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429A -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429A
KR20130138429A KR1020120061975A KR20120061975A KR20130138429A KR 20130138429 A KR20130138429 A KR 20130138429A KR 1020120061975 A KR1020120061975 A KR 1020120061975A KR 20120061975 A KR20120061975 A KR 20120061975A KR 20130138429 A KR20130138429 A KR 2013013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rotating
rotary
main body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865B1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2006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8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12Loaders for sheaves, stacks or bales
    • A01D87/127Apparatus for handling, loading or unrolling round ba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A01D90/08Loading means with bale-forming means additionally used for loading; with means for picking-up bales and transporting them in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10)의 로더(20)에 설치된 연결장치(30)에 탈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0)과; 상기 가이드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1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70)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집게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일의 운반 및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Tongs bale rotary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정된 장소와 협소한 공간에 베일을 원활하게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는 트랙터의 로더에 설치되어 중량물인 베일을 집어서 회전시킨 후 지정된 장소로 운반 및 하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3919호(2009.06.19) 및 제10-1121220호(2012.03.2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는 베일을 집은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유압실린더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베일을 일측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상 하역장소와 위치에 따라서 베일을 간섭없이 원활하게 하역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집게를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시켜 베일의 운반 및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는,
트랙터(10)의 로더(20)에 설치된 연결장치(30)에 탈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0)과; 상기 가이드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1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70)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10)는 상기 본체(12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프레임(12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구(114)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공(112)과; 상기 몸체(111)의 상부 일측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고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홈(1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123)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8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8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81)의 상부에는 조절나사(182)가 나선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18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지지구(1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집게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일의 운반 및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10)의 로더(20)에 설치된 연결장치(30)에 탈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0)과; 상기 가이드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1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70)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110)는 상기 본체(12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프레임(12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구(114)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공(112)과; 상기 몸체(111)의 상부 일측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고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홈(11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트랙터(10)의 로더(20)에 설치된 연결장치(30)의 작동으로 상기 결합부재(110)를 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장치(30)와 결합부재(110)의 탈착원리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3756호와 같이 당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회전축(1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133)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122)의 선단에는 고정너트(124)가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133)가 이탈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123)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아 회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회전몸체(14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123)가 회전력 및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31)는 양측에 로드가 형성된 형태로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된 상태로 유압실린더(131)를 작동시킬 경우 유압실린더(131)의 튜브(몸체)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튜브는 상기 구동기어(132)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13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132)가 이동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인 회전기어(133)가 회전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몸체(140) 및 집게(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닿은 상태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부재(18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8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81)의 상부에는 조절나사(182)가 나선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18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지지구(18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183)는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닿은 상태에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합성수지 또는 연질의 동합금으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조절나사(182)는 회전시켜 상기 지지구(183)가 구동기어(132)와 맞닿은 밀착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기어(13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승하지 않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재(130)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몸체(140)와 집게(16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베일(A)을 간섭없이 원활하게 하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트랙터 20: 로더
30: 연결장치
100: 본 발명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110: 결합부재 111: 몸체
112: 결합공 113: 걸림홈
114: 지지구
120: 본체 121: 결합프레임
122: 회전축 123: 롤러
124: 고정너트
130: 구동부재 131: 유압실린더
132: 구동기어 133: 회전기어
140: 회전몸체 150: 가이드프레임
160: 집게 170: 유압실린더
180: 지지부재 181: 지지브라켓
182: 조절나사 183: 지지구
A: 베일

Claims (5)

  1. 트랙터(10)의 로더(20)에 설치된 연결장치(30)에 탈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10)와; 상기 결합부재(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회전몸체(140)와; 상기 회전몸체(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3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0)과; 상기 가이드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게(160)와; 상기 회전몸체(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1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70)로 이루어지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3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1)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132)와;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10)는 상기 본체(12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프레임(121)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구(114)가 구비되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공(112)과; 상기 몸체(111)의 상부 일측에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고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홈(1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123)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140)의 후면에 맞닿아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와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80)는 상기 본체(120)의 상부 일측에는 지지브라켓(18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81)의 상부에는 조절나사(182)가 나선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18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2)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지지구(18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KR1020120061975A 2012-06-11 2012-06-11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KR10142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75A KR101426865B1 (ko) 2012-06-11 2012-06-11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975A KR101426865B1 (ko) 2012-06-11 2012-06-11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29A true KR20130138429A (ko) 2013-12-19
KR101426865B1 KR101426865B1 (ko) 2014-08-06

Family

ID=4998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75A KR101426865B1 (ko) 2012-06-11 2012-06-11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8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32B1 (ko) * 2015-05-19 2015-06-15 이재성 거푸집 취급을 위한 브라켓-지게차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취급방법
KR20160069618A (ko) * 2014-12-08 2016-06-17 (주)송현 베일집게
KR20200073560A (ko) 2018-12-14 2020-06-24 김종철 베일 집게
KR20220168007A (ko) * 2021-06-15 2022-12-22 박길수 기둥거푸집 이동설치용 지게차 부속장치 및 브라켓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744B1 (ko) * 2022-03-29 2022-11-04 백승철 베일 집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07Y1 (ko) * 2007-11-22 2008-05-20 김문수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KR100822445B1 (ko) * 2008-01-23 2008-04-16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0846564B1 (ko) 2008-01-23 2008-07-15 이창복 트랙터용 집게장치
KR101017957B1 (ko) * 2008-12-31 2011-03-02 김문수 트랙터용 다기능 작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18A (ko) * 2014-12-08 2016-06-17 (주)송현 베일집게
KR101528732B1 (ko) * 2015-05-19 2015-06-15 이재성 거푸집 취급을 위한 브라켓-지게차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취급방법
KR20200073560A (ko) 2018-12-14 2020-06-24 김종철 베일 집게
KR20220168007A (ko) * 2021-06-15 2022-12-22 박길수 기둥거푸집 이동설치용 지게차 부속장치 및 브라켓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865B1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865B1 (ko) 트랙터용 회전식 베일집게
JP2015229184A (ja) 自動溶接装置
US8666609B2 (en) Work vehicle
CN105040289B (zh) 全自动床垫围边机
RU2019107583A (ru) Горная машина с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ой стрелой и независимой системой перемещения материала
KR20110005640U (ko) 농업용 전동 작업차
JP6180286B2 (ja) 角形鋼管の処理設備
KR20110050021A (ko) 둔각용 용접케리지
CN104057594A (zh) 管材牵引机
KR20120008991A (ko) 사료 급이기
JP5938795B2 (ja) 播種機
US9301451B2 (en) Grain bag unloading device
US9883627B2 (en) Device for picking up harvested root crop
KR20130033357A (ko) 농작물의 베일을 래핑하는 래퍼
JP2017145121A5 (ko)
JP2010098982A (ja) ベールグリッパ
US20120121343A1 (en) Nozzle for providing particulate materials to bulk transfer apparatus
JP2012219445A5 (ko)
CN104138930A (zh) 一种新型开卷器
JP5297290B2 (ja) チェンソー
CN203801316U (zh) 一种割台输送链条的支持结构
JP2011131864A (ja) 農業用運搬車
JP2016008494A5 (ko)
KR101426868B1 (ko) 트랙터 작업기용 회전식 연결장치
JP6198602B2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