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764A - 압력 센서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764A
KR20130139764A KR1020130048448A KR20130048448A KR20130139764A KR 20130139764 A KR20130139764 A KR 20130139764A KR 1020130048448 A KR1020130048448 A KR 1020130048448A KR 20130048448 A KR20130048448 A KR 20130048448A KR 20130139764 A KR20130139764 A KR 20130139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esin
pressure
substrate
lead wire
external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938B1 (ko
Inventor
타쿠로 이시카와
카즈야 타키모토
카즈노리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297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63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기노미야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13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기판과 압력 검출 소자가 파손 손상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제공한다. 유로(12)가 형성된 조인트 부재(14)와, 조인트 부재(14)의 유로(12)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압력 검출 소자(16)와, 압력 검출 소자에 접속된 외부 리드선(54)과, 커버 부재(4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부(52)를 구비하고,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액체 밀봉형(Lipuid Sealing Type)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체압 검출용 압력 센서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2-68105호 공보)에는 수분이 외부로부터 침입하지 않도록 틈새가 없는 구성으로 한 액체 밀봉형 압력 센서(100)가 개시되어 있다.
압력 센서(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102)와, 조인트 부재(104)와, 커버 부재(106)의 결합체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압력 검출 소자(102)의 한쪽 단면(바닥면)에는 금속제 다이어프램(diaphragm)(108)의 외주부가 용접에 의해 기밀하게 고정된다. 압력 검출 소자(102)의 하면에 마련된 센서칩(110)에 와이어 본딩(112)을 통해 리드핀(114)이 접속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핀(114)이 기판(116)에 접속되어, 외부 리드선(118)에 접속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106) 내의 공간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밀봉 수지(122)가 밀봉되고, 또한, 커버 부재(106)와 조인트 부재(104) 사이의 공간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밀봉 수지(124)가 밀봉된다. 이에 따라, 틈새가 없어 수분 등의 액체가 내부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압력 센서(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106)의 형상이, 대경부인 커버 본체부(120a)와,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120b)와, 단차부(120b)로부터 수직으로 마련된 소경부(120c)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2-6810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액체 밀봉형 압력 센서(100)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102)와 기판(116) 사이에 일정 간격 이간된 간격(T)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압력 센서(100)에서는, 밀봉 수지(122)가 압력 검출 소자(102)와 기판(116) 사이에 들어가, 밀봉 수지(122)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 또는 밀봉 수지(122)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 도 5의 화살표 B가 가리키고 있는 바와 같이, 열응력이 생긴다.
이에 따라, 그 열응력에 의해 기판(116)이 파손 손상되는 일이 있어,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밀봉 수지(122)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 또는 밀봉 수지(122)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102)와 외부 리드선(118)을 접속하는 기판(116)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 검출 소자(102)와 기판(116)을 접속하는 리드핀(114)의 기판(116)과의 접속 부분(128)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거나, 기판(116)과 외부 리드선(118)을 접속하는 접속 부분(130)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어, 정확한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없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102)와 외부 리드선(118)을 접속하는 기판(116)이 이간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압력 검출 소자(102)와 외부 리드선(118)을 접속하는 기판(116)과의 사이에 간격(T)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122)가 다량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압력 센서 자체가 대형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기판이 파손 손상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에,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압력 검출 소자와 기판을 접속하는 리드핀의 기판과의 접속 부분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거나, 기판과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접속 부분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지 않고, 확실하게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의 양이 적어져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를 콤팩트하게 소형화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압력 센서는, 유로가 형성된 조인트 부재와; 상기 유로 내의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에 고정되고, 조인트 부재의 유로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압력 검출 소자와; 상기 압력 검출 소자에 접속된 외부 리드선과; 커버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므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를 주입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밀봉 수지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에,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기판과 압력 검출 소자가 파손 손상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 검출 소자와 기판을 접속하는 리드핀의 기판과의 접속 부분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거나, 기판과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접속 부분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므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의 양이 적어져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를 콤팩트하게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압력 센서는, 상기 커버 부재가, 밀봉 수지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커버 부재가, 밀봉 수지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이므로, 종래와 같이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가 존재하지 않고, 커버 부재의 밀봉 수지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에도, 밀봉 수지와 압력 검출 소자의 소자 본체 사이에서 열응력에 의한 박리가 생기지 않아,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해 절연 불량이나 압력 검출 소자에 부식 등의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 정확한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가, 밀봉 수지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이므로, 종래와 같이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 소경부가 존재하지 않고, 커버 부재의 밀봉 수지부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를 주입할 때, 주입 작업이 용이해 번거롭지 않고, 비용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방수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 전체에 수지가 골고루 퍼져, 주입 불량이 생기거나 기포가 발생해 균열이 생기는 일이 없고,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해 절연 불량이나 압력 검출 소자에 부식 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정확한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므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를 주입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밀봉 수지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에,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기판이 파손 손상되지 않고,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 검출 소자와 기판을 접속하는 리드핀의 기판과의 접속 부분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거나, 기판과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접속 부분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므로,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의 양이 적어져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센서를 콤팩트하게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력 센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 센서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응력 해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액체 밀봉형 압력 센서(100)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압력 센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부재 번호 10은 전체가 본 발명의 압력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 센서(10)는 액체 밀봉형 압력 센서로서, 유로(12)가 형성된 조인트 부재(14)와, 유로(12) 내의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소자(16)를 구비한다.
압력 검출 소자(16)는 조인트 부재(14)의 유로(12)와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그 주연부에서 조인트 부재(14)와 용접되어 고정된다.
압력 검출 소자(16)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소자 본체(18)를 갖고, 이 소자 본체(18)에 형성된 중앙 개구(20) 내에, 허메틱 글래스(hermetic glass)(2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16)의 소자 본체(18)와, 금속제의 다이어프램(24)과, 연통공(26)이 형성된 다이어프램 보호 커버(28)가, 그 외주부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소자 본체(18)의 중앙 개구(20) 부분에서, 허메틱 글래스(22)와 다이어프램(24) 사이에 오일이 밀봉되는 액체 밀봉실(30)이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메틱 글래스(22)의 액체 밀봉실(30)쪽 면에는, 원칩 구조의 센서칩(32)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센서칩(32)은 액체 밀봉실(30) 내에 배치되며,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소자와, 압력 검출 소자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집적화된 전자 회로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압력 센서칩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허메틱 글래스(22)에는, 센서칩(32)에 대한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리드핀(34)이 각각 관통 상태로 허메틱 처리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리드핀(34)은 전부 8개가 마련되어 있다. 즉, 입출력용 단자로서 외부 리드선(62a)(Vout), 외부 리드선(62b)(Vcc), 외부 리드선(62c)(GND)용의 3개의 리드핀(34)과, 센서칩(32) 조정용 단자로서 5개의 리드핀(34)이 마련된다.
리드핀(34)은, 예를 들면, 금 또는 알루미늄 와이어(36)에 의해 센서칩(32)과 도통 접속(와이어 본딩)되어, 센서칩(32)의 외부 출력 단자나 외부 입력 단자를 구성한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14)의 유로(12)로부터 압력실(40) 내로 전달된 유체압은, 다이어프램 보호 커버(28)의 연통공(26)을 지나 다이어프램(24)의 표면을 가압하고, 이 가압력을 액체 밀봉실(30) 내의 센서칩(32)에 의해 검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16)의 상방에는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기판(38)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38a)을 관통하도록 리드핀(34)의 선단(34a)이 삽입되어, 기판(38)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전기적으로,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한편, 기판(38)의 타단부에는, 외부 리드선(54)이 기판(38)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전기적으로,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부재(14)의 플랜지부(14a)와 맞닿은 상태로, 커버 부재(42)의 기단부(44)가 장착된다. 커버 부재(42)의 기단부(44)와 조인트 부재(14)의 플랜지부(14a) 사이는, 예를 들면, 납땜, 용접,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커버 부재(42)의 기단부(44)와 조인트 부재(14)의 플랜지부(14a) 사이를 고정했지만, 끼워넣어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는, 조인트 부재(14)의 플랜지부(14a)와 맞닿는 기단부(44)와, 압력 검출 소자(16)의 소자 본체(18)가 끼워지는 소자 본체 결합부(46)와, 소자 본체 결합부(46)보다 직경이 작고 밀봉 수지부(52)를 수용하는 밀봉 수지 수용부(48)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수지 수용부(48)는 밀봉 수지 수용부 본체(48a)와,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48b)와, 단차부(48b)로부터 수직으로 마련된 소경부(48c)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는 밀봉 수지 수용부(48)의 상방에 개구부(50)를 갖는 통 형상이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의 밀봉 수지 수용부(48)의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고, 이 공간(S)에 커버 부재(42)의 개구부(50)측으로부터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가 충전되어 밀봉 수지부(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압력 센서(1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므로,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를 주입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의 사이에 밀봉 수지부(52)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기판(38)과 압력 검출 소자(16)가 파손 손상되지 않으므로,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의 사이에 열응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 검출 소자(16)와 기판(38)을 접속하는 리드핀(34)의 기판(38)과의 접속 부분(리드핀(34)의 선단(34a))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거나, 기판(38)과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접속 부분(54a)이 손상되어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 센서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응력 해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압력 센서(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압력 센서(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압력 센서(10)와 마찬가지로, 압력 검출 소자(16)와 외부 리드선(54)을 접속하는 기판(38)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는 밀봉 수지 수용부(48)가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구성하고, 또한, 상방에 개구부(50)를 갖는 통 형상이다.
이 경우, 커버 부재(42)의 형상이, 밀봉 수지부(52)를 수용하는 부분인 밀봉 수지 수용부(48)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이라는 의미에서의 '대략 연직'이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압력 검출 소자(16)의 소자 본체(18)의 상면(18a)과 밀봉 수지 수용부(48)가 이루는 각도(α)가 90˚ 근방, 바람직하게는, 90˚±1˚의 범위이면 후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압력 센서(10)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가, 밀봉 수지부(52)를 수용하는 부분인 밀봉 수지 수용부(48)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으로서, 이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이므로, 종래와 같이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가 존재하지 않고, 커버 부재(42)의 밀봉 수지부(52)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가 열에 의해 팽창한 경우, 또는 밀봉 수지가 냉각되어 수축된 경우에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수지부(52)와 압력 검출 소자(16)의 소자 본체(18) 사이(도 3의 타원으로 둘러싼 부분 A)에서, 열응력에 의한 박리가 생기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해 절연 불량이나 압력 검출 소자(16)에 부식 등의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 정확한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2)가, 밀봉 수지부(52)를 수용하는 부분인 밀봉 수지 수용부(48)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이므로, 종래와 같이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 소경부가 존재하지 않고, 커버 부재(42)의 밀봉 수지 수용부(48) 내부의 공간(S)에 밀봉된 밀봉 수지부(52)가 커버 부재(42)의 개구부(50)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를 주입할 때, 주입 작업이 용이해 번거롭지 않고,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42) 전체에 수지가 골고루 퍼져, 주입 불량이 생기거나 기포가 발생해 균열이 생기거나 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해 절연 불량이나 압력 검출 소자(16)에 부식 등의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어, 정확한 압력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도 4는 100℃에서 -40℃로 변화시킨 경우의 응력 해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압력 센서(100)와 같이, 방수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106)의 형상이, 대경부인 커버 본체부(120a)와, 중심쪽으로 연장된 단차부(120b)와, 단차부(120b)로부터 수직으로 마련된 소경부(120c)로 구성되는 구조이면, 밀봉 수지(122)와 압력 검출 소자(102)의 소자 본체(126) 사이에서 응력치가 21 ㎫로 크다.
이에 대해,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 센서(10)와 같이, 방수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42)의 형상이, 밀봉 수지부(52)를 수용하는 부분인 밀봉 수지 수용부(48)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으로서, 이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인 경우에는, 응력치가 6 ㎫로 약 3분의 1로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42)를 조인트 부재(14)의 플랜지부(14a)와 맞닿는 기단부(44)와, 압력 검출 소자(16)의 소자 본체(18)가 끼워지는 소자 본체 결합부(46)와, 소자 본체 결합부(46)보다 약간 직경이 작으면서 밀봉 수지부(52)를 수용하는 밀봉 수지 수용부(48)를 일체로 구성했지만,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서로 고정한 커버 부재로 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액체 밀봉형 압력 센서에 적용할 수 있다.
10, 100 압력 센서
12 유로
14, 104 조인트 부재
14a 플랜지부
16, 102 압력 검출 소자
18, 126 소자 본체
18a 상면
20 중앙 개구
22 허메틱 글래스
24, 108 다이어프램
26 연통공
28 다이어프램 보호 커버
30 액체 밀봉실
32, 110 센서칩
34, 114 리드핀
34a 선단
36 와이어
38, 116 기판
38a 관통공
40 압력실
42, 106 커버 부재
44 기단부
46 소자 본체 결합부
48 밀봉 수지 수용부
48a 밀봉 수지 수용부 본체
48b, 120b 단부
48c, 120c 소경부
50 개구부
52 밀봉 수지부
54, 118 외부 리드선
112 와이어 본딩
120a 커버 본체부
122, 124 밀봉 수지
128. 130 접속 부분

Claims (2)

  1. 유로가 형성된 조인트 부재와,
    상기 유로 내의 유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에 고정되고, 조인트 부재의 유로와 대면하도록 배치된 압력 검출 소자와,
    상기 압력 검출 소자에 접속된 외부 리드선과,
    커버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접착제를 구성하는 밀봉 수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 검출 소자와 외부 리드선을 접속하는 기판이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가, 밀봉 수지부를 수용하는 부분에서, 대략 연직으로 마련된 부분을 갖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KR1020130048448A 2012-06-13 2013-04-30 압력 센서 KR10156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4314 2012-06-13
JP2012134314 2012-06-13
JPJP-P-2012-229761 2012-10-17
JP2012229761A JP5656320B2 (ja) 2012-06-13 2012-10-17 圧力センサ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764A true KR20130139764A (ko) 2013-12-23
KR101567938B1 KR101567938B1 (ko) 2015-11-10

Family

ID=4982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448A KR101567938B1 (ko) 2012-06-13 2013-04-30 압력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7938B1 (ko)
CN (2) CN1083754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3597B2 (ja) * 2017-11-13 2020-01-2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圧力センサ
JP2020008306A (ja) * 2018-07-03 2020-01-16 株式会社不二工機 圧力検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圧力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26259B1 (de) * 2000-02-15 2008-12-10 Endress + Hauser GmbH + Co. KG Drucksensor
CN2650097Y (zh) * 2003-05-07 2004-10-20 骆振平 发动机机油压力传感器
JP2004340891A (ja) 2003-05-19 2004-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力センサ装置
CN100535623C (zh) * 2006-06-26 2009-09-02 阮志成 绝缘式集成电路压力感测装置
JP5200951B2 (ja) 2009-01-16 2013-06-05 株式会社デンソー 圧力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27191B2 (ja) * 2009-07-31 2012-09-1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圧力センサ及びその調整方法
CN201780181U (zh) * 2010-07-27 2011-03-30 浙江欧德利科技有限公司 具有灌封式传感器的压力变送器
JP5888843B2 (ja) * 2010-09-22 2016-03-22 株式会社不二工機 圧力センサ
CN202255753U (zh) * 2011-08-29 2012-05-3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卡扣式压力表壳体拆装器及其安装垫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75447A (zh) 2018-08-07
CN103487204A (zh) 2014-01-01
KR101567938B1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280B1 (ko) 압력 센서
US7603908B2 (en)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e for molding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US7152483B2 (en) High pressure sensor comprising silicon membrane and solder layer
KR101483279B1 (ko) 압력 센서 및 압력 센서의 제조 방법
US9638597B2 (en)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ssembly
JP6106004B2 (ja) 圧力センサ
KR20170096575A (ko) 압력 검출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압력 센서
CN103487198B (zh) 压力传感器以及压力传感器的制造方法
US10254186B2 (en) Pressure sensor
KR20130139764A (ko) 압력 센서
JP5656320B2 (ja) 圧力センサー
JP5651670B2 (ja) 圧力検知ユニット
US11137307B2 (en) Pressure sensor
JP5656318B2 (ja) 圧力センサーおよび圧力センサーの製造方法
JP5656319B2 (ja) 圧力センサー
KR102028886B1 (ko) 유체 매체의 압력 검출 장치
CN110319969B (zh) 压力传感器
JP3089853B2 (ja) 半導体感圧素子
JP5720419B2 (ja) 差圧・圧力測定装置
JP2015215364A (ja) 圧力センサ
CN110631620A (zh) 一种传感器装置
CN110749394A (zh) 一种高可靠压力传感器
CN216899394U (zh) 一种同腔体充油式双芯片压力传感器
JP4045988B2 (ja) 圧力センサ
JP2019023566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02

Effective date: 201509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