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586A -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586A
KR20130138586A KR1020120062292A KR20120062292A KR20130138586A KR 20130138586 A KR20130138586 A KR 20130138586A KR 1020120062292 A KR1020120062292 A KR 1020120062292A KR 20120062292 A KR20120062292 A KR 20120062292A KR 20130138586 A KR20130138586 A KR 20130138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able
st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충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8586A/ko
Publication of KR20130138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충전 장치에서 감시하도록 하고, 충전 완료시 접속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해제 및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케이블이 아직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가 출발하는 것과 같은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ELECTRIC VEHICLE CHARGE SYSTEM ANE CHARG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 완료시 자동으로 케이블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보호 요구에 부응하여 전기자동차에 대한 수요 또한 급속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거의 없고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현재는, 내연 엔진과 수소와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직접 전기 에너지를 얻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거나, 배터리와 연료 전지를 이용하는 등 혼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크게 전기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자동차를 운행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와, 그 전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즉, 전기 모터와 배터리가 일반 자동차의 엔진과 연료를 대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의 예시가 도 1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는 내부에 온보드 충전기(On-Board Charger; OBC)를 구비하고, 유연성 케이블과 충전 커넥터를 이용하여 약 220V의 AC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충전기 또는 계통의 충전 에너지는 구비된 소켓-아울렛에 플러그전원을 꼽고 케이블의 타단에 구부된 충전 커넥터를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에 접속하게 되면, 접속된 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쪽으로 흘러들어간다. 여기서, 충전 커넥터에는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어서 충전 인렛이 접속되면 그에 따라 작동된다. 충전 에너지를 공급받은 온보드 충전기(OBC)는 AC전원을 전기자동차의 구동에 적접한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자동차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데 있어서, 전기자동차의 내부 배터리가 만충 상태가 되거나 또는 설정된 충전시간이 완료하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스스로 그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분리시킨 후에 전기자동차를 출발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스스로 충전 상태와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실수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충전 장치에서 감시하도록 하고, 충전 완료시 접속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연결 해제하고 자동 회수시키는 충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자동차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 여부를 감시하는 충전 상태 감시 모듈과; 상기 전기자동차 및 충전 장치 간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자동차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개시 및 완료,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해제를 출력하여 알려주는 화면 출력 수단 및 소리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설정된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온(on)시키고, 충전 시간 만료시 충전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오프(off)시키고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요청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및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연결 해제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자동 회수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여부를 출력하여 알려주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 여부,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결과를 감시하는 충전 상태 감시 모듈과; 상기 전기자동차 및 충전 장치간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충전시간 만료시 충전 장치를 오프(off)시키고 연결된 충전 케이블이 자동 해제되도록 하는 케이블 자동 해제 모듈과; 상기 충전 케이블의 해제시 구동 모터를 회전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이 자동 회수되도록 하는 케이블 자동 회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개시 및 완료,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해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결과를 출력하여 알려주는 화면 출력 수단 및 소리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개시 및 완료,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해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충전할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 정보 및 충전 시간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상기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충전방법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충전방법으로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자동차 및 충전장치 간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와;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을 자동 해제시키는 단계와; 구동 모터를 회전하여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자동 회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방법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충전 장치에서 감시하도록 하고, 충전 완료시 접속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으로 해제 및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케이블이 아직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자동차가 출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 및 충전 케이블의 마모 및 손상을 막고 나아가 그로 인한 인명 사고의 우려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예시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충전방법의 예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충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연결 해제하고 자동 회수시키는 충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0)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 충전 장치(20)와 접속되어지며, 상기 충전 장치(20)는 예컨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충전 제어 장치(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는 전기자동차(10)의 충전 상태와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고 그에 따라 충전 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고 나아가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자동 회수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20)는 도 2에서 하나의 전기자동차(10)와 접속되어 충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충전 장치(20)에 복수 개의 전기자동차(10)가 연결되어 동시에 또는 번갈아가면서 충전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자동차(100)와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기술한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자동차(100)와 접속하는 충전 장치(200)와 상기 충전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동차(11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제1 감시부(110)와, 상기 제1 감시부(110)의 감시 결과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자동차 내부의 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출력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감시부(110)는 충전 상태 감시 모듈(112) 및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115)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 상태 감시 모듈(112)은 전기자동차(110)의 충전 시간, 충전 개시 여부, 충전 완료 여부 등을 감시한다. 또, 상기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115)은 전기자동차(110)와 충전 장치(200) 사이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감시부(110)는 충전 상태 완료 여부와 케이블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30)는 전기자동차(110)의 충전 개시 및 완료,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해제를 출력하여서 사용자 등에게 알려준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부(130)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 수단 및 소리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 출력 수단은 예를 들어, LCD, LED 등의 소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고, 상기 소리 출력 수단은 스피커, 마이크, 음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또, 상기 출력부(130)는,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충전 요금 정보나 또는 다양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서 사용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과 통신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으로부터 충전 요금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하나 이상의 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신부(140)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충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 방식, 위성 통신 방식 등 가용한 통신 방식과 이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0)의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0)는, 제2 감시부(310)와, 제어부(320)와, 출력부(330)를 포함한다. 또,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0)는 통신부(340)와, 입력부(350)와, 메모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300)는 설정된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장치(200)를 온(on)시키거나 그리고/또는 충전 시간 만료시 충전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장치(200)를 오프(off)시키고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 해제시킨다.
상기 제2 감시부(310)는 전기자동차(100)의 충전 요청 신호를 감지한다. 또, 상기 제2 감시부(310)는 전기자동차(100)의 충전 상태 및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상기 제2 감시부(31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 여부,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결과를 감시하는 충전 상태 감시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시부(310)는 전기자동차와 충전 장치 사이간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감시부(310)는 충전 상태 완료 여부와 케이블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연결 해제한다. 또, 상기 제어부(320)는 연결 해제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 회수시킨다. 상기 제어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자동 해제 모듈(322)과 케이블 자동 회수 모듈(3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자동 해제 모듈(322)은 설정된 충전시간 만료시 충전 장치를 오프(off)시키고 연결된 충전 케이블이 자동 해제되도록 한다. 또, 상기 케이블 자동 회수 모듈(325)은 충전 케이블의 해제시, 예컨대 구동 모터를 회전하여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자동 회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터는 연결 해제된 충전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며, 상기 연결 해제된 충전 케이블을 충전전 초기 위치에 반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예로서, 충전 케이블이 연결 해제됨과 동시에 초기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잡아 당겨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33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및 충전 케이블의 회수 여부를 출력하여서 사용자 등에게 알려준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부(330)는 하나 이상의 화면 출력 수단 및 소리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출력 수단은 예를 들어, LCD, LED 등의 소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고, 상기 소리 출력 수단은 스피커, 마이크, 음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30)는 도 2의 중앙 서버(40)로부터 제공된 충전 요금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출력부(330)는 전기자동차 충전 중 발생한 다양한 돌발 상황에 따른 경고 메시지 등을 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40)는 하나 이상의 통신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충전 장치(200)와 통신한다. 그에 따라, 상기 통신부(340)는 전기자동차(100)나 또는 충전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정보, 충전 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충전 요금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트를 통해 중앙 서버(40)로부터 충전 요금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 서버(40)에 접속된 전기자동차의 충전 정보를 전송해준다.
상기 입력부(35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충전할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 정보 및 충전 시간을 입력받는다.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개시 및 완료,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해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 상기 메모리(360)는 변경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시스템에 구비되는 충전커넥터(400a, 400b)는 DC충전커넥터(400a) 및 AC충전커넥터(400b)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시스템은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100)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도시된 충전 커넥터(400a, 400b)를 통해 전기자동차(500)에 공급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양방향 DC/AC 컨버터(213)의 출력단은 AC충전커넥터(400b)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240)의 출력단은 DC충전커넥터(400a)와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100)로부터 발전된 전력 및/또는 배터리(240)에 저장된 에너지를 상기 전기자동차(500)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DC충전커넥터(400a)를 통해, 배터리(240)로부터 충전된 전기자동차충전부(300)의 출력전원이 전기자동차(500)의 구동유닛들(미도시)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제어부(250)는 AC충전커넥터(400b)를 통해, 양방향 DC/AC 컨버터(213)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전기자동차(500)의 구동유닛들(미도시)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충전커넥터(400a, 400b)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력량 및 충전시간에 대응하여서 부과될 전기요금을 산출하는 요금산출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간대별 전기요금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통해 또는 최저 전기요금 시간에서 자동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되는 것과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전기자동차(5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결정된 시간에 따라, 전기자동차충전부(300)에 구비된 제1 릴레이(310) 및 제2 릴레이(370) 또는 부하(700)측에 연결된 스위치(600)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25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교류충전커넥터 및 직류충전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충전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50)는 사용자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형태의 표시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부과될 전기요금, 충전 개시시간, 배터리에 남은전력 및/또는 부하의 현재 전력소모량에 기초하여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어부(250)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시스템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충전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입력 또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 또는 완속충전여부를 선택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충전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감시한다(S10). 이때,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접속된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예를 들어 충전 여부 또는 충전 경과 시간 등과 같은 정보는 소리 출력 수단이나 화면 출력 수단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상기 전기자동차와 충전 장치 간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S20). 단계(S10)에서와 마찬가지로 충전 케이블의 연결시 또는 연결 해제시에는 소리 출력 수단이나 화면 출력 수단을 통해 이를 표시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그런 다음,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30),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케이블의 연결을 자동 해제시킨다(S40). 그런 다음, 구비된 구동 모터를 회전하여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자동 회수시킨다(S50).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와,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와,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회수 여부에 관한 표시는 예를 들어 소리 출력 수단이나 화면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S60). 한편, 단계(S30)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S10)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과정들을 반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에 의하면,
10, 100 - 전기자동차 20, 200 - 충전 장치
30, 300 - 충전 제어 장치 40 - 중앙 서버
110 - 제1 감시부 112 - 충전 상태 감시 모듈
115 -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 120 - 제어부
130 - 출력부 140 - 통신부
310 - 제2 감시부 320 - (충전 제어 장치) 제어부
322 - 케이블 자동 해제 모듈 325 - 케이블 자동 회수 모듈
330 - (충전 제어 장치) 출력부 340 -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
350 - 입력부 360 - 메모리

Claims (3)

  1.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및
    상기 감시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 상기 충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을 자동 해제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자동 회수시키는 충전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간, 충전 개시 및 충전 완료 여부를 감시하는 충전 상태 감시 모듈과; 상기 전기자동차 및 충전 장치 간의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케이블 연결 감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는,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개시 및 완료,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해제를 출력하여 알려주는 화면 출력 수단 및 소리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설정된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 개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온(on)시키고, 충전 시간 만료시 충전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오프(off)시키고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자동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KR1020120062292A 2012-06-11 2012-06-11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KR20130138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92A KR20130138586A (ko) 2012-06-11 2012-06-11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92A KR20130138586A (ko) 2012-06-11 2012-06-11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86A true KR20130138586A (ko) 2013-12-19

Family

ID=4998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92A KR20130138586A (ko) 2012-06-11 2012-06-11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85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4089A (zh) * 2015-05-07 2018-01-23 英诺吉能源公司 用于检验在电动汽车和充电站之间的连接的方法和设备
KR20220152035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긴급 충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4089A (zh) * 2015-05-07 2018-01-23 英诺吉能源公司 用于检验在电动汽车和充电站之间的连接的方法和设备
US11034251B2 (en) 2015-05-07 2021-06-15 Innogy Se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a connection between an electric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KR20220152035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긴급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729B2 (ja) 充電システム、車両および充電設備
JP5126297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電力管理装置
EP2660949B1 (en) Re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348633B1 (ko) 배터리 상시 전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제어장치용 전원확보회로 및 그 전원확보방법
JP5201273B2 (ja) 電源管理装置
CN102934323B (zh) 用于对电池组充电的系统和方法
JP6597685B2 (ja) サーバ及び充電システム
US20150127203A1 (en) Vehicle travel control assistance device
CN103683369B (zh) 充放电系统
CN103915865A (zh) 车辆用充电装置
CN107800164B (zh) 充电系统及电动车辆
CN105391103A (zh) 用于高电压电池充电的非车载充电器
CN106114236A (zh) 一种电动车用弓式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3055800A (ja) 電池監視協調充電システム及び電動車両
CN104052092A (zh) 车载动力电池的充电系统及其车载动力电池的充电方法
US9108522B2 (en) Vehicle-mounted controller
JP6469307B2 (ja) 充放電装置
CN108001227B (zh) 电动车辆
JP2011205840A (ja) 車両用充電装置
KR20130134290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KR20130138586A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충전방법, 및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장치
US109064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arting electrified vehicle charging without unplugging
CN116252665A (zh) 充电控制方法和充电适配装置
CN115923566A (zh) 一种具有自检功能的新能源汽车充电系统
KR20150052504A (ko)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공 방법,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