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250A - 식료품용 재패쇄 캔 - Google Patents

식료품용 재패쇄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250A
KR20130139250A KR1020137008007A KR20137008007A KR20130139250A KR 20130139250 A KR20130139250 A KR 20130139250A KR 1020137008007 A KR1020137008007 A KR 1020137008007A KR 20137008007 A KR20137008007 A KR 20137008007A KR 20130139250 A KR20130139250 A KR 20130139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lient
valve
shutoff valve
opening
resilien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512B1 (ko
Inventor
에르윈 반데르슈트라에텐
Original Assignee
이.브이.디.에스. 비브이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0174888A external-priority patent/EP2426058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1/05424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126511A1/en
Application filed by 이.브이.디.에스. 비브이비에이 filed Critical 이.브이.디.에스. 비브이비에이
Publication of KR2013013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53Methods or machines for closing cans by applying caps or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65D17/4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and provided with attached means for reclosing or re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26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 B65D2517/0028Mean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element the element being part of the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attached to the tear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1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 B65D2517/0094Means for venting upon initial opening formed as a separat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금속 음료 캔용 캔 단부(2)가 설명되는데, 캔 단부는 당김 탭(4)과 연결되어 배열된 캡 상부(3) - 당김 탭(4)은 미리 정해진 홈(9)을 따라서 캡 상부를 제거하여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캔 단부에 부착된 탄성 탄력 요소(10); 및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에 연결되고 음용 또는 붓기 이후에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탄력 작동식 차단 밸브(6)를 포함하고, 캡 상부(3)는 상기 제거 이후에 차단 밸브(6)의 상부에 여전히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캔 단부를 포함하는 캔, 그러한 캔을 개방 및 재패쇄하는 방법, 그리고 그러한 캔을 생산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Description

식료품용 재패쇄 캔{RECLOSING CAN FOR FOOD PRODUCT}
본 발명은 식료품, 특히 음료를 위한 캔과 같은 용기와, 그러한 용기 또는 캔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기 또는 캔은, 특히 탄산 음료 또는 음료수에 적합하다. 용기 또는 캔에는 처음 개방 후에 용이하게 재패쇄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금속 음료 캔은 통상 미리 정해진 얕은 홈을 따라서 캔을 개방하도록 하는 (레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당김 탭(pull tab)을 갖는다. 이러한 설계는 캔이 개방될 때 캔 내의 과도한 압력을 내보내도록 한다. 탭이 들어 올려 질 때, 먼저 통기용 새김 자국이 절단되어 캔 내의 가스가 방출되도록 한 다음, 음료 캔의 내용물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한정하는 개구 새김 자국이 파열된다. 홈은 폐쇄되지 않은 루프의 형상을 가져서, 홈을 따라서 금속을 파열시키도록 레버에 의해 압력이 가해 질 때, 파열된 금속 탭은 레버가 그의 원래 위치로 복귀될 때에도 캔의 상부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다.
기존의 캔에서는, 영구적인 개구가 그러한 조작에 의해 형성되어서, 캔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산화탄소가 새어 나갈 수 있고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784,283호 및 제5,810,189호는 캔이 처음 개방된 후에 음용 개구를 재패쇄하도록 구성된 캔 내에 스프링 장전 탭을 포함하는 음료 캔을 개시한다. 그러나, 탄산 음료 캔의 경우, 가스로 인하여 캔 내에 압력 증가한다. 캔 내의 액체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서 압력이 감소하지만, 압력은 초기에 상당히 높을 수 있는데, 액체의 온도에 따라서 이러한 압력은 3 내지 4 바(ba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5 내지 3.5 cm²의 패쇄 표면 상의 그러한 고압은 캔이 다량의 음료를 여전히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음용을 위한 캔의 개방 시 대응될 필요가 있는 큰 힘을 야기한다.
발명자가 페라(Perra)인 미국 특허 출원 제2008/0314904호는 개구가 구비된 벽부와 개구를 밀봉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식료품 용기, 특히 음료용 용기를 위한 패쇄 장치를 개시한다. 차폐 부재는 벽부의 개구를 밀봉하는 패쇄된 제1 위치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하는 개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차폐 부재에는 패쇄된 제1 위치에서 차폐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고, 패쇄된 제1 위치로 배향된 차폐 부재는 고정 부재를 변위시킴으로써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음용) 개구의 고정 해제 작동과 개방 작동은 이들 두 작동이 서로 독립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도록 분리되어 있다. 식료품 용기는 스파클링 워터와 같은 탄산 음료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로 인하여 음료 용기 내에 압력이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료 용기가 처음 개방될 때 음료 용기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로서 작동하는 가스 통로가 있는 패쇄 장치가 개시된다. 탄산 음료를 위한 것 대신에, 식료품 용기는 또한 예를 들어 비탄산 음료, 인스턴트 스프, 인스턴트 커피, 오일, 꿀, 소스, 우유 또는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 등과 같은 다른 음식품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안적인 용기, 예를 들어 식료품, 특히 탄산 음료와 같은 음료를 위한 캔을 제공한다. 용기 또는 캔의 실시예의 장점은 용기 또는 캔이 처음 개방된 후에 용이하게 재패쇄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음식 또는 액체를 엎지르는 것이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패쇄는 액밀뿐만 아니라 기밀이다. 이 후, 탄산 음료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캔은 재패쇄되기 때문에 종래 캔에서 있는 경우와 같이 이산화탄소는 캔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금속 음료 캔용 캔 단부를 제공하는데, 캔 단부는
- 당김 탭과 연결되어 배열된 캡 상부 - 당김 탭은 미리 정해진 홈을 따라서 캔 단부로부터 캡 상부를 제거하여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 캔 단부에 부착된 탄성 탄력 요소;
- 탄성 탄력 요소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에 연결되고 음용 또는 붓기 이후에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탄력 작동식 차단 밸브를 포함하고,
캡 상부는 제거 이후에 차단 밸브의 상부에 여전히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탄성 탄력 요소는 캡 상부의 이동 시 차단 밸브를 개방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캔 몸체 및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를 포함하는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금속 음료 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캔을 생산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본 방법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를 생산하는 단계와, 캔 몸체를 생산하는 단계와, 캔 단부를 캔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재패쇄 금속 음료 캔을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데, 상기 캔은 캔 몸체 및 캔 단부를 포함하고, 본 방법은
- 상기 캔 단부의 당김 탭을 작동시켜서, 상기 캔 단부의 미리 정해진 홈을 따라서 상기 캔 단부의 캡 상부를 제거하고, 그에 따라서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당김 탭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캔 단부의 탄성 탄력 요소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에 연결되고 음용 또는 붓기 이후에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차단 밸브를 탄력적으로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된 캡 상부는 상기 차단 밸브 상부에 여전히 위치된다.
본 방법은 상기 탄성 탄력 요소에 의해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차단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 또는 캔은 캔 단부를 포함하는데, 캔 단부는 당김 탭과 연결되어 배열된 캡 상부를 포함하고, 당김 탭은 미리 정해진 홈 또는 기계적으로 취약한 다른 형태를 따라서 캡 상부를 제거하여 음용 개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캔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음용 동안 음용 개구를 개방하고 캔이 사용되지 않을 때 음용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탄력 작동식, 예를 들어 스프링 작동식 차단 밸브를 포함한다. 밀봉은 액밀 및/또는 기밀 밀봉일 수 있다. 캡 상부는 바람직하게는, 제거 이후에, 차단 밸브의 상부에 여전히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캔 단부는 캡 상부의 이동 시 차단 밸브를 개방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수단을 갖는, 캔 단부에 부착된 탄성 탄력 요소를 포함한다.
개방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캡 상부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이한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캡 상부는 당김 탭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 상부는 그의 상부 표면 상의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이어서 캡 상부는 상기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캡 상부는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차단 밸브는 릴리프 밸브를 포함하는데, 릴리프 밸브는, 제1 압력이 릴리프 밸브에 인가될 때, 캡 상부와의 상호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고 예를 들어 캔 내부로부터 가스 압력을 방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또는 캔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탄산 음료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하나의 장점은 캔의 내부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탄산 음료 캔에서, 가스로 인하여 캔 내에서 압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 일부 실시예에서, 캔이 두 번째로 또는 그 다음 번째로 개방되는 경우, 내부 압력은 재개방 전에 완화되어서, 캔이 용이하게 재개방될 수 있는데, 이는 큰 힘이 대응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의 다른 장점은 안전 압력 완화(security pressure relief)이다. 탄산 음료를 함유하는 이미 개방된 캔이 재패쇄되는 경우, 압력이 캔 단부 아래에서 증가한다. 음용 개구가 이미 생성됨에 따라서, 캔 단부의 강도는 상당히 감소되었고, 캔 단부는 증가된 압력 하에서 서서히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캔 단부가 외향으로 불룩하게 한다. 특히 고온에서 (예를 들어, 캔이 양지에서 차량 내에 있는 경우), 이러한 영향은 중요해질 수 있고 캔의 파열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이어서, 안전 압력 완화부는 압력이 너무 높아지기 전에 압력을 감소시켜서, 탄산 음료를 함유하는 캔이 파열되지 않고 폭발하지 않도록 확실히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일부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캔이 뒤집어지거나 떨어지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패쇄되는, 유출 방지되는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일부 실시예는 캔의 크기 및 유형에 따라서 용이하게 그리고 상이한 방식으로 재패쇄될 수 있다. 일부 유형의 캔은 캔의 측벽에 대고 부드럽게 밀어서 패쇄될 수 있다. 소정 유형의 캔은 캔을 부드럽게 두드림으로써, 예를 들어 작은 충격을 가하면서 테이블 상에 캔을 놓음으로써 패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또는 캔의 다른 중요한 장점은 용기 또는 캔이 용이하게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캔과 비교하여, 단지 캔 단부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캔의 종래 생산 라인은, 예를 들어 종래의 캔 단부에 대한 생산 단계를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에 대한 생산 단계로 대체함으로써, 예를 들어 생산 라인용 설비를 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용기 또는 캔을 생산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캔 몸체를 위한 그리고 캔 단부를 캔 몸체에 부착하기 위한 생산 단계 및 설비는 여전히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는 적은 수의 부품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는 각각이 탄성 탄력 요소를 갖는 캔 단부들이 적층 가능하도록 치수 및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캔 단부는 상하로 적층될 수 있어서, 캔 단부들의 적층체는 단지 종래의 캔의 적층된 캔 단부들이 요구하는 바와 같이 단지 적은 공간만을 요구한다.
용기 또는 캔은, 특히 음료, 특히 탄산 음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캔이 인스턴트 스프, 인스턴트 커피, 오일, 꿀, 소스, 우유 또는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 등과 같은 다른 식료품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서 본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의 3D 도면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의 그의 처음 개방 이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도 3b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전방 반부가 절단된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4 및 도 5는 캔의 처음 개방을 도시하고,
도 6a 및 도 6b는 음용 준비가 된 캔을 도시하고,
도 7 및 도 8은 캔의 재패쇄를 도시하고,
도 9a 및 도 9b는 재패쇄된 캔을 도시하고,
도 10a 및 도 10b는 압력 완화를 포함하는 캔의 재개방을 도시하고,
도 11은 전방 반부가 절단된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다른 유형의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의 그의 처음 개방 이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2a는 도 12b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유형의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그의 처음 개방 이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3a는 도 13b의 선 C-C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a 및 도 13b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 상부 및 하부에서 본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3D 도면을 도시한다.
도 15b는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을 갖는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의 그의 처음 개방 이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5a는 도 15b의 선 F-F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b는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을 갖는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캔의 처음 개방 이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6a는 도 16b의 선 E-E를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전방 반부가 절단된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의 하부측 3D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탄성 탄력 요소, 캡 상부 및 당김 탭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당김 탭이 부분적으로 절단된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비대칭 탄성 결합 수단을 갖는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강화 부분을 갖는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절개부를 갖는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제동 수단을 포함하는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추가의 고정 특징부를 갖는 캔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상하로 적층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캔 단부들을 도시한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적층 가능 캔 단부들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7의 탄성 탄력 요소의 절첩된 상태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중간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0은 캔 단부에 장착된 도 29의 중간 요소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29의 중간 요소에 조립된 도 28a에 도시된 탄성 탄력 요소를 도시한다.
도 32는 캔 단부에 장착된 중간 요소 및 탄성 탄력 요소의 도 31이 예시하는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서 본 캔 단부의 다른 실시예의 3D 도면을 도시한다.
도 34a 및 도 34b는 도 33a 및 도 33b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5a 및 도 35b는 도 34a 및 도 34b의 탄성 탄력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6a 및 도 36b는 캔 단부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7 및 도 38은 캔 단부의 실시예의 적층체를 도시한다.
도 39는 중간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0은 도 39의 중간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그리고 소정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에 의해서가 아니라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위해서만 제한된다. 설명된 도면은 단지 개략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일부 요소의 크기는 예시를 목적으로 과장될 수 있고 축적에 따라서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치수 및 상대적 치수는 본 발명의 실제에 대한 현실적 축소에 대응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유사한 요소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순차적인 또는 발생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사용되는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거나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작동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용어 상부, 하부, 위, 아래 등은 서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상대적 위치를 서술하기 위하여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사용되는 용어는 적절한 상황 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거나 예시된 것과 다른 배향으로 작동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은 그 이후에 나열된 수단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이는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는 기술된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언급한 만큼만 구체화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군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표현 "수단 A 및 수단 B를 포함하는 장치"의 범주는 구성요소 A 및 구성요소 B만으로 구성된 장치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장치의 단지 적절한 구성요소가 A 및 B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또는 캔, 예를 들어 재밀봉 가능한 음료 캔의 상부 부분의 3D 도면을 도시한다. 캔은 캔 몸체(1) 및 몸체에 부착된 캔 단부(2)를 포함한다. 캔 몸체는 전형적으로 강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표준 캔 몸체일 수 있다. 캔 단부는 종종 알루미늄으로 생산된다. 이들 재료의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2)는 강재로 제조될 수 있다. 만일 캔 몸체(1), 캔 단부(2), 또는 둘 모두에 대하여 강재가 사용되면, 이는 통상적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은 상이한 음료 캔과 같은 표준 용기 및 크기는 물론, 소위 "슬림" 및 "특대" 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소위 작은 음용 개구를 갖는 "슬림 크기" 캔을 도시한다. 큰 음용 개구를 갖는 표준 캔이 아래에 추가로 도시되고 논의된다. 음용 또는 붓기 개구와 같은 다른 설계의 개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캔 단부(2)의 에지는 표준, 특히 식료품이 충전된 후 캔 몸체(1) 상에 조립되어야 하는 방식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캔 단부(2)의 중심부는 표준 음료 캔 단부의 당김부와 매우 유사한, 본 문헌에서 캡 상부라고 하는, 인열 패널(3)을 갖는다. 공지된 종래의 음료 캔에서와 같이, 캡 상부(3)는 레버로서 작동하는 당김 탭(4)을 잡아당김으로써 미리 형성된 얕은 홈(9) 또는 기계적으로 취약한 다른 형태를 따라서 떼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생성된 개구는 종래의 음료 캔에서와 같이 붓기 또는 음용 개구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캔에서, 캡 상부는 여전히 캔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시된 실시예에서 캡 상부(3)는 홈(9)을 따라서 캔 단부로부터 완전히 인열된다. 캡 상부(3)를 떼어낸 후, 캡 상부(3)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작동에 의해, 음용 후에 붓기 또는 음용 개구를 재밀봉하도록 구성된 차단 밸브(6)(도 1b에 도시됨)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처음 개방되기 이전에, 캔은 종래의 캔과 동일한 방식으로 패쇄된다. 이는 종래의 캔에 대한 경우인 것과 같이 금속을 통한 파열을 이룸으로써 개방되고, 따라서 이는 종래의 캔만큼 누출이 방지된다. 많은 다른 기존의 재밀봉 가능한 캔은 다른 개방 메카니즘, 예를 들어 회전에 의한 개방에 의존하고, 이들 캔은 종종 누출 방지와 같이 결코 그렇지는 않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 밸브(6)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인 스프링 수단(5)과 같은 탄력 부재에 의해 그리고 가능하게는 추가로 캔이 탄산 음료로 충전된 경우 증가되는 내부 압력에 기인하는 임의의 힘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 예를 들어 스프링 힘에 의해 탄력적으로 편의된, 예를 들어 캔 단부(2)의 하면에 대항하여 스프링-편의된, 플레이트형 요소이다. 차단 밸브는 둥근 형태일 수 있으며, 타원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 밸브(6)에는 릴리프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릴리프 밸브의 상이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추가로 개시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비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당김 탭(4)을 작동시킴으로써 캡 상부(3)를 인열 개방함으로써 캔으로부터 음용하거나 따를 수 있고; 당김 탭(4)을 더 이동시킨 경우, 차단 밸브(6)는 소비자가 음용하거나 따를 수 있도록 개방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데, 도 4 및 도 5는 캔의 처음 개방을 예시하는 한편, 도 6a 및 도 6b는 음용 준비가 된 캔을 도시한다. 도 6a는 캔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한편, 도 6b는 도 6a에 표시된 영역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a에서, 캡 상부(3) 및 그에 따른 캡 상부 아래의 차단 밸브(6)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힘에 대항하여 당김 탭(4)을 작동시킴으로써 하향으로 밀린다. 도 6a에서, 당김 탭(4)은 이제 화살표(6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래 위치로 다시 놓이고 있다. 차단 밸브(6)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유지 수단(32)에 의해 개방된 위치에 유지되고;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지 수단(32)은 차단 밸브(6)의 약간 하향으로 절곡된 후크(31)와 맞물리고 그에 따라서 밸브를 유지하는 슬릿(32)이다.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10)는 스프링 수단(5)을 포함한다. 탄성 탄력 요소(10)의 본 실시예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저면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 2a 및 도 2b에 상세히 도시되고, 요소(10)는 캔의 상부 부분의 단면도인 도 3a에 추가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10)는 스프링 수단(5)을 포함하고, 차단 밸브(6)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 밸브(6)는 탄성 탄력 요소에 연결된 별도의 요소일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 및 탄성 탄력 요소의 일부가 아닌 경우 차단 밸브는, 예를 들어 변형 및 스탬핑에 대한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조합된 상당히 우수한 복원력을 갖는 고장력강(High Strength Steel, HSS)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10)는 단일 부품이고, 특별히 설계된 플레이트 요소이다. 탄성 탄력 요소(10)는 이제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추가로 논의된다. 탄성 탄력 요소(10)는 차단 밸브(6) 및 스프링 수단(5)을 포함하고, 차단 밸브(6)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좁은 탄성 스트립(13)인 탄성 결합 수단에 의해 스프링 수단(5)에 부착된다. 캔에 장착되기 전에,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는 후굴 부분(bent-back portion)(5')이 얻어지도록 뒤로 절곡된다. 이러한 후굴 부분(5')은 만곡 부분(5") 및 이어서 단부(5'")를 포함할 수 있다. 후굴 부분(5')의 단부(5'")는 차단 밸브(6)의 하면에 대항하여 편의된다(도 3a). 스트립(13) 및 후굴 부분(5')을 포함하는 스프링 수단(5)은 차단 밸브(6)를 캔 단부(2)의 하면에 대항하여 편의시킨다(도 1b).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 실시예는 단부(5'")의 연장 부분(14) 및/또는 돌기(3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둘은 모두 도 3a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좁은 스트립일 수 있는 연장 부분(14)은 캔 단부(2)의 림(30) 아래에 위치되고, 안전 압력 완화부로서 작동한다. 돌기(33)는 일부 실시예에서 캔을 재패쇄하는 데 사용된다. 탄성 탄력 요소(10)의 다른 부분뿐만 아니라 돌기(33) 및 안전 압력 완화부 둘 모두는 추가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탄성 탄력 요소(10)는 우수한 탄력 특성을 갖는 유형의 재료, 예를 들어 강재와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10)는 개구(11)(도 2b에 도시됨)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리벳(12)과 같은 고정 장치를 통하여 캔 단부(2)에 부착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도 3a에서, 당김 탭(4)은 다른 리벳(52)에 의해 캔 단부(2)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실시예를 개방, 재패쇄 및 재개방하는 것이, 전방 반부가 절단된 캔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처음 개방된 본 발명에 따른 캔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당김 탭(4)이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61) 방향으로 작동되고 그에 의해 미리 형성된 홈(9)을 따라서 캡 상부(3)를 떼어냄으로써 캡 상부(3)를 캔 단부(2)로부터 제거한다. 차단 밸브(6) 상부의 캡 상부(3)는, 당김 탭(4)의 작동에 의해, 하향으로 밀리고 탄성 탄력 요소(10)에 의해 차단 밸브(6) 상에 인가된 힘에 대항하여 밀린다.
도 5에서, 당김 탭(4)은 화살표(62) 방향으로 추가로 더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5')의 만곡 부분(5")(도 4 및 5 참조)은 도 5에 화살표(63)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펴진다. 이러한 펴짐은 탄성 탄력 요소(10)의 탄성 특성 및 기하학적 구조, 일반적으로 형상에 기인한다. 이러한 펴짐은, 그에 따라서 돌기(33)가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캔을 재패쇄하는 데 사용될 캔의 측벽(35)에 더 가까이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굴 부분(5')은, 캔의 개방 시, 돌기(33)가 캔의 측벽(35)에 더 가까이 이동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다음 단계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당김 탭(4)은, 화살표(64) 방향으로, 그의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차단 밸브(6), 및 그의 상부 상의 캡 상부(3)는, 도 6a에 표시된 영역의 상세도인 도 6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위치에 유지된다. 이제 캔은 음용 또는 붓기를 위한 위치에 있다. 차단 밸브(6)는,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차단 밸브(6)의 약간 하향으로 절곡된 후크(31)와 맞물리는 슬릿(32)(도 1b에 또한 도시됨)인 유지 수단(32)에 의해 개방된 위치에 유지된다. 물론, 다른 유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의 맞물림 수단은 차단 밸브의 맞물림 수단과 맞물리는 후크이다.
재패쇄 캔의 실시예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당김 탭(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캔의 측벽(35)에 대고 부드럽게 민다. 캔의 측벽은 얇고,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측벽(35)을 통하여,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의 단부의 돌기(33) 상에 힘을 가한다. 이제 돌기(33)는 화살표(65)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크(31) 및 슬릿(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이 해제된다. 탄성 탄력 요소(10)에 의해 인가된 힘으로 인하여, 이제 차단 밸브(6)는 화살표(66) 방향으로 이동하여, 음용 개구를 패쇄한다.
도 9a 및 도 9a에 표시된 영역의 상세도인 도 9b는 재패쇄된 캔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차단 밸브(6)는 이제 음용 개구를 패쇄하고 있는데, 이는 차단 밸브(6)의 시일(19)에 의해 단단히 밀봉된다. 차단 밸브(6)는 그의 원주 둘레 전체에 그러한 시일(19)을 가져서, 음용 개구는 단단히 패쇄된다(예를 들어 도 8에서는 전방 반부가 절단되어 단지 이러한 시일의 반부 및 차단 밸브의 반부가 도시되고, 도 17a에 완전한 시일이 도시되어 있다).
시일(19)은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 상부(3)는 이제 캔 단부(2)의 평면 아래 작은 거리, 예를 들어 십 분의 몇 mm에 있다. 캔의 개방 시 캡 상부의 인열 제거로 인하여 캡 상부(3)의 가장자리에 생성될 수 있는 버(burr)가 캔 단부(2)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버는 음용 개구와 얽히지 않을 것이고, 캔의 재개방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도 9a 및 도 9b의 실시예에서, 캡 상부(3)는 캔이 개방된 후에 차단 밸브(6)를 향하여 약간 이동하는 데, 이는 캡 상부(3)가 차단 밸브(6)에 체결되는 방식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스테이플(36)(단지 하나의 스테이플(36)만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어 있음)이 사용된다. 각각의 스테이플(36)은 캡 상부(3)의 양각부(38)에 클램핑되고, 구멍(21)을 통하여 차단 밸브(6)를 관통하고, 두꺼운 부분, 즉 소위 버섯 형상부(37)로 맺음된다. (스테이플 수단(36)에 대한 2개의 양각부(38)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캔이 처음 개방된 경우, 스테이플 수단(36)은 하향으로 밀리고, 시일(19)의 두께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캔이 재패쇄된 경우, 캡 상부(3)가 캔 단부(2)의 평면 아래 작은 거리에 있기에 충분히 크다. 더욱이, 스테이플(36)은 캡 상부(3)가 차단 밸브(6)의 상부에 여전히 위치되지만 약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여전히 이동할 수 있기에 충분히 길다. 물론 캡 상부(3)은 다른 방식으로 차단 밸브(6)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a에 표시된 영역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 10b는 압력 릴리프 밸브(8)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캔을 재개방하는 것을 도시한다. 캔을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화살표(67) 방향으로 당김 탭(4)을 작동시킨다. 이는 먼저 캡 상부(3)를 하향으로 민다. 캡 상부(3)는 하향하는 융기 부분(25)을 포함한다. 차단 밸브(6)는 융기 부분(25)의 전방에 위치된 구멍(26)을 갖는다. 구멍(26)은 융기 부분(25)을 수용하기 위하여 분화구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5')은 그의 단부 근처에 차단 밸브(6)에 사실상 평행한 부분(5'")이 구비되고, 부분(5'")에는 소비자가 캔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개구(26)를 효과적으로 패쇄하는 시일 요소(27)가 구비되는데, 이는 이어서 부분(5'")이 차단 밸브(6)의 하면에 대항하여 편의되기 때문이다. 화살표(67) 방향으로 당김 탭(4)을 작동시키는 경우, 캡 상부(3)는 하향으로 밀리고 융기 부분(25)은 구멍(26)을 통하여 시일 요소(27)에 대고 민다. 따라서, 부분(5'")은 차단 밸브(6) 자체가 개방되기 전에 화살표(68) 방향으로 차단 밸브(6)로부터 멀리 밀린다. 이러한 작동은 개구(26)를 통하여 캔 내부로부터의 압력을 방출시키고, 그 후에, 당김 탭(4)이 화살표(67) 방향으로 추가 이동될 때 차단 밸브(6)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개구(26)는 융기 부분(25) 및 시일(27)과 함께 압력 릴리프 밸브(8)로서 작동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캔은 또한 안전 압력 완화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캔의 이러한 단면은 탄성 탄력 요소(10)의 단부(5'")의 연장 부분(14)이 캔 단부(2)의 림(30) 아래에 연장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장 부분(14)은, 압력 릴리프 밸브(8)와 함께, 안전 압력 완화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탄산 음료를 함유하는 이미 개방된 캔이 차단 밸브(6)에 의해 재밀봉되는 경우, 이미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캔 단부 아래에 압력이 증가된다. 음용 개구가 생성되었기 때문에, 캔 단부의 강도는 상당히 감소되었고, 캔 단부는 증가된 압력 하에서 서서히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캔 단부를 외향으로 불룩하게 한다. 특히 고온에서, 이러한 영향은 중요해질 수 있고, 캔의 파열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캔 단부가 일정 정도로 변형된 경우, 연장 부분(14)은 캔 단부의 림(30)과 접촉하게 된다(도 3a 참조). 변형이 계속되는 경우, 연장 부분(14)은 하향으로 밀릴 것이고, 결국 시일(27)이 개구(26)로부터 제거되도록 하여, 그에 따라서 압력 릴리프 밸브(8)를 개방한다. 따라서, 가스가 방출되고 캔 내부 압력이 감소하여, 변형이 또한 감소한다. 따라서, 연장 부분(14)은, 릴리프 밸브(8)와 함께, 안전 압력 완화 수단을 제공한다. 즉, 매우 높은 압력에서도, 탄산 음료를 포함하는 캔은 파열되지 않을 것이고 폭발하지 않을 것이다.
도 11은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의 단부의 돌기(33)가 없는 캔 단부 및 캔의 실시예를 나타낸다(도 11을 도 7에 비교). 도 11의 캔의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차단 밸브(6)의 맞물림 수단(31) 및 그와 동일한 탄성 탄력 요소(10)의 맞물림 수단(32)을 갖는다. 도 11의 캔의 실시예는 캔의 측벽에 대고 부드럽게 밀어서는 재패쇄될 수 없다. 대신, 그러한 캔은 캔을 부드럽게 두드림으로써, 예를 들어 작은 충격을 가하면서 테이블 상에 캔을 놓음으로써 패쇄될 수 있다. 그러한 부드러운 두드림에 의해, 차단 밸브 및 탄성 탄력 요소의 맞물림 수단들(예를 들어, 후크 및 슬릿)은 맞물림이 해제되고, 차단 밸브는 탄성 탄력 요소에 의해 그에 인가된 힘에 의해 패쇄된다. 사용자는 또한, 예를 들어 한 손으로 캔을 유지하고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 캔을 부드럽게 두드릴 수 있다. 그는 또한, 예를 들어 그의 엄지손가락으로 개방된 위치의 캡 상부(3)를 밀 수 있다. 이들 동작 중 어느 것도 캔을 패쇄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장점으로는, 캔이 떨어지거나 또는 넘어질 때 캔이 자동으로 재패쇄될 것이고, 그에 따라서 캔이 뜻하지 않게 쓰러지는 경우 캔의 내용물이 엎질러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도 11은 2개의 힌지점의 위치의 실시예를 추가로 도시하는데, 힌지점(45)은 그를 중심으로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5')이 회전하고 힌지점(12)(예를 들어, 탄성 탄력 요소를 체결하는 리벳)은 그를 중심으로 차단 밸브(6)가 회전한다. 이들 힌지점(45, 12)의 상대 위치로 인하여, 화살표(69) 방향으로 당김 탭(4)을 작동시킴으로써 캔이 개방되는 경우, 차단 밸브(6)의 단부점(46)은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5')의 단부 근처의 점(47)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원 상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비록 탄성 탄력 요소(10)의 맞물림 수단(32)이 초기에 차단 밸브의 맞물림 수단(31)보다 힌지점(12, 45)에 더 가까이 있지만, 캔을 개방함으로써 맞물림 수단 둘 모두는 서로 더 가까워질 것이고 맞물릴 것이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은 캔을 개방할 때 펴지고(화살표(도 5의 63) 참조), 이는 또한 서로 가까워지는 맞물림 수단에 기여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이한 유형의 캔, 즉 표준 캔, 슬림 크기 캔, 특대 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슬림 크기 캔을 도시하고, 그러한 캔은 예를 들어 레드 불(Red Bull)TM 음료에 사용된다. 코카 콜라(Coca Cola)TM 음료에 통상 사용되는 것과 같은 표준 캔의 경우, 도 12a 및 도 12b는 도 3a 및 도 3b와 동일한 도면을 도시하는데, 즉 도 12b에서 캔의 처음 개방 이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2a에서 선 B-B를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이들 표준 캔은, 도 12b의 캡 상부(3)를 도 3의 것과 비교할 때 명백한 바와 같이, 더 큰 음용 개구를 갖는다. 다른 차이는 캔 단부의 림(30)과 캔의 측벽(35) 사이의 거리가 더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큰 거리로 인하여, 측벽(35)에 대고 밀어서 캔을 패쇄시키기 위하여, 매우 긴 돌기(33)가 (도 13b에 도시된 평면도에서 선 C-C를 따른 단면과, 하부에서 본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3D 도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 13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된다. 그러한 긴 돌기(33)를 갖는 탄성 탄력 요소(10)를 구비한 캔 단부(2)는,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캔 몸체 상에 장착되기 더 어렵다. 더욱이, 생산 라인에서 캔 단부가 캔 몸체 상에 장착되는 스테이션으로 캔 단부가, 예를 들어 벨트 상에서, 이송될 때, 긴 돌기는 얽힐 수 있어서, 이송 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를 갖는 실시예 대신,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가 없는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어서, 그러한 캔은 측벽에 대고 밀어서 패쇄되지 않을 것이고, 예를 들어 두드림으로써 패쇄될 것으로, 이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캔을 재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이한 방식으로 캡 상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캡 상부는,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당김 탭(4)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캡 상부(3)가 그의 상부 표면 상에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포함하는 캔 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소비자의 입술과 접촉시킴으로써, 그는 캡 상부를 아래로 밀고, 개구를 생성하여, 그는 캔에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그러한 입술 접촉 부분의 기능은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인이 출원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특허 출원 PCT/EP2011/052078호에 상세히 논의되고 설명되어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갖고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의 단부의 돌기(33)를 포함하는 캔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갖고 돌기(33)는 갖지 않는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입술 접촉 부분(7)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단 밸브(6)가 유지 수단(3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캡 상부(3)를 충분히 멀리 아래로 미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캡 상부(3)를 덜 멀리 아래로 미는 데 사용될 수 있어서, 차단 밸브(6)는 입술 접촉 부분(7) 상에 인가된 압력이 제거될 때, 탄성 탄력 요소(10)의 힘에 의해, 패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캔 단부는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포함하지만 유지 수단(32)을 포함하지 않아서, 차단 밸브(6)는 소비자가 입술 접촉 부분(7)을 아래로 미는 것을 멈출 때 자동으로 패쇄되고, 이는 입술 접촉 부분이 아래로 밀린 깊이와 관계없다.
돌기(33)를 갖는 탄성 탄력 요소(10)를 포함하는 캔 단부(2)의 실시예를 캔 몸체(1) 상에 장착하는 것이 이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논의되는데, 도 17b는 도 17a에 표시된 영역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캔 몸체(1)의 상부 부분 및 캔 단부(2)의 반부만이 도시되는데, 전방 반부는 절단되어 있다. 만일 돌기(33)가 캔 단부(2)의 윤곽보다 더 돌출되면, 캔 단부(2)는 캔 몸체(1)에 부착되기 전에 캔 단부(2)를 캔 몸체(1) 상에 장착하도록 다소 경사지게 보유될 수 있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캔 단부를 장착 동안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작은 경사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2개의 스테이플(36) 대신에 단일 스테이플(39)이 사용된다. 이러한 단일 스테이플(39)은 캡 상부(3)를 캔 단부(2)에 부착하고 (이는 또한 2개의 스테이플(36)의 기능임), 더욱이, 이는, 탄성 탄력 요소(10)의 하부측의 3D 도면인 도 18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탄력 요소(10)의 후굴 부분(5') 아래에 패쇄된 연결을 형성한다. 도 19a는 스테이플(39)의 3D 도면을 도시하고 도 19b는 도 19b에 표시된 영역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제 후굴 부분(5')은 스테이플(39)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2개의 상승된 순형부(lip)(40)를 포함한다. 캔 단부(2)를 캔 몸체(1) 상에 장착하기 전에, 후굴 부분(5')은 이제 도 17a 및 도 18의 화살표(7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후굴 부분(5')은 도 17a의 화살표(7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할 것이나, 보다 중요한 것은, 상승된 순형부(40)가 도 18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39) 뒤에 걸릴 것이다. 도 17a에 점선(5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제 돌기(33)는 캔 단부(2)의 윤곽보다 더 이상 더 돌출되지 않는다(또는, 일부 경우에, 이는 단지 약간 그리고 이전의 경우보다 매우 덜 돌출될 것이다). 이제, 캔 단부(2)는 캔 몸체(1)에 더욱 더 용이하게 장착 및 부착될 수 있다. 캔이 처음 개방될 때, 스테이플(39)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36)과 유사하게 하향으로 밀리고, 다시 스테이플(39)은 캡 상부(3)가 여전히 하향 또는 상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캡 상부(3)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충분히 길다. 더욱이, 스테이플(39)은, 캔이 처음 개방될 때 하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승된 순형부(39)가 (화살표(70)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스테이플(40)을 지나서 이동하도록 충분히 길어서, 이제 탄성 탄력 요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능을 할 수 있고, 도 17a의 탄성 탄력 요소(10)의 위치는 단지 장착을 위한 것이다. 물론, 스테이플(39) 대신,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스테이플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캔을 처음 개방할 때, 캡 상부(3)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완전히 떼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 상부는 비대칭으로 떼어진다. 이는 이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인 바, 도 20은 당김 탭(4)이 부분적으로 절단된 캔의 캔 단부(2) 및 상부 부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캡 상부를 비대칭으로 떼어내는 것은, 당김 탭(4)의 대칭 축에 대해 완전한 대칭의 경우, 이러한 대칭 축 둘레의 구역(51)(도 20)인 떼어질 캡 상부의 마지막 부분이 제거되기 어려운 것을 피한다. 캡 상부를 비대칭으로 떼어내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으로 위치된 양각부(54)가 캡 상부(3)에 구비된다. 단일의 양각부(54)만이 존재한다(당김 탭(4)의 절단되지 않는 부분이 도시된 캡 상부(3) 측에는 양각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대칭으로 위치된 양각부(54)로 인하여, 캔을 처음 개방할 때, 당김 탭(4)은 구역(51)의 좌측에 위치된 캡 상부(3) 측 상에 그리고 구역(51)의 우측의 캡 상부(3) 측 상에 상이한 힘을 인가할 것이고, 이는 캡 상부가 비대칭으로 떼어지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10)는 비대칭이다. 도 21이 그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도면의 탄성 탄력 요소(10)는 여전히 평탄한데, 즉 스프링 수단(5)의 부분(5')은 아직 뒤로 절곡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단 밸브(6)는 비대칭 탄성 특성을 갖는 탄성 결합 수단(13, 13')에 의해 스프링 수단(5)에 결합된다. 도 21의 실시예에서, 결합 수단(13, 13') 둘 모두는 좁은 탄성 스트립이나, 스트립(13')은 스트립(13)보다 길고 원형인 차단 밸브(6)의 중심을 지나는 반경에 부착 구역이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차단 밸브(6)에 부착된다. 비대칭 탄성 특성으로 인하여, 캡 상부는 비대칭으로 떼어질 것이다. 본 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된 비대칭으로 위치된 양각부와 조합될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는 플레이트형 요소일 수 있다. 0.2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20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5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매우 얇은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게다가, 탄성 탄력 요소는 무게가 단지 1.5 g 내지 2 g이다. 그러한 가벼운 무게는 캔의 전체 무게를 가능한 가볍게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도 22에 도시된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수단(5)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mm이지만, 다른 치수도 또한 가능하다. 스프링 수단(5)에 대해 우수한 탄성 특성을 갖기 위하여, 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강화 부분(53)을 갖는다(도 22에서, 강화 융기 부분은 "외향"하고, 물론 이는 대향, 즉 "내향"할 수 있다").
도 23은 탄성 탄력 요소(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여기서 스프링 수단(5)의 일부는 뒤로 절곡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 밸브(6)는 그의 원주 둘레에 다수의 절개부(56)를 갖는다(시일(19)의 단지 일부만이 도시되고, 나머지는 절개부가 보이도록 절단되어 있다). 이들 절개부의 장점은 이들이 시일(19)의 위치에서 차단 밸브(6)를 더 가요성으로 만들어서, 시일(19)이 캔 단부(2)에 훨씬 더 잘 끼워 맞춤되는 것이다. 이들 절개부의 대안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차단 밸브(6)를 충분히 얇게 만드는 것이다. 또한 얇은 차단 밸브가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4a 및 도 24b에는, 댐핑 수단 또는 제동 수단(55)을 갖는 (여전히 평탄한) 탄성 탄력 요소(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 밸브(6)가 패쇄된 경우, 제동 수단(55)은 탄성 탄력 요소(10)의 부분(59)에 대항하여 끌려서, 차단 밸브(6)의 패쇄를 늦춘다. 이러한 늦춤은 패쇄 동안 캔의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고, 그와 달리 내용물의 유형에 따라서 그리고 캔 단부의 부품들의 기하학적 특성 및 재료 특성에 따라서 튀는 일이 일어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도 25a 및 도 25b는 이미 개방되었고 내용물의 일부를 여전히 함유하고 있는 캔을 이송하는 데 유용한 추가의 고정 특징부를 갖는 캔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b는 캔의 캔 단부 및 상부 부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5a는 도 25b의 선 D-D를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당김 탭(4)은, 그의 정상 위치에 대하여, 화살표(72) 방향으로 180도에 걸쳐 회전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캔 단부(2)는 적어도 하나의 작은 홈(57)을 갖고, 당김 탭(4)은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홈에 끼워 맞춤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8)를 갖는다. 따라서, 당김 탭(4)은 도시된 위치에 고정되고, 내용물의 일부를 여전히 함유하는 캔을 가방, 예를 들어 숙녀의 가방에 넣어 갈 수 있고, 다르게는 캔의 내용물을 흘릴 수 있는, 캔은 의도하지 않게, 예를 들어 가방 속에 있는 다른 아이템과의 접촉에 의해 개방되지 않을 것이 확실하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단부(2)들의 적층체를 도시한다. 각각의 캔 단부(2)는 탄성 탄력 요소(10)를 포함한다. 캔 단부(2)의 탄성 탄력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2 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mm 미만의 작은 전체 두께를 가져서, 캔 단부들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10)의 전체 두께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탄력 요소(10)가 캔 단부(2) 상에 장착되는 경우 캔 단부(2)의 캡 상부(3)(도 3a 참조)를 통과하는 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의 탄성 탄력 요소의 최대 치수이다. 캔 단부(2)들의 적층체는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캔 단부들의 적층된 세트만큼의 공간만을 요구한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캔 단부(2)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탄력 요소(10)의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에서, 탄성 탄력 요소는 아직 절첩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 그리고 위에서 논의된 탄성 탄력 요소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탄성 탄력 요소(10)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개방된 위치에 차단 밸브(6)를 유지하기 위한 도 27에 도시되지 않은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는 예를 들어 강재로 제조된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9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오스테나이트 강재 1.4310 C1300이 사용될 수 있고, 그 두께는 0.2 mm, 또는 0.15 mm, 또는 0.10 mm, 또는 0.05 mm일 수 있다. 우수한 복원력 특성 및 우수한 가소성(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절첩을 위함)을 갖는 다른 재료와, 다른 두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7의 탄성 탄력 요소(10)의 절첩된 상태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두께가 0.1 mm인 강재 1.4310 C1300이 사용되는 일 실시예에서, 절첩된 탄성 탄력 요소는, 재료의 우수한 가소성으로 인하여, 전체 두께가 단지 약 0.2 mm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압력 릴리프 밸브(8)가 단순화될 수 있다. 만일 예를 들어 도 28a 및 도 28b에 관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탄성 탄력 요소가 사용되면, 일부 실시예에서 캡 상부(3)의 융기 부분(25)(도 10a 및 도 10b 참조)은 매우 작을 수 있고, 차단 밸브(6)의 구멍(26)은 생략될 수 있다. 만일 탄성 탄력 요소(6)의 전체 두께가 예를 들어 대략 0.2 mm로 충분히 작다면, 융기 부분(25)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10)의 작은 탄성력으로 인하여, 캔을 재개방할 때, 국부적으로 하향 이동하는 캡 상부는 캔 내부의 압력을 완화하는 작은 개구를 생성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중간 요소(8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간 요소(80)는 탄성 탄력 요소(10)와 캔 단부(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탄성 탄력 요소를 부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0은 캔 단부(2)에 부착된 중간 요소(8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간 요소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31은 중간 요소(80)에 조립되는 탄성 탄력 요소(10)를 도시한다. 요소들 둘 모두는 중간 요소(80)의 개구(81) 및 탄성 탄력 요소(10)의 개구(91)를 관통하는 리벳과, 중간 요소(80)의 개구(82) 및 탄성 탄력 요소(10)의 개구(92)를 관통하는 리벳을 사용하여 서로 리벳 고정될 수 있다. 도 32는 캔 단부(2)에 장착된 탄성 탄력 요소(10) 및 이어서 중간 요소(80)의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간 요소의 경우, 예를 들어 우수한 신장 특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될 수 있다. 중간 요소는 두께가 예를 들어 0.05 mm 또는 0.1 mm일 수 있지만, 다른 두께들도 또한 가능하다. 중간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몇몇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탄성 탄력 요소는 접착제에 의해 캔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중간 요소에 리벳 고정될 수 있어서, 캔 단부를 관통하는 리벳이 요구되지 않는다. 중간 요소는 캔 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이는 탄성 탄력 요소를 또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중간 요소를 사용하여 더 큰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40은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더욱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캔 단부는,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작은 전체 두께를 갖는 탄성 탄력 요소를 포함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갖는 캔 단부(2)의 그러한 실시예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3a 및 도 33b는 도 1a 및 도 1b와 유사하지만 이제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추가로 도시한다. 탄성 탄력 요소(10)의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a)은, 아래에서 추가로 도 35b를 참조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캔 단부(2)의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에 끼워 맞춤되고,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압인부(7c, imprint)가 부분(7a)을 부분(7) 내에 클램핑하는 데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유지 수단(32)이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없는데, 도 33 내지 도 40에는 유지 수단(32)이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3b에 도시된 탄성 탄력 요소(10)는 연장 부분(14)을 갖는데, 연장 부분(14)은,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고온으로 인하여 내부 압력이 캔을 변형시키는 경우 연장 부분(14)과 림(30)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캔 단부(2)의 림(30) 아래에 연장되고, 이어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연장 부분(14)은 안전 압력 완화부로서 작동한다.
도 34a 및 도 34b는 도 33a 및 도 33b의 실시예에 사용된 탄성 탄력 요소(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4a는 절첩되기 전의 탄성 탄력 요소(10)를 도시하고; 도 34b는 절첩선 LL을 따라서 절첩된 후의 탄성 탄력 요소(10)를 도시한다.
도 35a는 도 34a 및 도 34b의 탄성 탄력 요소(10)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실시예의 3D 도면을 도시하는 한편, 도 35b는 이러한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3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탄력 요소의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a)은 캔 단부의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에 끼워 맞춤된다. 부분(7a)은 압인부(7c)에 의해 부분(7)에 클램핑되지만, 양 부분이 소정의 유극(play)으로 끼워 맞춤되도록 공차가 있어서, 압력 릴리프 밸브(8)는 적절하게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탄성 탄력 요소의 전체 두께가 충분히 작다면, 압력 릴리프 밸브의 단순화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6a는, 크라운(Crown), 오늘날의 크라운 홀딩 인크.(Crown Holding Inc.)로부터의 소위 "스탠다드 엔드(Standard End)" 캔 단부(2)에 대한,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논의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러한 "스탠다드 엔드"는 오늘날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도 36b는 새로운 유형의 캔 단부인 크라운 홀딩 인크.로부터의 수퍼엔드(SuperEnd)TM 캔 단부(2)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캔 단부(2)들은,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될 수 있고, 게다가 캔 단부들의 형상 및 치수는 그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된다. 도 37은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탠다드 엔드" 캔 단부(2)의 적층체를 도시하는 한편, 도 38은 수퍼엔드TM 캔 단부(2)의 적층체를 도시하는데, 둘 모두의 경우에, 각각의 캔 단부(2)는 제1 면(101) 및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102)을 갖고, 여기서 제2 면(102)은 다른 하나의 동일한 캔 단부(2)의 제1 면(10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수퍼엔드TM 캔 단부(2)의 장점들 중 하나는 캔 단부(2)들의 적층체가 직선일 필요는 없다는 것으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A)를 갖는 캔 단부(2)들의 적층체에서, 최상층 캔 단부는 최하층 캔 단부에 대해 거리(B)에 걸쳐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생산 단계에서, 캔 단부들의 적층체가 이송될 때,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39는,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33 내지 도 38에 도시된 탄력 요소(10)의 실시예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중간 요소(8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한편, 도 40은 이러한 중간 요소(80)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0의 실시예에서, 탄성 탄력 요소(10)는 2개의 상이한 부품, 즉 부품(10a) 및 부품(10b)을 포함한다. 2개의 부품은 도 34a의 탄성 탄력 요소(10)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는 이러한 단일 탄성 탄력 요소가 절첩선 LL을 따라서 절단된 경우이다.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탄성 탄력 요소를 갖는 장점은 2개의 부품이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a)을 포함하는 부품(10b)은 예를 들어 높은 소성 변형을 허용하는 강재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부품(10a)은 예를 들어 이미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오스테나이트 강재로 제조될 수 있다.
중간 요소(80)는 2개의 니플(85, 86) 및/또는 절첩부(87)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요소(80)는 접착제로 캔 단부(2)에 부착될 수 있다. 단일 부품으로 된 탄성 탄력 요소(10)가 사용되는 일 실시예에서, 이는 니플(85, 86)을 통하여 중간 요소(80)에 부착될 수 있다. 2개의 부품(10a, 10b)을 갖는 탄성 탄력 요소(10)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서, 부품(10a, 10b) 둘 모두는 절첩부(87)를 통하여 중간 요소(80)에 클램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는 후속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42)

  1.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금속 음료 캔용 캔 단부(2)이며,
    - 당김 탭(4)과 연결되어 배열된 캡 상부(3) - 당김 탭(4)은 미리 정해진 홈(9)을 따라서 상기 캔 단부로부터 상기 캡 상부를 제거하여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 캔 단부에 부착된 탄성 탄력 요소(10); 및
    -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에 연결되고 음용 또는 붓기 이후에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탄력 작동식 차단 밸브(6)를 포함하고,
    상기 캡 상부(3)는 상기 제거 이후에 상기 차단 밸브(6)의 상부에 여전히 위치되도록 구성된 캔 단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상기 캡 상부(3)의 이동 시 상기 차단 밸브(6)를 개방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유지 수단(32)을 갖는 캔 단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32)은 상기 당김 탭(4)에 의한 상기 캡 상부(3)의 이동 시 상기 차단 밸브(6)를 상기 개방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캔 단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상부(3)는 상부 표면을 갖고, 상기 상부 표면 상에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포함하는 캔 단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32)은 상기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에 의한 상기 캡 상부(3)의 이동 시 상기 차단 밸브(6)를 상기 개방된 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인 캔 단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6)는 릴리프 밸브(8)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8)는, 제1 압력이 상기 릴리프 밸브(8) 상에 인가될 때, 상기 캡 상부(3)와의 상호 작동에 의해 작동 가능하고 캔 내부로부터 가스 압력을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캔 단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캔 단부를 포함하는 캔을 넘어뜨리거나 또는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차단 밸브(6)를, 상기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해제하여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패쇄 또는 밀봉하도록 구성된 캔 단부.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 상기 차단 밸브(6), 및 상기 캡 상부(3)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요소 상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차단 밸브(6)를, 상기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해제하여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패쇄 또는 밀봉하도록 구성된 캔 단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힘은 상기 캔의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캔 단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힘의 상기 인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캔을 두드리는 것인 캔 단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6)는 제1 맞물림 수단(31)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수단(32)은 상기 제1 맞물림 수단(31)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 수단(32)을 포함하는 캔 단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맞물림 수단(31)은 후크 수단(31)인 캔 단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6)는 원주를 갖고 상기 원주 둘레에 시일(19)을 포함하는 캔 단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상기 차단 밸브(6)의 패쇄를 늦추기 위한 제동 수단(55)을 포함하는 캔 단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전체 두께가 2 mm 미만인 캔 단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전체 두께가 1 mm 미만인 캔 단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전체 두께가 0.5 mm 미만인 캔 단부.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는 플레이트 스프링 수단(95)을 포함하는 캔 단부.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와 상기 캔 단부 사이에 중간 요소(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캔 단부.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연장 부분(14)을 갖고, 상기 연장 부분(14)은 내부 압력이 상기 캔 단부를 변형시킬 때 상기 연장 부분(14)과 림(30)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캔 단부의 림(30) 아래에 연장되고, 상기 접촉은 상기 릴리프 밸브(8)의 개방을 작동시키는 캔 단부.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단부는 제1 면(101) 및 상기 제1 면(101)에 대향하는 제2 면(102)을 갖고, 상기 제2 면(102)은 캔 단부들의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캔 단부의 제1 면(10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캔 단부.
  22.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단부(5'")를 갖는 후굴 부분(5')을 포함하는 스프링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상기 캔 단부(2)의 하면에 대항하여 상기 차단 밸브(6)를 편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굴 부분(5')의 상기 단부(5'")는 그 자체가 상기 차단 밸브(6)의 하면에 대항하여 편의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8)는
    - 상기 차단 밸브(6)의 릴리프 개구(26);
    - 상기 후굴 부분(5')의 상기 단부(5'")에 부착되고 캔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릴리프 개구(26)를 폐쇄하도록 배열된 시일 요소(27); 및
    - 제1 접촉 압력 시에 시일 요소(27)를 릴리프 개구(26)로부터 멀리 미는 방식으로 상기 릴리프 개구(26) 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캡 상부(3)의 융기 부분(25)을 포함하여, 그에 의해 캔의 내부로부터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는 캔 단부.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측벽(35)을 갖고,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는, 상기 캔 단부가 상기 캔에 부착된 경우, 상기 측벽(35)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33)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 상에 대한 상기 힘의 인가를 위하여 상기 측벽(35)에 대고 미는 것을
    허용하는 캔 단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후굴 부분(5')은 상기 차단 밸브(6)의 상기 개방된 위치를 향한 이동 시 상기 캔의 상기 측벽(35)을 향하여 상기 돌기(33)를 이동시키도록 펴지는 만곡 부분(5")을 갖는 캔 단부.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굴 부분(5')은 내부 압력이 상기 캔 단부를 변형시킬 때 상기 연장 부분(14)과 림(30)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캔 단부의 림(30) 아래에 연장된 연장 부분(14)을 갖고, 상기 접촉은 상기 릴리프 개구(26)의 개방을 작동시키는 캔 단부.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5)은 플레이트 스프링(5)인 캔 단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스프링(5)은 강화 부분(53)을 갖는 캔 단부.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6)는 탄성 결합 수단(13, 13')에 의해 상기 스프링 수단(5)에 결합되는 캔 단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 수단(13, 13')은 비대칭 탄성 특성을 갖는 캔 단부.
  30. 캔 몸체(1) 및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캔 단부(2)를 포함하는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금속 음료 캔.
  31. 제30항에 따른 캔을 생산하는 방법이며,
    -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캔 단부(2)를 생산하는 단계;
    - 캔 몸체(1)를 생산하는 단계; 및
    - 캔 단부를 캔 몸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캔 몸체(1) 및 캔 단부(2)를 포함하는, 선택적으로는 탄산 음료를 위한 재패쇄 금속 음료 캔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 상기 캔 단부(2)의 당김 탭(4)을 작동시켜서, 상기 캔 단부의 미리 정해진 홈(9)을 따라서 상기 캔 단부(2)의 캡 상부(3)를 제거하고, 그에 따라서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당김 탭(4)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캔 단부의 탄성 탄력 요소(10)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에 연결되고 음용 또는 붓기 이후에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차단 밸브(6)를 탄력적으로 개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거된 캡 상부(3)는 상기 차단 밸브(6) 상부에 여전히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에 의해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차단 밸브(6)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6)의 제1 요소(31)를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의 제2 요소(32)와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차단 밸브(6)를 상기 개방된 위치에 유지시키는 방법.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6)가 상기 개방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 상에, 또는 상기 차단 밸브(6) 상에, 또는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 및 상기 차단 밸브(6) 둘 모두 상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로부터 상기 차단 밸브(6)를 해제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패쇄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힘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캔을 두드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로부터 상기 차단 밸브(6)를 해제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패쇄하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힘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캔의 측벽(35)에 대고 밀고, 그에 따라서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의 돌기(33)에 대고 미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로부터 상기 차단 밸브(6)를 해제하고 그에 따라 상기 음용 또는 붓기 개구를 패쇄하는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탭(4)을 재작동시켜, 상기 차단 밸브(6)를 재개방하고, 상기 차단 밸브(6)를 상기 개방된 위치에 유지시켜, 상기 캔을 재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된 입술 접촉 부분(7)을 상기 캡 상부(3)의 상부 표면 상에 접촉시켜, 상기 차단 밸브(6)를 재개방하고 그에 따라 상기 캔을 재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8)를 작동시켜서, 상기 차단 밸브(6)의 상기 재개방 이전에 상기 캔 내의 가스 압력을 방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1. 제35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단부(2)를 변형시켜서, 그에 의해 상기 캔 단부(2)의 림(30)에 의해 상기 탄성 탄력 요소(10)의 연장 부분(14)과 접촉하고 그에 의해 상기 차단 밸브(6)의 릴리프 개구(26)를 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캔을 가열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캔 단부(2)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08007A 2010-09-01 2011-09-01 식료품용 재폐쇄 캔 KR101878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4888.7 2010-09-01
EP10174888A EP2426058A1 (en) 2010-09-01 2010-09-01 Self-closing can for a food product
EPPCT/EP2011/052078 2011-02-11
PCT/EP2011/052078 WO2012028338A1 (en) 2010-09-01 2011-02-11 Self-closing can for a food product
PCT/EP2011/054248 WO2012126511A1 (en) 2011-03-21 2011-03-21 Reclosing can for food product
EPPCT/EP2011/054248 2011-03-21
US201161508195P 2011-07-15 2011-07-15
US61/508,195 2011-07-15
PCT/EP2011/065143 WO2012028694A1 (en) 2010-09-01 2011-09-01 Reclosing can for food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250A true KR20130139250A (ko) 2013-12-20
KR101878512B1 KR101878512B1 (ko) 2018-07-13

Family

ID=4577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007A KR101878512B1 (ko) 2010-09-01 2011-09-01 식료품용 재폐쇄 캔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440767B2 (ko)
EP (1) EP2611705B1 (ko)
JP (1) JP5986087B2 (ko)
KR (1) KR101878512B1 (ko)
CN (1) CN103167988B (ko)
AU (1) AU2011298346B2 (ko)
BR (1) BR112013004761B1 (ko)
CA (1) CA2809717C (ko)
EA (1) EA024023B1 (ko)
ES (1) ES2625356T3 (ko)
MX (1) MX358488B (ko)
MY (1) MY158987A (ko)
PL (1) PL2611705T3 (ko)
SG (1) SG188348A1 (ko)
WO (1) WO2012028694A1 (ko)
ZA (1) ZA2013022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4992A1 (en) 2013-02-12 2014-08-21 E.V.D.S. Bvba Intermediate element for reclosing can
WO2016138933A1 (en) 2015-03-02 2016-09-09 E.V.D.S. Bvba Reliable opening can end for reclosing can
MA41632A (fr) 2015-03-02 2018-01-09 E V D S Bvba Couvercle fiable pour canette refermable
EP3133024A1 (en) 2015-08-21 2017-02-22 E.V.D.S. Bvba Can end for user-friendly reclosing can
WO2017032752A1 (en) * 2015-08-21 2017-03-02 E.V.D.S. Bvba Can end for user-friendly reclosing can
RU2745897C2 (ru) * 2016-07-08 2021-04-02 Роланд ЭНДРЮС Устройство откры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а, закрывающе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и контейнер
BE1024800B1 (nl) * 2017-03-22 2018-07-10 E.V.D.S. Bvba Hersluitbaar deksel voor drankblik
EP3670373B1 (de) * 2018-12-17 2021-05-12 RE-LID Engineering AG Verschlusssystem für getränkedosen
DE102019004542A1 (de) 2019-06-24 2020-12-24 Gert Löwe Dosendeckel mit einer dicht wiederverschließbaren Trinköffnung
US11780658B2 (en) * 2020-03-27 2023-10-10 Craft Innovators, LLC Mechanical pressure relief valve for use in live beverag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174A (en) * 1979-01-29 1980-02-26 Thermo-Seal, Inc. Drinking receptacle cover with a lip operated valve
US4316249A (en) * 1979-09-28 1982-02-16 Hittman Corporation Automatic high speed Holter scanning system
US4361249A (en) * 1981-02-25 1982-11-30 Tuneski Richard J Beverage container lid
US4747511A (en) 1986-07-10 1988-05-31 Sun Coast Plastics, Inc. Plug-type openers for plastic can ends
US4784283A (en) 1988-01-21 1988-11-15 Paul Cantu Self-closing beverage can
GB8928893D0 (en) 1989-12-21 1990-02-28 Whitbread & Co Plc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JPH08175540A (ja) * 1994-12-22 1996-07-09 Asako Hanno 片手で開けられるドリンク缶
JPH0939962A (ja) 1995-07-28 1997-02-10 Tadao Kobayashi タ ブ
US5810189A (en) 1995-11-22 1998-09-22 Baker; Anthony Leonard Container seal
US6626314B1 (en) * 2001-03-13 2003-09-30 Rexam Beverage Can Company Resealable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JP2004291990A (ja) * 2003-03-26 2004-10-21 Yoshimaru Hideki 飲料用缶の開閉機構
NL1024270C2 (nl) 2003-09-11 2005-03-14 Nicola Perra Drankhouder, halffabrikaat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drankhouder.
US7537134B2 (en) 2005-06-27 2009-05-26 Lee Richard S Self-closing fluid container
DE102007028048A1 (de) * 2006-06-17 2008-06-19 Horst Heigl Behälterverschlussvorrichtung
ES2527928T3 (es) 2008-08-21 2015-02-02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Tapa para un bote y método para orientar dicha tapa
US20120248113A1 (en) * 2011-04-01 2012-10-04 Marjan Majcen Resealable Hinged Tab Opener For A C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98346A1 (en) 2013-04-11
MY158987A (en) 2016-11-30
KR101878512B1 (ko) 2018-07-13
ZA201302246B (en) 2013-11-27
BR112013004761B1 (pt) 2019-09-10
CN103167988B (zh) 2016-01-20
US9440767B2 (en) 2016-09-13
SG188348A1 (en) 2013-04-30
CN103167988A (zh) 2013-06-19
JP2013539441A (ja) 2013-10-24
BR112013004761A2 (pt) 2016-08-02
MX358488B (es) 2018-08-23
MX2013002376A (es) 2013-07-02
CA2809717C (en) 2018-10-23
EA024023B1 (ru) 2016-08-31
ES2625356T3 (es) 2017-07-19
CA2809717A1 (en) 2012-03-08
EP2611705B1 (en) 2017-02-22
EP2611705A1 (en) 2013-07-10
EA201390321A1 (ru) 2013-09-30
WO2012028694A1 (en) 2012-03-08
AU2011298346B2 (en) 2015-02-19
JP5986087B2 (ja) 2016-09-06
US20130161325A1 (en) 2013-06-27
PL2611705T3 (pl)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512B1 (ko) 식료품용 재폐쇄 캔
US8336725B2 (en) Sealing device for a container
JP5542432B2 (ja) 缶オープナ
US8215513B1 (en) Self-closing resealable can end
EP2800706B1 (en) Can comprising a first, dispense opening and second, vent opening
CA3123736C (en) Can lid, c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n lid
US20180362210A1 (en) Can end for user-friendly reclosing can
EP2426058A1 (en) Self-closing can for a food product
WO2012126511A1 (en) Reclosing can for food product
BE1024800A1 (nl) Hersluitbaar deksel voor drankblik
US20180105319A1 (en) Reliable opening can end for reclosing can
EP3133024A1 (en) Can end for user-friendly reclosing can
CN115768695A (zh) 罐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