설치대 전진 기구(80), 클램프 개방 기구(90), 및 커버 부재(610, 620)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여,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부터 융착 접속 동작을 거쳐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21,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은, 제2 커버 부재(620)의 천정벽부(623)로부터 측벽부(622)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돌출하는 탄성 돌출편(68a)의 선단부 측면에, 걸어맞춤 클로우(68b)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탄성 돌출편(68a)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는, 제2 커버 부재(620)의 천정벽부(623)로부터 측벽부(622)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부(68c)의 돌출단부로부터, 제2 커버 부재(620)를 장치 본체 상면(21a)에 폐쇄되었을 때의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 편부(68d)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탄성 돌출편(68a)의 선단 편부(68d)의 돌출단부 측면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구체적으로는, 탄성 돌출편(68a)의 선단 편부(68d)의, 제2 커버 부재(620)의 측벽부(622)에 대면하는 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은, 밀어올림핀(54)에 의해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폐쇄 상태로부터 밀어올리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로 걸어맞추어져,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제2 커버 부재(620)에 연결하는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연결부)로서 기능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방풍 커버(60C)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밀어올림핀(54)에 의해 밀어올려져,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 상승되어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걸어맞추어진다.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개폐되는 판형의 클램프 커버 본체(52a)에, 클램프 커버 본체(52a)의 피복 클램프(50)의 추축(53)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구체적으로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제2 커버 부재(620)를 장치 본체 상면(21a)에 폐쇄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하여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도 21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피복 클램프(52)], 구체적으로는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다.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탄성 돌출편(68a)의 돌출편부(68c)로부터 연장되는 선단 편부(68d)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양측에 감에 따라 선단 편부(68d)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축소되는 산형으로 형성된 돌기를 가진다. 밀어올림핀(54)에 의해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대한 폐쇄 상태로부터 밀어올리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걸어맞춤 클로우(68b)를 그 하측으로부터 위쪽으로 넘어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한다.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밀어올림핀(54)에 의해 밀어올려져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 상승하여 간다. 이로써,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의 돌출단이 탄성 돌출편(68a)의 걸어맞춤 클로우(68b)에 접촉되어 접하여, 탄성 돌출편(68a)을 약간 탄성 변형시켜 걸어맞춤 클로우(68b)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한다.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는, 걸어맞춤 클로우(68b)를 그 하측으로부터 위쪽으로 타고넘는 것에 의해,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구체적으로는 그 걸어맞춤 클로우(68b)]로 걸어맞춤 가능해진다.
융착 접속기(20C)는,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 동작의 결과,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가,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의 선단 편부(68d)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최대의 개소(이하, 최대 돌출 개소라고도 함)를 그 하측으로부터 위쪽으로 타고넘은 후에, 커버 개폐용 동력원(619, 629)(도 17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커버 부재(610, 620)를 각각 개방 방향으로 회전(개방 동작)시켜 방풍 커버(60C)를 개방하는 커버 개방 동작을 개시한다.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그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가,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의 최대 돌출 개소를 그 하측으로부터 위쪽으로 타고넘은 후, 밀어올림핀(54)이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 상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는 힘(밀어올림력), 및 커버 개폐용 동력원(629)(도 17 참조)이 제2 커버 부재(62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개방 동작력)의 한편, 또는 양쪽에 의해 회전 상승된다.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제2 커버 부재(620)의 개방 동작에 의해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가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에 접촉(걸어맞춤)된 후에는,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구체적으로는 그 걸어맞춤 클로우(68b)]에 의해 제2 커버 부재(620)에 유지(연결)된 상태로 제2 커버 부재(620)와 함께 개방 방향으로 회전(개방 동작)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회전 중심은, 제2 커버 부재(6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접속기 전후 방향(도 21∼도 22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제2 커버 부재(620)의 개방 동작 진행에 따라,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 선단부의 걸어맞춤 클로우(68b)의 위치가,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클램프 커버 본체(52a) 측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어긋나 간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 선단부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로부터 멀어지고,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도 22는,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그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하고, 방풍 커버(60C)의 양측의 커버 부재(610, 620)가 개방하는 동작을 계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그 이상의 개방하는 동작이 규제된다. 한편, 제2 커버 부재(620)는, 장치 본체 상면(21a)에 폐쇄된 상태로부터 접속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626)을 통하여 반대측에 배치되는 곳까지 개방한다. 방풍 커버(60C)는, 양측의 커버 부재(610, 620)의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 전개 상태[양측의 커버 부재(610, 620)가 도 1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된 상태]로 된다.
섬유 세팅 대기 상태의 융착 접속기(20C)에 있어서,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한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전개 상태의 방풍 커버(60C)의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개방 한계 위치에 배치한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수동으로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될 때, 커버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커버 부재(620A)의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클램프 하측 부재(51)에 폐쇄되는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제2 커버 부재(620)에 연결하는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의 구체적 형상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제2 커버 부재(620)와 서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연결부)으로서는, 방풍 커버[도 18∼도 22에서는 제2 커버 부재(620)]에 설치되는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방풍 커버와의 연결은, 예를 들면,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장착되어 방풍 커버에 설치된 강자성체를 자기 흡인하는 자석, 또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방풍 커버의 걸림부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출편 등,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설치한 연결부(방풍 연결부)이어도 된다. 또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방풍 커버와의 연결은,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와,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설치한 연결부(방풍 연결부)를 병용해도 된다.
방풍 커버에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를 설치하는 구성은, 도 2, 도 3에 예시한 방풍 커버(6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방풍 커버에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풍 커버(60)의 천정벽부(64)의 내면측[방풍 커버(60)의 내측 공간(66) 측]에, 커버 유지용 자석(67) 및/또는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을 형성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3에 예시한 방풍 커버(60)를 채용한 융착 접속기에 있어서도,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설치한 연결부(방풍 연결부), 또는 피복 클램프 커버 연결부와,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설치한 연결부(방풍 연결부)와의 병용에 의해, 피복 클램프 커버(52)와 방풍 커버를 연결해도 된다.
그리고, 도 2, 도 3에 예시한 방풍 커버(60)에 있어서는, 방풍 커버(60) 자체가, 장치 본체(21)에 대하여 회전에 의해 개폐하는 커버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2, 도 3에 예시한 방풍 커버(60)는, 환언하면, 하나의 커버 부재에 의해 구성된 방풍 커버이다.
방풍 커버의 커버 부재 또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걸어맞춤 돌출편을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예를 들면,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 상승을 개시한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흡인·상승력 밸런스 위치 또는 흡인·상승력 밸런스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단계에서, 걸어맞춤 돌출편에 의한 방풍 커버의 커버 부재와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변형예)
도 23은, 가동 스테이지(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낸 가동 스테이지(22A)(피복 클램프 설치대)는,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가동 스테이지(22)에, 밀어올림핀(54)을 지지하기 위한 핀 지지 돌출부(22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3은, 가동 스테이지(22A)에, 승강 가능하게 밀어올림핀(54)을 설치한 구성의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도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간주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A)는,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의, 접속기 전후 방향의 한쪽 측면에 핀 지지 돌출부(22f)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3에 있어서, 핀 지지 돌출부(22f)는, 설치대 본체(22a)의, 설치대 전진 기구(80)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기 후방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가동 스테이지(22A)의 핀 지지 돌출부(22f)는 설치대 본체(22a)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이다. 단, 핀 지지 돌출부(22f)는, 설치대 본체(22a)와는 다른 부재를 설치대 본체(22a)에 고정시켜, 일체로 해도 된다.
밀어올림핀(54)은, 핀 지지 돌출부(22f)를 상하로 관통하는 핀 삽통공(22g)에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핀 본체(54a)를 삽입하여 가동 스테이지(22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핀 지지 돌출부(22f)의 핀 삽통공(22g)은, 밀어올림핀(54)의 핀 지지 돌출부(22f) 상에 배치된 헤드부(54b)가 들어가지 않는 단면(斷面)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핀 지지 돌출부(22f)는, 그 상면에, 밀어올림핀(54)의 헤드부(54b)가 접촉되었을 때, 밀어올림핀(54)의 하단(54c) 측의 부분이 상기 핀 지지 돌출부(22f)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핀 삽통공(22g)의 중심축선을 따르는 방향의 두께가 조정되어 있다.
도 24는, 도 23에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 상에 피복 클램프(50A)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A)는,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로부터 핀 삽통공(51b) 및 밀어올림핀(54)을 생략한 구성의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채용한 점만이 피복 클램프(50)와 다르다. 이 피복 클램프(50A)는, 핀 삽통공(51b) 및 밀어올림핀(54)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점만이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와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피복 클램프(50)와 같다.
도 24는, 도 1∼도 16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A)에 대하여, 가동 스테이지(22) 및 피복 클램프(50)로 바꾸어,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 및 밀어올림핀(54)을 가지고 있지 않은 피복 클램프(50A)를 채용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6a, 도 6b, 도 10등에 나타내는 가동 스테이지(22)와 그 주위의 설치대 전진 기구(80) 및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피복 클램프(50)를 방전부(24a)(도 6a, 도 6b 등 참조)를 향해 진퇴 이동시키는 진퇴 이동 유닛(U1)을 구성하고 있다. 이 진퇴 이동 유닛(U1)은, 전진 기구 동력원(81)이 발생하는 구동력과,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피복 클램프(50)를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시킨다. 또한, 이 진퇴 이동 유닛(U1)은, 전진 기구 동력원(81)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피복 클램프(50)에 설치되어 있는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회전 상승시킨다.
도 24는, 도 6a, 도 6b, 도 10등에 나타내는 진퇴 이동 유닛(U1)에 대하여, 그 가동 스테이지(22)로 바꾸어,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를 채용한 구성의 진퇴 이동 유닛(U2)을 나타낸다. 이 진퇴 이동 유닛(U2)은, 전진 기구 동력원(81)이 발생하는 구동력과, 프루프용 스프링(8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피복 클램프(50A)를 방전부(24a)를 향해 진퇴 이동시킨다. 또한, 이 진퇴 이동 유닛(U2)은,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의 밀어올림핀(54)을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리고, 이 밀어올림핀(54)에 의해, 광섬유를 파지 고정한 피복 클램프(50A)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밀어올려 상승 회전시킨다.
즉, 이 진퇴 이동 유닛(U2)은,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 상에 장착한 피복 클램프(50A)에 밀어올림핀(54)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의 밀어올림핀(54)을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려,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회전 상승시킬 수 있다.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의 밀어올림핀(54)의 하단(54c)과, 클램프 개방 기구(90)의 개방 레버(93)와의 관계는,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의 밀어올림핀(54)의 하단(54c)과 개방 레버(93)와의 관계와 같다.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전진 기구 동력원(81)(도 6a, 도 10등 참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 개방 레버(93)의 밀어올림 편부(93b)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린다. 클램프 개방 기구(90)는,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에 의해,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예를 들면, 흡인·가압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까지 회전 상승시킬 수 있다.
단,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량은, 그 상한 위치 도달 후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회전에 의해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 한계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융착 접속기의 방풍 커버 및/또는 피복 클램프 커버(52)로의 연결 수단의 설치의 유무, 연결 수단의 구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B)의 경우에는,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흡인·상승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까지 회전 상승시킨다.
도 23,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A)는, 설치대 본체(22a) 상으로 돌출하는 위치결정핀(22e)도 가지고 있다. 이 위치결정핀(22e)은, 설치대 본체(22a) 상의 2개소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A)의 클램프 하측 부재(51A)의 2개소에는,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 상의 위치결정핀(22e)이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는 핀 끼워맞춤공(51e)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핀 끼워맞춤공(51e)은, 피복 클램프(50A)의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A)는, 클램프 하측 부재(51A)의 2개소의 핀 끼워맞춤공(51e)에 각각 가동 스테이지(22A)의 위치결정핀(22e)을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고,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설치대 본체(22a) 상에 나사고정 등의 고정 수단(고정부)에 의해 고정하여, 설치대 본체(22a)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지(22A)의 2개의 위치결정핀(22e)은, 피복 클램프(50A)의 클램프 하측 부재(51A)의 설치대 본체(22a)에 대한 위치 결정, 및 위치 어긋남 방지의 기능을 행한다.
도 24에 나타낸 피복 클램프(50A)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는, 클램프 하측 부재(51A)에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클램프 하측 부재(51A)로부터 추축(53)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밀어올림 받이 돌출부(52c)를 가진다.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밀어올려진 밀어올림핀(54)은, 구체적으로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밀어올림 받이 돌출부(52c)를 그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려,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회전 상승시킨다.
피복 클램프(50A)는, 클램프 하측 부재(51A)에 폐쇄된 상태로 했을 때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밀어올림 받이 돌출부(52c)가, 가동 스테이지(22A)의 핀 삽통공(22g)(도 23 참조)의 중심축선의 연장 상에 위치하도록, 가동 스테이지(22A)의 위치결정핀(22e)에 의해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설치대 본체(22a)에 위치결정하여 가동 스테이지(22A) 상에 장착된다.
위치결정핀(22e)은,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 상에도 설치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지(22)는, 설치대 본체(22a) 상의 2개소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위치결정핀(22e)을 가진다.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는,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핀 끼워맞춤공(51e) 각각에 가동 스테이지(22)의 위치결정핀(22e)을 끼워맞추고, 클램프 하측 부재(51)를 설치대 본체(22a) 상에 장착되는 나사고정 등의 고정 수단(고정부)에 의해, 설치대 본체(22a) 상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지(22)의 2개의 위치결정핀(22e)은,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의 설치대 본체(22a)에 대한 위치 결정, 및 위치 어긋남 방지의 기능을 행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A)의 판형의 클램프 하측 부재(51A)에는,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삽통공(51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에는, 그 상면(22b) 상에 설치한 클램프 하측 부재(51A)(도 24 참조)의 나사 삽통공(51f)에 통한 나사(51g)를 나사삽입하고,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설치대 본체(22a)에 체결 고정시키는 암나사공(22h)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공(22h)은, 설치대 본체(22a)의 상면(22b)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클램프(50A)는,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클램프 하측 부재(51A)의 나사 삽통공(51f)에 통하여,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의 암나사공(22h)(도 23 참조)에 나사삽입된 나사(51g)에 의해 설치대 본체(22a)에 체결 고정하여 가동 스테이지(22A)에 장착된다.
나사(51g)는, 피복 클램프(50A)를 가동 스테이지(22A)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이하, 피복 클램프 고정 수단이라고도 함)로서 기능한다. 이 피복 클램프 고정 수단으로서는, 피복 클램프(50A)의 가동 스테이지(22A)에 대한 고정과 고정 해제를 전환 조작 가능한 수단을 사용한다.
피복 클램프(50A)를 가동 스테이지(22A)에 고정한 나사(51g)는, 설치대 본체(22a)의 암나사공(22h)으로의 나사삽입 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암나사공(22h)으로부터 빼내짐으로써, 피복 클램프(50A)의 가동 스테이지(22A)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암나사공(22h)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 상에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고정하여 장착되어 있는 피복 클램프(50A)는, 암나사공(22h)에 의한 가동 스테이지(22A)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설치대 본체(22a)로부터 상승시켜, 클램프 하측 부재(51A)를 그 핀 끼워맞춤공(51e)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위치결정핀(22e)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가동 스테이지(22A)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도 23에 예시한 설치대 본체(22a)에 암나사공(22h)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의 암나사공(22h)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도, 그 두께를 관통하는 나사 삽통공(도시하지 않음)에 통한 나사(51g)의 설치대 본체(22a)의 암나사공(22h)으로의 나사삽입에 의해 설치대 본체(22a)에 체결 고정하여, 가동 스테이지(22)에 장착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는, 나사(51g)를, 설치대 본체(22a)의 암나사공에 대하여 나사삽입할 때와는 역방향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암나사공(22h)으로부터 빼내짐으로써, 가동 스테이지(22)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도 6a∼도 14b 등에 예시한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에도, 그 두께를 관통하는 핀 끼워맞춤공(51e)(도 6a, 도 10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는, 가동 스테이지(22)의 설치대 본체(22a) 상의 2개소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위치결정핀(22e)을 핀 끼워맞춤공(51e)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져, 가동 스테이지(22) 상에 상기 가동 스테이지(22)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피복 클램프의 클램프 하측 부재의 가동 스테이지에 대한 고정과 고정 해제를 전환 조작 가능한 피복 클램프 고정 수단은, 나사(51g)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피복 클램프 고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설치대 본체(22a) 상에 설치한 피복 클램프의 클램프 하측 부재 상에 배치되는 압력 부재를 가지고, 이 압력 부재에 의한 클램프 하측 부재의 설치대 본체(22a)에 대한 고정과 고정 해제를, 가동 스테이지의 설치대 본체(22a) 상으로 돌출하는 나사축에 나사장착된 너트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환 가능한 고정 기구 등도 채용 가능하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3에 예시한 가동 스테이지(22A)는, 설치대 본체(22a) 상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 피복 클램프인 섬유 홀더(40)를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섬유 홀더(40)는, 가늘고 긴 판형의 베이스판(41)(클램프 하측 부재)과, 베이스판(41)의 상면(41a)에서의 베이스판(41)의 폭 방향 편단에 설치되는 추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베이스판(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판(42)(피복 클램프 커버)을 가진다. 커버판(42)은, 추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베이스판 상면(41a)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섬유 홀더(40)는, 예를 들면, 철 등의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의 커버판(42)을, 베이스판(41)에 설치된 영구 자석(41c)(이하, 커버 폐쇄용 자석이라고도 함)이 자기 흡인하는 힘에 의해, 커버판(42)이 베이스판(41)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단, 베이스판(41)에 폐쇄된 커버판(42)에 작용하는 영구 자석의 흡인력은, 베이스판(41)에 폐쇄된 상태의 커버판(42)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강제적으로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설정되어 있다.
커버판(42)은, 전체가 베이스판(41)의 커버 폐쇄용 자석(41c)에 자기 흡인 가능한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만이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 상면(41a)에는, 광섬유(9)를 위치결정하는 섬유홈(43)이, 베이스판(41)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베이스판 상면(41a)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섬유 홀더(40)는, 커버판(42)을 베이스판(41)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베이스판(41)의 섬유홈(43)에 광섬유(9)를 배치한 후, 개방 상태의 커버판(42)을 베이스판(41)에 폐쇄함으로써, 베이스판(41)과 커버판(42)과의 사이에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할 수 있다.
융착 접속되는 광섬유(9)를, 섬유 홀더(40)를 사용하여 융착 접속기에 장착하는 섬유 세팅 작업에 있어서, 광섬유(9)를 섬유 홀더(40)에 파지 고정한 후, 섬유 홀더(40)가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한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의 가동 스테이지 상에 탑재된다.
광섬유(9)는, 그 선단부를 섬유 홀더(40)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과 커버판(42)과의 사이에 파지 고정된다.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과 커버판(42)과의 사이에는, 광섬유(9)의 피복부(9d)(도 1 등 참조)가 파지 고정된다.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한 섬유 홀더(40)는, 상기 섬유 홀더(40)로부터 돌출된 광섬유(9)의 선단부의 피복재(9c)를 제거하여 광섬유 유리부(9a)를 리드 아웃한 상태에서, 가동 스테이지 상에 탑재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에는,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 상의 2개의 위치결정핀(22e)이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는 핀 끼워맞춤공(41b)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핀 끼워맞춤공(41b)은,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섬유 홀더(40)는,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한 상태에서, 베이스판(41)의 2개소의 핀 끼워맞춤공(41b)에, 각각 가동 스테이지(22A)의 위치결정핀(22e)이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져, 베이스판(41)을 설치대 본체(22a)의 상면(22b)(도 23 참조) 상에 탑재된다. 설치대 본체(22a) 상에 탑재한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은, 가동 스테이지(22A)의 2개의 위치결정핀(22e)에 의해, 설치대 본체(22a)에 대하여 위치결정되고, 또한 설치대 본체(22a)에 대한 위치 어긋남도 규제된다.
가동 스테이지(22A)의 설치대 본체(22a) 상에 탑재한 섬유 홀더(40)의 베이스판(41)은 설치대 본체(22a)에 고정되지 않는다. 설치대 본체(22a) 상에 베이스판(41)을 탑재하여 가동 스테이지(22A)에 장착한 섬유 홀더(40)는, 설치대 본체(22a)로부터 상승시키고, 베이스판(41)을, 베이스판(41)의 핀 끼워맞춤공(41b)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위치결정핀(22e)으로부터 제거하는 것만으로, 가동 스테이지(22A)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섬유 홀더(40)의 커버판(42)은, 베이스판(41)폭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판(41)으로부터 추축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측으로 돌출하는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를 가진다.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의 설치대 본체(22a) 상에 탑재된 섬유 홀더(40)는, 커버판(42)이 베이스판(41)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판(4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가, 가동 스테이지(22A)의 핀 삽통공(22g)의 중심축선의 연장 상에 위치하도록, 가동 스테이지(22A)의 2개의 위치결정핀(22e)에 의해 설치대 본체(22a)에 대하여 위치결정되어 배치된다.
진퇴 이동 유닛(U2)은,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린 밀어올림핀(54)에 의해, 광섬유(9)를 파지 고정하여 가동 스테이지(22A) 상에 탑재한 섬유 홀더(40)의 커버판(4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를, 그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려 개방 방향으로 회전(개방 동작)시켜, 상승시킬 수 있다.
전술한 피복 클램프(50, 50A)는,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도 10 등 참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시한 예의 섬유 홀더(40)에는, 커버판(42)을 베이스판(41)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진퇴 이동 유닛(U2)에서의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량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퇴 이동 유닛(U2)을, 전술한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B)에 적용한 경우에는, 커버 폐쇄 동작에 의해 방풍 커버(60B)를 폐쇄 상태로 했을 때, 광섬유를 파지 고정한 상태에서 가동 스테이지(22A) 상에 탑재되어 있는 섬유 홀더(40)의 상측에 약간의 이격 거리가 확보되도록 제2 커버 부재(620)의 커버 유지용 자석(67)을 배치한다. 진퇴 이동 유닛(U2)은, 접속부 인장 검사의 개시 후,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섬유 홀더(40)의 커버판(42)을, 상기 커버판(42)에 작용하는 커버 유지용 자석(67)의 흡인력이, 커버판(42)에 작용하는 커버 폐쇄용 자석(41c)의 흡인력을 상회하는 위치까지 회전 상승시킨다.
여기서, 가동 스테이지(22A) 상에 탑재한 섬유 홀더(40)의 베이스 부재(41)의 커버 폐쇄용 자석(41c)과 폐쇄 상태의 방풍 커버(60B)의 제2 커버 부재(620)의 커버 유지용 자석(67)과의 사이에는, 폐쇄 상태로부터 회전 상승시킨 커버판(42)에 작용하는 커버 폐쇄용 자석의 흡인력과 커버 유지용 자석(67)의 흡인력이 같아지는 흡인·흡인력 밸런스 위치(흡인·개방 동작력 밸런스 위치)가 존재한다. 진퇴 이동 유닛(U2)은,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섬유 홀더(40)의 커버판(42)을 흡인·흡인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까지 회전 상승시킨다.
그리고, 피복 클램프로서는, 전술한 피복 클램프(50)로부터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를 생략한 구성, 피복 클램프(50A)로부터 개방 보조 탄성 부재(56)를 생략한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이 경우의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는 경우,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흡인·흡인력 밸런스 위치보다 위쪽으로 되는 위치까지 회전 상승시킨다.
또한, 진퇴 이동 유닛(U2)은, 전술한 도 21,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융착 접속기(20B)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진퇴 이동 유닛(U2)은,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림으로써, 섬유 홀더(40)의 폐쇄 상태의 커버판(42)을, 그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가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 선단부의 걸어맞춤 클로우(68b)에 걸어맞춤 가능해지는 위치, 즉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가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 선단부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를 타고넘어 그 상측에 배치되는 위치까지 회전 상승시킨다.
여기서, 진퇴 이동 유닛(U2)의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은, 섬유 홀더(40)의 커버판(4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를,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의 걸어맞춤 클로우(68b)를 그 아래쪽으로부터 넘어 걸어맞춤 클로우(68b)의 상측에 배치할 수 있는 위치까지 밀어올린다.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은, 걸어맞춤 클로우(68b)를 타고넘은 커버판(4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가 걸어맞춤 클로우(68b)에 접촉하는 밀어올림핀(54)의 위치를 상한으로 해도 되고, 커버판(4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42a)를 걸어맞춤 클로우(68b)로부터 위쪽으로 약간 이격된 곳에 배치하는 밀어올림핀(54)의 위치를 상한으로 해도 된다.
도 23에 예시한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는, 설치대 본체(22a) 상에, 피복 클램프(50A)와 섬유 홀더(40)를 선택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는, 전술한 피복 클램프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대 본체(22a) 상에 고정한 피복 클램프(50A)의 피복 클램프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여 설치대 본체(22a) 상으로부터 피복 클램프(50A)를 분리하고, 설치대 본체(22a) 상에 섬유 홀더(40)를 착탈 가능하게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는, 피복 클램프(50A)를 섬유 홀더(40)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22P)는, 섬유 홀더(40) 탑재용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설치대 본체(22a) 상에 피복 클램프(50A)를 고정한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풍 개폐용 동력원의 구동력만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구성)
예를 들면, 도 21, 도 22에 예시한 융착 접속기(20C)와 같이, 방풍 커버의 커버 부재 또는 피복 클램프 커버(52)에 걸어맞춤 돌출편을 설치한 융착 접속기는,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 개방 상태(전개)가 되어 있었던 방풍 커버가 폐쇄되는 커버 폐쇄 동작을 완료했을 때,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 선단부의 걸어맞춤 클로우(68b)가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의 하측에 들어가서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와 걸어맞춤 가능해지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1, 도 22에 예시한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에 대하여, 커버 폐쇄 동작을 완료했을 때 걸어맞춤 클로우(68b)가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개폐 조작용 돌출부(52b) 하측에 들어가도록, 선단 편부(68d)가 돌출편부(68c)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크게 하는 설계 변경을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예를 들면, 클램프 개방 기구(90)가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는 것에 의한 피복 클램프 커버(52)의 밀어올림을 행하지 않고, 융착 접속 동작 후의 접속부 검사의 개시 후에 실행하는 커버 개방 동작에 의해,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에 의해 제2 커버 부재(620)로 유지한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제2 커버 부재(620)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개방하여, 개방현(開放弦) 개방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풍 개폐용 동력원(629)이 발생하는 동력만에 의해,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가 개방된다.
또한, 진퇴 이동 유닛(U1)은, 클램프 개방 기구(90)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램프 개방 기구(90)를 생략할 수 있다.
방풍 개폐용 동력원의 구동력만으로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구성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68)을 설치한 방풍 커버를 채용하는 구성의 것 외에, 예를 들면, 방풍 개폐용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구동력)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려, 폐쇄 상태의 피복 클램프 커버(52)를 개방하는 구성 등도 채용 가능하다.
이 경우의, 방풍 개폐용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한 밀어올림핀(54)을 밀어올리는 구성은, 예를 들면, 방개폐용 동력원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이동되는 승강 부재를 밀어올림핀(54) 아래에 배치해 두고, 이 승강 부재의 상승에 의해 밀어올림핀(54)의 밀어올림을 실현하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최선의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최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改變)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융착 접속기에서의 섬유 세팅 대기 상태로부터의 커버 폐쇄 동작의 실행은, 커버 폐쇄 스위치(31d)(도 3 참조)의 도 2에 나타낸 조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융착 접속기로서는, 예를 들면,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로의 광섬유(9A, 9B)의 파지 고정된 완료, 또는 좌우 양측의 가동 스테이지(22) 상에의 섬유 홀더(40)의 설치 완료를 센서에 의해 검지했을 때, 자동으로 커버 폐쇄 동작을 실행하고, 그 완료 후, 자동으로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피복 클램프 방식의 융착 접속기(20A)로서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의 클램프 하측 부재(51) 상으로의 광섬유(9A, 9B)의 설치를 센서가 검지한 것, 또는 좌우 양측의 피복 클램프(50) 부근에 설치한 센서가 좌우 동시에 작업자의 손가락을 검지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자동으로 커버 폐쇄 동작을 실행하고, 그 완료 후, 자동으로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하는 구성도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융착 접속기로서는, 커버 폐쇄 동작의 개시를 위한 동작 개시 지령으로서 기능하는 트리거 신호가 무엇인지에 의하지 않고, 폐쇄 동작 이상의 발생을 검지했을 때는, 융착 접속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20, 20A, 20B, 20C…융착 접속기, 21…장치 본체, 22, 22A…피복 클램프 설치대(가동 스테이지), 22P…피복 클램프 설치대(밀어올림핀을 가지는 설치대), 40…섬유 홀더, 50, 50A…피복 클램프, 52…피복 클램프 커버, 60, 60A, 60B, 60C…방풍 커버, 610…커버 부재(제1 커버 부재), 619…방풍 개폐용 동력원(제2 동력원), 620…커버 부재(제2 커버 부재), 629…방풍 개폐용 동력원(제2 동력원), 69…방풍 개폐용 동력원(제2 동력원), 81…전진 기구 동력원(제1 동력원), 82…구동 기구(설치대 구동 기구), 91…링크 부품.

Claims (11)

  1.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融着) 접속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로서,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에 장착되고, 개폐되는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가지는 피복 클램프; 및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진시키고, 또한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동력원;
    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동력원을 이용하여,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원의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를 전진시키는 구동 기구(機構)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분리된 후의 상기 구동 기구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제1 동력원의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기구의 일부가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로부터 분리되어 후퇴하면, 링크 부품을 통하여 밀어올려지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이 밀어올려지면, 상기 핀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밀어올려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동력원; 및
    상기 제2 동력원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폐하는 방풍 개폐 기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과, 상기 제2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5. 광섬유끼리를 가열하여 융착 접속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로서,
    피복 클램프 설치대;
    제2 동력원;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에 장착되고, 개폐되는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가지는 피복 클램프; 및
    상기 제2 동력원에 의해 방풍 커버를 개폐하고, 또한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기 위한 방풍 개폐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동력원이 발생시키는 동력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을 행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 또는 상기 방풍 커버의 한쪽에 설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와 상기 방풍 커버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경우, 상기 방풍 커버가 개방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와 상기 방풍 커버를 자기(磁氣) 흡착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마그넷인, 광섬유 융착 접속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상기 방풍 커버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상기 방풍 커버에 연결하는 커버 걸어맞춤 돌출편인, 광섬유 융착 접속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클램프는,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가 쉽게 개방되도록,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피복 클램프의 고정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 및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 상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개폐되는 커버판을 가지는 섬유 홀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복 클램프와 상기 섬유 홀더가 교환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섬유 홀더를 탑재했을 때,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를 개방하는 기구와 동일한 기구로 상기 섬유 홀더의 커버판을 개방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클램프 설치대의 전진 방향에 있어서, 방전부를 통하여 상기 피복 클램프에 대향하는 제2 피복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융착 접속이 완료된 후에,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제2 피복 클램프 커버 중 양쪽을 동시에 개방하거나, 상기 피복 클램프 커버 및 상기 제2 피복 클램프 커버 중 다른 한쪽만을 개방하는 설정을 전환하는 소프트웨어;
    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1020137025290A 2012-03-29 2013-03-06 광섬유 융착 접속기 KR101568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8259 2012-03-29
JP2012078259A JP5209126B1 (ja) 2012-03-29 2012-03-29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2012206309A JP5364832B1 (ja) 2012-09-19 2012-09-19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JP-P-2012-206309 2012-09-19
JP2012272849A JP5512786B1 (ja) 2012-12-13 2012-12-13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JP-P-2012-272849 2012-12-13
PCT/JP2013/056109 WO2013146138A1 (ja) 2012-03-29 2013-03-06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846A true KR20130140846A (ko) 2013-12-24
KR101568241B1 KR101568241B1 (ko) 2015-11-11

Family

ID=4925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290A KR101568241B1 (ko) 2012-03-29 2013-03-06 광섬유 융착 접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33325B2 (ko)
EP (1) EP2700990B1 (ko)
KR (1) KR101568241B1 (ko)
CN (2) CN103364877B (ko)
WO (1) WO20131461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6730B2 (en) 2017-02-14 2020-10-27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device, external devic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system,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method
KR20210049811A (ko) * 2019-10-24 2021-05-0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융착 접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2180B2 (ja) * 2010-12-24 2013-08-2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EP2700990B1 (en) * 2012-03-29 2017-09-20 Fujikura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2016167012A (ja) * 2015-03-10 2016-09-1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JP6554734B2 (ja) * 2015-03-10 2019-08-07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装置
CN105739018B (zh) * 2016-04-22 2019-04-05 一诺仪器(中国)有限公司 光纤熔接机的防风盖组件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JP6298503B2 (ja) 2016-08-04 2018-03-2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06443865B (zh) * 2016-10-19 2018-12-11 广州宏晟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推拉机构
CN107479135A (zh) * 2017-08-22 2017-12-15 深圳市中为光通信技术有限公司 光纤熔接机及光纤末端端面处理方法
CN107741615B (zh) * 2017-10-16 2020-04-17 杭州金龙光电缆有限公司 一种便于纤芯对准的光纤熔接机
CN107632343B (zh) * 2017-10-17 2020-08-07 杭州东南吉通网络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光纤熔接机
JP6397599B1 (ja) 2018-05-21 2018-09-26 株式会社フジクラ 融着接続装置及び光ファイバ補強方法
CN110113103A (zh) * 2019-05-08 2019-08-09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提升主干光纤通信网络可靠性的装置及方法
CN112748494B (zh) * 2019-10-24 2023-03-24 株式会社藤仓 熔接机
CN112711096A (zh) * 2019-10-24 2021-04-27 株式会社藤仓 熔接机
WO2021079950A1 (en) * 2019-10-24 2021-04-29 Fujikura Ltd. Fusion splic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810B2 (ja) * 1989-03-22 1997-12-08 株式会社フジクラ 定偏波光ファイバの高強度融着接続装置
JPH06160662A (ja) 1992-11-20 1994-06-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心線の把持装置
SE512382C2 (sv) * 1994-04-26 2000-03-06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placera långsträckta element mot eller invid en yta
JP3654972B2 (ja) * 1995-10-31 2005-06-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H10288716A (ja) * 1997-04-14 1998-10-27 Fujikura Ltd 単心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SE511820C2 (sv) 1997-05-23 1999-11-29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hopsvetsning av optiska fibrer
JPH1123879A (ja) * 1997-07-09 1999-01-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JP3761192B2 (ja) * 1998-07-14 2006-03-2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クランプ機構
JP3384984B2 (ja) 1999-08-31 2003-03-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DE10017008C1 (de) * 2000-04-05 2001-08-23 Siemens Ag Einrichtung zur Klappenbetätigung bei Lichtwellenleiter-Spleissgeräten
JP2001356216A (ja) * 2000-06-14 2001-12-26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の切断方法
JP2003167148A (ja) * 2001-11-30 2003-06-1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2003167147A (ja) * 2001-11-30 2003-06-1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2003167152A (ja) * 2001-12-03 2003-06-1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2003167151A (ja) * 2001-12-03 2003-06-13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2003207680A (ja) * 2002-01-15 2003-07-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3949646B2 (ja) * 2003-12-01 2007-07-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4382694B2 (ja) 2005-04-13 2009-12-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5117292B2 (ja) 2008-06-16 2013-0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方法および融着接続機
JP4956513B2 (ja) * 2008-09-17 2012-06-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ホルダの移動構造及び融着接続機
JP5407540B2 (ja) * 2009-05-13 2014-02-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2011090039A (ja) * 2009-10-20 2011-05-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
JP5272180B2 (ja) * 2010-12-24 2013-08-2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補強用加熱器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EP2700990B1 (en) 2012-03-29 2017-09-20 Fujikura Ltd.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6730B2 (en) 2017-02-14 2020-10-27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device, external devic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system,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method
KR20210049811A (ko) * 2019-10-24 2021-05-06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융착 접속기
US11892679B2 (en) 2019-10-24 2024-02-06 Fujikura Ltd. Fusion spli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33325B2 (en) 2015-05-19
EP2700990A1 (en) 2014-02-26
US20140083141A1 (en) 2014-03-27
CN203630390U (zh) 2014-06-04
CN103364877A (zh) 2013-10-23
KR101568241B1 (ko) 2015-11-11
WO2013146138A1 (ja) 2013-10-03
EP2700990A4 (en) 2014-11-26
EP2700990B1 (en) 2017-09-20
CN103364877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846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JP5209126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EP2700989B1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JP5512786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US9513439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and optical fiber fusion splic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4682496B2 (ja) 融着接続装置
US9897756B2 (en) Fusion-splicing method and fusion splicer
CN101061404A (zh) 接合保护加热器、包括该接合保护加热器的熔接机以及熔接方法
JP5407540B2 (ja) ホルダ、融着接続機及び融着接続方法
JP2008033195A (ja) 光コネクタ
JP5364832B1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5629813B2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EP3837574B1 (en) Fusion splicer
CN111133352B (zh) 一种熔端处理机
US4949451A (en) Device for plugging contacts into a connector box
JP2013205841A (ja) 光ファイバ融着接続機
JP4196972B2 (ja) 光ファイバの加熱補強処理装置及び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並びに融着接続方法
DE102007019797A1 (de) Vorrichtung zum Spleißen von Lichtwellenlei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