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108A -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108A
KR20130139108A KR1020120062863A KR20120062863A KR20130139108A KR 20130139108 A KR20130139108 A KR 20130139108A KR 1020120062863 A KR1020120062863 A KR 1020120062863A KR 20120062863 A KR20120062863 A KR 20120062863A KR 20130139108 A KR20130139108 A KR 2013013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heel alignment
vehicle
speed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일
서정욱
Original Assignee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20062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108A/ko
Publication of KR2013013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13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4Vibration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고속 및 직진 주행 중에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검출 방법은 고속 주행 여부 및 직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고속 주행이고 직진인 경우에 전륜 좌측(FL: Front Left) 휠과 전륜 우측 (FR: Front Right) 휠의 속도 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차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wheel alignmen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차륜 정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및 직진 주행 시에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은 해당 자동차의 설계 규격에 따라 정확하게 조립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든 규격 제품의 상호 결합상태가 휠 얼라이먼트의 기본이 된다.
휠 얼라이먼트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마찰력, 가속도, 원심력 및 구동력에 대하여 힘의 균형을 유지시켜 차량의 유연한 운행과 노면과의 접촉성을 한층 더 높여줌으로써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고 직진이나 회전에서 더욱 안정된 차량의 자세를 유지시켜 롤(Roll)이나 전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휠 얼라이먼트는 토우(Toe), 캠버(Camber) 캐스터(Caster), 킹 핀 경사각 등의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보완작용을 하여 핸들의 조작력을 경감시키고, 핸들 조작의 안전성을 제공하며, 차량의 직진성과 핸들의 복원성, 타이머 마모의 경감을 제공한다.
휠 얼라이먼트는 상시적으로 차량의 설계시에 주어진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주행 여건상 사고의 발생 및 노면의 충격 등 생각하지 않은 돌발상황이 발생하여 링크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휠 얼라이먼트는 설정된 각도에서 쉽게 변화되어 차륜 정렬이 규정된 각도를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휠 얼라이먼트가 규정된 각도를 벗어난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을 지속하게 되면 직진성과 핸들 복원성 등의 조향 성능을 저하시키며 타이어의 편마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전자의 경우 휠 얼라이먼트가 무엇인지, 규정된 각도를 벗어났는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차량에 대한 정비 지식이 있는 운전자의 경우도 세심한 관심을 갖지 않는 이상 휠 얼라이먼트가 규정된 각도를 벗어났는지를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속 및 직진 주행 중에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고속 주행 여부 및 직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고속 주행이고 직진인 경우에 전륜 좌측(FL: Front Left) 휠과 전륜 우측 (FR: Front Right) 휠의 속도 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차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속 주행 여부는,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지에 의해 판단하고, 상기 직진 여부는, 조향 토크(steering torque)가 0Nm을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 및 조향 각(steering angle)이 0deg을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상 지속되는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FL 휠 및 FR 휠의 속도는 각각의 휠 스피드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기준값은 기 설정된 회전 횟수이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속도 차가 상기 회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속 주행 여부 및 직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랙-바(Rack-bar)에 연결된 출력 축(Output Shaft)의 진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축의 진동을 기 설정된 주파수와 비교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운전자의 조향(steering)에 의해 발생시킬 수 없는 주파수이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 축의 진동이 상기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축의 진동은 진동검출기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은 고속 및 직진 주행 중에, 조향토크 센서, 조향각 센서, 및 FL와 FR 휠속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휠 얼라이먼트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FL와 FR 휠속 센서에 의해 측정된 휠 속의 차이를 통해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하거나, 조향축의 출력 축에서의 소정 주파수 이상의 진동을 검출함으로써,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에 대한 순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조향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에 대한 순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구조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차량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은, 전륜(Front Wheel: FW)에 설치되어 차속을 측정하는 전륜 스피드 센서(122, 122'), 그리고 조향 컬럼(103) 내부에 설치되어 조향 핸들(101)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조향 토크를 감지하는 조향 토크 센서(127), 및 조향 핸들의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129)를 이용할 수 있다.
전륜 스피드 센서(122, 122')는 전륜 좌측(Front Left: FL) 휠의 속도를 측정하는 FL 휠속 센서(122), 및 전륜 우측(Front Right: FR) 휠의 속도를 측정하는 FR 휠속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토크 센서(127)는 조향 핸들의 트러짐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흡수 동력계 센서 또는 토크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흡수 동력계 센서는 전기, 물, 공기, 고체 마찰 동력계로 구분될 수 있고, 토크 센서는 자기변형 토크 센서, 변형 게이지식 토크 센서, 위상차 검출형 토크 센서 등이 있다.
조향각 센서(129)는 조향 핸들이 중립 상태, 즉 직진에 대응하는 기준점 상태에서 몇 도의 각도로 틀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에서, 조향 토크 센서(127) 및 조향각 센서(129)를 이용하여 차량의 직진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FL 휠속 센서 및 FR 휠속 센서(122, 122')를 이용하여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은 차량의 고속 주행 여부 판단도 요구되는데, 차량의 고속 주행 여부 판단은 GPS를 이용하거나, 차량의 속도계, 또는 차량의 속도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속도 센서는 앞서 FL 및 FR 휠속 센서일 수 있다. 한편, 고속 주행 여부는 상기 예시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법을 통해서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ECU(Electronic Control Unit)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상태 신호를 받아 설정된 로직에 따라 처리하는 전자 제어부를 의미한다. 예컨대, ECU는 조향 토크 센서(127) 및 조향각 센서(129)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터(108)를 조정하여 조향 축의 회전을 지원한다. 한편, HCU(Hydraulic Control Unit)는 ECU의 처리 판단에 따라 차륜(FW, RW)에 장착된 전, 후륜 작동 실린더를 조작하는 유압 조정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은 기존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을 도 2a 및 2b의 순서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에 대한 순서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110). 차량이 주행 중인지는 FL 또는 FR 휠속 센서 등을 통해 바퀴의 회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주행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No),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종료한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은 주행 중에 휠 얼라이먼트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차량이 주행 중으로 판단된 경우(Yes), 차량이 직진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120). 차량의 직진 주행 여부는 전술한 조향 토크 센서(127) 및 조향각 센서(129)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토크 센서(127)가 0Nm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수준 이내, 그리고 조향각 센서가 0°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수준 이내로 유지되는 상태가 소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직진 주행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토크 센서(127)가 ±40Nm 이내, 그리고 조향각 센서가 ±2° 이내로 유지되는 상태가 1분 정도 지속되는 경우 직진 주행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기 수치들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에 따라 토크, 조향각 그리고 지속 시간에 대한 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차량이 직진 주행하지 않는 경우(No), 다시 차량 주행 여부 판단 단계(S110)로 이행하고, 차량이 직진 주행하는 경우(Yes), 차량이 고속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130). 차량의 고속 주행 중인지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GPS를 이용하거나, 차량의 속도계, 또는 차량의 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80 km/h 이상이면 고속 주행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고속 주행 중이지 않는 경우(No)에는 다시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이행한다. 경우에 따라, 직진 주행 판단 단계(S120)로 이행할 수도 있다. 차량이 고속 주행 중으로 판단된 경우(Yes), FL 휠과 FR 휠의 속도 차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40). 즉, FL 휠속 센서 및 FR 휠속 센서를 통해 각각 측정된 FL 휠속과 FR 휠속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휠 얼라이먼트가 잘 맞는 상태에서는 직진 시에 FL 휠속과 FR 휠속 간의 차이는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휠 얼라이먼트가 틀어진 경우에 FL 휠속과 FR 휠속 간의 차이의 발생하게 된다.
FL 휠과 FR 휠의 속도 차가 존재하지 않으면(No), 다시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이행한다. 경우에 따라,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이 없는 것을 판단하여 종료 단계로 이행할 수도 있다. FL 휠과 FR 휠의 속도 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Yes), FL 휠속과 FR 휠속 간의 차이가 일정시간당 기 설정 회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50). 예컨대, 1분에 5회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기 수치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에 따라 시간당 설정 회수가 변경될 수 있다.
FL 휠속과 FR 휠속 간의 차이가 일정시간 기 설정 회수를 초과하면(Yes), 휠 얼라이먼트 이상으로 판단한다(S160). FL 휠속과 FR 휠속 간의 차이가 일정시간 기 설정 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No), 다시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로 이행한다. 경우에 따라,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이 없는 것을 판단하여 종료 단계로 이행할 수도 있다.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휠 얼라이먼트 이상 신호를 발생시킨다(S170). 휠 얼라이먼트 이상 신호는 램프나 부저 등을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계기판에서 램프가 켜지거나 깜박거리는 식으로, 또는 부저가 울리는 식으로 이상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이상 신호 발생이 상기 램프나 부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진동을 통해 알리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은 도 2a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과 유사하나, 직진 주행 판단 단계와 고속 주행 판단 단계의 판단 순서가 다르다. 즉, 도 2a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에서는 직진 주행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그 후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반대로 고속 주행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S220), 다음 직진 주행 여부를 판단한다(230). 고속 주행 여부와 직진 주행 여부의 판단 순서가 달라져도 결과는 동일하게 된다.
한편, 직진 판단과 고속 주행 여부를 동시에 판단하여, 직진 주행이면서 고속 주행인 경우에 휠 속도차 발생 여부 판단 단계(S140)로 이행할 수도 있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도 2a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기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조향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조향 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 휠 또는 조향 핸들(101)과 이에 연결된 조향 축(Steering Shaft, 105), 그리고 조향 축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컬럼(103), 조향 축(105)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110)와 피니언 기어(120)를 구비하는 기어 박스(130), 그리고 랙 기어(110)에 연결된 랙-바(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조향 장치에는 전동식 모터의 힘으로 핸들 조정을 보조하는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또는 EPS(Electronic Power Steering)가 이용될 수 있다.
조향 축(105)은 입력 축(Input Shaft)과 출력 축(Output Shaft)으로 구성되며, 입력 축은 조향 휠(101)에 연결되고, 출력 축은 랙 기어를 통해 랙-바(140)에 연결되어 있다. 주행 중에 휠 얼라이먼트 이상이 발생하면 랙-바(140)를 통해 출력 축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축에 진동 검출기(125)를 장착하고 진동 검출기(125)를 통해 소정 주파수의 진동을 검출함으로써,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에 대한 순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310). 차량이 주행 중인지는 FL 및 FR 휠속 센서 등을 통해 바퀴의 회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주행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No),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을 종료한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은 주행 중에 휠 얼라이먼트에 이상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 방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차량이 주행 중으로 판단된 경우(Yes), 차량이 직진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320). 차량의 직진 주행 여부는 전술한 조향 토크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조향 토크 센서가 0Nm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수준 이내, 그리고 조향각 센서가 0°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수준 이내로 유지되는 상태가 소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직진 주행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차량이 직진 주행하지 않는 경우(No), 다시 차량 주행 여부 판단 단계(S310)로 이행하고, 차량이 직진 주행하는 경우(Yes), 차량이 고속 주행 중인지 판단한다(S330). 차량의 고속 주행 중인지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GPS를 이용하거나, 차량의 속도계, 또는 차량의 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80 km/h 이상이면 고속 주행 중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이 고속 주행 중이지 않는 경우(No)에는 다시 차량이 주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310)로 이행한다. 경우에 따라, 직진 주행 판단 단계(S320)로 이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진 주행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고속 주행 여부를 뒤에 판단하였지만, 고속 주행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직진 주행 여부를 뒤에 판단해도 무방하다. 또한, 직진 주행 여부와 고속 주행 여부를 동시에 판단할 수도 있다. 동시에 판단하는 경우에는 직진 주행이면서 고속 주행인 경우에 출력 축의 진동 여부 판단 단계(S340)로 이행한다.
차량이 고속 주행 중으로 판단된 경우(Yes), 출력 축에 설치된 진동 검출기를 통해 출력 축에 진동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40). 출력 축에 진동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No), 차량 주행 판단 단계(S310)로 이행한다. 경우에 따라, 휠 얼라이먼트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종료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출력 축에 진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Yes), 검출된 진동수 또는 진동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50). 일반적으로 휠 얼라이먼트 이상에 의해 차체가 좌우 진동시, 출력 축이 정역 방향으로 소량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출력 축의 진동은 운전자의 조향 핸들의 조작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은 배제하고 휠 얼라이먼트 이상으로 발생한 진동만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사람이 만들 수 없는 기준 주파수를 설정하고 발생한 진동이 기준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휠 얼라이먼트 이상으로 판단한다.
검출된 진동수 또는 진동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미만인 경우(No), 차량 주행 판단 단계(S310)로 이행한다. 경우에 따라, 휠 얼라이먼트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종료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검출된 진동수 또는 진동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이상인 경우(Yes), 전술한 바와 같이 휠 얼라이먼트 이상으로 판단한다(S360).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휠 얼라이먼트 이상 신호를 발생시킨다(S370). 휠 얼라이먼트 이상 신호는 계기판에서 램프나 부저 등을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램프가 켜지거나 깜박거리는 식으로, 또는 부저가 울리는 식으로 이상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이상 신호 발생이 상기 램프나 부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진동을 통해 알리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조향 핸들, 103: 조향 컬럼, 104: 조향 축, 108: 모터, 110: 랙 기어, 120: 피니언 기어, 122, 122': FL, FR 휠속 센서, 125: 진동 검출기, 127: 조향 토크 센서, 129: 조향각 센서, 130: 기어 박스, 140: 랙-바

Claims (8)

  1. 고속 주행 여부 및 직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고속 주행이고 직진인 경우에 전륜 좌측(FL: Front Left) 휠과 전륜 우측 (FR: Front Right) 휠의 속도 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속도 차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주행 여부는,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지에 의해 판단하고,
    상기 직진 여부는, 조향 토크(steering torque)가 0Nm을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 및 조향 각(steering angle)이 0deg을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상 지속되는지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L 휠 및 FR 휠의 속도는 각각의 휠 스피드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기준값은 기 설정된 회전 횟수이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속도 차가 상기 회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5. 고속 주행 여부 및 직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랙-바(Rack-bar)에 연결된 출력 축(Output Shaft)의 진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축의 진동을 기 설정된 주파수와 비교하여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운전자의 조향(steering)에 의해 발생시킬 수 없는 주파수이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 축의 진동이 상기 주파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축의 진동은 진동검출기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휠 얼라이먼트의 이상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얼라이먼트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KR1020120062863A 2012-06-12 2012-06-12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KR20130139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63A KR20130139108A (ko) 2012-06-12 2012-06-12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63A KR20130139108A (ko) 2012-06-12 2012-06-12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108A true KR20130139108A (ko) 2013-12-20

Family

ID=4998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863A KR20130139108A (ko) 2012-06-12 2012-06-12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1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755A (ko) 2014-12-03 2016-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 이상 검출방법 및 장치
EP3971064A1 (de) * 2020-09-21 2022-03-23 Volkswagen Ag Ermitteln eines lenkreferenzzustands mittels radgeschwindigkeitsgröss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755A (ko) 2014-12-03 2016-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휠 얼라인먼트 이상 검출방법 및 장치
EP3971064A1 (de) * 2020-09-21 2022-03-23 Volkswagen Ag Ermitteln eines lenkreferenzzustands mittels radgeschwindigkeitsgröss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8709B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EP2605949B1 (en) Vehicle active steering shimmy mitigation
US8392055B2 (en)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friction in a steering system
US9242625B2 (en) Road friction coefficient estimating unit and road friction coefficient estimating method
CN101531144A (zh) 驱动力控制装置
CN104379432B (zh) 转向操纵传递系统的特性变化检测装置
JP6161965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操舵車両
JP6715341B2 (ja) ステアリングトルク推定装置
JP2018507136A (ja) 二輪車のリーン角を決定する方法
KR20130139108A (ko) 휠 얼라이먼트 이상 검출방법
JP5186657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896313B1 (ko) 가변 랙 스트로크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074386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特性改変方法
JP5260100B2 (ja) 後輪転舵制御装置の異常監視装置
KR20120127947A (ko) Mdps 시스템의 페일세이프 제어방법
KR20120041555A (ko) 독립 다축 구동형 차량
JP2013244802A (ja) 車両制御装置
JP4419828B2 (ja) 横加速度センサ異常検出装置
US20240025474A1 (en) Steering system
JP2015085806A (ja) 車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111807A (ko) 커브안정장치
JP6522489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24024813A (ja) 人力駆動車用の制御装置
JP4419852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の警報装置
JP2013216267A (ja) 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